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035B1 -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035B1
KR102465035B1 KR1020200135287A KR20200135287A KR102465035B1 KR 102465035 B1 KR102465035 B1 KR 102465035B1 KR 1020200135287 A KR1020200135287 A KR 1020200135287A KR 20200135287 A KR20200135287 A KR 20200135287A KR 102465035 B1 KR102465035 B1 KR 10246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ter
low
upper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645A (ko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3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0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담수된 물의 저층수를 배출하는 저층수 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에 있어서, 저층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수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층수 배출로가 구비된 가동보의 문비 상측에 조절판을 설치하되 상기 조절판은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조절판은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눕혀지거나 세워지는 한편 구동축에 설치된 캠이나 기어에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Support floodgate for draining ground water}
본 발명은 담수된 물의 저층수를 배출하는 저층수 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에 있어서, 저층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수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동보는 하천이나, 수로를 막아 농업용, 공업용 또는 상수도용의 취수보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수로의 물을 담수하는 문비는 에어백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기립 및 도복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문비의 전방에는 문비의 전방 하측에 쌓이는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한편 물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층수를 배출시키는 저층수 배출로를 형성하고 있다.
저층수 배출로는 문비의 전방에 물이 흐르는 간격을 두고 패널을 설치하되 상기 패널의 상측 높이가 문비의 상측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한편 저층수 배출로의 저면으로 유입된 물이 문비를 넘어 배출된다.
이같이 저층수 배출로가 형성된 가동보는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문비를 눕히거나 세움으로써 문비의 상측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저층수 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저층수의 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에어백 또는 유압실린더를 조작하여 문비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은, 문비를 조작하기 때문에 조작의 어려움이 따르는 한편 에어백 또는 유압실린더 작동으로 인하여 에너지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10-1947316호(2019.02.01. 등록)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저층수 배출로의 하측을 개폐되게 함으로써, 저층수 배출로의 개폐 정도에 따라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특허등록 10-1405099호(2014.06.02. 등록)에 제시된 바와 같이 문비의 하측으로 저층수 배출구를 형성한 후 상기 저층수 배출구의 개폐를 조작하여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고 있으나, 상기 방식은 모두 문비의 하측에 저층수 배출로 또는 저층수 배출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어서, 설치와 유지 보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한편 수압에 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조작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 10-1947316호(2019.02.01 등록) 특허등록 10-0799359호(2008.01.23 등록) 특허등록 10-1900943호(2018.09.14 등록) 특허등록 10-1405099호(2014.06.02 등록)
본 발명은 문비의 전방에 저층수 배출로가 형성된 가동보에 있어서,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동보의 문비를 눕히거나 세우게 될 때 에어백이나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배출량 조절이 쉽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동보를 눕히거나 세우지 않고, 가동보의 문비 상측에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조절판을 설치함으로써, 조절판의 높이 조절로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층수 배출로가 구비된 가동보의 문비 상측에 조절판을 설치하되 상기 조절판은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조절판은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눕혀지거나 세워지는 한편 구동축에 설치된 캠이나 기어에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동보의 기울기를 조절하지 않고도 조절판을 눕히거나 세워서 저층수 배출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다.
저층수 배출로가 구비된 가동보는 저층수 배출로를 구성하는 패널의 높이가 문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패널로 담수되는 물의 수위가 문비의 상측보다 높아질 때 저층수 배출로를 통하여 저층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문비의 상측이 낮아짐에 따라 저층수 배출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비의 상단에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조절판을 설치함으로써 문비를 기울이지 않고도 조절판을 기울여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동보의 문비를 작동시키지 않고, 문비의 상측에 설치된 조절판을 회동시키거나 이동시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동보의 문비를 조작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유압실린더나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어려움 없이 간단하게 문비의 상측에 설치된 조절판을 회동시키거나 위치를 이동시켜 높낮이 변화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수위 조절로 인한 저층수 배출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패널 결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동보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 수두차 조절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최대 수두차 조절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절판 실시예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절판 다른 실시예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절판 또 다른 실시예 설명도
본 발명은 저층수 배출로가 구비된 가동보의 문비 상측에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조절판을 설치함으로써, 가동보를 조작하여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절판을 이용하여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동보(10)는 유압실린더(12) 또는 에어백을 이용하여 문비(11)를 세우거나 눕힘으로써 저수가 이루어지거나 방류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상기 문비(11)의 전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패널(13)을 간격재(14)로 설치하되 상기 패널(13)의 하측은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여 문비(11)로 담수되는 저층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패널(13)의 상측은 문비(11)의 상측보다 돌출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저수되는 수위는 패널(13)에 의해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문비(11)의 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패널(13)을 설치하여 저층수 배출로(15)를 형성하되 상기 패널(13)의 하측은 저층수 배출로(15)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패널(13)의 상측은 문비(11)의 상측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담수는 패널(13)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고, 저층수 배출로(15)로 유입된 물은 문비(11)의 상측을 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문비(11)를 세웠을 때 패널(13)도 동시에 세워지고, 문비(11)의 상측 높이보다 패널(13)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물은 패널(13)에 의해 가로막혀 담수가 이루어지며, 패널(13)에 의해 담수되는 물의 수위가 문비(11)의 상측보다 높게 되면, 담수된 물은 저층수 배출로(15)를 통한 후 문비(11)의 상측으로 넘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배출되는 물은 바닥의 저층수이기 때문에 문비(11)의 전방 하측에 쌓이는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한편 부패를 방지하게 된다.
