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244B1 - 저층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저층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244B1
KR101070244B1 KR1020100111882A KR20100111882A KR101070244B1 KR 101070244 B1 KR101070244 B1 KR 101070244B1 KR 1020100111882 A KR1020100111882 A KR 1020100111882A KR 20100111882 A KR20100111882 A KR 20100111882A KR 101070244 B1 KR101070244 B1 KR 10107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rise
water
gate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순
Original Assignee
청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되고 확실한 개폐가 가능한 저층수 배출장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메인 수문에 대해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수압에 의해 확실한 수밀이 가능한 저층수 배출장치로서, 상기 메인 수문부(10)와 인접하는 하우징부(30); 및 상기 하우징부(30)와 결합되어 저층수를 배출하는 저층수 배출장치(20); 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30)는, 하천 저류지와 연결되어 있어 저층수가 배출되는 저층수로(50)가 형성되도록 하는 배수관(33)을 포함하며, 상기 저층수 배출장치(20)는, 상기 배수관(33)의 선단에 형성되어 담수시에는 상기 배수관(33)을 폐쇄하며 저층수 배수시에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상기 배수관(33)을 개방시키는 제1 저층수문(21)과, 상기 제1 저층수문(21)를 개폐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층수 배출장치{Apparatus for draining ground water}
본 발명은 저층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등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메인 수문의 하측에 별도로 설치되어 메인 수문의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하천의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한 저층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수압 또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수문 본체에 의해 수로를 개폐하여 수로 상류측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보 수문이 설치되는바, 수량 조절 목적으로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 일정 기간 폐쇄된 상태로 하천수를 가두어 두는 경우에는, 저부의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저층수가 부패하여 수질오염의 주범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천환경에 여러 가지 목적으로 보를 설치하여 담수를 함으로써 인간의 삶에 이용하도록 하나, 담수된 물의 정체로 인한 부영양화와 퇴적토 또는 오니가 쌓여 홍수 등의 자연재해 발생시 더 큰 피해를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을 훼손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위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보에 있는 메인 수문 외에 저층수 관로를 만들어 메인 수문의 개폐와 무관하게 저층수를 배출시킴으로써 퇴적토 및 저층수의 부영양화를 해결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 종래기술로서 한국 특허공개 제2003-63272호를 비롯한 다양한 사이펀식 수문이 제안되었다. 사이펀식 수문이란,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문 본체(100) 내에 분리벽(154)을 형성하고 저층수 배출구(144)를 수문 외벽(56)의 저부에 형성하여 사이펀 현상에 의해 수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저층수가 유입수 배출구(144) 및 수문 내부의 배수 통로(116) 및 사이펀 통로(13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펀식 수문은 기압차에 의해 저층수가 사이펀 통로(13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므로 소음이 심하고 특히 야간에는 큰 민원을 제기하는가 하면, 동계에는 수문 내부의 물이 응고하여 수문의 파손을 가져오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어 현재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있다.
한편, 어도를 형성하면서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종래기술로서 상기 공보에는 도 1b에서와 같은 어도 개폐판(110)을 수문 본체(110)에 설치하거나 혹은 도 1c에서와 같은 제3 종래기술로서의 어도 개폐판(120)을 수문 기부에 설치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의 경우, 수문 본체(110)에 직접 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고, 상기 제3 종래기술의 경우, 수문의 저부에 설치시에도 메인이 되는 수문 본체(110)에 대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견고한 설치가 불가능하며 주 수문과 저층수문의 개별적인 작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상기 제2 및 제3 종래기술의 경우, 좁은 공간에 어도 및 저층수 개폐문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어도 및 저층수 개폐문을 개폐하는 회동부재(119)의 구조가 큰 제약을 받게 되며, 어도 및 저층수 개폐문의 확실한 개폐가 곤란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하천 저면에 설치되는 관계로 이물질이나 해초에 의해 자주 막히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4 종래기술로 도 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천의 하부에 별도의 배출통로(218)를 마련하고, 브라켓(217)을 통해 저층수문인 철판패널(210)을 에어백(220)에 의해 개폐시킴으로써 저층수를 배출하는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상의 제4 종래기술은, 주 수문과 동일 위치에 설치시 저층수문 크기만큼 주 수문이 상승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며, 주 수문과 별도의 위치에 별도의 장치를 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배가된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존재하며, 더욱이 공기압으로 저층수문을 개폐시에는 지수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4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하천의 깊이가 깊을수록 수압에 의해 지수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아울러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정되고 확실한 개폐가 가능하며 수압에 의해 지수효과가 증가되는 