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889Y1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889Y1
KR200298889Y1 KR20-2002-0027189U KR20020027189U KR200298889Y1 KR 200298889 Y1 KR200298889 Y1 KR 200298889Y1 KR 20020027189 U KR20020027189 U KR 20020027189U KR 200298889 Y1 KR200298889 Y1 KR 200298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astened
sink
main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경
Original Assignee
문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경 filed Critical 문희경
Priority to KR20-2002-0027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8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나 씽크대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관에 체결되는 이음단관이 상/하부로 연설된 본체의 하부 외주연에는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와 체결되어 조임과 풀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침전케이스의 상부 내주연에 나사를 형성하되, 상기 나사이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걸림턱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1 걸림턱에는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여과망을 삽입하고 제 2 걸림턱에는 고무패킹을 삽입한 다음 상기 이음단관의 하부가 삽입공에 삽입되면서 지지턱이 상기 여과망을 지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상기 제 1 걸림턱과 지지턱에 긴밀하게 고정된 여과망은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오수의 압력에 의해 침전케이스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므로 오수에 섞인 이물질이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나사에 의해 체결된 본체와 침전케이스는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상기 본체로부터 침전케이스를 분해하여 케이스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출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Daining device easy to eliminate alien substance}
본 고안은 세면대나 씽크대에 적용되는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세면대나 씽크대의 저면에 체결되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 등을 여과 및 침전시켜 배수관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침전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의 작동에 의해 상/하 유동되어 용수를 담수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마게(3)가 내장된 연결관(4)을 세면대(1)의 저면에 체결시키고 상기 연결관(4)의 하단에는 체결너트(6)를 형성하여 "S"자형 파이프(5)의 일측과 회전이 가능하게 체결시키고, 상기 "S"자형 파이프(5)의 타측단에도 체결너트(6)를 형성하여 하수구나 정화조에 연장되는 배수관(7)과 체결시킨 구조가 대부분을 이루었다.
상기와 같은 "S"자형 파이프(5)를 이용한 종래의 배수처리장치는 상기 세면대(1)로부터 배출되는 오수 및 이물질을 여과시키는데 있어서 효과가 극히 미약하였으며, 상기 "S"자형 파이프(5) 내에 여과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관(4)에 체결된 체결너트(6)와 배수관(7)에 체결된 체결너트(6)를 해체하여 "S"자형 파이프(5)를 분리시킨 다음 그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상기 체결너트(6)를 해체키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게 되어 소비자에게 그 구입비용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처리장치가 노후로 인하여 마모시에는 대부분의 가사를 전담하고 있는 주부로서는 분해 및 조립이 수월하지 못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로인해 상기 "S"자형 파이프(5) 내에 침전되는 이물질이 누적된 채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배수관(7)이 막히는 고장이 발생하거나 누적된 이물질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에 의한 직·간접적인 질병의 발생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세면대나 씽크대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관에 체결되는 이음단관이 상/하부로 연설된 본체의 하부 외주연에는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와 체결되어 조임과 풀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침전케이스의 상부 내주연에 나사를 형성하되, 상기 나사의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걸림턱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1 걸림턱에는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여과망을 삽입하고, 제 2 걸림턱에는 고무패킹을 삽입한 다음 상기 이음단관의 하부가 삽입공에 삽입되면서 지지턱이 상기 여과망을 지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상기 제 1 걸림턱과 지지턱에 긴밀하게 고정된 여과망은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오수의 압력에 의해 침전케이스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므로 오수에 섞인 이물질이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나사에 의해 체결된 본체와 침전케이스는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상기 본체로부터 침전케이스를 분해하여 케이스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출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장치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이음단관
12 : 배수관 연결구 13 : 지지턱
10', 11', 12', 20' : 나사 20 : 침전케이스
20" : 돌기 21 : 공간부
22 : 제 1 걸림턱 23 : 제 2 걸림턱
30 : 여과망 31 : 삽입공
40 : 고무패킹 100 : 배수처리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세면대나 씽크대에 적용되며, 상기 세면대나 씽크대의 저면에 체결되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을 여과 및 침전시켜 상기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하부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배수관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된 배수관 연결구가 일체로 횡설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연결관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된 이음단관을 상/하 종설되게 일체로 형성시키되 상기 이음단관의 하측에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내주연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의 하측에는 제 1 및 제 2 걸림턱과 상기 이물질이 침전·적층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침전케이스와; 상기 침전케이스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제 1 걸림턱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고 상기 이음단관이 삽입되며 걸림턱에 의해 긴밀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여과망과; 상기 제 2 걸림턱에 삽입되어 침전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 및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며 상기 여과망을 고정하는 고무패킹이 일체로 체결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처리장치(100)는 세면대(1)의 저면에 조립설치하는 것이다. 