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088B1 -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088B1
KR102295088B1 KR1020210010763A KR20210010763A KR102295088B1 KR 102295088 B1 KR102295088 B1 KR 102295088B1 KR 1020210010763 A KR1020210010763 A KR 1020210010763A KR 20210010763 A KR20210010763 A KR 20210010763A KR 102295088 B1 KR102295088 B1 KR 10229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cover
valve chamber
man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금속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금속, 김태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금속
Priority to KR1020210010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36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overflow or explosion control means, e.g. check or relie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9Annular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구조체가 마련된 밸브실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바디부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땅속에 묻히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맨홀 구조체를 거쳐서 상기 바디부안으로 침투되는 유입물은 상기 덮개부를 통해 가장 자리로 유도되어서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Inflow Material Drain Device of Valve Room}
본 발명은 밸브실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 및 이물질(이하 "유입물"이라 함)을 밸브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 내의 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밸브를 보호하고, 밸브를 작동하기 위하여 밸브실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밸브실 상측에는 지상으로부터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맨홀용 철개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맨홀용 철개는 통상적으로 맨홀 뚜껑과, 상기 맨홀 뚜껑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밸브실 상측에 구비되는 맨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밸브실을 지하에 설치하면, 맨홀 뚜껑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로서, 우천시 유입물이 맨홀 뚜껑과 맨홀 프레임과의 틈새 및 철개 개폐용 손잡이 구멍을 통하여 밸브실 내부로 침투될 수 있다. 빗물이 밸브실 내부로 침투되면, 밸브실 내부에 설치된 밸브 및 기타 장치(유량계 및 펌프 등)에 유입되어서 고장 또는 부식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실의 유지 관리가 매우 어렵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입물이 밸브실 내부로 침투할 경우 유입물이 밸브실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밸브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맨홀 구조체가 마련된 밸브실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바디부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땅속에 묻히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맨홀 구조체를 거쳐서 상기 바디부안으로 침투되는 유입물은 상기 덮개부를 통해 가장 자리로 유도되어서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밸브실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되는 밸브실에 마련되는 맨홀 구조체를 통해 빗물과 같은 유입물이 침투하여 밸브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브실의 상부에 배출 장치를 결합하고, 배출 장치의 상부에 맨홀 구조체를 결합함으로써, 유입물이 맨홀 구조체를 통해 유입되면, 배출 장치를 이루는 바디부내의 덮개부에 유입물이 떨어지고, 떨어진 유입물은 덮개부의 가장 자리로 유도되어서 바디부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면에 모이고, 지지면에 모여진 유입물은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결합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어서 땅속에 스며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형 밸브실인 경우에는 별도 마련된 맨홀 구조체와 배출 장치를 결합하고, 소형 밸브실인 경우에는 배출 장치를 맨홀 구조체의 내부에 장착하여 배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장치를 결합하거나 또는 맨홀 구조체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조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를 구성하는 바디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에 마련되는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에 덮개부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설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설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바디부 내측에 형성된 지지턱에 형성된 실링 부재와 덮개부가 씌워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덮개부에 공기압을 빼주기 위한 마개가 마련된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C-C선 단면도이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에 마련되는 덮개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출 장치(100)는 바디부(110), 바디부(1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관통된 중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중공 구조의 몸통부(111), 몸통부(1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112), 제1 프레임(112)과 마주보고 몸통부(1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몸통부(111)의 양측에는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13)이 형성될 수 있고, 몸통부(111)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110)의 몸통부(111) 내부에는 지지턱(114)이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지지턱(114)과 몸통부(111)의 내측면 사이에는 유입물(빗물과 같은 유수 및/또는 이물질)을 유도하여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게 하기 위해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경사진 