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837A - 수문 - Google Patents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837A
KR20100099837A KR1020090018367A KR20090018367A KR20100099837A KR 20100099837 A KR20100099837 A KR 20100099837A KR 1020090018367 A KR1020090018367 A KR 1020090018367A KR 20090018367 A KR20090018367 A KR 20090018367A KR 20100099837 A KR20100099837 A KR 2010009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te
divided
water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09001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9837A/ko
Publication of KR2010009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38Rolling gates or gates moving horizontally in their own plane, e.g. by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8Roof or double shutte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수문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인 둑에 구비되는 배수구에 수류와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개폐되게한 문비로 수량을 제어하는 수문으로서, 문비는 그 몸체를 수평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여러개로 나누어 이루는 분할문비들과, 분할문비들을 인접하는 분할문비와 자유로이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관절부와, 관절부를 이용해 절곡가능하게 설치되는 분할문비들은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동력절단요소에 의해 개폐되게한 것 및 둑의 배수구 상측에 상기 문비의 폐문에 대해 교차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문되는 분할문비들을 수용하는 수납실을 갖추어서, 수문의 개폐작동범위를 가능한 최소화하고 수문의 상측을 유효한공간으로 할용하게 된다.

Description

수문{Floodgate}
본 발명은 농.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터방식으로 개폐되도록한 수문에 관한 것이다.
농.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을 위한 수리시설물인 저수지나 보 등의 수량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수문은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수문은 대략 보나 수로의 종말에 설치되어 폭우나 홍수 발생시 방류와 해수 또는 하천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현상을 방지하고 저지대의 범람을 막아 수해로부터 보호하는 안전시설물이다.
이러한 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공의 배출 측에 승강 또는 회전방식, 즉 상.하 미닫이식 또는 지축을 이용해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고 있는데, 전자의 승강방식은 토목구조물인 둑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을 따라 권양기를 이용해 상.하로 오르고 내리게 하면서 저수와 방류, 그리고 하천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현상 등을 예방케하고 있는 것이다.
또 후자 회전방식은 둑의 상측 또는 하측에 수문의 개폐를 위한 회전 지축을 갖추어 상측의 경우는 자중에 의한 자동폐문을 얻고, 하측의 경우에서는 유압원을 이용해 전도되게 하면서 상기와 같은 수문역할을 이루게 하고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수문들 중 승강방식의 경우를 보면, 배수공의 배출구 측에 저수 수위 보다 높은 길이를 가지고 단일의 몸체로 이루는 문비를 설치하고 이 수문의 개문시 문비를 일정 높이로 올리어야 하는 프레임의 구조가 요구되어 부대시설이 커짐은 물론 구조가 복잡한 것으로 인해 공사비용이 증대되고 유지관리 비용이 많아지며, 또 둑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주변환경에 저해되는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등 외관적인 문제점이 따르고, 또 수문의 상측은 프레임 등의 부대시설로 인해 사용되지 못하고 무효한 공간으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회전방식의 경우는 상기 승강방식 수문에서의 부피증대로 인한 문제점들은 다소 해소하였으나, 상기에서와 같이 토목구조물의 배수공 직 상부 측에서 그 토목구조물에 매설된 앵커 볼트 등을 이용해 설치되는 링크형의 힌지구조로 개폐되게 하고 있는데, 이렇게 링크형의 힌지구조를 이용해 설치되는 문비에서 콘크리트를 이용해 주조방식으로 축조된 토목구조물의 현장에 따라 브래킷의 설치위치가 변화되는, 즉 토목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그 힌지구조 상단의 주축부분 위치가 변위되고있다.