물의 유입량이 적거나 문비(11)를 세워서 패널(13)에 담수되는 수위가 문비(11)의 상측 높이보다 낮아서 수두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저층수 배출로(15)를 통하여 저층수 배출이 차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가동보는 저층수 배출을 선택하거나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문비(11)의 기울기를 조절하여야 하는 것으로, 문비(11)를 눕히거나 세우기 위해서는 큰 동력을 필요로 하는 유압실린더(12)나 에어백을 조작하기 때문에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문비(11)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원하는 수위 조절이 쉽지 않아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동보(10)의 저층수 배출량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문비(11)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지 않고, 문비(11)의 상측에 수위 조절용 조절판(20)을 설치한 후 상기 조절판(20)을 이용하여 문비(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문비(11)의 상측에 조절판(20)을 설치하되 상기 조절판(20)은 문비(11)의 상측에서 높낮이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문비(11)는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판(20)을 이용하여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조절판(20)은 문비(11)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동축(21)에 결합되게 하되 회동축(21)을 모터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판(20)이 세워지거나 눕혀지게 하거나, 회동축(21)을 모터로 회전하는 구동축(22)에 체인(23)을 연결하여 회전되게 하거나, 조절판(20)이 상하로 이동하며 문비(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하되 상기 조절판(20)은 문비(11)에 내장된 회동축(21)에 캠(25)을 설치함으로써 캠(25)의 회전에 따라 조절판(20)이 돌출되게 하거나, 조절판(20)에 기어(20a)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20a)에 결합되는 구동기어(21a)를 회동축(21)에서 결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판(20)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절판(20)은 세워지거나 상부로 이동할 경우, 저층수 배출량이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조절판(20)을 눕히거나 하부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저층수 배출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으로, 큰 동력을 필요로 하는 유압실린더(12)나 에어백을 이용하여 문비(11)를 눕히거나 세워서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지 않고, 적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모터를 회전시켜 회동축(21)이나 구동축(22)을 회전시킴으로써 문비(11)의 상측에 설치된 조절판(20)을 세우거나 눕히는 한편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하여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보다 정밀하고 간편하게 조절하는 한편 적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동보(10)의 문비(11)는 고정된 상태에서 문비(11)의 상측에 설치된 조절판(20)의 기울기를 조절하거나 돌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저층수 배출로(15)를 통하여 배출되는 저층수의 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회동축(21)에 조절판(20)을 고정시킴으로써 회동축(21)을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판(20)이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하되 회동축(21)에 직접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거나, 체인(23)을 이용하여 전달되게 함으로써, 소 용량의 모터를 이용하여 조절판(20)의 높낮이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다.
