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826B1 -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 Google Patents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826B1
KR100641826B1 KR1020060040371A KR20060040371A KR100641826B1 KR 100641826 B1 KR100641826 B1 KR 100641826B1 KR 1020060040371 A KR1020060040371 A KR 1020060040371A KR 20060040371 A KR20060040371 A KR 20060040371A KR 100641826 B1 KR100641826 B1 KR 10064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vable beam
cylinder
support frame
wat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주
임승주
최일병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신강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06004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44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29/445Bar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어 수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수중보, 즉 가동보(可動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구동부에 의해 수문이 개폐되는 가동보에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하여, 수문의 개폐시에 수문의 틈 또는 수문구동부에 나뭇가지나 자갈 등의 협잡물이 끼어들어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는 수문 및 수문구동부를 협잡물로부터 격리함으로써 고장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됨은 물론,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류의 협잡물을 걸러주어 하류의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수중보, 가동보, 협잡물

Description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Movable weir having the filter for impurities}
도 1은 종래의 가동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동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동보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동보의 저수 및 방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동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동보 100 : 수중보 본체
110 : 통수구 120 : 받침틀
130 : 둑 140 : 요입홈
200 : 수문 210 : 패널
210a : 고무시이트 220 : 힌지브라켓
230 : 힌지결합구 240 : 힌지축
300 : 수문구동부 310 : 실린더
310a : 로드 320 : 실린더브라켓
330 : 로드브라켓 340 : 제어부
400 : 협잡물걸름구 410 : 바스크린
411 : 바 420 : 보호망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어 수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수중보, 즉 가동보(可動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구동부에 의해 수문이 개폐되는 가동보에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하여, 수문의 개폐시에 수문의 틈 또는 수문구동부에 나뭇가지나 자갈 등의 협잡물이 끼어들어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수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폭 방향으로 수중보를 설치하여 소정의 수량을 확보하여 가뭄을 대비하였다.
이러한 보로는 고정보와 가동보로 나뉘는데, 고정보는 단순히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담수하고 일정수위 이상의 물은 고정보의 상부로 월류되는 것으로써, 자유로운 수위조절이 불가능하고 저류수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류지역의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가동보는 필요에 따라 물을 담수 또는 방류하여 수위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종류로는 고무식과 기계식으로 나뉜다. 고무식 가동보는 하천에 고무튜브를 설치하여 이 고무튜브에 공기를 채워넣거나 배출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하여 물을 담수 또는 방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무식 가동보는 고무라는 재질의 한계가 있어 상류로부터 흘러내려오는 유석 또는 유목 등의 협잡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쉽게 파손되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상기 고무튜브에 여러가지 합성섬유 및 와이어(wire)를 첨가하거나, 고강도의 콘크리트 패널 또는 스테인레스 패널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고무튜브의 급, 배기를 통하여 상기 패널이 회동함으로써 수위를 조절하는 고무식 가동보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무식 가동보는 상기 고무튜브를 보호하는 데는 효과가 있겠으나, 상기 패널이 회동되는 회동부위에 상류로부터 흘러내려오는 협잡물이 쉽게 끼이게 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어렵고, 고가의 철판 패널 및 고무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계식 가동보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수문을 실린더와 같은 개폐수단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수위를 조절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 1은 이러한 기계식 가동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기계식 가동보는 양측 지지구조물(1)에 설치된 회동부(2a)에 결합되는 수문(2)과, 상기 수문(2)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3)와, 상기 지지구조물(1)의 바닥면과 상기 수문(2)에 각각 관절부재(4)(5) 및 상기 관절부재(4)(5)와 상기 유 압실린더(3)를 연결하는 링크(3a)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의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링크(3a)가 절첩되어 상기 수문(2)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동보 역시 상기 수문(2)의 회동부(2a)나 상기 수문(2)을 구동하는 부위가 노출되어 있어 상류로부터 흘러내려오는 협잡물이 쉽게 끼이게 되어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비가 상승됨을 물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문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수문이 설치된 가동보에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하여 수문 및 수문구동부가 나뭇가지나 자갈 등과 같은 협잡물에 의해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류의 협잡물을 걸러줌으로써 하류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수문을 복수개 설치하여 상기 수문이 필요에 따라 각각 또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천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의 중앙에 둑이 형성되고, 