이러한 힌지구조의 위치변위는 토목구조물의 배출구를 폐문시키는 문비와 링크형의 힌지구조가 동일직선상으로 배열되지 못하여 폐문 상태가 안정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문비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힌지구조가 대략 토목구조물 외향으로 노출 되어 있는 것으로, 외 측에서 돌이나 폐기물 등의 이물질들이 힌지구조 측으로 유입되는 경우 그 힌지구조의 작동이 불가해지고 따라서, 수문이 개폐동작을 이루지 못하여 홍수 등에 대처하지 못하고 범람하여 수해를 입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문비의 몸체를 수평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여러개로 나누어 소단위로 이루는 분할문비들로 이루고, 이 분할문비들을 관절부로 연결하여 수문이 자유로이 절곡되면서 개폐되게 함으로써, 수문 개.폐문의 작동범위를 가능한 최소하고 따라서 부대시설을 줄이어 시공비 절감과 환경친화적임은 물론 수문의 상측을 유효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한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농.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수문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인 둑에 구비되는 배수구에 수류와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개폐되게한 문비로 수량을 제어하는 수문으로서, 문비는 그 몸체를 수평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여러개로 나누어 이루는 분할문비들과, 분할문비들을 인접하는 분할문비와 자유로이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관절부와, 관절부를 이용해 절곡가능하게 설치되는 분할문비들은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동 력절단요소에 의해 개폐되게한 것 및 둑의 배수구 상측에 상기 문비의 폐문에 대해 교차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문되는 분할문비들을 수용하는 수납실을 갖추어서, 수문의 개폐작동범위를 최소화하고 수문의 상측을 유효한공간으로 할용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 수문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 수문은 문비의 몸체를 수평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여러개로 나누어 소단위로 이루는 분할문비들로 이루고, 이 분할문비들을 관절부로 연결하여 수문이 자유로이 절곡되면서 개폐되게 함과 동시 폐문되는 분할문비들을 배수구의 상부 측에서 폐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납실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수문 개.폐문의 작동범위를 가능한 최소하고 따라서 부대시설을 줄이어 시공비 절감과 환경친화적임은 물론 수문의 상측을 통행이 가능한 도로 등의 유효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인 둑(10)에 구비되는 배수구(12)에서 수류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개폐하는 문비로 수량을 제어하는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수문은 유압모터를 이용한 승강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문비(20)는 그 몸체를 수평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나누어 이루는 분할문비들(22)을 갖는 다.
이러한 문비(20)의 분할문비들(22)은 도 2에서와 같이 인접 측과 관절부(30)를 이용해 연결되어 개.폐문시 자유로이 절곡가능하게 된다.
또 문비(20)는 둑(10)의 배수구(12) 선단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40)에 안내되어 개.폐문을 이루게 될 것이다.
또한 둑(10)의 배수구(12) 상측에는 문비(20)의 폐문에 대해 교차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개문되는 분할문비들(22)을 수용하는 수납실(5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수납실(50)은 둑(10)의 주변환경에 따라 수평방향 이외 적당한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 문비(20)는 별도의 유압모터 또는 유압실린더 등의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하는 스프로킷휠형으로 이루는 동력전달요소(60)에 의해 개.폐문동작을 이룬다. 이때 스프로킷형의 동력전달요소(60)와 문비(20)의 동력전달을 위한 치합관계는 분할문비들(22)의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관절부(30)를 이용케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분할문비들(22) 사이를 별도의 체인로 연결하고 이 체인과 동력전달요소(60)를 치합하여 소기의 문비(20) 개.폐문작동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문비(20)의 분할문비들(22)에는 폐문시 인접측과 맞닿아 수밀성을 높이기 위해 밀폐부재(24)를 갖는다. 이러한 밀폐부재(24)는 분할문비들(22)의 선단 또는 관절부(30) 측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수문의 문비(20) 개.폐문 과정을 보이고 있는데, 도 3a는 문비(20)가 배수구(12)를 차단하여 저수상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3b는 배수구(12)를 차단하고 있던 문비(20)가 개문되어 저수된 물을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폐문상태에서 유압모터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동력전달요소(60)가 회전함과 동시 문비(20)의 분할문비들(22)이 배수구(12) 상측에 구비되는 수납실(50) 내로 수용되어 개문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수문의 폐문은 상기 개문동작의 역순으로 이루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수문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수문의 구성을 보여 주는 요부확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수문의 개.폐문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도 3a는 폐문시의 모습을 단면도이고,
도 3b는 개문시의 모습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둑 12 :배수구
20 :문비 22 :분할문비
24 :밀폐부재 30 :관절부
40 :프레임 50 :수납실
60 :동력전달요소

