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070B1 - 세면대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070B1
KR101681070B1 KR1020140036234A KR20140036234A KR101681070B1 KR 101681070 B1 KR101681070 B1 KR 101681070B1 KR 1020140036234 A KR1020140036234 A KR 1020140036234A KR 20140036234 A KR20140036234 A KR 20140036234A KR 101681070 B1 KR101681070 B1 KR 10168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stopper
washstand
cylinder memb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321A (ko
Inventor
유선상
Original Assignee
유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상 filed Critical 유선상
Priority to KR102014003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07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4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flexible elements, e.g. chain, Bowden c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는, 승강하면서 세면대 배수구를 개폐하는 팝업 마개; 상기 팝업 마개를 승강시키며, 하단에 피스톤 패킹이 구비되는 피스톤 부재; 상기 피스톤 패킹을 감싸도록 구비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부재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시 부피와 압력차이를 통해 상기 팝업 마개가 연동되도록 세면대에 설치되는 팝업 마개 작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팝업 마개와, 팝업 마개를 개폐시키는 팝업 레버를 주사기의 피스톤 역할을 하게 한 후 이를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부피와 압력차이를 통해 팝업 레버의 조작시 팝업 마개로 세면대의 배수구를 개폐하게 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수동 팝업 방식을 구현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거의 불필요하며, 자동과 반자동에서 사용시 오염된 물에 손을 다시 넣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면대 배수구에 팝업 마개를 지지하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부재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물 배출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면대 배수장치 {DRAIN DEVICE FOR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대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 배수구에 팝업(Pop-up) 형태로 설치되어 배수구를 개폐하는 세면대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세면을 위해 용수 등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로, 배수구를 막아 용수 등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마개의 개폐를 사용상 편리를 위해 링크구조에 의한 수동식 또는 자동과 반자동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세면대 배수구 개폐와 관련된 기술이 공개특허 제2007-0045652호 및 특허등록 제1256935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2007-0045652호 및 특허등록 제1256935호에 개시된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및 세면대용 개폐밸브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공개특허 제2007-0045652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는 세면대(1)의 배수구(2)를 밀폐시키는 마개(30)를 상하운동시켜 세면대(1) 상의 물이 배수관(20)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10)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20) 내에서 상하운동가능하도록 상기 배수관(20)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슬라이더(40)와; 상기 슬라이더(4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마개(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개(30)가 상기 슬라이더(40)와 같이 상하운동 되도록 하며, 상기 마개(30)가 상기 배수구(2)로부터 열렸을 때 상기 세면대(1)의 물이 상기 슬라이더(40)의 중공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입로(52)가 형성되는 조인트(50) 및; 상기 배수관(20)의 외측에서 상기 슬라이더(40)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더(40)가 상하운동 되도록 하는 팝업 부재(80)를 포함하여, 상기 세면대(1)의 물이 상기 조인트(50)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40) 내로 유입되어 상기 배수관(20)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는 수동 방식으로 파손 및 하자 발생시 유지보수가 난해하고, 물이 천천히 빠져 불편함을 느낀다.
