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649B1 -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 Google Patents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649B1
KR102165649B1 KR1020200001318A KR20200001318A KR102165649B1 KR 102165649 B1 KR102165649 B1 KR 102165649B1 KR 1020200001318 A KR1020200001318 A KR 1020200001318A KR 20200001318 A KR20200001318 A KR 20200001318A KR 102165649 B1 KR102165649 B1 KR 102165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ipe
tedlar
rainwater storage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진
Original Assignee
장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진 filed Critical 장은진
Priority to KR102020000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이격된 위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 현상을 이용하는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vortex-type rainwater storage system with trash trap}
본 발명은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이격된 위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 현상을 이용하는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시지역은 지표면의 대부분이 빗물의 침투가 어려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덮여 있어서 강우시 빗물의 대부분은 지표면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우수관거나 하수관거를 통하여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폭우, 집중호우로 인하여 처리하여야 할 빗물의 양이 우수관거나 하수관거의 최초의 설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빗물이 역류하게 되어 장시간 또는 일시에 과량의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면 하천의 범람 등과 같은 피해가 발생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집중 호우 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도 1과 같은 저류조(1-1, 1-2, 2)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태풍 및 국지성 폭우로 인해 피해 규모가 커지고, 폭염, 폭설, 가뭄, 강풍 등 다양한 도시재해도 인구와 기반시설이 밀집된 도시를 중심으로 재해가 대형화,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호우로 인하여 침수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침수원인을 분석 및 침수예방을 위한 장기적인 대비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도시지역은 도시화의 정도, 지역의 특수성, 강우특성 등에 의해 변화가 많아 유출량이 일정하지 않다.
또한, 불투수 면적이 넓어 우수의 침투가 적고, 유출이 빠르며 지속기간이 짧은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배관(1-1, 1-2)들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우수의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 배출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한편 도시부 도로배수 노선계획시 도로의 기능과 해당도로의 여건을 검토하여 획일적인 설계보다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배수가 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에 따른 도심지 내수 침수 피해의 주원인으로 하수관거의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강우가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이며, 도심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되는 시간이 짧아 저지대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또한 우리의 생활주변 환경의 주요 악취발생원에 해당하는 하수시스템 중, 빗물받이로부터 발생하는 VOC 계열의 악취성분들에 대한 대비도 하여야 한다.
한국등록실용 제0414156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2387호 한국등록특허 제04797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형의 협잡물받이 외측벽으로 우수가 유입될 때 원의 접선 방향으로 유입된 후 협잡물받이의 원주를 타고 흐르면서 나선 구조의 원심력이 형성되고 이 힘에 의하여 회전력이 강화되어 집중 호우 시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한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빗물저류시설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타공이 형성되어 집수되는 우수를 상기 타공으로 배출하여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 또는 고형물만 남겨 분리시키고 배출된 빗물을 타공을 통해 주변 쇄석에 침투시키는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와 측면부에 연결되고 빗물이 이송되는 제1 배관; 상기 측면부의 반대 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배관으로 부터 유입된 우수가 접선 방향으로 원심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배관의 중심축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배관; 상기 측면과 하부는 망 구조이고 및 상부가 개방된 협잡물받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배관과 제2 배관은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를 기준으로 서로 수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관과 제2 배관은 일정한 기울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잡물받이는 스틸그레이팅 뚜껑에 걸림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스틸그레이팅 뚜껑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직경이 서로 다르다.
상기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직경이 일정 너비로 커졌다가 작아지거나, 작아졌다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유입구가 형성된 부분을 일정 크기로 하여, 서서히 줄어들면서 배출구가 상기 일정 크기 보다 작다.
