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300B1 -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 Google Patents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300B1
KR101633300B1 KR1020150140333A KR20150140333A KR101633300B1 KR 101633300 B1 KR101633300 B1 KR 101633300B1 KR 1020150140333 A KR1020150140333 A KR 1020150140333A KR 20150140333 A KR20150140333 A KR 20150140333A KR 101633300 B1 KR101633300 B1 KR 101633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opening
water
flushing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현대워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워터텍 filed Critical (주)현대워터텍
Priority to KR102015014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8Cleaning devices providing a flushing sur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저류 탱크 또는 하천 바닥면의 침전물 제거를 위한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는 저장된 물이 방류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게이트 프레임(11); 게이트 프레임(11)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게이트 도어(12); 게이트 도어(12)의 아래쪽 면에 부착되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a, 14b, 14n);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a, 14b, 14n)에 결합 및 분리되는 개폐 훅(15)이 배치된 슬라이딩 부재(131); 슬라이딩 부재(131)의 이동을 위한 작동 실린더(13); 및 게이트 도어(12)를 게이트 프레임(11)에 결합시키는 힌지 체결 유닛(1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A Flushing Gate Having a Open and Close Structure of Moving along a Straight Line}
본 발명은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저류 탱크 또는 하천 바닥면의 침전물 제거를 위한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 탱크 또는 하천의 바닥면에 다양한 종류의 침전물이 쌓일 수 있다. 또는 운하와 같은 수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쌓이는 침전물은 하천의 오염 또는 적절한 유로의 형성을 위하여 제거될 필요가 있다. 침전물의 제거는 예를 들어 기계 장비 또는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대량의 빠른 수류(water stream)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물의 저장을 위한 물 저장 탱크 또는 물 저장 댐이 형성될 수 있고, 일정 수위의 물이 탱크 또는 댐에 저장되고 클리닝이 되어야 할 수로의 유량이 적은 경우 저장된 물이 한꺼번에 방류되면서 침전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물의 방류를 위하여 플러싱 게이트가 저장 탱크 또는 댐에 설치될 수 있고 다양한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또는 플러싱 방식에 의한 수로의 클리닝 방법이 이 분야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095895호는 담수 영역을 구획하여 세척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플러싱이 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격벽을 갖는 세척수 저장 탱크와; 상기 격벽에 배치되어 담수 영역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일부를 상기 저장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체크 밸브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플러싱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회전 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게이트를 갖는 플러싱 유닛과; 상기 게이트의 회전 축선과 평행한 상기 게이트의 한쪽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 및 상기 게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회전 운동되도록 상기 게이트에 대해 지지 해제돼 지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전 운동하는 개폐 유닛과; 상기 개폐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유닛이 상기 지지 위치와 지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전 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플러싱 세척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PCT 공개번호 WO 2012/038908은 지지 구조; 지지 구조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밸브 몸체; 밸브 몸체에 일체로 결합된 플로트; 밸브 몸체에 연결된 구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플러싱 디바이스에 대하여 개시한다.