Claims (2)

  1.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인 둑에 구비되는 배수구에 수류와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개폐되게한 문비로 수량을 제어하는 수문으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상기 문비는 그 몸체를 수평방향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여러개로 나누어 이루는 분할문비들;
    상기 분할문비들을 인접하는 분할문비와 자유로이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관절부;
    상기 관절부를 이용해 절곡가능하게 설치되는 분할문비들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는 동력절단요소에 의해 개폐되게한 것; 및
    상기 둑의 배수구 상측에 상기 문비의 폐문에 대해 교차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문되는 분할문비들을 수용하는 수납실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문비들에는 상기 수문의 폐문시 인접하는 상기 분할문비와 기밀유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갖춘 수문.
KR1020090018367A 2009-03-04 2009-03-04 수문 KR20100099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67A KR20100099837A (ko) 2009-03-04 2009-03-04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67A KR20100099837A (ko) 2009-03-04 2009-03-04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837A true KR20100099837A (ko) 2010-09-15

Family

ID=4300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67A KR20100099837A (ko) 2009-03-04 2009-03-04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98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588A (ko) * 2016-05-10 2017-11-20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팬더리프트 가변교각형 댐
KR20180046498A (ko) * 2016-10-28 2018-05-09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발전기능을 갖는 다기능 댐
WO2019156260A1 (ko) * 2018-02-07 2019-08-15 삼화건설환경(주) 발전기능을 갖는 다기능 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588A (ko) * 2016-05-10 2017-11-20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팬더리프트 가변교각형 댐
KR20180046498A (ko) * 2016-10-28 2018-05-09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발전기능을 갖는 다기능 댐
WO2019156260A1 (ko) * 2018-02-07 2019-08-15 삼화건설환경(주) 발전기능을 갖는 다기능 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040B1 (ko) 복식 문비
KR20100099837A (ko) 수문
KR100937974B1 (ko) 하수관거용 펌프일체형수문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075831B1 (ko) 수문
KR20110095430A (ko) 하층수 배출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첨단 친환경 공법
KR101275510B1 (ko) 개폐가 용이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100514954B1 (ko) 하향식 가동보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200427634Y1 (ko) 수질개선의 기능을 갖는 가동보
KR200297673Y1 (ko) 자동 보의 수문 개폐장치
KR200454424Y1 (ko) 자동수문
KR200306425Y1 (ko) 이중 개폐 시스템의 구조에 의해 수문의 틈새가 완전수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
KR20010110379A (ko) 고정축이 벽체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
KR100503766B1 (ko) 어도겸용 하단부 배출식 자동보 수문 개폐장치
KR100496430B1 (ko) 고정축이 벽체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
KR200308612Y1 (ko) 이중 배출 시스템의 역활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정화되도록 작용하는 어도 겸용 수질개선용 자동보 수문
KR101163496B1 (ko) 반달형 회전식 자동수문장치
KR200310517Y1 (ko) 2중 개폐되는 하단부 배출방식의 어도 겸용 전도식자동보 수문
KR200236296Y1 (ko) 유동흰지의 작용에 의해 수직 또는 전,후 작동이 되도록구성되는 자동수문
JP3088524U (ja) 補助ゲート付きゲートポンプ設備
KR200236238Y1 (ko) 수직 상승 구조의 자동수문
KR200286800Y1 (ko) 완전 수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
KR20030007248A (ko) 이중 개폐 시스템의 구조에 의해 수문의 틈새가 완전수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과그 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