상기 둑에 물이 통수되는 통수구가 구비된 수중보본체에 수문이 설치되며, 상기 수문을 개폐하는 수문구동부에 의해 저수량이 조절되는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통수구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다수개의 바를 등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 바스크린과, 전면 및 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의 스테인레스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틀 및 상기 둑의 하류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문과 상기 수문구동부를 둘러싸는 보호망으로 구성된 협잡물걸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동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동보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동보의 저수 및 방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동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10)는 하천을 가로질러 시공되며 통수구(110)가 구비된 수중보본체(100), 상기 수중보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통수구(110)를 밀폐하는 수문(200), 상기 수문(200)을 개폐하는 수문구동부(300), 상기 수문(200) 및 상기 수문구동부(300)를 협잡물로부터 보호하는 협잡물걸름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중보본체(10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써 하천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받침틀(120)과 상기 받침틀(120)의 중앙에 둑(130)이 형성되고, 상기 둑(130)에 물이 통수되는 상기 통수구(110)를 구비하되 상기 통수구(110)는 하천의 폭 또는 하천의 수량에 따라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구비하며, 상기 통수구(110)에 인접하는 요입 홈(140)이 상기 둑(130)을 중심으로 하류측의 받침틀(120)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틀(120)은 상류측이 높이(L1)가 하류측의 높이(L2)보다 높게 형성되어 수문(200)의 개방시에 원활한 방류가 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둑(130)의 상류측 상단을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만수시에 물의 월류(越流)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수문(200)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고강도의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상기 통수구(110)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패널(210)과, 상기 패널(210)의 하단에 힌지결합구(220)를 구비하고, 상기 통수구(110)의 하류측 받침틀(120)에 힌지브라켓(230)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결합구(220)를 상기 힌지브라켓(230)에 힌지축(240)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패널(210)이 상기 힌지축(24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210)의 내측면에 고무시이트(210a)를 부착하여 상기 패널과(210) 상기 통수구(110)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수문구동부(300)는 상기 수문(2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어 왕복운동하는 실린더(3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하천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3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실린더(310)는 상기 수중보본체(100)의 요입홈(140)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브라켓(32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310)의 로드(310a)가 상기 수문(200)의 패널(21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로드브라켓(33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로드(310a)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수문(200)이 개폐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문구동부(300)는 물의 수위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 부(340)를 작동자가 조작함으로써 구동되는데, 일정 수위가 되면 자동으로 상기 수문구동부(300)를 구동하여 상기 수문(20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40)로 신호를 송출하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협잡물걸름부(400)는 상기 통수구(110)에 설치되는 바스크린(410)과 상기 받침틀(120) 및 상기 둑(130)의 하류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문(200)과 상기 수문구동부(300)를 둘러싸는 보호망(420)을 포함한다.
상기 바스크린(410)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고강도의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411)를 등간격으로 설치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10~20mm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문(200)의 개방시에 상류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나뭇가지나 각종 쓰레기와 같은 협잡물들을 걸러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스크린(410)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통수구(110)의 상류측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걸러진 협잡물들을 관리자가 상기 둑(130)위에 서서 제거하기가 수월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망(420)은 전면 및 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의 스테인레스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틀(120) 및 상기 둑(130)의 하류측면에 고정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5~10mm의 직경을 갖는 스테인레스망으로 형성되며 앙카볼트와 같은 결합부재(421)로 고정된다. 즉, 상기 보호망(420)은 상기 수문(200)과 상기 수문구동부(300)를 둘러싸게되어, 수중의 자갈이나 협잡물들이 상기 수문(200)의 회동부위나 상기 수문구동부(300)로 끼어들어가 기능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부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 보(10)는 하천에 설치되어 물을 담수 또는 방류하여 하천의 수위를 조절한다.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수중보본체(100)를 설치하는데, 하천의 바닥에 콘크리트로 받침틀(120)을 설치하고, 이 받침틀(120)의 중앙에 둑(130)을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막아 담수되도록 하되, 상기 둑(130)에 물이 방류되는 통수구(110)를 수량 또는 하천의 폭에 따라 하나 이상 형성한다. 이때 상기 통수구(110)에는 다수개의 바(411)를 등간격으로 배열한 바스크린(410)을 설치하고, 하류측 받침틀(120)에는 상기 각각의 통수구(110)에 인접하는 요입홈(140)을 형성하여 수중보본체(100)의 설치를 마친다.
