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711A -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711A
KR20160142711A KR1020150078797A KR20150078797A KR20160142711A KR 20160142711 A KR20160142711 A KR 20160142711A KR 1020150078797 A KR1020150078797 A KR 1020150078797A KR 20150078797 A KR20150078797 A KR 20150078797A KR 20160142711 A KR20160142711 A KR 20160142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over
drain
pipe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620B1 (ko
Inventor
김호식
Original Assignee
김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식 filed Critical 김호식
Priority to KR102015007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6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물 사용 공간 바닥의 하수구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로 배수 흐름을 우선 유도하는 커버 바스켓; 상기 커버 바스켓 상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내재수용된 상태로 하수에 섞인 이물질을 우선 걸러내도록 한 드레인 커버; 일측은 상기 드레인 커버의 하측에 연통되어 결합되며 타측은 하수관에 연통되어 하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상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 바스켓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관; 상기 슬리브관을 횡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회동핀을 통해 슬리브관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동핀이 끼워지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탄성체가 내장되어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차단부; 상기 한 쌍의 차단판의 하부에 각각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일정한 하중 이상의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 하수의 하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되어 상기 차단판이 하방으로 회동되는 반면 하수의 하중 제거시 상기 탄성부재의 원위치 복원작용에 따라 상기 차단판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어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한다.

Description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WASTE TRAP FOR PREVENTING BACKFLOW OF FOUL SMELL}
본 발명은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의 일단과 타단을 한 쌍의 차단판 하부에 각각 부착함으로써 일정한 무게 이상의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 그 하중을 이용하여 하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키도록 함은 물론 하수의 배출이 종료된 이후에는 탄성부재의 원위치 복원작용에 따라 차단판의 끝 부분이 슬리브관의 내측벽에 닿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급·배수를 필요로 하는 공간의 바닥에는 하수관이 시공되기 마련이며, 특히 세면 또는 샤워 등 물(水, 수돗물 등) 사용이 빈번한 욕실 바닥의 하수관 입구에는 원활한 배수 흐름의 유도와 함께 생활하수(domestic sewage, 生活下水 / 이하 "하수"라 함)에 섞인 머리카락이나 각종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어 하수구 막힘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수 본관 및 가옥 배수관에서 발생한 해로운 하수가스(악취)의 역류 및 벌레 등이 실내로 침입함을 차단케 된 배수트랩을 설치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 중 한국등록특허 제10-1147044호에서는 배수구에 남아있는 물의 부력으로 승강됨은 물론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 등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배수트랩을 개시하였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서 사용한 하수가 배수트랩 본체의 덮개를 통과하여 배수구로 유입된 후 수위유지구에 채워지게 되며, 이러한 하수의 지속적 유입시 상기 차단판이 배수구로부터 분리되어 하향 이동케 됨으로써 하수관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수구 안으로의 하수 유입이 멈춰지면 수위유지구 안으로 일부의 하수가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때 차단판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단판 상면의 자성체가 배수구 저면에 구비된 금속판(또는 자성체)에 들러붙게 됨으로써, 배수구의 저면(출구)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등의 냄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하수에 섞여 함께 배수되는 머리카락 및 각종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차단판 위에 계속 적치되고 수위유지구 내부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차단판이 승강 작용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단판에 의한 배수구 저면의 봉쇄가 불가능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7044호 (2012. 05. 10.)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2197호 (2002.01.15.)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드레인 커버를 통과하는 하수에 섞인 머리카락이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쌓인다 하더라도 이물질의 쌓이는 것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일정한 무게 이상의 하중이 전해질 경우에만 슬리브관 내부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하수가 배출된 이후에는 탄성부재가 부착된 한 쌍의 차단판이 원위치 복원작용에 따라 슬리브관의 내측에 차단판의 측단이 접하도록 함으로써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은, 물 사용 공간 바닥의 하수구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로 배수 흐름을 우선 유도하는 커버 바스켓; 상기 커버 바스켓 상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내재수용된 상태로 하수에 섞인 이물질을 우선 걸러내도록 한 드레인 커버; 일측은 상기 드레인 커버의 하측에 연통되어 결합되며 타측은 하수관에 연통되어 하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상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 바스켓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관; 상기 슬리브관을 횡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회동핀을 통해 슬리브관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동핀이 끼워지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탄성체가 내장되어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차단부; 상기 한 쌍의 차단판의 하부에 각각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관 내부로 일정한 하중 이상의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 하수의 하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되어 상기 차단판이 하방으로 회동되는 반면 하수의 하중 제거시 상기 탄성부재의 원위치 복원작용에 따라 상기 차단판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어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한다.
본 발명은 드레인 커버를 통과하는 하수에 섞인 머리카락이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쌓인다 하더라도 이물질이 쌓이는 것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일정한 무게 이상의 하중이 전해질 경우에만 슬리브관 내부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가 배출된 이후에는 탄성부재가 부착된 한 쌍의 차단판이 원위치 복원작용에 따라 슬리브관의 내측에 차단판의 측단이 접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관의 내부를 폐쇄시킴으로써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구성요소들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결합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슬리브관 내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구성요소들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결합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은 크게 트렌치와 슬리브관으로 구성되는데, 트렌치는 욕실 등과 같이 물 사용량이 많은 공간 바닥 하수구에 시공된 하수관으로 흘러드는 오염된 하수의 배수 유도 및 하수에 섞인 머리카락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수구 상단의 공간 바닥에 매립되는 커버 바스켓(100)과, 상기 커버 바스켓(100) 상부로부터 탈착 가능토록 내재 수용되는 드레인 커버(20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 바스켓(100)은 드레인 커버(200)를 내재하여 수용함과 함께 슬리브관(300)으로 배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요입부와 안착단부가 단계적 하향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중심부의 하측으로부터는 상기 슬리브관(300)의 상단이 삽입결합되어 그 외면을 둘러 감싸도록 하는 압착관부가 더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커버(200)는 낙하하는 하수의 배수를 위해 관통된 다수의 배수공이 중앙부에 집중 배치되고, 테두리 단부 전체에는 바닥으로 떨어져 하수관 측으로 흘러드는 하수의 배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1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머리카락이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며 배수를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관(300)은 상기 트렌치를 통과한 하수의 하수관 유입 흐름 유도에 더해 하수관으로 흘러든 하수의 부패로 발생한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하수관 상측 입구에 끼워 맞춤 삽입된 상태로 상기 트렌치를 통과한 하수가 하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파이프 형태이되, 상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 바스켓(100)에 거치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의 슬리브관 내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슬리브관(300)의 내부로 일정한 하중 이상의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 배수는 가능하며 반대로, 하수의 하중이 제거된 경우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어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부(50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차단부(500)는 회동핀(400)을 통해 슬리브관(300) 내부에 횡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관(300)의 본체에는 상기 회동핀(400)이 상기 슬리브관(3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핀고정용통공(310)이 서로 대칭적으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500)는 힌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동핀(400)이 끼워져 상기 차단부(500)가 상기 슬리브관(300) 내부에 횡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구조의 힌지부(510)와 상기 힌지부(51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차단판(5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차단판(520)의 하부에는 하수의 하중에 의해 상기 차단판(520)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하수가 배수되도록 하였다가 하수가 배수된 이후에 하중이 줄어들거나 제거된 경우에는 다시 상기 차단판(520)이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차단판(520)의 끝단부가 상기 슬리브관(300) 내측면에 닿는 탄성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550)의 양측이 서로 대응되도록 부설하였다.
상기 탄성부재(550)는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고,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탄성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차단판(5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힘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키고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갖는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일정한 하중 이상의 하수가 배수되면 상기 탄성부재(550)가 변형을 일으켜 상기 한 쌍의 차단판(520)이 이루는 각이 줄어들어 하수가 하수관으로 배수되게 되며, 이후 배수가 종료된 이후에는 하수의 하중이 줄어들거나 제거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50)가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차단판(550)이 이루는 각이 커지게 되어 상기 차단판(520)의 끝단이 슬리브관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면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 등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주게 된다.
한편, 설치어댑터(600)는 상기 슬리브관(30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중심부에 상기 슬리브관(300)에 대응되는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치어댑터(600)는 다양한 크기의 배수통공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커버 바스켓(1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설치어댑터(600)는 상기 슬리브관(300)의 내경에 끼워져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관(300)의 상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과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 커버 바스켓 200 : 드레인 커버
300 : 슬리브관 310 : 핀고정용통공
400 : 회동핀 500 : 차단부
510 : 힌지부 520 : 차단판
550 : 탄성부재 600 : 설치어댑터