도 2는 특허등록 제1256935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세면대용 개폐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세면대용 개폐밸브는, 세면대(2)에 형성된 배수구(3)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단의 원주 두께에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 깊이로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한쌍의 축받이홈(11)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관(10); 상기 축받이홈(11)에 위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축받이홈(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의 회동축(21)이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수평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수관(10)에 꼭 맞게 끼워져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수평 위치를 벗어나 경사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수관(10)을 개방하는 크기로 형성된 원판형상의 개폐판(20); 및 상기 개폐판(20)의 회동 경로에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20)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동이 수평 위치에서 정지되게 하는 수평유지돌기(31)와, 상기 개폐판(20)의 회동 경로에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20)의 타측 방향으로의 회동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사 위치를 넘어 더 회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회동제한돌기(32)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10) 내에 형성된 조절편(30);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세면대용 개폐밸브는 물을 쓰고 난 뒤 손을 넣어 누르는 방식인데 오염된 물에 손을 넣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다시 손을 씻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456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69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팝업 마개와, 팝업 마개를 개폐시키는 팝업 레버를 주사기의 피스톤 역할을 하게 한 후 이를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부피와 압력차이를 통해 팝업 레버의 조작시 팝업 마개로 세면대의 배수구를 개폐하게 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수동 팝업 방식을 구현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거의 불필요하며, 자동과 반자동에서 사용시 오염된 물에 손을 다시 넣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세면대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세면대 배수구에 팝업 마개를 지지하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 부재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물 배출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세면대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는, 승강하면서 세면대 배수구를 개폐하는 팝업 마개; 상기 팝업 마개를 승강시키며, 하단에 피스톤 패킹이 구비되는 피스톤 부재; 상기 피스톤 패킹을 감싸도록 구비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부재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시 부피와 압력차이를 통해 상기 팝업 마개가 연동되도록 세면대에 설치되는 팝업 마개 작동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관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은 액체 또는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팝업 마개 작동부는, 상기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레버 실린더 부재; 상기 레버 실린더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승강되는 피스톤 패킹; 및 상기 피스톤 패킹의 상부에 결합되는 팝업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레버 실린더 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피스톤 패킹의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세면대 배수구에는 상기 팝업 마개를 지지하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팝업 마개는 캐스팅 또는 황동 재질로 형성된 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팝업 마개와, 팝업 마개를 개폐시키는 팝업 레버를 주사기의 피스톤 역할을 하게 한 후 이를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부피와 압력차이를 통해 팝업 레버의 조작시 팝업 마개로 세면대의 배수구를 개폐하게 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수동 팝업 방식을 구현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거의 불필요하며, 자동과 반자동에서 사용시 오염된 물에 손을 다시 넣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면대 배수구에 팝업 마개를 지지하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부재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물 배출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세면대용 개폐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가 세면대의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팝업 마개 작동부를 도시한 확대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일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세면대용 개폐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가 세면대의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배수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팝업 마개 작동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세면대 배수장치(100)는 상부 몸체(110), 거름부재(120), 하부 몸체(130), 팝업 마개(140), 피스톤 부재(150), 실린더 부재(160) 및 팝업 마개 작동부(170)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110)는 세면대(10)의 배수구(12)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상단은 외측 방향으로 경사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12)의 가장자리에 안착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후술할 하부 몸체(1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거름부재(120)는 배수구(12)의 내부 즉, 상부 몸체(110)의 내주면에 안착되어 팝업 마개(140)의 보조축(142)을 지지하면서 머리카락이나 기타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름부재(120)는 배수구(12)에서 탈착이 가능하여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다.
하부 몸체(130)는 상부 몸체(11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욕실 바닥에 연결되는 트랩(Trap)이 연결된다. 여기서, 하부 몸체(130)는 합성수지의 일종인 PVC, 황동, 아연 재료 등으로 구비된다.
이때, 배수구(12)에 지지가 되는 상부 몸체(110)의 하단을 통과한 세면대(10)의 저면과 하부 몸체(130)의 상면 사이에는 세면대(10) 배수구(12)의 기밀유지를 위해 패킹(P)이 개입된다.
팝업(Pop-up) 마개(140)는 승강하면서 세면대 배수구(12)를 개폐하며, 캐스팅 또는 황동 재질 등으로 형성된 표면에 코팅 처리하여 구비한다. 이때, 상기 팝업 마개(140)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 형성된 상부 몸체(110)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경사 형성되고, 저면에 합성수지의 일종인 PVC, 황동, 아연 재료 등의 보조축(142)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축(142)의 외주면에 삽입 고정되면서 후술할 실린더 부재(160)까지 연장되는 관부재(14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관부재(144)는 팝업 마개(140)의 진행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이때, 팝업 마개(140)에 보조축(142)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피스톤 부재(150)는 팝업 마개(140)를 승강시키도록 직립 형성되며, 하단에 피스톤 패킹(152)이 구비된다.