지지면(1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면(115)으로 인해 몸통부(111)의 내측면과 지지턱(114)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공간에는 덮개부(120)의 측면부(112)가 끼워질 수 있으며, 유입된 유입물이 덮개부(120)를 따라 흘러내리면 지지면(115) 위에 모이게 되고, 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면(115)은 유입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바디부(110)의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12)에는 맨홀 구조체(200)와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공(112a)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공(112a)은 장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부(120)는 본체면(121), 본체면(121)의 둘레에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면(121)은 중심부에서 가장 자리로 갈 수록 하향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0)의 본체면(121)에는 덮개부(120)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2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덮개부(120)의 본체면(121) 내측면 또는 지지턱(114)의 외주면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 부재(116)가 갖추어질 수 있다. 실링 부재(116)는 예를 들어 고무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링 부재(116)로 인해 빗물 또는 이물질과 같은 유입물이 유입되더라도 덮개부(120)의 안쪽으로 침투하여 지지턱(114)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측면부(122)는 본체면(121)으로부터 하향 절곡된 구조로서, 지지턱(114)의 외주면에 대면되게 끼워질 수 있고, 지지턱(114)의 하단인 지지면(115)까지 접촉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지지면(115)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측면부(122)는 지지턱(114)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덮여지는 것일 수 있고, 지지면(115)에 모인 유입물은 바디부(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된 배출관(130)을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도 8a 및 도 8b는 편의상 도시된 것으로서 측면부(122)의 안쪽으로 유입물이 들어가서 지지턱(114)과의 사이의 공간에 고여 있다고 판단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덮개부(120)는 지지턱(114)의 상부에 안치되어서 지지될 수 있고, 덮개부(120)의 가장 자리는 바디부(110)의 내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맨홀 구조체(200)는 맨홀 프레임(210)과, 맨홀 프레임(210)의 안쪽에 지지되면서 삽입되는 맨홀 뚜껑(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맨홀 프레임(210)은 바디부(110)의 제1 프레임(112)에 결합될 수 있다.
맨홀 프레임(210)안에 맨홀 뚜껑(220)이 삽입되어 안치되면, 맨홀 프레임(210)과 맨홀 뚜껑(220)의 사이에 틈새(G)가 형성될 수 있고, 맨홀 뚜껑(220)에는 맨홀 프레임(210)안에 안치된 맨홀 뚜껑(22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가 끼워지는 결합공(22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틈새(G)및 결합공(221)을 통해 빗물과 같은 유입물이 침투하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바디부(110)의 제2 프레임(113)은 밸브실(300)의 상부에 돌출된 밸브실 프레임(31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113a)이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a에서 밸브실 프레임(310)은 편의상 외관만을 개략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밸브실(300)도 편의상 외관만을 개략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밸브실 프레임(310)과 연통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바디부(110)의 몸통부(111)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공(11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1a)에는 배출관(1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출관(130)은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몸통부(111)에 결합되는 수평 상태의 제1 배출관(131), 제1 배출관(131)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2 배출관(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관(130)은 몸통부(111)에 일체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배출관(130)은 바디부(110)의 안쪽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바디부(110)의 안쪽에 구비된 덮개부(120)의 측면부(122) 위에 제1 배출관(131)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관(130)을 이루는 제1 배출관(131)을 통과하여 제2 배출관(132)을 통해 땅속으로 이동하여 스며들어서 배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밸브실(3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배출관(130)을 구성하는 제1 배출관(131)은 수평 상태로 형성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유입된 유입물이 덮개부(120)를 타고 흘러내려서 지지면(115)에 모이면, 연통된 제1 배출관(131)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때 제1 배출관(131)이 바디부(110)의 바깥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 보다 원활하게 유입물이 배출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100)는 대형 밸브실에 설치할 수 있다. 대형 밸브실인 경우에는 밸브실 프레임(310)과 맨홀 구조체와의 높이가 높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배출 장치(100)를 하부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400)는 맨홀 바디부(410), 맨홀 바디부(4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맨홀 바디부(410)는 관통된 중공 구조를 이룰 수 있고, 맨홀 바디부(410)의 하부에는 밸브실(300)의 밸브실 프레임(310)과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411)이 형성되고, 상부의 내측면에는 걸림턱(412)이 형성되며, 몸통부(413)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출관(43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관(430)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관(13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턱(412)에는 맨홀 뚜껑(220)이 안치될 수 있다.