세면대(1)의 저면 연결관(4)의 체결너트(6)와 본체(10)를 체결하기 위하여 하부 주연에는 나사(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측이 관통된 이음단관(11)이 종설되고, 상기 이음단관(11)에 형성된 나사(11')에 연결관(4)의 체결너트(6)가 긴밀하게 체결·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횡설된 배수관 연결구(12)의 방향은 추후에 배수관(7)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음단관(11)을 통해 오수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10')와 나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 상부에 나사(20')가 일체로 형성된 침전케이스(20)를 구비하되, 상기 침전케이스(20) 내측에는 제 1 및 제 2 걸림턱(22)(23)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걸림턱(22)에는 중앙에 삽입공(31)이 형성되고 이물질이 배수관(7)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시켜주는 여과망(30)을 삽입한 다음 상기 제 2 걸림턱(23)에는 여과망(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무패킹(40)을 삽입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여과망(30)과 고무패킹(40)이 삽입·고정된 침전케이스(2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20')와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10')를 나합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종설된 이음단관(11)의 하단이 여과망(3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31)에 삽입되고, 상기 이음단관(11)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턱(13)이 여과망(30)을 눌러주며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와 침전케이스(20)가 체결되면 침전케이스(20)의 내측에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제 2 걸림턱(23)에 삽입된 고무패킹(40)에 의해 본체(10)와 침전케이스(20)가 완전하게 밀폐되어 상기 공간부(21)에 유입된 오수 및 이물질 등이 외부로 전혀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체(10)의 일측에 횡설된 배수관 연결구(12)에 형성된 나사(12')와 배수관(7)의 체결너트(6)를 나합시켜 고정하면 배수장치(100)는 세면대(1)의 저면에 완전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설치된 배수처리장치(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세면대(1)나 씽크대(도시되지 않음)에서 사용한 물과 이물질을 배수처리장치(100)로 배출시키게 되면 연결관(4)의 체결너트(6)에 의하여 체결된 이음단관(11)을 통하여 본체(10)와 침전케이스(20)가 일체로 체결된 내부로 유입되게 되는데 상기 이음단관(11)은 타단이 여과망(3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3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오수 및 이물질 등은 먼저 여과망(30)의 저면인 침전케이스(20)의 공간부(21)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음단관(11)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턱(13)에 의해 눌려지듯이 지지되는 여과망(30)은 유입되는 오수의 압력에도 상측으로 부상하지 않게 된다. 침전케이스(20)의 하부로 유입된 오수 및 이물질은 여과망(30)에 의해 여과되어 이물질은 침전케이스(20)의 공간부(21)에 남게 되고, 오수 및 적은 입자의 이물질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수관 연결구(12)를 통해 체결너트(6)에 체결된 배수관(7)을 따라 하수구나 정화조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장시간 경과시 침전케이스(20) 내의 공간부(21)에는 이물질이 적층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10)에서 먼저 침전케이스(20)를 분리해야 한다. 상기 침전케이스(20)를 분리할 때에는 침전케이스(20)의 하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표면에 형성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0")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분리된 침전케이스(20)에 적층된 이물질을 특정 장소에 버리고 침전케이스(20) 내부를 깨끗한 물로 씻어낸 다음 침전케이스(20)를 본체(10)에 다시 조립·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오수의 압력에도 지지·고정하는 지지턱에 의해 여과망이 침전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므로 이물질의 원활한 여과가 이루어져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경우를 최소화 하고, 장시간 경과시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공구없이도 상기 본체로부터 침전케이스를 분해하거나 조립하기가 용이하므로 누구나 수시로 분해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악취 및 질병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세면대나 씽크대에 적용되며, 상기 세면대나 씽크대의 저면부에 연결되고 하단 내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을 통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을 여과 및 침전시켜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하부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배수관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된 배수관 연결구가 일체로 횡설되며, 중앙에는 상기 연결관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에 나사가 형성된 이음단관을 상/하 종설되게 일체로 형성시키되 상기 이음단관의 하측에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내주연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의 하측에는 제 1 및 제 2 걸림턱과 상기 이물질이 침전·적층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침전케이스와;
    상기 침전케이스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제 1 걸림턱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고 상기 이음단관이 삽입되며 지지턱에 의해 긴밀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여과망과;
    상기 제 2 걸림턱에 삽입되어 침전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 및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며 상기 여과망을 고정하는 고무패킹이 일체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KR20-2002-0027189U 2002-09-11 2002-09-11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KR200298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189U KR200298889Y1 (ko) 2002-09-11 2002-09-11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189U KR200298889Y1 (ko) 2002-09-11 2002-09-11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889Y1 true KR200298889Y1 (ko) 2003-01-03

Family

ID=4939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189U KR200298889Y1 (ko) 2002-09-11 2002-09-11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8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3095A (en) Drainpipe filter kit
US20180073229A1 (en)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KR101686959B1 (ko) 트랩 착탈식 오수받이
KR20190092108A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298889Y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처리장치
EP1674620A2 (en) Liquid drain and waste device, for use in tubs and plumbing fixtures
KR200426500Y1 (ko)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WO2018012756A1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0415793Y1 (ko) 방취포집기
KR200192988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167095Y1 (ko) 우수 및 오수받이 겸용 맨홀
KR101263605B1 (ko) J하주름곡관과 주름수직연결관 일체형 트랩 조립체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20140005630A (ko) 세면기 트랩 여과장치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KR19990009443U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314062Y1 (ko) 배수트랩
KR200273503Y1 (ko)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0365152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이 있는 배수트랩장치
KR200341838Y1 (ko) 배수트랩
KR200345019Y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세면기용 배수전
KR102075758B1 (ko)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용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