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599B1 - 유체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599B1
KR101768599B1 KR1020160149301A KR20160149301A KR101768599B1 KR 101768599 B1 KR101768599 B1 KR 101768599B1 KR 1020160149301 A KR1020160149301 A KR 1020160149301A KR 20160149301 A KR20160149301 A KR 20160149301A KR 101768599 B1 KR101768599 B1 KR 10176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oyant body
reservoir
wat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중
Original Assignee
윤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중 filed Critical 윤선중
Priority to KR102016014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pneumatic or hydraulic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 배수구, 씽크대, 환기구 등에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져서 배수 및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종 악취 또는 오염된 공기/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유체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구(10)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공(2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관(22)이 형성되는 걸름통(20)과; 상기 걸름통(20)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면에 상기 걸름통(20)의 배수관(22)이 삽입되는 통수관(31)이 형성되는 저장통(30)과; 상기 저장통(30)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상부 둘레에 막음편(42)이 형성되는 부력체(40)와; 상기 부력체(40)의 관통공(41)을 관통하여 구비되면서 부력체(40)의 동작에 따라 저장통(30)을 개폐시키도록, 부력체(40)의 관통공(41)에 삽입되는 로드(51)와, 상기 로드(51)의 상단부에 결합되면서 부력체(40)의 상부로 노출되어 걸리도록 하는 마개부(52)와, 로드(51)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저장통(30)의 통수관(31)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막음편(53)으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통(30)의 통수관(31)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통과공(31a)(31b)이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자동개폐장치{Fluid Automatic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 배수구, 씽크대, 환기구 등에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져서 배수 및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종 악취 또는 오염된 공기/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배수구 또는 하수구, 씽크대 등에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수구는 이물질의 배수구 유입을 막으면서 배수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수준의 뚜껑이 덮여진 정도이다.
따라서,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제대로 차단하기 어려웠고, 도시가 아닌 농촌 지역의 하수구와 같은 경우에는 쥐, 뱀 등 다양한 동물이 하수구로부터 출몰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배수구 악취 방지기가 개발되었으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악취 방지기는 물이 유입됨에 따라 부이(buoy)가 부상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고, 배수가 완료되면 부이가 하강하여 배수구를 막아서 악취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부이는 물의 유입에 따라 부상하는 구조이므로, 물이 빠짐에 따라 하강하면서 배수구를 막을 때 확실하게 막지 못하여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는 오로지 부이가 막고 있는 배수구멍을 통해서만 배수가 이루어짐으로, 예를 들어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는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고, 이물질이 동반하여 배출되는 경우, 더욱 쉽게 막혀서 배수가 잘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환기구에는 통상 환기팬이 구비되어 있는데, 환기팬을 가동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게 되지만, 환기팬을 가동하지 않게 되면 환기구가 개방된 상태가 되어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어, 만일 겨울철에 실내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난방 열기를 빼앗기게 되어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환기구에 별도의 셔터를 마련하여 환기팬을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셔터를 닫도록 한 것이 있지만, 사용자가 일일이 셔터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동작을 해야 하므로, 그 만큼 불편을 초래하여, 귀찮은 경우에는 제대로 셔터의 개폐동작을 하지 않고 항상 개방된 상태로 방치하기 쉽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257186호(공고일 : 2001년 12월 24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종 악취가 올라오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환기구에 설치하는 경우에 공기의 개폐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종 혐오동물이 하수구 등을 통해 출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체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배수구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관이 형성되는 걸름통과; 상기 걸름통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면에 상기 걸름통의 배수관이 삽입되는 통수관이 형성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부 둘레에 막음편이 형성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면서 부력체의 동작에 따라 저장통을 개폐시키도록, 부력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 결합되면서 부력체의 상부로 노출되어 걸리도록 하는 마개부와,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저장통의 통수관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막음편으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름통은 상부 둘레를 따라 절곡되어 배수구에 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편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단 걸름통의 상단부에는 배수구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편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저장통의 외주면에는 걸름통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저장통의 통수관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통과공은 저장통의 내부에 형성되고, 통과공은 저장통의 외부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통수관의 하부의 내측면은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부력체의 상부는 관통공쪽으로 갈 수록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중공부안에는 스티로폼이 내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재로 구성되고,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로드와 결합되는 스템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스템부의 하부 외주면에는 물이 쉽게 침투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부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로드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막음편은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재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막음편은, 로드와 나사결합식 또는 압입식으로 끼워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체 자동개폐장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환기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에는 빗물의 유입을 줄이도록 하는 덮개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재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하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서포트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통수관의 내부 상부에는 