맨홀 바디부(410)의 몸통부(413)는 상광 하협의 구조로 경사면(413a)이 형성될 수 있고, 몸통부(413)의 내부 하측에는 덮개부(420)가 씌워져서 지지되게 하는 지지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필요에 따라 지지 부재는 맨홀 바디부(410)의 내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지지 부재의 상부에는 덮개부(420)가 착탈 가능하게 덮혀질 수 있다.
지지 부재는 관통된 구조를 가지고 덮개부(420)가 상부에 안치되어 지지되게 하는 지지턱(425)과, 지지턱(425)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경사진 지지면(426)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425)과 지지면(426)은 관통된 구조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도면상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425)은 관통공이 형성되는 환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면(426)의 둘레부에는 복수의 체결공(4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427)을 통해 맨홀 바디부(410)의 내측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지지면(426)은 유입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맨홀 바디부(410)의 내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지지턱(425)의 외주면 또는 덮개부(420)의 내측면에는 유입물이 밸브실(3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진 실링 부재(428)가 구비될 수 있고, 몸통부(413)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소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보강대(415)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8)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20)의 내측면 또는 지지턱(114)의 외주면에 구비된 실링 부재(116)와 동일한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실링 부재(428)는 유입된 유입물이 덮개부(120)(420)와 지지턱(114)(414)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밸브실(3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덮개부(420)는 제1 실시 예의 덮개부(120)와 마찬가지로 본체면(421)과, 본체면(421)의 가장 자리에 하향 절곡된 측면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면(42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에서 가장 볼록하게 형성되며, 가장 자리로 갈 수록 높이가 낮은 볼록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면(421)에는 덮개부(420)의 분리 동작과 같은 취급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423)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420)에 하향 절곡된 측면부(422)는 맨홀 바디부(410)의 내부 하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 부재의 지지턱(425)을 감싸면서 안치될 수 있다.
배출관(430)은 몸통부(413)에 착탈 가능하게 또는 일체로 결합되는 제1 배출관(431), 제1 배출관(431)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배출관(4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출관(430)의 제1 배출관(431)은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제2 배출관(432)은 수직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면(426)의 상면에는 제1 배출관(431)의 단부가 안치되어서 연통됨으로써, 유입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관(430)의 제1 배출관(431)은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수평 상태는 물론, 맨홀 바디부(410)의 바깥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유입물을 맨홀 바디부(4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배출관(430)은 지지면(426)과 단턱이 형성되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관(430)의 하단부가 지지면(426)과 적어도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지지면(426)으로부터 배출관(430)의 하단부에 의해 단턱이 형성되게 하지 않는 것이며, 그에 따라 유입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맨홀 바디부(410)는 철개 부재이고, 이러한 맨홀 바디부(410)는 맨홀 바디부(410)의 상부 안쪽에 삽입되는 맨홀 뚜껑(210)과 함께 맨홀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맨홀 뚜껑(220)과 맨홀 바디부(410) 사이의 틈새(G)와 결합공(221)을 통해 빗물과 같은 유입물이 유입되면, 맨홀 바디부(410)의 내부에는 덮개부(4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된 유입물은 덮개부(420)에 떨어질 수 있다.
덮개부(420)는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덮개부(120)와 마찬가지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본체면(4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면(421)에 떨어진 유입물은 본체면(421)의 가장 자리쪽으로 흘러갈 수 있다.
몸통부(413)의 내측에는 지지면(426)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턱(425)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면(421)에 떨어진 유입물은 지지면(426)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지지면(426)의 끝단부에는 배출관(430)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지면(426)에 모인 유입물은 배출관(430)안으로 유입되어서 맨홀 바디부(4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면(426)은 유입물을 모아서 배출되게 하는 배출 유도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배출관(430)은 수평 상태의 제1 배출관(431)과, 제1 배출관(431)으로부터 절곡되어 수직 상태로 형성되는 제2 배출관(432)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므로, 지지면(426)에 모인 유입물은 제1 배출관(431)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어서 제2 배출관(432)을 통해 배출되어서 땅속으로 스며들 수 있다.
