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742Y1 -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 Google Patents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742Y1
KR200338742Y1 KR20-2003-0026065U KR20030026065U KR200338742Y1 KR 200338742 Y1 KR200338742 Y1 KR 200338742Y1 KR 20030026065 U KR20030026065 U KR 20030026065U KR 200338742 Y1 KR200338742 Y1 KR 200338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drain
contaminants
cover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최재식
Original Assignee
박상철
최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철, 최재식 filed Critical 박상철
Priority to KR20-2003-0026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7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7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에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걸름 망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덮개의 하부에 망체를 설치하여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들을 걸러내어 협잡물이 하수관로로 유입되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망체의 상부 구멍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 걸러진 다량의 협잡물에 의해 배수가 방해될 경우, 우수는 상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도록 하여 배수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망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수구의 내측면과의 틈새 오차를 보상하는 보조걸름망을 설치하여 그 틈새로 빠져나가는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Trash wire woven mesh sieve of drain-outlet}
본 고안은 배수구에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걸름 망체에 관한 것이다.
집수구는 도로 또는 주택가 등에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시설로써 상부에는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많은 구멍이 형성된 덮개나 그레이팅 덮개가 있다. 따라서 빗물은 덮개의 구멍을 통하여 집수구로 유입되고 또 집수구와 연결된 하수관로를 통하여 배수된다. 그러나 유입되는 빗물은 토사, 낙엽, 담배꽁초 등 협잡물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들이 하수관로에 퇴적되어 배수에 지장을 주게 된다. 또 배수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퇴적물을 수거해야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많은 예산이 낭비되며, 퇴적물로 인한 인한 수질 오염 및 관로의 수명 단축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덮개의 하부에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들을 걸러내는 걸름망을 설치하여 협잡물이 하수관로로 유입되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걸름망을 배수구의 덮개의 부착구조를 개선하여 걸름망의 장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구의 덮개 하부에 설치되는 바구니 형상의 망체와, 상기 망체의 상부에 상기 덮개에 걸어 고정하는 고리를 형성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걸름망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름망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걸름망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름망의 현수걸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름망의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름망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름망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구 12 - 덮개
20,30,40,60 - 망체 22,42,52 - 현수걸고리
70,80 - 보조걸름망 82 - 지지턱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의 결합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배수구(10)에 덮개(12)가 안착되고, 상기 덮개(12)의 하부에 망체(20)가 결합 구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덮개(12)는 단순히 배수구멍을 갖는 덮개(12)나 또는 그레이팅으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망체(20)는 협잡물들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틈새를 갖는 바구니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망체(20)의 상부에 네 귀부분에는 상부로 돌출된 현수걸고리(22)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12) 배수구멍 또는 그레이팅(이하 덮개라 한다)의 살에 걸어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망체(20)는 소형 구멍이 촘촘하게 일정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하부는 촘촘하고 상부는 크게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가 있다.
망체(20)가 일정한 크기로 촘촘하게 형성되게 되면, 작은 협잡물을 모두 걸러 낼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협잡물이 많이 걸리게 되면 망체(20)의 구멍이 막혀 배수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메쉬 즉, 구멍의 크기가 하부는 촘촘하고 상부는 넓게 형성되면 덮개(12)로부터 유입되는 협잡물들이 망체(30)에 다량 걸림되어 배수성능이 저하되더라도, 물은 상부의 큰 구멍(31)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게 되므로 배수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망체(40)의 구멍이 일정한 크기로 촘촘하게 형성된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현수걸고리(42)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게 되면, 망체(40)의 상부에물이 빠지기 용이한 공간을 갖게 된다. 즉, 망체(40)에 협잡물이 다량 걸림에 따른 배수성능이 떨어지게 될 경우에는 유입되는 물은 현수걸고리(42)의 길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오버플로우 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망체(30)와 동일한 효과를 득할 수가 있다.
이때 도 4의 현수걸고리(42)의 구조를 도 5와 같이 사슬형상의 현수걸고리(52)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름망의 요부 확대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60)의 상단 가장자리로 보조걸름망(7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걸름망(70)은 배수구(10)의 용적보다 망체(60)의 크기가 작아 그 틈새가 발생될 경우를 대바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망체(60)의 상단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망체(60)를 배수구(10)에 설치하게 되면 망체(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보조걸름망(70)의 말단이 배수구(10)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보조걸름망(70)을 망체(60)와 일체로 형성하면서 약간의 탄성을 갖도록 하면, 배수구(10)의 내벽면과의 틈새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들이 배수구(10)의 내벽면과 망체(60)의 가장자리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망체(6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보조걸름망(80)들을 별도의 몸체로 구성하면서 상기 망체(6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킨 것이다. 즉, 보조걸름망(80)의 내측에 원형의 고리(81)를 형성하여 망체(60)의 상단에 회동되게 결합 한 것이다. 이때 보조걸름망(80)의 외측 하단에 지지턱(82)을 형성하여 그 지지턱(82)에 의해 회동범위의 한계를 갖도록 하였다. 그 한계는 보조걸름망(80)의 단부가 망체(60)의 상단과 수평을 이루는 지점까지이다.
이러한 구조는 배수구(10)의 내측면의 규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망체(60)의 가장자리와의 틈새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다시말해 틈새가 좁을 때에는 보조걸름망(80)이 상부로 회동하고, 간격이 넓을 경우에는 하부로 회동하여 배수구(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수구(10)의 크기에 따른 틈새의 오차를 회동되는 보조걸름망(80)이 유연하게 회동하여 보상하게 되므로 배수구(10)과 망체(60)와의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보조거름망에 의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들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덮개의 하부에 망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들을 걸러내게 됨에 따라 협잡물이 하수관로로 유입되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망체의 상부 구멍 간격을 넓게 형성함에 따라 걸러진 다량의 협잡물에 의해 배수가 방해될 경우, 우수는 상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배수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망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수구의 내측면과의 틈새 오차를 보상하는 보조걸름망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틈새로 빠져나가는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걸러낼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상부에 덮개가 안착되는 배수구에 있어서,
    바구니 형상의 망체의 상부에 상기 덮개에 걸어 고정하는 현수걸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덮개의 하부에 걸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하부는 촘촘하게 상부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걸고리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상기 망체의 상단이 덮개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보조걸름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름망은 상기 망체의 가장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에 상기 보조걸름망의 회전에 한계를 갖도록 지지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KR20-2003-0026065U 2003-08-13 2003-08-13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KR200338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065U KR200338742Y1 (ko) 2003-08-13 2003-08-13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065U KR200338742Y1 (ko) 2003-08-13 2003-08-13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742Y1 true KR200338742Y1 (ko) 2004-01-24

Family

ID=4942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065U KR200338742Y1 (ko) 2003-08-13 2003-08-13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7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49B1 (ko) * 2020-01-06 2020-10-16 장은진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49B1 (ko) * 2020-01-06 2020-10-16 장은진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8226A (en) Storm drain filter with removable debris tray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1024536B1 (ko)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KR101098900B1 (ko) 교량용 집수구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1765132B1 (ko) 스크린 맨홀
KR200338742Y1 (ko)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20210122428A (ko)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428992Y1 (ko) 우수받이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414156Y1 (ko)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망체
KR200239950Y1 (ko) 침사조및악취역류방지기능을보유한배수구
KR200249093Y1 (ko) 배수구용 그릴에 장착하는 그물망커버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200201948Y1 (ko) 배수용 침전조
JP2005083118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00883616B1 (ko) 협잡물 거름용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JP2005273354A (ja) 排水溝や排水桝のごみ受け籠
KR101126280B1 (ko) 우수받이
KR200333411Y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