내경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구, 하수구, 씽크대, 각종 환기구 등 다양한 곳에 설치하여 배수 및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악취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물 또는 공기에 의해 부력체가 자동적으로 부상 및 하강하면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어, 환기구에 설치시 외부의 오염된 공기 또는 빗물 등이 환기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의 결합 단면도로서,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물이 유입됨에 따라 부력체가 부상하여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의 걸름통과 저장통과 배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의 마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가 환기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6a로부터 강제로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의 결합 단면도로서,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설명되는 유체는 공기 및 물 등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는, 배수구(10)에 설치되어서 배수 및 악취 차단과 같은 기능이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체 자동개폐장치(1)는 배수구(10)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름통(20)과, 상기 걸름통(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저장통(30)과, 상기 저장통(30)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부력체(40)와, 상기 부력체(40)를 관통하여 구비되면서 부력체(40)의 동작에 따라 저장통(30)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구(10)는 원형은 물론,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배구수(10)의 형태에 맞추어서 배수구(10)안에 삽입되는 걸름통(20) 등도 원형 또는 사각형 등 적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름통(20)은 전체면에 걸쳐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관(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걸름통(20)은 상부 둘레를 따라 절곡되어 배수구(10)에 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편(23)이 형성되고, 상단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편(24)이 형성되어서 배수구(10)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10)는 상기 간격유지편(23)으로 인해 배수구(10)와의 간격(10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저장통(30)의 하부면에는 상기 걸름통(20)의 배수관(22)이 삽입되는 통수관(31)이 형성되고, 저장통(3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지지편(32)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지편(32)은 걸름통(20)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32)이 걸름통(20)안에서 지지됨으로써, 걸름통(20)의 내주면과 간격(20a)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32)은 저장통(30)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통(30)의 안쪽 부분의 통수관(31)의 측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통과공(31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통수관(31)의 하부 즉, 저장통(30)의 하부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도 통과공(31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수관(31)의 하부의 내측면은 경사면(31c)이 형성되어서 내경이 좁아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저장통(30)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대(34)가 형성되어서 걸름통(20)안에 삽입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40)는 상기 개폐부재(50)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상부 둘레에는 막음편(4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부력체(40)의 상부는 관통공(41)쪽으로 갈 수록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4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막음편(42)은 부력체(40)의 상부 둘레면을 따라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배수구(10)를 모두 덮을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막음편(42)은 부력체(40)의 상부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력체(40)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고, 부력체(40)는 중공부(40a)를 형성하며, 이 중공부(40a)안에 스티로폼을 내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50)는 부력체(40)의 관통공(41)에 삽입되는 로드(51)와, 상기 로드(51)의 상단부에 결합되면서 부력체(40)의 상부로 노출되어 걸리도록 하는 마개부(52)와, 로드(51)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저장통(30)의 통수관(31)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막음편(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52)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재로 구성할 수 있고, 헤드부(52a)와, 이 헤드부(52a)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템부(5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템부(52)의 하부에 로드(51)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스템부(52b)의 하부 외주면에는 물이 쉽게 침투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부(52c)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는 마개부(52)의 다른 예로서, 경사진 스템부(52b)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물이 쉽게 침투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52d)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돌기(52d)는 스템부(52b)의 전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서, 돌기(52d)와의 사이 간격을 통해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개부(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0)의 상단 외부에 배치되어서 마개부(52)를 강제로 누르면 부력체(40)의 관통공(41)안에 마개부(52)의 경사진 스템부(52b)가 압입되면서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로드(51)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예를 들어 납, 스테인레스재 등)로 구성할 수 있고, 막음편(53)은 쐐기형으로 형성되면서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로드(5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막음편(53)은 로드(51)와 나사결합식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압입식으로 끼워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가 환기구(12)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환기구(12)안에 환기팬(70)이 설치된 상태에서, 환기를 시키기 위해 환기팬(70)이 작동하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유체 자동개폐장치(1)가 개방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유체 자동개폐장치(1)의 상단부에는 덮개부재(60)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60)는 덮개판(61)과, 상기 덮개판(61)의 하부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서포트(62)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덮개판(61)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덮개판(61)의 하부에 형성되는 서포트(62)도 적절한 갯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60)는 마치 모두 막힌구조처럼 보이지만, 서포트(62)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 서포트(62)간의 간격을 통해 원활하게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의 구성요소는 배수구(10)에 설치된 경우에 적절한 용어를 기재한 것으로서, 만일 환기구(12)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물 대신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므로, 상기 유체 자동개폐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명칭에 제한받지 않는다.