저층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메인 수문에 대해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저층수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초나 이물질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간단한 변형으로 어도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저층수 배출장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장치는, 메인 수문부(10)의 저부에 위치하는 저층수 배출장치로서, 상기 메인 수문부(10)와 인접하는 하우징부(30); 및 상기 하우징부(30)와 결합되어 저층수를 배출하는 저층수 배출장치(20); 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30)는, 하천 저류지와 연결되어 있어 저층수가 배출되는 저층수로(50)가 형성되도록 하는 배수관(33)을 포함하며, 상기 저층수 배출장치(20)는, 상기 배수관(33)의 선단에 형성되어 담수시에는 상기 배수관(33)을 폐쇄하며 저층수 배수시에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상기 배수관(33)을 개방시키는 제1 저층수문(21)과, 상기 제1 저층수문(21)를 개폐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배수관(33)은 L자형이며, 상기 배수관의 출수구에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제2 저층수문(22)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2 저층수문(22)의 출수구 방향으로 방향전환판(23)이 걸려있어, 저층수 출수 시에 상기 배수관(33)의 입수구로 배출되는 저층수가 상기 방향전환판(2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저층수문(21)의 상부에는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망(25)이 구비되어 있거나,
상기 제1 저층수문(21)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유지 및 관리에 필요한 출입구가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천공된 부위에 저층수문 커버(21b)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구동부는, 유압잭(24)과 유압잭의 커넥터로드(24c)의 연장부인 샤프트(24b)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잭의 구동력이 상기 제1 저층수문(21), 상기 제2 저층수문(22),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저층수문(21,22) 모두에 전달되며, 상기 커넥터로드(24c)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인 실린더룸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24b)는 상기 실린더룸과 저층수로(50)를 왕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저층수문(21)이 상기 배수관(33)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부(30)과 접촉하는 부위 및 상기 제2 저층수문(22)이 상기 하우징부(30)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지수용 러버(21a, 22a)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인 실린더룸에 제1 체크밸브(26a)가 설치되거나, 상기 배수관(33)과 지지체(14)인 배수관(33) 안쪽에 제2 체크밸브(26b)가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실린더룸과 배수관 모두에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이를 유로관(26c)으로 연결하여 누수 시에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전도식 수문부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고서도 저층수의 하천수를 적절히 배출시킬 수 있는 저층수 배출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며, 메인 수문비의 높이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는가 하면, 저층수문이 메인 수문 저부에 지하로 위치하므로 미감상으로도 깔끔한 외관을 갖는 것이 가능하며, 수압에 의해 지수효과가 증가되므로 하천의 깊이가 깊을수록 더욱 확실한 지수가 가능한 저층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스크린망을 간단하게 설치하여 이물질이 배출구를 막지 않도록 하거나, 혹은 스크린망을 간단하게 제거하는 경우에는 어도로서 기능할 수 있어, 융통성이 높아진다.
아울러, 방향전환판을 설치하는 경우, 저층수로 관로 내에 이물질이 떨어져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배수로의 경사도를 완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a는 제1 종래기술의 사이펀식 수문.
도 1b는 제2 종래기술의 어도 개폐판을 갖는 수문.
도 1c는 제3 종래기술의 수문 기부에 설치되는 어도 개폐판을 갖는 수문.
도 1d는 제4 종래기술의 수문 기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개폐방식에 의한 보조수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일부 분리 및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단면도로서 저층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단면도로서 저층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하방에서 올려다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일부 분리 및 절단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4는 저층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저층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장치의 하방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장치 개폐장치는 메인 수문부(10)와 인접하여 메인 수문(11)의 하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도록 한다. 이는, 저층수량은 전체 통수량의 최대 5% 이하로 배출을 하면 족하므로, 메인 수문에 비해 일정 수준에서 소형 보조수문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발명자는 2010년 7월 8일자로 출원된 또다른 특허출원 제2010-65845호 "저층수 배출용 저층수문"을 출원한바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특허출원을 보다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특허출원의 기술이 일부 적용되는바, 따라서 상기 출원 명세서의 내용은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한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어진다.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장치는, 메인 수문부(10)와 인접하여 에이프런(40) 상의 지지체(14)에 의해 지지되는 하우징부(30)와 하우징부(30)에 내장되며 저층수문의 개폐를 통해 저층수를 배출하는 저층수 배출부(20)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수문 회전축(12)을 갖는 메인 수문본체(11)와 밀폐 고무판(13)을 갖는 메인 수문부(10)의 상류측 저부에 위치한다.