설치된 수중보본체(100)에는 상기 통수구(110)를 개폐하는 수문(200)을 설치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수중보본체(100)의 하류측 받침틀(120)에 힌지브라켓(230)을 설치하고, 이 힌지브라켓(230)에 상기 통수구(110)를 밀폐하는 패널(210)을 결합하되, 상기 패널(210)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결합구(220)를 힌지축(240)으로 결합하여 수문(200)의 설치를 마친다.
설치된 수문(200)에는 수문구동부(300)를 결합하는데, 하천 외부의 제어부(340)와 연결되어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310)를 상기 수중보본체(100)의 요입홈(140)에 설치된 실린더브라켓(32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이 실린더의 로드(310a)를 상기 패널(2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로드브라켓(33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보호망(420)은 상기 수문(200)과 상기 수문구동부(300)를 둘러싸도록 결합하는데, 상기 하류측 받침틀(120)과 상기 둑(130)의 하류측면에 결합부재(421)로 고 정설치함으로써 가동보(10)의 모든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10)는 상기 수문(200)을 개폐에 따라 물을 담수 또는 방류하여 갈수기 및 홍수에 대비하게된다.
물의 담수시에는 관리자가 상기 수문구동부(300)의 제어부(340)를 조작하여 유압 또는 공압을 실린더(310)로 전달하게 되고, 이 실린더(310)는 로드(310a)를 인출하여 상기 로드(310a)에 결합된 수문(200)의 패널(210)을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수문(200)을 폐쇄하게 되는데, 상기 수문(200)의 패널(210)이 힌지축(24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승하며, 이 패널(210)이 수중보본체(100)의 통수구(110)를 밀폐하여 물을 담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21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310)가 실린더브라켓(32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패널(210)을 안정적으로 받춰주게 되며, 상기 패널(210)은 내측면에 구비된 고무시이트(210a)에 의해 상기 통수구(110)와의 수밀이 유지된다.
한편, 물의 담수시에는 나뭇가지나 쓰레기, 자갈 등의 협잡물들이 상기 수문(200)의 틈이나 수문구동부(300)에 끼어 작동불능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협잡물들은 상기 보호망(420)에 의해 걸러져 상기 수문(200) 및 수문구동부(300)로의 접근이 불가능해진다.
물의 방류시에는 관리자가 상기 수문구동부(300)의 제어부(340)를 조작하여 유압 또는 공압으로 상기 실린더(310)의 로드(310a)를 인입함으로써 상기 수문(200)을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수문(200)의 패널(210)이 상기 힌지 축(24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강하게 되고, 회동하는 패널(210)의 궤적에 따라 상기 실린더(310)가 상기 실린더브라켓(32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40)는 경우에 따라 하천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미도시)의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상기 실린더(310)를 작동하여 상기 수문(200)을 개방 또는 폐쇄하며, 필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의 수문(200)들을 개폐한다.
한편, 담수시에는 담수기간에 따라 상기 패널(210)의 표면에 침전물이 끼이게 되는데, 상기 패널(210)의 개방시에 수압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방류시에는 상류로부터 나뭇가지나 쓰레기 같은 협잡물들이 떠내려오게 되는데, 이러한 협잡물들은 상기 통수구(110)에 설치된 바스크린(410)에 걸러지게 되고, 걸러진 협잡물들은 관리자에 의해 제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는 수문 및 수문구동부를 협잡물로부터 격리함으로써 고장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됨은 물론, 설치비용 이 저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류의 협잡물을 걸러주어 하류의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하천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의 중앙에 둑이 형성되고, 상기 둑에 물이 통수되는 통수구가 구비된 수중보본체에 수문이 설치되며, 상기 수문을 개폐하는 수문구동부에 의해 저수량이 조절되는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통수구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다수개의 바를 등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 바스크린과;
    전면 및 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의 스테인레스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틀 및 상기 둑의 하류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문과 상기 수문구동부를 둘러싸는 보호망으로 구성된 협잡물걸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본체의 하류측 받침틀에는 상기 통수구에 인접하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문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고강도의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상기 통수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하단에 힌지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통수구의 하류측 받침틀에 힌지브라켓이 설치되어, 상기 힌지결합구가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수문구동부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어 왕복운동하는 실린더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하천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갖추어지되, 상기 실린더는 상기 수중보본체의 요입홈에 고정설치된 실린더브라켓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패널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로드브라켓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걸름부의 바스크린은 상기 통수구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다수개의 바를 10~20mm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걸름부의 보호망은 직경이 5~10mm의 스테인레스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본체의 받침틀의 높이는 상기 둑을 중심으로 상류측이 하류측보 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기 패널의 상류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통수구와의 수밀을 유지하는 고무시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구동부는 하천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KR1020060040371A 2006-05-04 2006-05-04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KR10064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371A KR100641826B1 (ko) 2006-05-04 2006-05-04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371A KR100641826B1 (ko) 2006-05-04 2006-05-04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826B1 true KR100641826B1 (ko) 2006-11-02