또한, 도 6a에 있어서, 통수관(31)의 내부 상부에는 경사면(31d)이 형성되어 내경이 협소해지도록 하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정전 등으로 환기팬(70)을 가동시킬 수 없는 경우, 강제로 저장통(30)을 걸름통(20)으로부터 상승시켜서 개방되도록 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의 하단부에 마련된 막음편(53)이 통수관(31)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31d)에 도달하면서 끼워져서 압입된 상태가 되어 저장통(30)이 걸름통(20)으로부터 상승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는, 예를 들어 배수구(10)에 설치하여 사용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0)가 하강한 상태에서 부력체(40)의 막음편(42)이 배수구(10)를 덮어서 밀폐되도록 하며, 더욱이 부력체(40)의 중앙에 삽입된 개폐부재(50)의 상단부에 마련된 마개부(52)를 강제로 눌려서 부력체(40)의 관통공(41) 입구를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배수구(10) 전체가 밀폐되어서 악취 등이 올라오지 않게 된다.
마개부(52)가 눌려진 상태에서는 마개부(52)의 스템부(52b)가 부력체(40)의 관통공(41)안에 약간 수축된 상태로 압입된 상태로 있어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마개부(52)가 눌려져서 관통공(41)안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막음편(53)이 통수관(31)안의 경사면(31c)에 위치하여 약간 수축된 상태로 막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배수를 하고자 하는 경우, 눌렀던 마개부(52)의 헤드부(52a)를 상부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려 놓으면, 마개부(52)의 스템부(52b)가 부력체(40)의 관통공(41) 상단 외부로 나오면서 수축된 상태에서 팽창되어 관통공(41)의 상단부에 걸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템부(52b)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부(52c)가 형성되어 있어, 부력체(40)의 관통공(41)과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서 관통공(41)을 따라 유도되어 저장통(3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막음편(53)은 통수관(31)의 경사면(31c)에 위치하고 있다가 약간 상승하여 압입된 상태가 해제되어서 통수관(31) 내부의 상부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물이 계속해서 유입되면, 저장통(30)안에서 물이 채워지면서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부력체(40)가 부상하기 시작한다. 부력체(40)가 저장통(30)의 내부에서 부상함에 따라 개폐부재(50)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그러면 개폐부재(50)의 하단부에 결합된 막음편(53)도 상승 이동하여 저장통(30)의 통수관(31)에 형성된 통과공(31a)에 근접하게 된다.
그러면, 막음편(53)이 통수관(31)의 상단부까지 이동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면, 개폐부재(50)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부력체(40)도 개폐부재(50)의 상단부에 마련된 마개부(52)에 의해 걸려서 더 이상 부상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부력체(40)가 정지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물이 유입되면, 부상한 부력체(40)로 인해 부력체(40)의 상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막음편(42)도 배수구(10)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물은 이 간격을 통해 유입되어서 걸름통(20)과 저장통(30) 사이를 통해 걸름통(20)의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된 배수공(21)을 통해 통과되어서 배수구(10)의 하부로 해서 배수된다.
