KR200341838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838Y1
KR200341838Y1 KR20-2003-0035132U KR20030035132U KR200341838Y1 KR 200341838 Y1 KR200341838 Y1 KR 200341838Y1 KR 20030035132 U KR20030035132 U KR 20030035132U KR 200341838 Y1 KR200341838 Y1 KR 200341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guide
base
seating space
rece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남수
Original Assignee
설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남수 filed Critical 설남수
Priority to KR20-2003-0035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8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용부재가 안착된 베이스의 안착공간에 배수안내부재를 고정부재로 체결시키기 때문에 안착공간의 내측면과 안내판의 틈에 고인 오수에 의해 발생하는 물때의 생성을 최소로 함과 아울러 부품의 착탈이 용이하여 청소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키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ing trap}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에 배수관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배수되는 오수에 섞인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배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트랩(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내측 곡면에 걸름편(11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지지편(112)이 형성된 배수캡(11)이 구성되고, 상기 배수캡(11)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부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지지편(112)과 동일 선상으로 지지홈(121)이 형성되며 이 지지홈(121)의 단부에 외측으로 걸림턱(1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21)의 사이에 배출공간(123)이 형성되는 수용부재(12)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재(12)가 안착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안내관(131)이 형성되고 이 안내관(131)의 단부에 내측으로 걸림돌기(131)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131)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판(133)이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13)가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13)의 상면에 여과판(14)이 안착된다.
이러한 배수트랩(10)은, 베이스(13)를 배수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지지판(133)을 표출시켜 콘크리트로 고정시키며, 배수캡(11)의 지지편(112)을 지지홈(121)에 수용한 수용부재(12)를 상기 베이스(13)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면 걸림돌기(132)에 걸림턱(122)이 걸려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3)의 상면에 여과판(14)을 안착시키면 된다.
또한, 근래의 배수트랩(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내측 곡면에 회동돌기(211)를 대향하게 돌출되며,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212)이 형성되는 배수캡(21)이 구성되고, 상기 배수캡(21)을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1)의 상부에 안착시키며,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출공간(222)이 형성된 수용부재(22)가 구성되고, 상기 배수캡(21)을 수용한 수용부재(22)가 안착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안내관(231)이 중앙에 형성되고, 이 안내관(231)의 내주면 상단부에 상기 배수캡(21)의 나사산(212)이 회전 결합되는 나사산(232)이 형성되며, 이 나사산(232)의 하부에 배수캡(21)의 나사산(212)에 의해 결합되는 수용부재(22)가 고정되는 고정돌기(233)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둘레에 바닥면에 밀착되는 지지판(234)이 형성된 베이스(23)가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23)의 지지판(233)을 감싸는 보호부재(24)가 구성되고, 상기 보호부재(24)의 상면에 여과판(25)이 안착된다.
이러한 배수트랩(20)은, 보호부재(24)가 장착된 베이스(23)를 배수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지지판(234)를 표출시켜 콘크리트로 고정시키며, 배수캡(21)을 걸림턱(221)에 걸리도록 수용한 수용부재(22)를 상기 베이스(23)의 안내관(231)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수캡(21)을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배수캡(21)의 나사산(212)이 베이스(23)의 나사산(232)을 따라 회전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수용부재(22)의 단부는 고정돌기(233)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보호부재(24)의 상면에 여과판(25)을 안착시키면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결합되는 종래와 근래의 배수트랩은, 수용부재에 안착된 배수캡과 베이스의 결합되는 부분이 오수의 오물에 노출되기 때문에 베이스의 상면과 배수캡에 물때가 발생하고, 이 물때에 의해 배수캡이 베이스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심지어는 배수캡이 베이스에서 굳어 고정되므로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이스에서 굳은 배수캡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해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부품이 파손됨과 아울러 파손된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용부재가 안착된 베이스의 안착공간에 배수안내부재를 고정부재로 체결시키기 때문에 안착공간의 내측면과 안내판의 틈에 고인 오수에 의해 발생하는 물때의 생성을 최소로 함과 아울러 부품의 착탈이 용이하여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키는 배수트랩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배수트랩은, 오수되는 물에 섞인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수관으로 배수시킴과 동시에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도록 배수관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안착공간의 중앙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된 안내관이 형성되고, 이 안내관의단부에 안착되는 수용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돌기가 수용부재를 감싸도록 돌출되며, 상기 안착공간의 둘레에 내측으로 안내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지지판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안착공간에 안착되어 배수되는 물을 배수관으로 안내하는 배수안내부재와;
상기 배수안내부재를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수트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근래 배수트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배수트랩 41: 베이스
411: 안착공간 412: 안내관
413: 지지돌기 414: 안내돌기
42: 배수안내부재 421: 안내판
422: 안내홈 423: 지지편
424: 안내면 43: 고정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오수되는 물에 섞인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수관(30)으로 배수시킴과 동시에 배수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30)과 연통되도록 배수관(3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안착공간(411)의 중앙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된 안내관(412)이 형성되고, 이 안내관(412)의 단부에 안착되는 수용부재(2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돌기(413)가 수용부재(22)를 감싸도록 돌출되며, 상기 안착공간(411)의 둘레에 내측으로 안내돌기(414)가 돌출되고, 상기 안착공간(41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지지판(415)이 형성되는 베이스(41)가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41)의 안착공간(411)에 안착되어 배수되는 물을 배수관(30)으로 안내하는 배수안내부재(42)가 구성되고, 상기 배수안내부재(42)를 베이스(4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수안내부재(42)는, 저면에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홈(422)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422)의 내측으로 안착공간(411)의 상면에 밀착되는 지지편(423)이 형성된 안내판(421)이 구비되며, 이 안내판(421)의 중앙에 수용부재(22)의 내측으로 단부가 위치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안내면(424)이 일체로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배수트랩(40)의 조립과정과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배수관(30)의 상부에 베이스(41)의 상단부가 표출되도록 설치면에 콘크리트로 고정시킨 후, 수용부재(22)를 안내관(412)의 내부로 이동시키면, 경사진 안내관(412)의 내면에 수용부재(22)의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걸림턱(221)이 안내관(412)의 단부에 안착된다.
