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176A -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176A
KR20060098176A KR1020050019914A KR20050019914A KR20060098176A KR 20060098176 A KR20060098176 A KR 20060098176A KR 1020050019914 A KR1020050019914 A KR 1020050019914A KR 20050019914 A KR20050019914 A KR 20050019914A KR 20060098176 A KR20060098176 A KR 20060098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wage
inlet
guide
back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279B1 (ko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선 filed Critical 김종선
Priority to KR102005001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2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의 인입통공을 개방하도록 낙하되는 역류차단구가 몸통의 유출구 반대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단속하는 안내 단속구를 갖추어서, 평상시에 하수가 원할히 배수될 수 있게 하여 주는 고품질의 하수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수의 역류방지장치는 하수가 유입되는 인입구(11)와 인입통공(12)을 가지는 덮개(10)와, 상기 덮개(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인입된 하수가 유출되는 유출구(21)를 가지는 몸통(20)과, 상기 몸통(20) 내에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개폐하도록 내장되는 역류차단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통(20) 내부의 바닥에 돌출되어서 유출구(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는 안내 단속구(40)를 더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의 역류방지장치{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f drainage reverse flow}
도 1은 본 발명 하수의 역류방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하수의 역류방지장치의 일부절결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하수의 역류방지장치의 일부절결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 하수의 역류방지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역류차단구가 덮개의 인입통공을 개방한 상태를 예시한 것임
도 4b는 본 발명의 하수의 역류방지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역류차단수가 덮개의 인입통공을 폐쇄한 상태를 예시한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덮개 11: 인입구 12: 인입통공
13: 테두리 14: 고정나사 15: 결합홈
16: 돌기 20: 몸통 21: 유출구
22: 막이벽 30: 역류차단구 40: 안내 단속구
41: 볼록형 만곡면 50: 패킹 51: 결합돌기
52: 대접면 53: 눌림턱 60: 패킹용 고정구
61: 안내 경사면 62: 고정나사 70: 부구용 안내구
71: 경사 안내통로 72: 고정판 73: 경사형 걸림판
74: 경사형 중간판 75: 양측 끼움부 76: 1쌍의 안내가이드
80: 보조 부구
본 발명은 하수 및 오,폐수를 배수시키기 위하여 배관된 배수관에 연결 설치되어서, 폭우시에는 배수관을 통하여 역류되는 하수 및 오,폐수를 차단하고, 평상시에는 하수 및 오,폐수가 원할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하수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마철에 폭우로 인하여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면 배수관을 통하여 하수 및 오,폐수(이하, 하수로 통칭함)가 역류되어 저지대가 침수되는 피해를 입게되는 바, 최근에는 폭우시에 배수관을 통하여 역류되는 하수를 차단하여 침수피해를 예방하고자 하수의 역류방지장치가 개발되어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2002. 08. 23일 특허출원 제49983호로 출원되고 2004. 03. 04일 특허공개번호 제18602호로 공개된 하수역류방지장치를 개발한 발명자이다. 이 선출원 공개발명의 하수역류방지장치는 하수가 유입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이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단 측면에 배출구를 갖고,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5면체와 두 개의 6면체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덮개의 관통공을 개폐하는 역류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요지로 하였다. 이러한 하수역류방지장치는 하수가 연결관을 통하여 유입되면 역류방지구가 원통형의 본체 내부의 바닥으로 위치 이동하여 상부덮개의 관통공을 개방하게 되어, 유입된 하수가 관통공과 원통형의 본체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수될 수 있게 하여 주며, 폭우로 인하여 원통형의 본체의 배출구를 통하여 하수가 역류되면 부상하는 역류방지구가 5면체와 6면체의 안내를 받아 상부덮개의 관통공을 패쇄하게 되어, 역류된 하수가 상부덮개의 관통공을 통하여 연결관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서 침수피해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하수역류방지장치는 하수가 연결관을 통하여 유입될 때에, 원통형의 본체 내부의 바닥으로 이동하는 역류방지구가 배출구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하여서, 상부덮개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원통형의 본체의 배출구로 향하는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므로, 평상시에 하수가 신속히 배수되지 못하고 원통형의 본체 내에서 정체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덮개의 인입통공을 개방하도록 낙하되는 역류차단구가 몸통의 유출구 반대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단속하는 안내 단속구를 갖추어서, 평상시에 하수가 원할히 배수될 수 있게 하여 주는 고품질의 하 수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도 하수가 유입되는 인입구(11)와 인입통공(12)을 가지는 덮개(10)와, 상기 덮개(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인입된 하수가 유출되는 유출구(21)를 가지는 몸통(20)과, 상기 몸통(20) 내에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개폐하도록 내장되는 역류차단구(30)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하수의 역류방지장치(1)는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통(20) 내부의 바닥에 돌출되어서 유출구(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는 안내 단속구(40)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수의 역류방지장치(1)는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와 같이, 몸통(20)의 내부 바닥에 덮개(10)의 인입통공(12) 직하부에서 