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6Y1 -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6Y1
KR200200796Y1 KR2020000013817U KR20000013817U KR200200796Y1 KR 200200796 Y1 KR200200796 Y1 KR 200200796Y1 KR 2020000013817 U KR2020000013817 U KR 2020000013817U KR 20000013817 U KR20000013817 U KR 20000013817U KR 200200796 Y1 KR200200796 Y1 KR 200200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bathtub
bathroom
floor
auxiliar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석
Original Assignee
장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석 filed Critical 장명석
Priority to KR2020000013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0Connecting baths or bidets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욕조 설치면과 욕실 바닥면의 경계에 걸쳐서 바닥 저면에 설치되어 욕조 설치면 저부는 욕조 및 세면대의 오수를 집수하고, 욕실 바닥면 저부에서는 욕실 바닥면 오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이 형성된에 배수공이 형성된 통체와 욕조 설치면 하부에 상기 통체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욕실 바닥면 방향의 면이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는 보조통체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통체 내부로 하단부가 연장되고 상단부에 욕조 및 세면대의 배수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이 형성되 제 1 덮개 판과 상기 통체의 욕실 바닥면에 노출된 부위에 나사식으로 연결 되고 욕실 바닥면의 오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이 형성된 제 2 덮게 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덮개 판을 들어내고 상기 회동 가능한 보조통체의 완만한 경사면을 통하여 보조통체의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욕조용 통합형 배수 장치이다.