상기 스틸그레이팅 뚜껑을 통해 집수되는 우수가 내려가도록 경사도를 갖는 경사판재; 상기 경사판재와 이격되어 수평판재; 상기 수평판재와 수직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경사판재와 끝단결합되어, 상기 경사판재를 타고 내려오는 우수에 열려 아래로 집수시키고, 상기 우수가 넘쳐 역류하는 경우에는 올라오는 우수에 의해 상기 경사판재의 끝단과 걸려 우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는 수직판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무동력 중력침전 및 유수 분리기로서 오염물질의 누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류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협잡물은 빗물저류부의 바닥으로 원활하게 침전되고 가벼운 유분과 부유물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 시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직경을 줄이거나 늘려 나선 구조의 원심력을 증가시켜 침투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받이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우수 유입시 와류가 용이하게 생길 수 있으며, 중앙 부분을 돌면서 큰 선회력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분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틸그레이팅 뚜껑과 걸림 고리 등을 자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 등의 형태 및 위치를 자세하게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절단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분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측면절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분해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의 세부적인 분해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 제1 배관(10-1), 제2 배관(10-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타공이 형성되어 집수되는 우수를 상기 타공으로 배출하여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 또는 고형물만 남겨 분리시키고 배출된 빗물을 타공을 통해 주변 쇄석에 침투시키는 장치로서, 내구성을 강화한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배관(10-1)은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와 측면부에 연결되고 빗물이 이송되는 관으로서, 바로 이전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로 부터 다음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로 빗물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배관의 크기나 위치나 형태에 따라서 배수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집중 호우 시 효율적인 배수 여부를 판가름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관(10-2)은 측면부의 반대 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배관으로 부터 유입된 우수가 접선 방향으로 원심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배관의 중심축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으로서, 상기 제1 배관(10-1)이 어느 위치에 설치된 경우 그 반대편에 상기 제2 배관(10-2)이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이 일렬로 설치되는 것 보다 외측벽으로 우수가 유입될 때 원의 접선 방향의 힘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의 이격된 위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 현상을 이용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상호 중심축과 어긋나는 방향)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면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의 내부에서 회오리를 발생시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데, 유체의 흐름의 일부가 교란받아 본류(예 :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 내부 회오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으로서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의 내주면 접선 방향의 원심력을 상쇄시키는 문제도 있다.
Figure 112020001053421-pat00001
수학식 1과 같이 와류되어 막히는 것이 거의 없으면 Co는 1에 근접하여 배출되는 유량(실제 차집 유량: Qa)은 Qi와 유사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의 하부로 침투율이 증가하고 투수율이 80% 이상(Co=0.2)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배관(10-1)으로 부터 와류 형상으로 나가는 물이 내용물(예: 나뭇잎 등)을 치고 나가며 상기 타공에 나뭇잎이 박히지 않게 하여 우수가 제2 배관(10-2)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일정 시간 이상 비가 내리면 그 외의 물은 추가되는 바이패스관을 통해 바이패스시켜 막힘 계수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을 연결한 가상의 선 아래 부분으로 내려가는 내리흐름도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잡아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협잡물받이(40), 연결선(42), 고리(44)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5의 협잡물받이(40)는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외부의 우수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내부로 들어간 후 다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소용돌이가 와류가 발생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생기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어 우수가 와류되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협잡물받이(40)를 바구니 형상의 망체로 만들어 상부에 걸어 고정하는 현수걸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스틸그레이팅 뚜껑(5)의 하부에 걸어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현수걸고리 내부의 관통공에 각각 내장된 탄성스프링을 설치하여 진동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상기 협잡물받이(40)는 걸고리가 배수구의 내측이나 덮개에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덮개의 내부로부터 빠지는 협잡물을 걸러질 수 있게 한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망체이다.
상기 연결선(42)은 상기 협잡물받이(4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스틸그레이팅 뚜껑(5)의 중심부에서 일정 깊이 떨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44)는 상기 연결선(42)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틸그레이팅 뚜껑(5)의 중심부에 걸리도록 설계된다.
Figure 112020001053421-pat00002
즉 상기 수학식 2에서 처럼 빗물받이의 차집효율(E; 차집유량/측구유량)은 흐름폭에 대한 빗물받이 유입부의 폭(T)에 비례한다.