제2 배출관(432)은 하향 절곡되어 땅속에 묻혀 있으므로, 제1 배출관(431)을 통해 배출되는 유입물은 제2 배출관(432)을 통과하면서 하향 이동하여 땅속으로 진입하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400)는 맨홀 뚜껑(220)과의 틈새로 유입물이 유입되더라도 밸브실(300)의 내부로 다이렉트로 유입되지 않고 덮개부(420)의 본체면(421)을 따라 흘러가서 배출 유도홈 역할을 하는 지지면(426)으로 가이드되고, 연통되게 구비된 배출관(4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밸브실(300)안으로 유입물의 침투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밸브실(300)내의 각종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서 덮개부(120)(420)는 본체면(121)(421)이 볼록한 형상으로 바디부(110)(410)의 내부에서 수평 상태로 안치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안치될 수 있다. 덮개부(120)(420)가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안치된 경우에는 유입된 유입물이 경사진 덮개부(120)(420)에 의해 흘러 내려서 측면부(122)(422)의 하부 영역에 모이게 되고, 그에 따라 고르게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된 배출관(130)(430)을 통해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경사진 덮개부(120)(420)에서 흘러내리는 하부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출관(130)(430)을 마련하여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즉, 유입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도록 직경이 큰 배출관(130)(430)을 마련하여 유입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4를 참조하면, 덮개부(120)(420)의 본체면(121)(421)에는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마개(5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마개(500)는 덮개부(120)(420)의 본체면(121)(421)의 통기공(121a)(421a)을 관통하는 마개 몸통(510), 마개 몸통(5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본체면(121)(421)에 형성된 통기공(121a)(421a)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걸림편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은 본체면(121)(421)의 상면 및 하면에서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편(520)과 제2 걸림편(5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개 몸통(510)은 통기공(121a)(421a)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마개(500)의 밀폐시에는 제1 걸림편(520)은 통기공(121a)(421a)의 상면에 밀착되어 폐쇄시키고, 제2 걸림편(530)은 통기공(121a)(421a)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편(520)의 저면에는 통기공(121a)(421a)을 밀폐시키는 밀폐 부재(52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면(121)(421)의 저면이고 마개 몸통(510)의 외주면에는 탄성 부재(540)가 탄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540)는 본체면(121)(421)과 제2 걸림편(530)의 사이에서 탄지되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만일, 밸브실(300)내에서 공기압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공기압은 밸브실 프레임(310)의 내부를 거쳐서 상부로 올라오게 되고, 그러면 덮개부(120)(420)는 상부로 밀려서 상승될 수 있다. 덮개부(120)(420)의 상승으로 공기압이 빠져서 맨홀 뚜껑(220)의 틈새(G) 및 결합공(221)을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덮개부(120)(420)가 상승한 다음 공기압이 빠지면, 상승했던 덮개부(120)(420)는 원래의 위치로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빗물과 같은 유입물이 침투하면, 안착되지 못한 덮개부(12)(42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물이 유입되어서 밸브실(300)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밸브실(300)안에 공기압이 발생되는 상황이면, 공기압을 원활하게 빼주고, 덮개부(120)(420)는 상승하지 않고 제자리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덮개부(120)(420)의 본체면(121)(421)에는 복수의 마개(500)가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마개(500)는 본체면(121)(421)에 형성된 통기공(121a)(421a)내에서 승강되도록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밸브실(300)안에서 공기압(제2 걸림편(530)의 하부에 도시된 화살표)이 발생하는 경우, 상승하는 공기압에 의해 덮개부(120)(420)가 상승되려고 할때, 덮개부(120)(420)에 마련된 마개(500)가 탄지된 탄성 부재(540)를 압축하면서 상승하여 통기공(121a)(421a)이 개방되어서 공기압이 빠질 수 있다. 빠진 공기압은 맨홀 뚜껑(220)의 결합공(221)과 맨홀 프레임(210)과의 틈새(G)를 통해 외부의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압이 작용하더라도 덮개부(120)(420)는 상승하지 않고 원래의 위치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공기압에 의해 덮개부(120)(420)의 통기공(121a)(421a)에서 상승한 마개(500)는 자중 및 탄성 부재(540)의 반발력에 의해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마개(500)의 제1 걸림편(520)이 통기공(121a)(421a)의 상부에서 걸림되어 정지되며, 이때 제1 걸림편(520)의 저면에 마련된 밀폐 부재(522)에 의해 밀폐되어서 통기공(121a)(421a)을 통한 유입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120)(420)는 항상 바디부(110)(410)내에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입물의 배출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400)는 소형 밸브실에 설치할 수 있다. 