실린더 부재(160)는 피스톤 패킹(152)을 밀착된 상태로 감싸도록 내부가 중공 형성된 직립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부재(150)와 상기 실린더 부재(160)는 주사기 기능을 하게 된다.
팝업 마개 작동부(170)는 세면대(10)의 수전(14) 부근(후방)에 설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 과정에서 상기 팝업 마개(140)가 연동되며, 레버 실린더 부재(172), 피스톤 패킹(174) 및 팝업 레버(176)를ㄷ 포함한다.
즉, 상기 팝업 마개 작동부(170)는 실린더 부재(160)와 연결관(180)을 통해 연결되어 팝업 마개(140)의 개폐를 위해 작동시 부피와 압력차이를 통해 상기 팝업 마개(140)가 연동되도록 주사기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80)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은 물, 기름 등과 같은 액체 또는 공기 등과 같은 기체 등을 접목시킬 수 있다.
레버 실린더 부재(172)는 세면대(10)의 수전 부근에 장착되도록 직립 형성되어 하단에 실린더 부재(160)의 접속부에 접속된 연결관(180)의 단부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접속부가 구비된다.
한편,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피스톤 패킹(174)의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72a)가 구비된다.
피스톤 패킹(174)은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팝업 레버(176)의 승강시 부피와 압력차이를 통해 피스톤 부재(150)를 승강시킨다.
이때, 피스톤 패킹(174)은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내주면에서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이에 대응되는 팝업 마개(140)의 개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패킹(174)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내주면에 높이가 다른 다수의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물결 형태 등)되어 상기 피스톤 패킹(174)의 돌기를 어느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홈 내에 위치시켜 선택적으로 후술할 팝업 레버(17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 패킹(174)의 돌기는 피스톤 패킹(174)과 일체 형성되므로 탄성 재질에 의해 외력을 가하면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홈에서 쉽게 이탈이 가능하다.
팝업 레버(176)는 황동,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형성되되, 상단이 세면대(10)의 수전 부근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하단은 피스톤 패킹(174)의 상부에 나선 결합된다.
연결관(180)은 실린더 부재(160)의 접속부와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접속부에 양 끝단을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일예로 호스 등이 이에 접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세면대 배수장치(10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세면대(10)에 물을 받기 위해서는 세면대 배수구(12)를 팝업 마개(140)로 폐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팝업 마개 작동부(170)의 팝업 레버(176)를 파지한 상태에서 위로 잡아당기게 된다.
다음으로, 팝업 레버(176)에 연결된 피스톤 패킹(174)이 상승하면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내부는 부피는 커지면서 압력은 실린더 부재(160)의 내부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며, 그 후 연결관(180)에서 부피는 작아지고 압력은 커지면서 상기 실린더 부재(160)의 내부 압력 역시 커지게 되므로 피스톤 부재(150)가 하강하여 팝업 마개(140)가 배수구(12)를 밀폐하게 된다.
만약, 세면대의 배수구(12)를 일부 개방하거나 완전 개방하기 위해 반대로 팝업 레버(176)를 파지한 상태에서 누르게 되면, 레버 실린더 부재(172)의 내부는 부피는 작아지면서 압력은 실린더 부재(160)의 내부 압력보다 커지게 되며, 그 후 연결관(180)에서 부피는 커지고 압력은 낮아지면서 상기 실린더 부재(160)의 내부 압력이 역시 낮아지게 되므로 피스톤 부재(150)가 상승하여 팝업 마개(140)가 배수구(12)를 개방시킨다.