즉,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수문부 저부에 설치된 수문 회전축(12)를 일측에서 지지하는 H형빔 지지체(14)의 타측에 하우징부(30)을 통해 지지되어진다. 먼저 저층수가 배출되는 저층수로(50)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부(30)의 배수관(33)이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어지는바, 상기 배수관(33)은 대체로 L형으로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33)의 하류측은 메인 수문의 하류에 연결되며, 상류측은 하천 저류지와 연결되어, 배수관(33)의 선단은 평소에는 제1 저층수문(21)에 의해 폐쇄되어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부(30)을 더 상술하면, 제1 저층수문(21)을 개폐하는 구동부(24~24d)를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부를 내장하는 바닥부(31), 상기 바닥부와 함께 하우징부를 형성하는 제2 커버(32') 및 하우징부를 형성하면서 수리나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상측의 제1 커버(32)로 구성되어지며, 하우징부의 하류측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배수관(33)에 의해 밀폐되어 진다.
한편, 상기 저층수 배출부(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1 저층수문(21)은, 상기 배수관(33) 및 제2 커버(32')의 상측에서 가이드 프레임(21c)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배수관(33)의 선단을 직접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바, 그 슬라이딩은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바닥부(31)에 장착된 유압잭 브라켓(24a)에 고정 지지되는 유압잭(24)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압잭의 커넥터로드(24c)가 신장 및 압축되면서 제1 저층수문(21)을 슬라이딩시키는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수관(33)의 선단을 밀폐하도록 일례로 사각판 형상을 취하는 제1 저층수문(21)의 하면에 제2 저층수문(22)이 부착되며, 다시 상기 제2 저층수문(22)에 커넥터로드(24c)가 부착되는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로드(24c)는 하우징부의 실린더룸 내부에서만 이동하도록 커넥터로드의 선단에 연결잭(24d)을 통해 샤프트(24b)가 연장되어지며, 이 샤프트(24b)가 비로소 제2 저층수문(22)에 접속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제2 저층수문(22)이 제1 저층수문(21)에 부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저층수문(21)에 커넥터로드가 직접 부착되어지도록 제2 저층수문(22)을 생략하여도 되며, 다만 제2 저층수문(22)이 존재하는 경우 L자형 배수구(33)의 배수구측을 다시 한번 개폐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개폐가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유압잭 샤프트(24b) 역시 없어도 되나, 상기 샤프트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배수구의 수로 내를 왕복운동하되, 상기 샤프트가 상기 배수구(33)를 관통하는 지점에 플랜지(36)가 형성되고 오일레스 부시(37)가 형성됨으로써 수밀을 유지하면서 샤프트의 원할한 진행을 하도록 하며, 반면 상기 커넥터로드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유압잭을 포함한 저층수문의 구동부(24~24d)의 수명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저층수문(21)의 일부는 유지 관리에 사용되어질 관통홀이 형성되되,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를 체결볼트(21b')를 사용하여 저층수문 커버(21b)로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저층수로(50)에 이물질이 끼어 막히거나 배출장치의 수리나 유지관리시 커버를 탈리하여 관통홀을 개방하기 위해 필요하며, 제1 저층수문(21)과 저층수문 커버(21b) 사이에는 지수를 위해 러버(21a)로 패킹처리 되어진다.
아울러, 제1 저층수문(21)이 하우징부(30) 및 배수관(33) 상에서 가이드프레임(21c)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저층수로(50)를 통해 메인 수문본체(11)의 개폐와 무관하게 저층수를 흘려보내거나 차단하는바, 이를 위해 제1 저층수문(21)이 밀폐동작시 맞닿는 배수관(33)의 상당 부위에는 역시 러버(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브라켓(35)으로 상기 러버(34)를 고정하고, 상기 제1 저층수문(21)의 선단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선단은 상호 치합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양 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한편, 제1 저층수문(21)이 배수관(33)의 입수구를 밀폐하는데 반해, 제1 저층수문(21)과 직각 방향으로 전개되면서 제1 저층수문(21)과 함께 이동하는 제2 저층수문(22)은 배수관(33)의 출수구를 밀폐함으로써 저층수 밀폐시 누수를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바, 역시 제2 저층수문(22)의 배수관(33)과 맞닿는 부위에도 패킹용 러버(22a)가 부착되어지며, 더 바람직하기로는 제2 저층수문(22)의 하단이나 중간 부위에 제1 브라켓(22b)을 형성하고 여기에 방향전환판(23)이 설편과 같이 돌출되면서 걸려있도록 하는바, 이 경우 저층수가 낙하할 때에 L형 배수관(33)의 바닥이 직접 낙하하지 않고 상기 방향전환판(23)에 일차로 부딪힌 후에 방향을 전환하여 저층수로(50)로 배출되므로, 배수관에 대한 충격을 줄이고 수초나 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배수관 바닥에 누적되지 않도록 하면서, 한편 상기 저층수로(50)가 어도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어도의 상.하류의 수위 편차를 줄여 어류가 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수관(33)에 의해 형성되는 저층수로(50)가 어도의 역할을 겸하도록 할 경우에는 이상의 구성으로 족하나, 한편으로는 어도의 역할이 불필요하고 대신 수초나 상류에서 떠내려온 비닐과 같은 각종 이물질로 상기 배수관(33)이 막히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저층수문(21) 상에 일례로 철망과 같은 스크린망(2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스크린망(25)의 사방 연부를 스크린망 커버(25a)을 통해 상기 제2 커버(32')나 상기 지지체(14) 상에 체결볼트(25b)를 통해 고정하도록 한다 (도 6 참조).