소형 밸브실인 경우에는 밸브실 프레임(310)과 맨홀 구조체간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제1 실시 예와 같이 바디부(110), 덮개부(120) 및 배출관(130)으로 조립된 배출 장치(100)를 결합하지 않고, 배출 장치(400)를 이루는 덮개부(420), 지지턱(425)과 지지면(426)으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를 맨홀 구조체를 구성하는 맨홀 바디부(410)의 내부에 삽입하고 결합하며, 맨홀 바디부(410)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배출관(430)을 연결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100... 배출 장치
110... 바디부 111... 몸통부
112... 제1 프레임 112a... 체결공
113... 제2 프레임 113a... 결합공
114... 지지턱 115... 지지면
116... 실링 부재
120... 덮개부 121... 본체면
121a... 통기공 122... 측면부
123... 손잡이 130... 배출관
131... 제1 배출관 132... 제2 배출관
200... 맨홀 구조체 210... 맨홀 프레임
220... 맨홀 뚜껑 221... 결합공
300... 밸브실 310... 밸브실 프레임
400... 배출 장치
410... 맨홀 바디부 411... 결합 프레임
412... 걸림턱 413... 몸통부
413a... 경사면 415... 보강대
420... 덮개부
421... 본체면 421a... 통기공
422... 측면부 423... 손잡이
425... 지지턱 426... 지지면
427... 체결공 428... 실링 부재
430... 배출관 431... 제1 배출관
432... 제2 배출관
500... 마개 510... 마개 몸통
520... 제1 걸림편 522... 밀폐 부재
530... 제2 걸림편 540... 탄성 부재
G... 틈새

Claims (13)

  1. 맨홀 구조체가 마련된 밸브실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바디부의 외부 둘레에 간격을 두고 땅속에 묻히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배출관;
    을 포함하고,
    상기 맨홀 구조체는,
    맨홀 프레임;
    상기 맨홀 프레임의 안쪽에 지지되면서 삽입되는 맨홀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의 상부에는 돌출된 밸브실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지지턱이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과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배수가 용이하도록 경사진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지지턱 위에 착탈 가능하게 안치되며,
    상기 바디부는,
    중공 구조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맨홀 프레임이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마주보고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실의 상기 밸브실 프레임이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맨홀 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밸브실 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는,
    본체면,
    상기 본체면의 둘레에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면은 중심부에서 가장 자리로 갈 수록 하향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입물이 상기 본체면에 떨어지면 상기 본체면의 가장 자리로 흘러내려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면에 유도된 다음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수평 상태의 제1 배출관,
    상기 제1 배출관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2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물은 덮개부에 떨어진 후 제1 배출관을 통해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되고 제2 배출관을 지나서 땅속으로 배출되는 배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배출관을 구성하는 제1 배출관의 단부가 연통되고, 유입물이 상기 지지면에서 상기 제1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 또는 바디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턱의 외주면에는 유입물이 밸브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가 마련되는 배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에는 마개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마개는 공기압이 덮개부에 작용하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덮개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통기공을 개방하여 공기압을 배출시키는 배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상기 덮개부의 본체면에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통기공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마개 몸통,
    상기 마개 몸통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편,
    상기 본체면의 저면에 구비되고 마개 몸통의 외주면에 탄지되는 탄성 부재를포함하며,