Description

배수 장치{Draining Device}
본 고안은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전 내의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욕조용 통합형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세면장에는 화장실 변기뿐만 아니라 욕조, 세면대가 함께 배치 되고, 이들의 오수 배수구는 세면장의 바닥면에 각 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욕조의 오수 배수구는 해당 배수관을 통하여 직접 메인 배수관으로 연통 되도록 설치 되는데, 욕조로 부터 배출 되는 오수는, 예를 들어 비누찌꺼기,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섞여서 그대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배수관 내벽에 이러한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결국 배수관을 막히게 하여 청소 및 보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때 욕조의 배수관이 매립된 상태로 메인 배수관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욕조의 오수가 흘러내리는 관 전체, 즉 욕조 배수관과 메인 배수관 전체를 청소해야 되는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보수시에는 세면장 바닥면의 매립 콘크리트를 파낸 후 보수를 해야 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욕조 배수구를 통하여 역류되는 악취는 고무 마개를 막아서 하고 있으나, 이를 막지 않을 경우 악취가 심하게 역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세면대의 배수구는 배수관에 별도로 부설된, 예를 들어 에스 트랩 등과 같은 악취 역류 차단 수단을 경유시켜 매립관으로 직접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오수에도 역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으 므로 배수관의 막힘이 발생하고, 이를 제거 및 청소하기 위하여는 상기와 같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은 특히 욕조 및 세면대의 구조상 이물질 걸름 장치를 부설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배수관이 매립된 상태로 배설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전내의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욕조용 복합형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통체 장치의 사시도.
도 5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세면장 바닥면, 2 : 욕조,
2a : 욕조 배수관, 3 : 세면대,
3a : 세면대 배수관, 10 : 통체,
12 : 배수공, 14 : 오수 흐름턱,
16a : 걸림홈, 20 : 제 1 덮개 판,
22 : 요조 배수관 연결관, 24 : 세면대 배수관 연결관,
90 : 보조통체, 91 : 회전축,
90a : 완 경사면, 90b : 급 경사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 장치는 욕조 설치면과 욕조 바닥면의 경계이 걸쳐서 욕실 바닥 저면에 설치되어 욕조 설치면 저부에서는 욕조 및 세면대의 오수를 집수하고, 욕실 바닥면 저부 에서는 욕실 바닥면 오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이 형성된 통체와 욕조 설치면 하부에 상기 통체 내부에 설치되고 욕실 바닥면 방향의 면에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는 보조통체와 상기 보조통체 내부 하단부가 연장되고 상단부에 욕조 및 세면대의 배수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이 형성된 제 1 덮개 판과 상기 통체의 욕실 바닥면의 오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이 형성된 제 2 덮개 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덮개 판을 들어내고 상기 회동가능한 보조통체의 완만한 경사면을 통하여 보 조통체의 완만한 경사면을 통하여 보조통체의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통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 은 세면장 바닥면(1)과 욕조(2)의 에이프런(2b)에 걸쳐서 매설되는 통체(10)로서, 이는 직경이 서로 다른 원주를 연결한 대략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체(10)의 내측 저면에 배수공(12)이 메인 배수관과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통체(10)내벽면은 둘레를 따라 걸림턱(16)이 돌출 형성되고 배수관(24)과 통체(10)사이에 보조통체(90)를 안착 및 회동시키는 반원 모양의 걸림홈(16a)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보조통체(90)의 회전축(91)은 걸림홈(16a)에 안착되어 회동 중심점이 된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면의 완 경사면(90a), 좌측면의 급 경사면(90b)으로 한다. 이에 급 경사면은(90a) 제 1덮개 판과 닿아 욕조(2) 및 세면대(3)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속의 머리카락, 비누찌꺼기등을 걸러서 통체(10)로 흘려 보내는 역할을 하고, 완 경사면(90a)은 회전축(91)을 중심으로 오수 흐름턱(14) 방향으로 회동시켜 누적된 이물질등을 간단히 제거 할수 있다. 이때 제 1 덮개 판(20)에 돌출 부재(25)를 형성하여 회전이 용이하다. 또 한 오수 배출이 중단시는 일정량의 오수가 배수관(24) 저면까지 고이게되 하부 배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의 유입을 차단 시킨다.
부호 20 은 제 1 덮개 판으로서, 이는 상기 통체(10)의 상단 중 구획판(14)을 중심으로 배수공(12)이 형성된 반대편 위치, 즉 하방이 밀폐된 위치를 커버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덮개 판(20) 상에는 욕조(2)의 배수관(2a) 및 세면대(3)의 배수관(3a)이 각 각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관(22)(24)이 결합되어 있다.
부호 30 은 제 2 덮개 판으로서, 이는 상기 통체(10)의 배수공(12)이 형성된 쪽 상단을 커버하는 부재이다. 상기 제 2 덮개 판(30)의 상면에는 가이드 홈(3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홈(32) 상에는 도시 생략된 장공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 2 덮개 판(30)의 가이드 홈(32) 상에는 슬라이드 판(40)이 좌, 우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데, 상기 슬라이드 판(40)의 중앙에는 연결관(42)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연결관(42)의 내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2 덮개 판(20)(30)은 수평으로 정렬되어 통체(10)의 걸림턱(16)에 걸림 결합된다.
부호 50 은 오수받이로서, 그 상면은 오수가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있으며, 그 중앙 하방으로 상기 슬라이드 판(40)의 연결관(42)이 상, 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다른 연결관(52)이 돌출 결합된다. 이 연결관(52)은 그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다.
부호 60 은 봉수 부재로서, 이는 세면장 바닥면(1)으로부터 배수된 오수를 유입 및 배출시킴과 동시에 일정량의 오수를 담아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악취 제거 수단이다. 즉, 상기 봉수 부재(60)는 컵 형태의 두 부재(62)(64)로 나뉘어 서로 삽입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 중 외측 부재(62)는 거의 상단 쪽 측면에 오수 배출공(62a)이 형성되는 반면에, 내측 부재(64)는 하단에 오수 배출공(64a)이 형성된다. 이 두 부재(62)(64)가 상호 결합되면, 내부에 오수 유통 간극이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오수가 배출케 됨과 동시에 항상 일정 량의 오수를 담아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수받이(50)의 상단에는 걸름망(70)과 그릴(80)이 세면장 바닥면(1)으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오수에 섞인 찌꺼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안착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작용 관계를 도 5 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1a)에 세면장 바닥면(1), 욕조(2)나 세면대(3)의 배수관을 각 각 매설하는 시공을 할 필요 없이 하나의 배수 장치로 한데 모아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배수 장치는 욕조(2)의 에이프런(2b)과 세면장 바닥면(1)에 걸쳐서 매설하여, 통체(10) 내부에 여러 장소(1)(2)(3)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담아서 하나의 배수공(12)으로 배출케 한다.
우선, 세면장 바닥면(1)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오수는 그릴(80) 및 걸름망(70)을 거쳐 찌꺼기를 걸러내게 한 뒤 유입되고, 이어서 봉수 부재(60)의 내, 외측 부재(62)(64)의 간극을 통하여 통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봉수 부재(60)를 통과하는 오수의 흐름 방향이 화살표 방향과 같이 된 이유는 일정량의 오수를 담아 놓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세면장 내부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봉수 부재(60)는 그릴(80) 및 걸름망(70)을 거쳐 1 차로 걸러진 이물질들을 2 차로 다시 모아 놓고 간편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역할도 한다. 이에 배수전 내의 이물질 제거시 상기 제 2 덮개 판과 덮개 판 밑으로 순서대로 부재들을 들어내고 보조통체(90)를 회동시켜 완 경사면(90a)통하여 이물질 제거를 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욕조와 세면대의 배수관을 별도로 매립시키지 않고 세면장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내에 회동 가능한 보조통체를 형성하여 이물질 제거를 할 수 있어 배수관 막힘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시공을 더욱 간편하게 하고 하자 보수도 매우 용이해 경제성이 뛰어나다.