더욱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종 러버의 마모나 금속의 변형으로 인하여, 상기 실린더룸 안이나 혹은 배수관(33) 안쪽 (배수관과 H형빈의 지지체 사이) 에 물이 찰 경우를 가정하여, 체크밸브(26a, 26b)를 설치하고, 이를 유로관(26c)로 연결하여,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와 같은 추가적인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참고로, 부재번호 21b', 25b 및 32b는 각종 커버의 체결볼트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장치의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수 시에는 유압잭(24)의 커넥터로드(24c)가 인출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제1 저층수문(21)이 배수관(33)의 입수구를 폐쇄하고 제2 저층수문(22)이 배수관(33)의 출수구를 폐쇄하고 있다가, 저층수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압잭(24)의 커넥터로드(24c)가 수축하도록 함으로써, 제1 저층수문(21)이 슬라이딩하면서 도면에서의 좌방으로 이동하여 제1 저층수문(21)이 배수관(33)의 입수구를 개방하고 동시에 제2 저층수문(22) 역시 좌방으로 이동하여 배수관(33)의 출수구를 개방하게 된다. 결국 저층수문(21, 22)이 개방되고 저층수가 저층수로(50)를 따라 하류로 방류되어 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제1 저층수문(21)은 수압에 의한 지수를 하게 되므로, 물의 양이 많을수록 지수에 더 효과적이다. 아울러, 유압잭(24)에 의한 압착으로 지수를 하는 제2 저층수문(22)이 추가로 설치되며, 양 저층수문(21, 22)이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제어되므로 다른 구동장치의 추가가 없이도 더욱 확실한 지수가 가능하다.
아울러, 방향전환판(23)에 의해 저층수로(50) 내에 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떨어져 쌓이지 않도록 하며, 설사 이물질이 쌓여도 제2 저층수문(22)의 개폐운동에 의해 지수고무(22a) 및 제1 브라켓(22b)이 이물질을 출구쪽으로 밀어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장치 상에 스크린망(25)을 설치하여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장치는 스크린망을 제거하면 어도의 기능도 겸비할 수 있는바, 이 경우에는 어도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낙차를 200mm 이내로 하며, 제2 저층수문(22)의 앞쪽에 물 방향전환판(23)을 설치하여 실제 어도의 경사도를 보다 완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장치에 의하면, 하천 주 수문의 통수량을 줄이지 않고도 저층수로를 하류쪽 에이프런과 높이를 일치시켜 저층수 및 이물질의 정체 없이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저층수문의 개폐를 위한 동력원으로서 설치된 유압 실린더의 경우에 유압실린더의 직선 운동으로 수문이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같은 구동력에 비하여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 메인 수문부 11 : 메인 수문본체
12 : 수문 회전축 13 : 밀폐 고무판
14 : 지지체
20 : 저층수 배출부 21 : 제1 저층수문
21a : 러버 21b : 저층수문 커버
21b' : 체결볼트 21c : 가이드프레임
22 : 제2 저층수문 22a : 러버
22b : 제1 브라켓 23 : 방향전환판
24 : 유압잭 24a : 유압잭 브라켓
24b : 유압잭 샤프트 24c : 커넥터로드
24d : 연결잭 25 : 스크린망
25a : 스크린망 커버 25b : 체결볼트
26a : 제1 체크밸브 26b : 제2 체크밸브
26c : 유로관
30 : 하우징부 31 : 바닥부
32,32' : 제1 커버, 제2 커버 22b : 체결볼트
33 : 배수관
34 : 러버 35 : 제2 브라켓
36 : 플랜지 37 : 오일레스 부시
40 : 에이프런 50 : 저층수로

Claims (8)

  1. 메인 수문부(10)의 저부에 위치하는 저층수 배출장치로서,
    상기 메인 수문부(10)와 인접하는 하우징부(30); 및
    상기 하우징부(30)와 결합되어 저층수를 배출하는 저층수 배출장치(20);
    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30)는, 하천 저류지와 연결되어 있어 저층수가 배출되는 저층수로(50)가 형성되도록 하는 배수관(33)을 포함하며,
    상기 저층수 배출장치(20)는, 상기 배수관(33)의 선단에 형성되어 담수시에는 상기 배수관(33)을 폐쇄하며 저층수 배수시에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상기 배수관(33)을 개방시키는 제1 저층수문(21)과, 상기 제1 저층수문(21)를 개폐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33)은 L자형이며, 상기 배수관의 출수구에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제2 저층수문(22)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층수문(22)의 출수구 방향으로 방향전환판(23)이 걸려있어, 저층수 출수 시에 상기 배수관(33)의 입수구로 배출되는 저층수가 상기 방향전환판(2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층수문(21)의 상부에는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망(2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층수문(21)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유지 및 관리에 필요한 출입구가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천공된 부위에 저층수문 커버(21b)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유압잭(24)과 유압잭의 커넥터로드(24c)의 연장부인 샤프트(24b)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잭의 구동력이 상기 제1 저층수문(21), 상기 제2 저층수문(22),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저층수문(21,22) 모두에 전달되며,