조절판(20)이 눕혀지게 되면, 패널(13)에 의해 담수되는 수위와 수두차가 커지면서 저층수 배출량이 많아지게 되고, 담수위가 낮아져 조절판(20)의 높이와 같아질 때 저층수 배출은 중단되며, 반대로 조절판(20)이 세워지게 되면 패널(13)에 의해 담수되는 수위와 수두차가 적어지면서 저층수 배출량이 적어지게 되는 것으로, 문비(1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어려움을 겪지 않고도 조절판(20)을 눕히거나 세워서 저층수 배출량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이 조절판(20)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회동축(21)에 캠(25)을 설치한 후 상기 캠(25)으로 조절판(20)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회동축(21)을 모터로 회전시키되 캠(25)으로 조절판(2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수두차가 적어져 저층수 배출량이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회동축(21)에서 캠(25)을 회전시켜 조절판(20)을 하부로 이동시킬수록 수두차가 커지면서 저층수 배출량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절판(20)이 구동기어(20a)와 기어 결합되게 함으로써, 회동축(21)에 결합된 구동기어(21a)를 모터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판(20)이 상하 이동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고, 조절판(20)이 상부로 이동할수록 수두차가 적어지고, 하부로 이동할수록 수두차가 커지면서 저층수 배출로(15)를 통하여 배출되는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비(11)의 기울기를 조작하지 않고,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는 조절판(20)을 이용하여 저층수 배출로(15)로 배출되는 저층수 량을 조절하는 것이어서, 보다 간편하고 세밀하게 저층수 배출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10 : 가동보 11 : 문비
12 : 유압실린더 13 : 패널
15 : 저층수 배출로 20 : 조절판
20a : 기어 21 : 회동축
21a : 구동기어 22 : 구동축
23 : 체인 25 : 캠

Claims (3)

  1.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문비(11)를 유압실린더(12)로 세우거나 눕히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문비(11)의 전면에 저층수 배출로(15)가 형성되게 패널(13)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가동보(10)를 구비하고,
    상기 문비(11)의 상측에 조절판(20)을 설치하되 상기 조절판(20)은 문비(11)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로 세워지거나 돌출되게 하고,
    상기 조절판(20)은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동축(21)에 의해 문비(11)의 상측에서 세워지거나 돌출되게 하되 상기 회동축(21)을 모터로 회전시키거나 체인(23)을 결합하여 구동축(22)을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판(20)이 문비(11)의 상측으로 세워져 문비(11)의 높이를 높이거나 문비(11)의 상측에서 눕혀지게 하고,
    상기 조절판(20)의 세워짐과 눕혀짐에 따라 문비(11)가 고정된 상태에서 문비(11)의 높이를 조절하여 저층수 배출로(15)의 저층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문비(11)의 상측에는 문비(11)에 끼워지거나 상부로 돌출되는 조절판(20)을 설치하고,
    상기 문비(11)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회동축(21)에는 조절판(20)을 들어올리는 캠(25)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21)을 모터로 회전시켜 캠(25)으로 조절판(20)이 문비(1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조절하며,
    상기 조절판(20)의 높낮이에 따라 문비(11)가 고정된 상태에서 저층수 배출로(15)의 저층수 배출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KR1020200135287A 2020-10-19 2020-10-19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KR10246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87A KR102465035B1 (ko) 2020-10-19 2020-10-19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87A KR102465035B1 (ko) 2020-10-19 2020-10-19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45A KR20220051645A (ko) 2022-04-26
KR102465035B1 true KR102465035B1 (ko) 2022-11-10

Family

ID=8139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287A KR102465035B1 (ko) 2020-10-19 2020-10-19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678B1 (ko) * 2022-11-10 2023-07-1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담수 수위 조절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59B1 (ko) * 2007-08-03 2008-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1281596B1 (ko) * 2012-07-02 2013-07-03 (주)드림테크 선회식 가동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65B1 (ko) * 2010-07-08 2013-02-19 청옥산업 주식회사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1405099B1 (ko)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20170081378A (ko) * 2016-01-04 2017-07-12 신지호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KR101900943B1 (ko) 2016-03-31 2018-09-21 박도우 저층수 배출이 용이한 가동보의 개량형 패널 구조
KR101947316B1 (ko) 2018-05-28 2019-02-13 이한욱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59B1 (ko) * 2007-08-03 2008-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1281596B1 (ko) * 2012-07-02 2013-07-03 (주)드림테크 선회식 가동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45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035B1 (ko)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KR101351061B1 (ko) 상하 분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레이디얼 게이트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권양기
KR101666318B1 (ko) 소수력 발전기능을 구비한 펌프 게이트 시스템
KR20170100128A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JP2673666B2 (ja) 水田の水位制御装置
KR20100099837A (ko) 수문
JP2002256536A (ja) 水路に用いる自動流量調整用ロ−タリゲ−ト
KR200180807Y1 (ko) 유압을 이용한 수문개폐장치
KR102458656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전도식 수문
KR102553678B1 (ko) 담수 수위 조절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KR100919132B1 (ko)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KR200454424Y1 (ko) 자동수문
CN219450656U (zh) 一种具有降噪功能启闭机下卧式结构的钢坝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JP4055057B2 (ja) 下流水位制御装置
KR200340314Y1 (ko) 수위 자동조절형 수문
KR200219514Y1 (ko) 캠을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20040108445A (ko) 부력식 가동보
CN214832439U (zh) 一种可调节流量的滚水坝
KR102186687B1 (ko) 수문 시스템
KR200236296Y1 (ko) 유동흰지의 작용에 의해 수직 또는 전,후 작동이 되도록구성되는 자동수문
KR20060000015U (ko) 시간대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과속방지턱
KR101827507B1 (ko) 하천 보에 설치되는 어도의 유량 조절장치
JPH0681329A (ja) 取水設備
JP2003253656A (ja) 段階的開閉式ゲートポンプ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