    공기압이 작용하면, 상기 마개 몸통이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상기 통기공내에서 이동하여 걸림편이 이격되면서 통기공이 개방되고,
    공기압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 몸통은 상기 통기공내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걸림편에 의해 상기 통기공을 폐쇄시키는 배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본체면의 상면 및 하면에서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마개 몸통은 상기 통기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의 밀폐시에는 제1 걸림편은 통기공의 상면에 밀착되어 폐쇄시키고, 상기 제2 걸림편은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배출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통기공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걸림되는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걸림편의 저면에는 상기 통기공을 밀폐시키는 밀폐 부재가 마련되는 배출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10763A 2021-01-26 2021-01-26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KR10229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63A KR102295088B1 (ko) 2021-01-26 2021-01-26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63A KR102295088B1 (ko) 2021-01-26 2021-01-26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088B1 true KR102295088B1 (ko) 2021-08-31

Family

ID=7748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763A KR102295088B1 (ko) 2021-01-26 2021-01-26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0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179Y1 (ko) * 1989-04-29 1991-11-25 장두용 젓가락 연속포장기
JP3142869U (ja) * 2008-03-21 2008-07-03 株式会社チカタン マンホール構造
KR100877885B1 (ko) * 2008-09-08 2009-01-08 최윤호 잠금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맨홀 조립 구조체
KR20110015189A (ko) * 2009-08-07 2011-02-15 화동주물공업주식회사 악취 방지용 맨홀
KR20130068012A (ko) * 2011-12-15 2013-06-25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가스 방출 및 맨홀 정보 기록이 가능한 맨홀뚜껑
KR101283719B1 (ko) * 2012-07-06 2013-07-08 이세전 밸브실 환기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179Y1 (ko) * 1989-04-29 1991-11-25 장두용 젓가락 연속포장기
JP3142869U (ja) * 2008-03-21 2008-07-03 株式会社チカタン マンホール構造
KR100877885B1 (ko) * 2008-09-08 2009-01-08 최윤호 잠금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맨홀 조립 구조체
KR20110015189A (ko) * 2009-08-07 2011-02-15 화동주물공업주식회사 악취 방지용 맨홀
KR20130068012A (ko) * 2011-12-15 2013-06-25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가스 방출 및 맨홀 정보 기록이 가능한 맨홀뚜껑
KR101283719B1 (ko) * 2012-07-06 2013-07-08 이세전 밸브실 환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791B1 (en) Manhole cover venting and precipitation guarding devices
US4232706A (en) Automatic valve device for sanitation waste pipes
US9605403B1 (en) Vented precipitation guarding manhole cover assemblies
US10401027B2 (en) Non-return valve for flue gas venting and damper assembly for use therein
NZ205080A (en) Air admittance valve for drainage systems
KR101204536B1 (ko)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맨홀덮개
KR100987500B1 (ko)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중맨홀뚜껑
US6276093B1 (en) Air-tight sump cover with water inlet
KR101156757B1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102295088B1 (ko)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US2603493A (en) Automatically vented liquid flow regulating valve
KR102356646B1 (ko) 건축물의 오배수관용 통기밸브
JP6083759B2 (ja) 地下空間構造物の開口部蓋構造
KR200462476Y1 (ko) 하수구용 냄새역류방지장치
KR20120007934U (ko) 우수받이
KR101845022B1 (ko) 악취 및 역류차단 기능을 갖춘 배수장치
KR100756293B1 (ko) 악취유출 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
JPH09137461A (ja) マンホール用蓋
US1799770A (en) Guide for flush-tank valves
KR20120026031A (ko) 위생 하수관 시스템용 고용량 통기 밸브
KR101172525B1 (ko) 플로팅밸브
US20080041456A1 (en) Air Vent
JP7122747B2 (ja) 吸排気弁および吸排気弁の異物除去方法
KR101768599B1 (ko) 유체 자동개폐장치
JP6817017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