Claims (1)

  1. 욕조 설치면과 욕실 바닥면의 경계이 걸쳐서 욕실 바닥 저면에 설치되어, 욕조 설치면 저부 에서는 욕조 및 세면대의 오수를 집수하고, 욕실 바닥면 저부에서는 욕실 바닥면 오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이 형성된 통체;
    욕조 설치면 하부의 상기 통체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욕실 바닥면 방향의 면에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는 보조통체;
    상기 보조통체 내부로 하단부가 연장되고 상단부에 욕조 및 세면대의 배수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이 형성된 제 1 덮개 판:
    상기 통체의 욕조 바닥면에 노출된 부위에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욕실 바닥면의 오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이 형성된 제 2 덮개 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덮개 판을 들어내고 상기 회동가능한 보조통체의 완만한 경사면을 통하여 보조통체의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욕조용 통합형 배수 장치.
KR2020000013817U 2000-05-16 2000-05-16 배수 장치 KR200200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817U KR200200796Y1 (ko) 2000-05-16 2000-05-16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817U KR200200796Y1 (ko) 2000-05-16 2000-05-16 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6Y1 true KR200200796Y1 (ko) 2000-10-16

Family

ID=1965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817U KR200200796Y1 (ko) 2000-05-16 2000-05-16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99U (ko) * 2019-09-19 2021-03-29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EP4283059A1 (de) * 2022-05-25 2023-11-29 EDM-System GmbH Verlegekasten zur aufnahme einer ablaufgarnit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99U (ko) * 2019-09-19 2021-03-29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KR200493873Y1 (ko) * 2019-09-19 2021-06-18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EP4283059A1 (de) * 2022-05-25 2023-11-29 EDM-System GmbH Verlegekasten zur aufnahme einer ablaufgarnit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834B2 (en) Strainer for collecting debris from a drain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200200796Y1 (ko) 배수 장치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200173535Y1 (ko) 배수 장치
KR101130211B1 (ko) 바닥 배수 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950542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192988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314062Y1 (ko) 배수트랩
KR200356290Y1 (ko)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절수형 변기 물 저장탱크
KR19990009443U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JP2003313914A (ja) 排水トラップ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200345019Y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세면기용 배수전
KR200292726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100592400B1 (ko)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절수형 변기 물 저장탱크
KR200388672Y1 (ko) 오수 및 하수용 조립식 맨홀
KR100907339B1 (ko) 옥내 배수관이 연결되는 다기능 배수구
KR200241059Y1 (ko) 배수트랩
KR200378469Y1 (ko)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