Claims (3)

  1. 물 사용 공간 바닥의 하수구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로 배수 흐름을 우선 유도하는 커버 바스켓;
    상기 커버 바스켓 상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내재수용된 상태로 하수에 섞인 이물질을 우선 걸러내도록 한 드레인 커버;
    일측은 상기 드레인 커버의 하측에 연통되어 결합되며 타측은 하수관에 연통되어 하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상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 바스켓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관;
    상기 슬리브관을 횡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회동핀을 통해 슬리브관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동핀이 끼워지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탄성체가 내장되어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차단부;
    상기 한 쌍의 차단판의 하부에 각각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커버에는 머리카락이나 찌꺼기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관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다양한 크기의 배수통공을 가지는 커버 바스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어댑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1020150078797A 2015-06-03 2015-06-03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75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97A KR101757620B1 (ko) 2015-06-03 2015-06-03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97A KR101757620B1 (ko) 2015-06-03 2015-06-03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711A true KR20160142711A (ko) 2016-12-13
KR101757620B1 KR101757620B1 (ko) 2017-07-13

Family

ID=5757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797A KR101757620B1 (ko) 2015-06-03 2015-06-03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6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7870A (zh) * 2018-04-18 2018-07-13 甘晟 一种地漏
CN108951821A (zh) * 2018-09-17 2018-12-07 绵阳鹏志远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式密封地漏
KR20190061780A (ko) * 2017-11-28 2019-06-05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606B1 (ko) 2019-03-05 2020-12-02 김용혁 배수트랩
KR20210144306A (ko) 2020-05-22 2021-11-30 강태구 생활 하수용 배수트랩
KR102659877B1 (ko) 2023-06-01 2024-04-22 김해성 개폐식 배수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197Y1 (ko) 2001-09-28 2002-03-20 서병직 하수구트랩
KR101147044B1 (ko) 2009-10-09 2012-05-17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6463B2 (ja) * 2010-08-05 2014-09-24 株式会社東京エネシス 床ドレンファンネル用汚染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197Y1 (ko) 2001-09-28 2002-03-20 서병직 하수구트랩
KR101147044B1 (ko) 2009-10-09 2012-05-17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배수트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80A (ko) * 2017-11-28 2019-06-05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CN108277870A (zh) * 2018-04-18 2018-07-13 甘晟 一种地漏
CN108951821A (zh) * 2018-09-17 2018-12-07 绵阳鹏志远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式密封地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620B1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RU2598555C2 (ru) Писсуар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сифонного затвора писсуара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20190089667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JP2020012353A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KR101119165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2004270290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101272416B1 (ko) 다용도 오폐수 침전조 오수받이 맨홀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100907339B1 (ko) 옥내 배수관이 연결되는 다기능 배수구
KR200356294Y1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