    상기 커넥터로드(24c)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인 실린더룸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24b)는 상기 실린더룸과 저층수로(50)를 왕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층수문(21)이 상기 배수관(33)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부(30)과 접촉하는 부위 및 상기 제2 저층수문(22)이 상기 하우징부(30)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지수용 러버(21a, 22a)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내부인 실린더룸 또는 상기 배수관(33) 안쪽 중 최소한 어느 일측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에는 유로관(26c)이 연결되어 누수 시에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장치.
KR1020100111882A 2010-11-11 2010-11-11 저층수 배출장치 KR10107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82A KR101070244B1 (ko) 2010-11-11 2010-11-11 저층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82A KR101070244B1 (ko) 2010-11-11 2010-11-11 저층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244B1 true KR101070244B1 (ko) 2011-10-06

Family

ID=4503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882A KR101070244B1 (ko) 2010-11-11 2010-11-11 저층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2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826B1 (ko) * 2016-01-04 2017-09-01 신지호 수문의 저층수 배수장치
KR101815490B1 (ko) * 2016-01-04 2018-01-30 신지호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2393A (ja) 2002-11-13 2004-06-10 Kaisei Kogyo Kk 逆流防止ゲートの土砂排出構造
KR100660008B1 (ko) 2006-09-15 2006-12-2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퇴적물 방류기능을 갖는 하천 수중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2393A (ja) 2002-11-13 2004-06-10 Kaisei Kogyo Kk 逆流防止ゲートの土砂排出構造
KR100660008B1 (ko) 2006-09-15 2006-12-2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퇴적물 방류기능을 갖는 하천 수중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826B1 (ko) * 2016-01-04 2017-09-01 신지호 수문의 저층수 배수장치
KR101815490B1 (ko) * 2016-01-04 2018-01-30 신지호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923B1 (ko) 하수용 우수토실
KR100641826B1 (ko)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2035183B1 (ko)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KR100812634B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CN104975648B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20220124811A (ko)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KR101070244B1 (ko) 저층수 배출장치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CN208415460U (zh) 一种新型市政工程用防堵塞排水井道结构
KR101403502B1 (ko) 스크린 일체형 펌프 게이트 장치
KR100907021B1 (ko) 유압식 전도 수문
KR100902260B1 (ko) 수문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집수조를 구비하는 전도식수문
KR20110095430A (ko) 하층수 배출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첨단 친환경 공법
CN207436237U (zh) 一种提升式捞渣装置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149849B1 (ko) 호안 및 호안의 안정화를 위한 범람방지용 생태하천 구조물
RU90806U1 (ru) Самопромывной дренаж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2006229B1 (ko) 하층수 방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582592B1 (ko) 수압 자중식 수문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1111241B1 (ko) 펌프 일체형 수문의 펌프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