유출구(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는 안내 단속구(40)를 갖추어서, 상기 덮개(10)의 인입구(11)로부터 하수가 인입되면 인입통공(12)를 개방하면서 낙하되는 역류차단구(30)가 몸통(20)의 유출구(21) 반대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 단속하게 함으로써, 평상시에 인입구(11)와 인입통공(12)을 경유하여 몸통(20)으로 유입된 하수가 역류차단구(30)에 의하여 흐름을 방해받아서 정체되는 일없이 유출구(21)를 통하여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덮개(10)는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몸통(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평판체의 일측에 인입통공(12)을 형성하여 두고, 그 평판체의 상부에 타측으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인입통공(12)과 연통되도록 인입구(11)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덮개(10)는 상기 몸통(20)의 상부를 덮고 인입구(11)에 수용가로 향하는 배수관(2)을 연결시켜서, 배수관(2)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가 인입구(11)와 인입통공(12)을 경유하여 상기 몸통(20) 측으로 통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10)는 사방의 둘레에 하향 돌출되는 테두리(13)를 가져서, 상기 몸통(20)의 상부 끝단을 구속한 상태로 덮고 관통되는 복수개의 고정나사(14)들로 고정시켜서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하부의 둘레에 요입되는 결합홈(15)를 형성하여,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과 상응하는 환상체로서 상면에는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하단으로 넓어지면서 완만하게 요입 경사지는 대접면(52)이 형성된 패킹(50)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덮개(10)의 인입통공(12) 주변에 결착되는 패킹(50)은 상기 역류차단구(30)가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빈틈없이 폐쇄시킬 수 있게 하여, 역류되는 하수를 확실하게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주변에 결착되는 패킹(50)의 외주 면에,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둘레에 형성된 결합홈(15)를 경계로 돌출되는 돌기(16)에 걸어지도록 눌림턱(53)을 형성하되, 상기 패킹(50)의 눌림턱(53)이 상기 덮개(10)의 하부에 대접되어 관통되는 복수개의 고정나사(62)들로 고정되는 별도의 패킹용 고정구(60)로 구속되게 하여서, 상기 패킹(5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때, 상기 패킹용 고정구(60)의 내주면에는 하단으로 넓어지면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61)을 형성하여서, 하수가 역류되면 부상하는 역류차단구(30)가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 몸통(20)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부가 트여지는 U자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일측에는 인입된 하수가 유출되는 유출구(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막이벽(22)으로 막아지도록 한다. 이러한 몸통(20)은 유출구(21)에 하천으로 향하는 배수관(2)을 연결시켜서,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하수가 유출구(21)에 연결된 배수관(2)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역류차단구(30)는 구형으로 만들어져서 상기 몸통(20) 내에서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개폐하여 주도록 한다. 이러한 역류차단구(30)는 하수가 유입될 때에는 상기 몸통(20)의 바닥으로 낙하하여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개방하고, 하수가 역류할 때에는 상기 몸통(20)의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여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폐쇄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차단구(30)는 역류되는 하수의 부력에 의하여 부상할 수 있을 정도로 중량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볼, 플라스틱 볼, 스테인레스 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안내 단속구(40)는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통(20) 내부의 바닥에 돌출되어서 유출구(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안내 단속구(40)는 도 4a의 도시와 같이, 상기 덮개(10)의 인입구(11)로부터 하수가 인입되면 인입통공(12)를 개방하면서 낙하되는 역류차단구(30)가 몸통(20)의 막이벽(22) 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도록 안내 단속하는 동시에, 도 4b의 도시와 같이, 하수가 역류할 때에는 역류차단구(30)가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측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주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 단속구(40)의 상면에는 볼록형 만곡면(41)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하여서, 상기 역류차단구(30)를 안내할 때에 이물질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몸통(20)의 막이벽(22)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부설된 부구용 안내구(70)의 경사 안내통로(71) 내에 상기 몸통(20)의 바닥에 위치하는 역류차단구(30)를 신속히 떠밀어 올리기 위한 보조 부구(80)를 승강되도록 내장시킨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는 도 4b의 도시와 같이, 상기 몸통(20)의 인입구(11)를 통하여 하수가 역류하면 부력에 의하여 먼저 부상하는 보조 부구(80)가 부구용 안내구(70) 내의 경사 안내통로(71)를 따라 내에서 상승하면서 상기 역류차단구(30)가 상기 몸통(20)의 바닥으로부터 신속히 벗어나서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향하도록 떠밀어 올려서,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조기에 폐쇄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부구용 안내구(70)는 상기 몸통(20)의 막이벽(22)에 대접 고정되는 고정판(72)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양측의 경사형 걸림판(73)들과, 그 양측의 경사형 걸림판(73)들 사이에 고정판(72)에서 돌출되는 경사형 중간판(74)을 가져서, 내부에 상기 보조 부구(80)가 돌출된 상태로 상하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경사 안내통로(71)를 가지도록 구성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부구용 안내구(70)는 그 고정판(72)의 양측단에 연장된 양측 끼움부(75)를 상기 몸통(20)의 막이벽(22)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1쌍의 안내가이드(76)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설치하여서 된다.