상기 걸름통(20)은 상부 둘레면을 따라 간격유지편(23)이 절곡 형성되어 있어, 배수구(10)의 내부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게 되고, 따라서, 이 간격을 통해 유입된 물이 이동하여 배수구(10)의 하부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저장통(30)안에 유입되어 채워지는 물은, 저장통(30)의 하부에 형성된 통수관(31)의 통과공(31a)을 통해서 걸름통(20)의 배수관(22)쪽으로 이동하여 배수되는데, 상기 개폐부재(50)의 하단부에 구비된 막음편(53)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통수관(31)의 상부에서는 약간의 간격이 생겨서 통수관(31)의 통과공(31a)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통과공(31a)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속도는 저장통(30)안에 물이 채워지는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려서 저장통(30)안에는 물이 쉽게 채워져서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서 부력체(40)를 부상시키는데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물의 유입에 따라 부력체(40)가 최대한으로 부상하면, 개폐부재(50)의 하단부에 마련된 막음편(53)이 통수관(31)의 상단부까지 이동하여 걸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외부에서 물 유입이 중지되면, 저장통(30)안에 채워져 있던 물은 서서히 통수관(31)의 통과공(31a)을 통해 배수되면서 부력체(40)는 하강하기 시작한다.
부력체(40)의 하강시, 개폐부재(50)를 구성하는 로드(51)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로드(51)의 자중에 의해 부력체(40)는 원활하게 하강하게 된다.
부력체(40)의 하강에 따라 개폐부재(50)의 막음편(53)도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부력체(40)의 상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음편(42)은 배수구(1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부력체(40)가 자동으로 하강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신속하게 밀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50)의 마개부(52)를 눌러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52)의 스템부(52b)가 부력체(40)의 관통공(41)안으로 압입되고, 이와 동시에 막음편(53)은 저장통(30)의 외부에 해당하는 통수관(31)의 내부 경사면(31c)에 수축되면서 끼워져 밀폐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통과공(31b)으로 인해 잔류한 물이 쉽게 빠져나가서 개폐부재(50)의 누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12)에도 설치할 수 있는데, 환기구(12)에 설치하는 경우, 환기구(12)에 마련된 환기팬(70)이 가동중일때에는 환기팬(70)에 의해 실외로 실내 공기가 배출되면, 송풍력에 의해 공기가 걸름통(20)을 통과하여 그 안쪽에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부력체(40)의 상부에 마련된 막음편(42)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면서 부력체(40)가 부상하게 되어 배수시와 마찬가지로 실내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저장통(30)의 통수관(31)은 걸름통(20)의 배수관(22)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환기팬(70)의 가동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저장통(30)은 상승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걸름통(20)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2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통(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편(32)의 사이 간격(20a)을 통해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부력체(40)의 막음편(42)을 밀어올려서 부력체(40)를 부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가 상기 환기구(12)에 설치되는 경우, 각 구성요소의 명칭은 배수구(10)에 설치되는 경우에 의거 부여한 명칭과 의미상 부합되지 않으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로 이해하면 된다.
예를 들어, 통수관(31)은 물이 통과되는 것을 고려하여 부여한 명칭인데, 환기구(12)에서는 공기가 통과되므로, 통기관으로 해야 맞지만, 편의상 하나의 명칭으로 통일한 것이다.