따라서 측방 유입을 고려하지 않고 수리학적으로 계산한 빗물 받이의 차집효율에 따라 빗물받이 유입부(예 :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의 폭(T)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 유입부의 폭으로 설치하여, 폭우시 빗물 침투시설내 빗물이 빠른 시간 내에 차집됨으로써 복수개의 빗물받이의 유지관리의 용이함을 제공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좁은 관을 통과할 때 정압력은 떨어지지만 동압력은 높아지며 유체의 속도는 빨라진다는 베르누이 정리를 따르면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의 직경을 일정 너비로 커졌다가 작아지거나, 작아졌다 커지게 하여 유체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직경을 최대로 하고, 유출구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서서히 직경이 줄어들면서 유체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각도로 경사진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이 상기 제1 배관의 중심축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수학식 1의 막힘 계수를 최소화하고, 수학식 2의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의 폭(T)을 증가시키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3, 5, 7,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받이(40)가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회오리를 잡아 유체의 흐름의 일부가 교란받아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현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
물리적으로 와류는 유체의 점성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서 상기 점성이 일정치 이상일 경우에는 내부의 운동(소용돌이 운동)에서 발생된 운동과 결합하여 유체의 운동차이(와류-소용돌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교란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수학식 1의 막힘 계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의 중앙에 협잡물받이(40)를 위치시켜 내부 유체의 운동 차이를 희석화시키고 상기 협잡물받이(4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이 나뭇잎과 같은 불순물까지 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는 탄소 섬유 복합 소재 투수 블록으로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는 벌집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에 강화재로서 탄소섬유와 매트릭스 수지로서 열경화성 수지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중간 기재를 접합하고 압착하여 오토클레이브(고압증기멸균기) 등으로 가열 경화시켜 성형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는 탄소 섬유와 에폭시 수지와의 부분 접착으로 이루어지는 망상(網狀)구조의 연속적 관통홀로 인하여 배수에 필요한 투수성과 통기성을 충족시키게 되며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3차원적 망상 구조의 재질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 악취발생원에 해당하는 하수시스템 중, 빗물받이로부터 발생하는 VOC 계열의 악취성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취성분에 대한 탈취 촉매로서 구리 합금 재질의 메탈폼과 질산(HNO3) 용액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탈폼의 다공성 금속 구조체 내부에 탈취 효과를 가진 파라듐(Pd)이나 로듐(Rh) 등의 백금족 원소를 사용하여 코팅할 수도 있다.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 내부에는 복수개의 길이가 동일한 탈취돌기가 일정 방향으로 나열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탈취돌기는 복수개의 길이가 서로 다른 탈취돌기와 인접하는 데, 상기 탈취돌기는 자기와 길이의 차이가 가장 적은 인접 탈취돌기와 연속되어 나열되며, 그 형태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정 파형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일정 부분에서 탈취가 안되는 악취성분이 일정 파형 형태로 진행할 경우 이에 대응하는 형태를 만들어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우가 멈추고 빗물 침투시설내 빗물이 전부 침투가 된 후에 빗물침투시설 내 협잡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내부에 협잡물 받이를 설치함으로서 유지관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틸그레이팅 뚜껑(5)을 통해 집수되는 우수가 내려가도록 경사도를 갖는 경사판재(31), 상기 경사판재(31)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평판재(32), 상기 수평판재(32)와 수직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경사판재(31)와 끝단결합되어, 상기 경사판재(31)를 타고 내려오는 우수에 열려 아래로 집수시키고, 상기 우수가 넘쳐 역류하는 경우에는 올라오는 우수에 의해 상기 경사판재(31)의 끝단에 걸려 우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는 수직판재(33);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판재(31), 수평판재(32), 수직판재(33)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시설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상기 경사판재(31), 수평판재(32), 수직판재(33)가 상기 스틸그레이팅 뚜껑(5)과 미리 체결 결합된 상태에서 스틸그레이팅 뚜껑(5)의 분리 시에 분해할 수 있는 구조가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을 더 포함하여 외부의 태양열 등을 흡수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 보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층은 탈취 효과를 가진 파라듐(Pd)이나 로듐(Rh) 등의 백금족 원소가 악취 성분에 대한 탈취 효과를 높이도록 일정한 온도가 지속되도록 한다.