대량의 물을 빠르게 방류하기 위한 플러싱 게이트는 높은 수압에 대한 저항성을 가져야 하면서 장시간 물을 저장할 있는 설비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개폐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개폐 구조는 작동 구조가 복잡하면서 내구성이 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등록번호 제10-1095895호((주)블루이앤이, 2011년12월21일 공고) 플러싱 세척 장치 선행기술2: WO 2012/038908(VALSIR S.p.A, 2012년03월29일 공개) Flushing Device for Flush Tank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신속하게 개폐가 될 수 있도록 하면서 내구성을 가지는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는 저장된 물이 방류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게이트 프레임; 게이트 프레임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게이트 도어; 게이트 도어의 아래쪽 면에 부착되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 다수 개의 조절 롤러에 결합 및 분리되는 개폐 훅이 배치된 슬라이딩 부재;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위한 작동 실린더; 및 게이트 도어를 게이트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힌지 체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롤러는 샤프트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폐 훅은 수직 연장 부분 및 수평 걸이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수평 걸이 부분은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형상이 되고, 수직 연장 부분과 수평 걸이 부분의 경계 부분에 곡면 형상의 롤러 고정 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는 우수 저류조를 비롯한 다양한 수로 바닥면의 클리닝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는 구조 및 작동이 간단하여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설치,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수로 청소에 사용되는 경비의 지출을 막아 우수 저류조, 운하의 수로 또는 하천의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의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가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에 적용되는 다양한 개폐 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러싱 게이트(10)는 저장된 물이 방류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게이트 프레임(11); 게이트 프레임(11)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게이트 도어(12); 게이트 도어(12)의 아래쪽 면에 부착되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a, 14b, 14n);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a, 14b, 14n)에 결합 및 분리되는 개폐 훅(15)이 배치된 슬라이딩 부재(131); 슬라이딩 부재(131)의 이동을 위한 작동 실린더(13); 및 게이트 도어(12)를 게이트 프레임(11)에 결합시키는 힌지 체결 유닛(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10)는 우수 저류조, 운하의 수로 또는 집수장과 같이 다양한 이물질 또는 오물을 포함하는 물이 집수되어 흐르는 수로의 클리닝을 위한 설비 또는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수로의 클리닝을 위하여 별도로 세척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고, 물 저장 댐 또는 물 저장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세척 시스템은 일정 수위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및 저장된 물이 일시에 방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플러싱 게이트(10)는 방출을 위한 출구 기능을 할 수 있다.
게이트 프레임(11)은 물 저장 댐 또는 물 저장 탱크의 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이 될 수 있고, 물의 배출을 위하여 댐 또는 탱크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프레임(11)은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댐 또는 탱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도어(1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힌지 체결 유닛(16)에 의하여 게이트 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게이트 프레임(11)은 양쪽 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 되고, 게이트 도어(12)는 개방된 한쪽 면을 개폐시키는 것에 의하여 물의 방류를 위한 도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게이트 도어(12)의 위쪽 부분이 힌지 체결 수단(16)에 의하여 게이트 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 체결 수단(16)을 축으로 아래쪽 부분이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게이트 프레임(11)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닫힌 상태는 조절 롤러 (14a, 14b, 14n)와 개폐 훅(15)의 결합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다.