한편, 환기팬(70)의 가동이 정지하면, 개폐부재(50)의 자중에 도움을 받아 부력체(40)는 하강하여 밀폐되어 환기구(12)를 자동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만일, 비가 오는 경우, 환기구(12)에 설치된 유체 자동개폐장치(1)의 부력체(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1)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어서 저장통(30)안에 채워지면, 부력체(40)가 부상하여 막음편(42)이 환기구(12)의 상단면으로부터 떨어져서 개방되고, 그에 따라 빗물이 더욱 더 많이 유입되어서 환기구(12)안으로 침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체 자동개폐장치(1)의 상단부에 덮개부재(60)가 구비되어 있어, 빗물의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배수과정에서 이물질이 생겨서 원활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배수구(10)로부터 걸름통(20), 저장통(30), 부력체(40), 개폐부재(50)를 한꺼번에 분리한 다음, 저장통(30)을 걸름통(20)으로부터 분리하고, 저장통(30)으로부터 부력체(40)를 분리하여 청소를 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는 유체 즉, 물, 공기, 각종 가스의 출입이 자동적으로 제어되어서 배수 또는 환기시에는 부력체(40)의 부상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서 배수 또는 환기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배수 또는 환기 작용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개폐부재(50)의 하강에 따른 부력체(40)의 하강으로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는, 씽크대, 욕실 배수구, 각종 하수구, 목욕탕, 건물 환기구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중/대형 사이즈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더욱 유용하다.
다시 말해서, 대형 정화조 등에 설치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1)는 중/대형 사이즈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정화조안의 가스 압력이 커지게 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배출하지 못하면 정화조안의 내부 압력 상승에 따른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를 중/대형 사이즈로 설치하게 되면, 소정의 가스 압력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그 만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대형 시설물에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자동개폐장치(1)를 설치하는 경우, 복수로 설치하여 보다 안전하면서도 확실한 배수, 환기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팬(70)이 정전 등에 의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부재(50)의 상단부에 마련된 마개부(52)를 부력체(40)의 관통공(41)에 압입한 상태에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마개부(52)의 상승과 함께 부력체(40)도 저장통(30)내에서 상승하게 되면서 개방이 이루어지고, 이때 개폐부재(50)의 로드(51) 하단부에 형성된 막음편(53)은 상승되어서 통수관(31)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31d)에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승된 부력체(40)는 하부로 내려가려고 하지만, 개폐부재(50)의 상단부에서 마개부(52)가 부력체(40)의 관통공(41)안에 압입되어서 고정되고, 개폐부재(50)의 하단부에서는 막음편(53)이 통수관(31)의 내부 상부에 약간 수축되면서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승된 부력체(40)는 내려가지 않고, 상승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강제로 유로 자동개폐장치(1)를 개방함으로써,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유로 자동개폐장치(1)를 완전하게 밀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마개부(52)를 부력체(40)의 관통공(41)안에 압입되게 함과 동시에, 막음편(53)을 통수관(31)의 내부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31c)에 끼워지도록 하는데, 이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41)을 개방하고자 할때에는, 부력체(40)의 상부를 누르고, 마개부(52)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막음편(53)이 통수관(31)의 내부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31c)로부터 분리되면서 상승하게 되면서 하부의 경사면(31c)과 상부의 경사면(31d)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환기팬(70)의 고장 또는 정전 등에 의해 가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부력체(40)를 강제로 상승시켜서 개방하고자 할때에는, 예를 들어 부력체(40)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막음편(42)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마개부(52)를 함께 들어올려서 통수관(31)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31d)에 끼워 고정되게 하고, 부력체(40)를 더 상승시켜서 마개부(52)를 부력체(40)의 관통공(41)안에 압입되도록 하여 도 6b와 같은 개방상태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유체 자동개폐장치
10 : 배수구
10a : 간격
12 : 환기구
20 : 걸름통
20a : 간격
21 : 배수공
22 : 배수관
23 : 간격유지편
24 : 걸림편
30 : 저장통
31: 통수관
31a,31b : 통과공
31c,31d : 경사면
32 : 지지편
34 : 지지대
40 : 부력체
40a : 중공부
41 : 관통공
42 : 막음편
43 : 경사면
50 : 개폐부재
51 : 로드
52 : 마개부
52a : 헤드부
52b : 스템부
52c : 요홈부
52d : 돌기
53 : 막음편
60 : 덮개부재
61 : 덮개판
62 : 서포트
70 : 환기팬

Claims (17)

  1. 배수구(10)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공(2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관(22)이 형성되는 걸름통(20)과;
    상기 걸름통(20)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면에 상기 걸름통(20)의 배수관(22)이 삽입되는 통수관(31)이 형성되는 저장통(30)과;
    상기 저장통(30)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상부 둘레에 막음편(42)이 형성되는 부력체(40)와;
    상기 부력체(40)의 관통공(41)을 관통하여 구비되면서 부력체(40)의 동작에 따라 저장통(30)을 개폐시키도록, 부력체(40)의 관통공(41)에 삽입되는 로드(51)와, 상기 로드(51)의 상단부에 결합되면서 부력체(40)의 상부로 노출되어 걸리도록 하는 마개부(52)와, 로드(51)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저장통(30)의 통수관(31)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막음편(53)으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50);