이때, 수용부재(22)의 하단부는 배수관(30)의 상단부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재(22)가 안착되면, 배수안내부재(42)의 안내면(424)이 수용부재(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면 안내판(421)이 베이스(41)의 안착공간(411)에 안착된다.
이때, 안내판(421)의 안내홈(422)에 안내돌기(414)가 끼워짐과 동시에 안내판(421)의 저면이 지지돌기(413)의 상면에 밀착되고, 지지편(423)이 안착공간(411)의 상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안내부재(42)의상면에서 고정부재(43)를 체결하여 베이스(41)에 고정시킨 후, 여과판(25)을 베이스(41)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오수가 배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판(25)으로 유입된 오수는 경사진 지지판(415)을 경유하여 배수안내부재(42)의 안내면(424)을 따라 수용부재(22)의 내부로 이동되고, 오수에 함유되어 있던 비중이 큰 이물질은 수용부재(22)의 내부에 침전되며, 물은 개방된 배출공간(222)으로 넘쳐 배수관(3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수가 종료되면 마지막으로 배수된 오수는 배수안내부재(42)의 안내면(424) 단부가 잠기도록 수용부재(22)에 담겨 있어 배수관(30)으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오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수용부재(22)의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배수트랩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여과판(25)을 베이스(41)의 상면에서 이탈시키고,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배수안내부재(42)의 안내판(421) 상부에서 베이스(41)에 체결된 고정부재(43)를 이탈시킨 후, 배수안내부재(42)의 안내면(424) 단부를 잡고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배수안내부재(42)는 베이스(41)의 안착공간(411)에서 분리되며, 수용부재(22)를 상부로 이동시켜 베이스(41)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수용부재(22)의 내부에 낀 이물질을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제거하고, 이물질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의 분리되는 과정의 역순으로 수용부재(22)를 베이스(41)의 중앙에 삽입하고, 배수안내부재(42)를 안착공간(411)에 안착시켜 고정부재(43)로 체결하며, 여과판(25)을베이스(41)의 상면에 복개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배수트랩은, 수용부재가 안착된 베이스의 안착공간에 배수안내부재를 고정부재로 체결시키기 때문에 안착공간의 내측면과 안내판의 틈에 고인 오수에 의해 발생하는 물때의 생성을 최소로 함과 아울러 부품의 착탈이 용이하여 청소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배수되는 물에 섞인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수관(30)으로 배수시킴과 동시에 배수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30)과 연통되도록 배수관(3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안착공간(411)의 중앙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된 안내관(412)이 형성되고, 이 안내관(412)의 단부에 안착되는 수용부재(2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돌기(413)가 수용부재(22)를 감싸도록 돌출되며, 상기 안착공간(411)의 둘레에 내측으로 안내돌기(414)가 돌출되고, 상기 안착공간(41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지지판(415)이 형성되는 베이스(41)와;
    상기 베이스(41)의 안착공간(411)에 안착되어 배수되는 물을 배수관(30)으로 안내하는 배수안내부재(42)와;
    상기 배수안내부재(42)를 베이스(4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안내부재(42)는,
    저면에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홈(422)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422)의 내측으로 안착공간(411)의 상면에 밀착되는 지지편(423)이 형성된 안내판(421)이 구비되며, 이 안내판(421)의 중앙에 수용부재(22)의 내측으로 단부가 위치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안내면(124)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3-0035132U 2003-11-10 2003-11-10 배수트랩 KR200341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32U KR200341838Y1 (ko) 2003-11-10 2003-11-10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32U KR200341838Y1 (ko) 2003-11-10 2003-11-10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838Y1 true KR200341838Y1 (ko) 2004-02-14

Family

ID=4934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132U KR200341838Y1 (ko) 2003-11-10 2003-11-10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8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02B1 (ko) 2006-02-24 2007-04-17 중앙아이앤티산업(주) 악취발생방지 배수장치
KR20230039338A (ko) 2021-09-14 2023-03-21 (주)동일판매 점검용 소켓을 갖는 배수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02B1 (ko) 2006-02-24 2007-04-17 중앙아이앤티산업(주) 악취발생방지 배수장치
KR20230039338A (ko) 2021-09-14 2023-03-21 (주)동일판매 점검용 소켓을 갖는 배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2114B2 (en)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KR200341838Y1 (ko) 배수트랩
KR20190092108A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JP2001182120A (ja) 床の防水パン用トラップ
EP1674620A2 (en) Liquid drain and waste device, for use in tubs and plumbing fixtures
KR101770652B1 (ko) 물 여과장치
JP2010275717A (ja) 排水目皿
JP5319900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SU1747617A1 (ru) Вставка дл улавливани мусора в слив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EP0138796A1 (en) Drain trap sanitary apparatus
KR200298925Y1 (ko) 배수트랩
KR200192988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100758544B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200167095Y1 (ko) 우수 및 오수받이 겸용 맨홀
KR20000062988A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JP2003266070A (ja) 膜ろ過装置
KR200298889Y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KR200384834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200345019Y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세면기용 배수전
KR102075758B1 (ko)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용 연결 장치
KR200292726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JP5285351B2 (ja) 排水ユニット
KR200192994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용여과구
KR200200796Y1 (ko) 배수 장치
KR200257136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