게이트 도어(12)의 아래쪽에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a, 14b, 14n)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도어(12)를 형성하는 아래쪽 수평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a, 14b, 14n)가 적절한 간격으로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부재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길이 부재가 될 수 있고, 조절 롤러(14a, 14b, 14n)는 길이 부재의 아래쪽 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롤러(14a, 14b, 14n)에 결합 가능한 개폐 훅(15)을 가지는 슬라이딩 부재(131)가 조절 롤러(14a, 14b, 14n)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게이트 프레임(11)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1)는 게이트 도어(12) 또는 게이트 프레임(11)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작동 실린더(13)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롤러(14a, 14b, 14n)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개폐 훅(15)이 슬라이딩 부재(131)와 일체로 또는 슬라이딩 부재(131)와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실린더(13)는 예를 들어 유압, 수압 또는 모터의 회전력과 같은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슬라이딩 부재(131)는 작동 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12) 또는 게이트 프레임(11)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1)가 작동 실린더(13)의 작동에 따라 게이트 프레임(11)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개폐 훅(15)이 조절 롤러(14a, 14b, 14n)와 결합되면 게이트 도어(12)가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이 저장된 이후 수로의 클리닝을 위하여 물이 방류될 필요가 있는 경우 작동 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131)가 폭 방향을 따라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폐 훅(15)과 조절 롤러(14a, 14b, 14n)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의 압력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12)가 열리면서 물이 방출될 수 있다. 이후 방류되는 물에 의하여 수로가 클리닝이 되고 물이 충분히 방출되면 힌지 결합 구조로 인하여 게이트 도어(12)가 다시 닫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실린더(13)의 작동 및 슬라이딩 부재(131)의 이동에 의하여 개폐 훅(15)과 조절 롤러(14a, 14b, 14n)가 체결되어 게이트 도어(12)가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1) 또는 조절 롤러(14a, 14b, 14n)은 다양한 방법으로 게이트 프레임(11) 또는 게이트 도어(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의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프레임(11)은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게이트 프레임(11)은 예를 들어 저장조 또는 저장 탱크의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유닛(113); 및 출구를 형성하는 둘레 벽 및 둘레 벽 중 천정 면(111)의 위쪽 벽면에 형성된 힌지 고정 부재(112a, 112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고정 부재(112a, 112b)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고, 천정 면(111)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힌지 고정 부재(112a, 112b)는 적어도 2개가 될 수 있고, 각각의 힌지 고정 부재(112a, 112b)에 회전 부재(21a, 21b)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회전 부재(21a, 21b)는 U자 형상이 될 수 있고, 회전 핀(211a, 211b)에 의하여 힌지 고정 부재(112a, 112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부재(21a, 21b)는 또한 게이트 도어(1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도어(12)의 수평 천정 부재(125)에 체결 편(121a, 121b)이 형성되고, 힌지 고정 부재(112a, 112b)는 고정 수단(212a, 212b)에 의하여 체결 편(121a, 121b)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12)는 한 쌍의 힌지 고정 부재(112a, 112b)를 축으로 회전이 되면서 게이트 프레임(11)을 닫거나 열 수 있다.
게이트 프레임(11)의 바닥면(116)의 외부 면에 슬라이딩 유도 유닛(23)이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도 유닛(23)은 바닥면(1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유도 유닛(23)에 슬라이딩 부재(131)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131)가 슬라이딩 유도 유닛(23)에 형성된 유도 홀(231)을 따라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개폐 훅(15)이 배치될 수 있고, 개폐 훅(15)은 슬라이딩 부재(131)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1 부분과 1 부분으로 꺾여 슬라이딩 부재(13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부분으로 이루어진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닫힌 상태에서 꺾인 부분에 조절 롤러(14)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조절 롤러(14)는 롤러 고정 부재(241)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12)의 수평 바닥 부재(127)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 롤러(14)는 수평 바닥 부재(127)의 외부 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샤프트(14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수단(142)에 의하여 롤러 고정 부재(241)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141)는 수평 바닥 부재(127)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롤러 고정 부재(241)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 롤러(14)는 샤프트(141)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고, 개폐 훅(15)에 접촉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조절 롤러(14)의 회전은 조절 롤러(14)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조절 롤러(14)는 신축성을 가지면서 내수성을 가진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부재(131) 또는 조절 롤러(14)는 다양한 구조로 게이트 프레임(11) 또는 게이트 도어(12)에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는 다양한 수로의 클리닝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우수 저류조의 클리닝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가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우수 저류조에 유로(33)가 형성될 수 있고, 유로(33)로 유입되는 다양한 이물질로 인하여 유로(33)에 침전 물질 또는 오염 물질이 쌓일 수 있다. 