    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통(30)의 통수관(31)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통과공(31a)(3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름통(20)은 상부 둘레를 따라 절곡되어 배수구(10)에 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편(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단 걸름통(20)의 상단부에는 배수구(10)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편(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30)의 외주면에는 걸름통(20)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편(32)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31a)은 저장통(30)의 내부에 형성되고, 통과공(31b)은 저장통(3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수관(31)의 하부의 내측면은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면(31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40)의 상부는 관통공(41)쪽으로 갈 수록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40)는 중공부(4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40a)안에는 스티로폼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52)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재로 구성되고, 헤드부(52a)와, 이 헤드부(52a)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로드(51)와 결합되는 스템부(5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52b)의 하부 외주면에는 물이 쉽게 침투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부(52c) 또는 돌기(52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로드(51)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막음편(53)은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로드(5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막음편(53)은 로드(51)와 나사결합식으로 또는 압입식으로 끼워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자동개폐장치(1)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환기구(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자동개폐장치(1)의 상부에는 빗물의 유입을 줄이도록 하는 덮개부재(6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재(60)는 덮개판(61)과, 상기 덮개판(61)의 하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서포트(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통수관(31)의 내부 상부에는 내경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31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자동개폐장치.
KR1020160149301A 2016-11-10 2016-11-10 유체 자동개폐장치 KR10176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01A KR101768599B1 (ko) 2016-11-10 2016-11-10 유체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01A KR101768599B1 (ko) 2016-11-10 2016-11-10 유체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599B1 true KR101768599B1 (ko) 2017-08-17

Family

ID=5975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301A KR101768599B1 (ko) 2016-11-10 2016-11-10 유체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01A (ko) * 2018-05-28 2019-12-06 동아컨설탄트(주)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66B1 (ko) * 2010-09-09 2012-07-06 김동현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66B1 (ko) * 2010-09-09 2012-07-06 김동현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01A (ko) * 2018-05-28 2019-12-06 동아컨설탄트(주)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KR102120879B1 (ko) * 2018-05-28 2020-06-09 동아컨설탄트(주)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105B2 (en) Buoyant plug for emergency drain in floating roof tank
US9605403B1 (en) Vented precipitation guarding manhole cover assemblies
KR101688973B1 (ko) 배수트랩
KR101162105B1 (ko)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2185606B1 (ko) 배수트랩
KR101768599B1 (ko) 유체 자동개폐장치
KR102356646B1 (ko) 건축물의 오배수관용 통기밸브
JP2007146643A (ja) 排水口用悪臭防止装置
SE509047C2 (sv) Oljeavstängningsanordning för golvbrunnar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JP2007225146A (ja) 排水トラップおよび排水装置
KR20110005723U (ko) 악취 및 소음발생 방지용 배수트랩
KR100756293B1 (ko) 악취유출 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100136199A (ko)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110005896U (ko)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JP2010048030A (ja) 排水トラップ
KR101341961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장치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KR20170022309A (ko)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트랩
KR200388665Y1 (ko) 배수구
KR102295088B1 (ko)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KR101106484B1 (ko) 하수 냄새 역류 방지장치
KR101668411B1 (ko) 오수받이
JP2007231660A (ja) シン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