Family

ID=3764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371A KR100641826B1 (ko) 2006-05-04 2006-05-04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82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04B1 (ko) 2008-06-19 2010-08-23 (주)대흥이엔지 배수암거용 스크린장치
KR101002266B1 (ko) 2008-03-27 2010-12-20 (주)맥신 가변 지지대
KR101116660B1 (ko) * 2009-06-30 2012-03-07 진두남 배수관용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101357453B1 (ko) 2013-09-30 2014-02-03 (주)경신이엔씨 접이식 가동보 개폐장치
KR101363621B1 (ko) * 2007-07-27 2014-02-19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
KR101581806B1 (ko) * 2015-03-27 2015-12-31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다기능 복합 모듈댐
CN110205991A (zh) * 2019-06-19 2019-09-06 信元利 一种水利工程的滤杂防堵闸
KR20200120027A (ko) * 2019-04-11 2020-10-21 황대연 수질 개선형 보
US20220154416A1 (en) * 2010-04-23 2022-05-19 French Development Enterprises, LLC Precast Dam Structure With Flowpath
KR102514615B1 (ko) * 2022-03-03 2023-03-29 김은호 신개념 지능형 가동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21B1 (ko) 2003-10-06 2004-05-20 한갑석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200355826Y1 (ko) 2004-04-02 2004-07-09 김상현 하천용 수문
KR200364474Y1 (ko) 2004-07-19 2004-10-19 김경수 유압식 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21B1 (ko) 2003-10-06 2004-05-20 한갑석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200355826Y1 (ko) 2004-04-02 2004-07-09 김상현 하천용 수문
KR200364474Y1 (ko) 2004-07-19 2004-10-19 김경수 유압식 수문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621B1 (ko) * 2007-07-27 2014-02-19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
KR101002266B1 (ko) 2008-03-27 2010-12-20 (주)맥신 가변 지지대
KR100977604B1 (ko) 2008-06-19 2010-08-23 (주)대흥이엔지 배수암거용 스크린장치
KR101116660B1 (ko) * 2009-06-30 2012-03-07 진두남 배수관용 협잡물 스크린 장치
US20220154416A1 (en) * 2010-04-23 2022-05-19 French Development Enterprises, LLC Precast Dam Structure With Flowpath
US11708674B2 (en) * 2010-04-23 2023-07-25 W.L. French Hydropower Holdings Llc Precast dam structure with flowpath
KR101357453B1 (ko) 2013-09-30 2014-02-03 (주)경신이엔씨 접이식 가동보 개폐장치
KR101581806B1 (ko) * 2015-03-27 2015-12-31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다기능 복합 모듈댐
KR20200120027A (ko) * 2019-04-11 2020-10-21 황대연 수질 개선형 보
KR102300357B1 (ko) * 2019-04-11 2021-09-08 황대연 수질 개선형 보
CN110205991A (zh) * 2019-06-19 2019-09-06 信元利 一种水利工程的滤杂防堵闸
KR102514615B1 (ko) * 2022-03-03 2023-03-29 김은호 신개념 지능형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826B1 (ko)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CN104975648B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101220901B1 (ko)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20030041900A (ko) 다단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자연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구성방법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913210B1 (ko) 밀폐형 배수로 덮개
KR100902260B1 (ko) 수문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집수조를 구비하는 전도식수문
KR20180078734A (ko) 빗물받이 개폐 장치
KR101931526B1 (ko)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101070244B1 (ko) 저층수 배출장치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0872492B1 (ko) 양어장 용수 협잡물 제거장치
KR20080037749A (ko) 후랩밸브가 부착된 배수문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20120094877A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면서 가뭄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중력의 작용을 차단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저층수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345769B1 (ko) 저류조 시스템
KR101444426B1 (ko)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
KR102657588B1 (ko) 수량변동에 따른 운전부하 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시스템
KR101317391B1 (ko) 긴급 상황용 강제배수 기능을 갖는 제진기
KR20100099837A (ko) 수문
KR200234791Y1 (ko) 토사유입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