또는 일실시예로서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ETFE) 등을 보호층으로 가져 내구성 및 탈취 효과를 동시에 증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에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락토바실루스 델브루에키 서브스페시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이싸첸키아 오리엔탈리스(Issatchenkia orientalis)로 구성되는 혼합 미생물 등을 투입시킬 수 있는 데, 악취 제어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설치되는 미생물 처리 박스를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 내부에 부착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특히 상술한 탈취 촉매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ETFE) 등의 보호층과 함께 사용할 경우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10-1 : 제1 배관
10-2 : 제2 배관
20 :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
40 : 협잡물받이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타공이 형성되어 집수되는 우수를 상기 타공으로 배출하여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 또는 고형물만 남겨 분리시키고 배출된 빗물을 타공을 통해 주변 쇄석에 침투시키는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와 측면부에 연결되고 빗물이 이송되는 제1 배관(10-1);
    상기 측면부의 반대 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배관에서 유입된 우수가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의 내주면 접선 방향으로 원심력을 받아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배관의 중심축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배관(10-2);
    측면과 하부는 망 구조이고 상부가 개방된 협잡물받이(40);를 포함하고,
    상기 협잡물받이(40)는 스틸그레이팅 뚜껑(5)에 걸림 고리(44)가 형성되어 상기 스틸그레이팅 뚜껑(5)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을 포함하여 외부의 태양열을 흡수하면서 충격으로 보호하고,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 내부에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락토바실루스 델브루에키 서브스페시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이싸첸키아 오리엔탈리스(Issatchenkia orientalis)로 구성되는 혼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처리 박스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은 상기 지중 매설형 빗물저류부(20)를 기준으로 서로 수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10-1)과 제2 배관(10-2)은 일정한 기울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01318A 2020-01-06 2020-01-06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KR102165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18A KR102165649B1 (ko) 2020-01-06 2020-01-06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18A KR102165649B1 (ko) 2020-01-06 2020-01-06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649B1 true KR102165649B1 (ko) 2020-10-16

Family

ID=7303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318A KR102165649B1 (ko) 2020-01-06 2020-01-06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6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02Y1 (ko) * 2001-10-30 2002-02-25 성종상 우수 침투장치
KR100414156B1 (ko) 2001-05-29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회로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338742Y1 (ko) * 2003-08-13 2004-01-24 박상철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KR100479717B1 (ko) 2004-08-16 2005-03-31 안영찬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
KR200384362Y1 (ko) * 2005-02-21 2005-05-16 서일공영 주식회사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0549738B1 (ko) * 2005-07-27 2006-02-13 박노연 중앙 유입 우수용 와류형 분리장치
KR20090119177A (ko) * 2008-05-15 2009-11-19 신강하이텍(주) 비점오염제거 배수받이
KR20140002387A (ko) 2012-06-29 2014-01-08 주식회사 수비코 도로형 비점오염원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156B1 (ko) 2001-05-29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회로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265402Y1 (ko) * 2001-10-30 2002-02-25 성종상 우수 침투장치
KR200338742Y1 (ko) * 2003-08-13 2004-01-24 박상철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KR100479717B1 (ko) 2004-08-16 2005-03-31 안영찬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
KR200384362Y1 (ko) * 2005-02-21 2005-05-16 서일공영 주식회사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0549738B1 (ko) * 2005-07-27 2006-02-13 박노연 중앙 유입 우수용 와류형 분리장치
KR20090119177A (ko) * 2008-05-15 2009-11-19 신강하이텍(주) 비점오염제거 배수받이
KR20140002387A (ko) 2012-06-29 2014-01-08 주식회사 수비코 도로형 비점오염원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766B1 (en) System for filtering stormwater-carried debris flowing through a gutter inlet into a catch basin
US7300574B1 (en) System for filtering stormwater-carried debris flowing through a gutter inlet into a catch basin
JP6073927B2 (ja) 雨水を濾過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5537401B2 (ja) 道路散水システム
US7985335B2 (en) Low profile catch basin filter
CN105332416B (zh) 一种自动翻转式雨水口截污装置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20130180903A1 (en) Stormwater filtr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0978230B1 (ko) 조립식 우수 여과장치
CN102635157A (zh) 一种虹吸式雨水排放与回收系统
JP4681641B2 (ja) 分離装置
US20080164190A1 (en) Curbside gross pollution trap
KR10097788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KR101932145B1 (ko) 단위면적당 강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초기빗물 배제장치
KR102165649B1 (ko)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101339455B1 (ko)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JP3673966B2 (ja) 初期雨水分離装置付き濾過沈殿装置及び連結型貯水槽
CN213926634U (zh) 一种雨水口截污处理装置
US20170342697A1 (en) Turbulating Apparatus For A Drywell
CN107143022B (zh) 雨水多功能接收井
CN207144118U (zh) 一种城市防洪排水井导水栏污装置
EP1127199B1 (en) Water purification arrangement for drain water catch basins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