클리닝 시스템이 유로(3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저장조(31)에 클리닝을 위한 물(W)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조(31)는 경사 바닥면(B)을 가질 수 있고, 저장조(31) 내부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스탠드 파이프(3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조(31)의 배출 벽면(EW)에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클리닝 시스템은 플러싱 게이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31); 저장조(31)에 저장된 물(W)의 수위를 탐지하는 수위 탐지 유닛(321); 슬라이딩 부재(331)의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 탐지 유닛(331); 작동 실린더의 작동을 위한 실린더 작동 유닛(351); 및 개폐 훅의 위치를 탐지하는 훅 탐지 유닛(36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위 탐지 유닛(321)은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저류조(31)에 설치되어 물(W)의 수위를 탐지하여 제어 유닛(3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311)은 접촉 센서 또는 광 센서와 같은 위치 탐지 센서(331)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적절한 수위가 되면, 구동 장치(341)가 작동되어 실린더 작동 유닛(351)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센서 또는 광 센서와 같은 훅 탐지 센서(361)에 의하여 훅의 위치가 탐지되어 제어 유닛(3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유로(33)의 클리닝을 위하여, 제어 유닛(331)에 의하여 구동 장치(341)가 작동되고, 실린더 작동 유닛(351)에 의하여 작동 실린더(13)가 작동되어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되어 개폐 훅과 조절 롤러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 바닥면(B)의 압력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12)가 열리고, 물(W)이 일시적으로 유로(33)로 방류되면서 클리닝이 진행될 수 있다. 물(W)이 완전히 방류되면 게이트 도어가 닫힘 위치로 오고 위치 탐지 센서(331)와 훅 탐지 센서(361)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와 개폐 훅의 위치가 각각 탐지되어 실린더 작동 유닛(351)의 작동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311)에 의하여 구동 장치(341)가 구동되고 실린더 작동 유닛(351)의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훅과 조절 롤러가 결합되어 저장되는 물의 압력에 관계없이 게이트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는 다양한 클리닝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에 적용되는 다양한 개폐 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가)를 참조하면, 게이트 도어(12)는 힌지 체결 유닛(16)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게이트 도어(12)의 물의 방류 과정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물이 방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이 충분히 방류되면, 힌지 체결 유닛(16)을 축으로 게이드 도어(12)가 다시 잠금 위치로 올 수 있다. 그리고 개폐 훅(15)과 조절 롤러(14)의 결합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12)가 게이트 프레임(11)에 잠금 상태로 된다.
조절 롤러(14)와 결합되는 개폐 훅(15)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확대된 부분으로 도시된 것처럼, 개폐 훅(15a)은 수직 연장 부분(151) 및 수평 걸이 부분(153)로 나누어지고, 수평 걸이 부분(152)은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형상이 되고, 수직 연장 부분(151)과 수평 걸이 부분(152)의 경계 부분에 곡면 형상의 롤러 고정 부분(152)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 형상은 조절 롤러(14)와 접촉되는 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사진 형상으로 인하여 개폐 훅(15a)이 용이하게 조절 롤러(14)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 고정 부분(152)은 경계 면의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조절 롤러(14)가 안정적으로 개폐 훅(15a)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의 (다)를 참조하면, 개폐 훅(15a)은 슬라이딩 부재(131)와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개폐 훅(15b)은 슬라이딩 부재(13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1)에 스토퍼의 기능을 가지면서 개폐 훅(15b)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훅 고정 유닛(41a)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 훅(15c)은 슬라이딩 부재(13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훅 고정 유닛(41a)은 회전 잠금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개폐 훅(15d)은 힌지 유닛(42)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13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훅(15d)은 슬라이딩 부재(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앞뒤로 예를 들어 10 내지 20도의 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훅(15, 15a, 15b, 15c, 15d)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는 우수 저류조를 비롯한 다양한 수로 바닥면의 클리닝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게이트는 구조 및 작동이 간단하여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설치,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수로 청소에 사용되는 경비의 지출을 막아 우수 저류조, 운하의 수로 또는 하천의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플러싱 게이트 11: 게이트 프레임