본 발명 하수의 역류방지장치(1)는 덮개(10)의 인입구(11)와, 몸통(20)의 유출구(21)에 각각 배수관(2)을 연결시켜서, 평상시에 수용가 측에서 배수관(2)을 통하여 유입된 하수는 하천으로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고, 폭우시에 하천에서 배수관(2)을 통하여 역류되는 하수를 차단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덮개(10)의 인입구(11)를 배수갑문(미도시)에 연통시키고, 몸통(20)의 유출구(21)는 배수갑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서, 평상시에 하천을 따라 배수갑문에 도달한 하수는 바다로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고, 만조 또는 해일 등의 영향으로 육지를 향하여 점차로 수위가 높아지는 해수를 차단하여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의 역류방지장치는 덮개의 인입통공을 개방하도록 낙하되는 역류차단구가 몸통의 유출구 반대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단속하는 안내 단속구를 갖추어서, 평상시에 인입구와 인입통공을 경유하여 몸통으로 유입된 하수가 역류차단구에 의하여 흐름을 방해받아서 정체되는 일없이 유출구를 통하여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하여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하수가 유입되는 인입구(11)와 인입통공(12)을 가지는 덮개(10)와, 상기 덮개(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인입된 하수가 유출되는 유출구(21)를 가지는 몸통(20)과, 상기 몸통(20) 내에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을 개폐하도록 내장되는 역류차단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통(20) 내부의 바닥에 돌출되어서 유출구(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는 안내 단속구(40)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단속구(40)의 상면에는 볼록형 만곡면(41)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주변에 결착되는 패킹(50)의 외주면에, 상기 덮개(10)의 인입통공(12) 둘레에 형성된 결합홈(15)를 경계로 돌출되는 돌기(16)에 걸어지도록 눌림턱(53)을 형성하되, 상기 패킹(50)의 눌림턱(53)이 상기 덮개(10)의 하부에 대접되어 관통되는 복수개의 고정나사(62)들로 고정되는 별도의 패킹용 고정구(60)로 구속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20)의 막이벽(22)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부설된 부구용 안내구(70)의 경사 안내통로(71) 내에 상기 몸통(20)의 바닥에 위치하는 역류차단구(30)를 신속히 떠밀어 올리기 위한 보조 부구(80)를 승강되도록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용 안내구(70)는 상기 몸통(20)의 막이벽(22)에 대접 고정되는 고정판(72)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양측의 경사형 걸림판(73)들과, 그 양측의 경사형 걸림판(73)들 사이에 고정판(72)에서 돌출되는 경사형 중간판(74)을 가져서, 내부에 상기 보조 부구(80)가 돌출된 상태로 상하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경사 안내통로(71)를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1020050019914A 2005-03-10 2005-03-10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100766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14A KR100766279B1 (ko) 2005-03-10 2005-03-10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14A KR100766279B1 (ko) 2005-03-10 2005-03-10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448U Division KR200386271Y1 (ko) 2005-03-10 2005-03-10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176A true KR20060098176A (ko) 2006-09-18
KR100766279B1 KR100766279B1 (ko) 2007-10-11

Family

ID=3762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914A KR100766279B1 (ko) 2005-03-10 2005-03-10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19B1 (ko) 2007-12-31 2010-08-05 김종선 하수 및 해수 역류방지장치
KR101661225B1 (ko) 2014-09-26 2016-09-29 (주)포웰 하수관거의 역류 방지 시스템
KR101735790B1 (ko) 2015-02-17 2017-05-17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악취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0709B2 (ja) * 2001-07-09 2007-06-13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材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アルミニウム材
KR100543435B1 (ko) * 2002-08-23 2006-01-20 김종선 하수역류방지장치
JP2004183638A (ja) * 2002-12-04 2004-07-02 Hajime Kusano 電磁振動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279B1 (ko)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169B2 (en) Unpowere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JP2010530484A (ja) 下水道管路逆流防止装置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100766279B1 (ko)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20110101323A (ko) 하수구용 악취차단 및 역류유도장치
KR100572507B1 (ko)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KR200386271Y1 (ko)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1352785B1 (ko)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JP2007225146A (ja) 排水トラップおよび排水装置
KR200407641Y1 (ko) 오수받이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20170064301A (ko) 홍수시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맨홀의 구조
FI86004C (fi) Bakvattenstopp foer sjaelvfallsledningar.
KR101253650B1 (ko) 무게 추를 이용한 자동수문장치
KR100543435B1 (ko) 하수역류방지장치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380589Y1 (ko) 부력체를 이용한 역류방지밸브
KR100836849B1 (ko) 착탈식 개폐기를 구비한 하수역류방지장치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JP2006257662A (ja) 排水ドレン設備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