결국, 본 발명은 팝업 마개 작동부(170)의 팝업 레버(176)를 동작시키면 공압 또는 유압 등에 의해 팝업 마개(140)를 개폐하는 기술로, 팝업 레버(176)에 연결된 피스톤 패킹(174)이 상승할 때 저기압(레버 실린더 부재)에서 고기압(실린더 부재)으로 전환되면서 피스톤 부재(150)를 하강시키고, 상기 팝업 레버(176)에 연결된 상기 피스톤 패킹(174)이 하강할 때 고기압(레버 실린더 부재)에서 저기압(실린더 부재)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피스톤 부재(150)를 상승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세면대 배수장치, 110: 상부 몸체,
120: 거름부재, 130: 하부 몸체,
140: 팝업 마개, 150: 피스톤 부재,
160: 실린더 부재, 170: 팝업 마개 작동부.

Claims (6)

  1. 승강하면서 세면대 배수구를 개폐하는 팝업 마개와, 상기 팝업 마개를 승강시키며, 하단에 피스톤 패킹이 구비되는 피스톤 부재와, 상기 피스톤 패킹을 감싸도록 구비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부재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시 부피와 압력차이를 통해 상기 팝업 마개가 연동되도록 세면대에 설치되는 팝업 마개 작동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팝업 마개 작동부는,
    상기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레버 실린더 부재;
    상기 레버 실린더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승강되는 피스톤 패킹; 및
    상기 피스톤 패킹의 상부에 결합되는 팝업 레버 및
    상기 세면대의 배수구에 삽입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경사 형성되어 배수구의 가장자리에 안착되고, 상기 하단 외주면에는 하부 몸체에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팝업 마개 작동부의 상하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배수구에는 상기 팝업 마개를 지지하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부재가 구비되는 세면대 배수장치.
  6. 삭제
KR1020140036234A 2014-03-27 2014-03-27 세면대 배수장치 KR10168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234A KR101681070B1 (ko) 2014-03-27 2014-03-27 세면대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234A KR101681070B1 (ko) 2014-03-27 2014-03-27 세면대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321A KR20150112321A (ko) 2015-10-07
KR101681070B1 true KR101681070B1 (ko) 2016-11-30

Family

ID=5434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234A KR101681070B1 (ko) 2014-03-27 2014-03-27 세면대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8992B2 (en) * 2019-06-18 2021-12-14 Delta Faucet Company Drain assembly and faucet lift rod coupling device
CN114215166B (zh) * 2021-12-27 2024-04-30 徐州中膜环保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城市水管排水用防堵塞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595A (ja) * 1999-02-25 2000-09-12 Inax Corp 排水栓装置
KR100991280B1 (ko) * 2008-11-17 2010-11-01 윤창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595A (ja) * 1999-02-25 2000-09-12 Inax Corp 排水栓装置
KR100991280B1 (ko) * 2008-11-17 2010-11-01 윤창용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321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2065B2 (ja) 排水配管
US9574335B2 (en) Drain trap adaptor
NL1031027C1 (nl) Afvoersamenstel.
KR101681070B1 (ko) 세면대 배수장치
KR101162105B1 (ko)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395156Y1 (ko) 욕조 배수금구
KR101251960B1 (ko) 누름식 개폐구조용 배수트랩
JP2007146643A (ja) 排水口用悪臭防止装置
KR20110123174A (ko) 악취 차단형 배수구
KR20120098273A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CN202767198U (zh) 用于地漏中快速排水与消除异味的装置
KR101778234B1 (ko) 소제 싱크용 가변트랩
JP6652416B2 (ja) 排水栓装置
KR101056506B1 (ko) 씽크대 배수 구조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JP2017036619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20100002133U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KR101768599B1 (ko) 유체 자동개폐장치
JP2016017382A (ja) 排水栓装置
CN217759119U (zh) 一种防堵塞无盖下水器
KR102414969B1 (ko) 거름 기능을 가지는 배수트랩
KR100991280B1 (ko) 배수장치
CN208604741U (zh) 下水道防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