12: 게이트 도어 13: 작동 실린더
14a, 14b, 14n: 조절 롤러 15, 15a, 15b, 15c, 15d: 개폐 훅
16: 힌지 체결 유닛 21a, 21b: 회전 부재
23: 슬라이딩 유도 유닛 31: 저장조
32: 스탠드 파이프 33: 유로
41a: 훅 고정 유닛 42: 힌지 유닛
111: 천정 면 112a, 112b: 힌지 고정 부재
113: 부착 유닛 116: 바닥면
121a, 121b: 체결 편 125: 수평 천정 부재
127: 수평 바닥 부재 131: 슬라이딩 부재
141: 샤프트 142: 고정 수단
151: 수직 연장 부분 152: 롤러 고정 부분
153: 수평 걸이 부분 211a, 211b: 회전 핀
212a, 212b: 고정 수단 231: 유도 홀
241: 롤러 고정 부재 311: 제어 유닛
321: 수위 탐지 유닛 331: 슬라이딩 부재
341: 구동 장치 351: 실린더 작동 유닛
361: 훅 탐지 유닛 B: 경사 바닥면
EW: 배출 벽면 W: 물

Claims (3)

  1. 저장된 물이 방류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게이트 프레임(11);
    게이트 프레임(11)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평 바닥 부재(127)가 형성된 게이트 도어(12);
    수평 바닥 부재(127)의 외부 면에 결합된 롤러 고정 부재(24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샤프트(14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a, 14b, 14n);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a, 14b, 14n)에 결합 및 분리되는 개폐 훅(15)이 배치된 슬라이딩 부재(131);
    슬라이딩 부재(131)의 이동을 위한 작동 실린더(13); 및
    게이트 도어(12)를 게이트 프레임(11)에 결합시키는 힌지 체결 유닛(16)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롤러(14a, 14b, 14c)는 개폐 훅(15)과 접촉 과정에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 훅(15)은 수직 연장 부분(151) 및 수평 걸이 부분(153)으로 나누어지고, 수평 걸이 부분(153)은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형상이 되고, 수직 연장 부분(151)과 수평 걸이 부분(153)의 경계 부분에 곡면 형상의 롤러 고정 부분(1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KR1020150140333A 2015-10-06 2015-10-06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KR101633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333A KR101633300B1 (ko) 2015-10-06 2015-10-06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333A KR101633300B1 (ko) 2015-10-06 2015-10-06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300B1 true KR101633300B1 (ko) 2016-06-24

Family

ID=5634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333A KR101633300B1 (ko) 2015-10-06 2015-10-06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3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37Y1 (ko) * 2006-09-28 2006-12-1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
KR101095895B1 (ko) 2011-05-25 2011-12-21 (주)블루이앤이 플러싱 세척장치
WO2012038908A1 (en) 2010-09-21 2012-03-29 Valsir S.P.A. Flushing device for flush tan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37Y1 (ko) * 2006-09-28 2006-12-1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
WO2012038908A1 (en) 2010-09-21 2012-03-29 Valsir S.P.A. Flushing device for flush tank
KR101095895B1 (ko) 2011-05-25 2011-12-21 (주)블루이앤이 플러싱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827B1 (en) Box service panel door and equalizer
KR101183935B1 (ko) 폐문 시 수문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수문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7316B1 (ko)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RU192605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готовки серой воды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788624B1 (ko) 유지관리가 편리한 유압식 인양수문
KR101609774B1 (ko) 수직이동형 가동보장치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633300B1 (ko)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KR101788194B1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101626007B1 (ko) 탈착이 용이한 수문용 펌프
KR101580076B1 (ko) 저류조 세척 설비용 플러싱 게이트 장치
KR101372813B1 (ko) 하수차집관거 유입유량 조절 및 토사유입방지 장치
KR101095895B1 (ko) 플러싱 세척장치
KR102294906B1 (ko) 점검구겸 세척 퇴수 제수밸브
US20110056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verting Flowing Liquid from a Conduit
KR101405099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101286623B1 (ko) 세정형 하향식 수문
CN211647341U (zh) 一种铝合金模板清洗装置
KR20140128813A (ko) 맨홀용 악취 및 역류 방지 장치
KR100884730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EP2561152A1 (en) Gulley
KR101630800B1 (ko) 이물질 끼임 방지 구조의 수문
KR101744152B1 (ko) 핸들식 급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