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811A -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Google Patents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4811A KR20220124811A KR1020227029134A KR20227029134A KR20220124811A KR 20220124811 A KR20220124811 A KR 20220124811A KR 1020227029134 A KR1020227029134 A KR 1020227029134A KR 20227029134 A KR20227029134 A KR 20227029134A KR 20220124811 A KR20220124811 A KR 20220124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shing
- tank
- storage tank
- rainwater
- g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8—Cleaning devices providing a flushing sur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를 포함하며, 플러싱 탱크는 상기 저류조와 인접하고, 플러싱 탱크의 일측은 저류조 내에 설치되며, 플러싱 탱크의 높이는 저류조의 높이보다 높고,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사이의 벽면 저부에는 플러싱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사이의 벽면 중부에는 연통홀이 설치되어 있고, 연통홀에는 전자 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자 밸브의 입구단에는 호스를 통해 플로트가 연결되어 있고, 플로트는 저류조 내에 위치하며, 플로트의 하단에는 입수홀이 설치되어 있고; 플러싱 탱크의 정상부에는 밀폐된 덮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판에는 진공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저류조의 타측에는 집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집수구 내에는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를 공개한다. 본 발명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에 따르면, 플러싱 탱크 내의 물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갤러리를 플러싱하는 길이를 증가시키며, 빗물저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빗물저류조 기술분야에 속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스펀지 도시라는 차세대 도시 빗물 및 홍수 관리 개념에서는 빗물 수집 시설인 빗물저류조가 활용된다. 빗물저류조의 주요 기능은 빗물이 유실되는 피크 유량을 저수지에 저장하다가 최대 유량이 감소된 후 저류조로부터 빗물을 천천히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는 피크 홍수량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한 물에 대한 초기 빗물의 오염을 제어할 수 있고, 배수 면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발휘한다. 이와 동시에, 빗물로 인해 대량의 슬러지가 저류조 저부에 침적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모두 단일적인 도어식 또는 진공 플러싱 시스템을 사용하여 저류조 바닥에 있는 과립, 슬러지 등 고형물을 플러싱하는데, 플러싱 효과는 플러싱 탱크 내의 물의 정압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여전히 결함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어식 플러싱 탱크의 압력은 저류조 내의 수면 높이에 의해 좌우되는데, 일반적으로 100m 이내의 갤러리만 플러싱할 수 있는 것이다.
1. 단일적인 도어식 플러싱의 경우, 강우량이 적을 때 저류조 저부를 플러싱하면, 액면 높이가 낮기 때문에 플러싱 효과가 떨어진다.
2. 단일적인 진공 플러싱 시스템의 경우,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사이의 연통홀은 항상 연통 상태에 있다. 플러싱이 필요한 경우, 저류조 액면이 지속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간의 연통홀이 연통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플러싱 탱크의 액면도 따라서 하강하게 되는데, 플러싱 탱크의 액면 하강 높이가 저류조의 액면 하강 높이보다 작지만 플러싱 시 플러싱 탱크의 액면 높이는 저류조 배수 전의 액면 높이보다 현저히 작다. 이는 또한 플러싱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강우량에 적용되고, 플러싱 탱크 내의 물의 압력을 높여 플러싱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빗물저류조가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부족점을 극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강우량에 적용되고, 플러싱 탱크 내의 물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높이며, 갤러리를 플러싱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길이를 가진 플러싱 갤러리를 플러싱할 경우, 플러싱 탱크의 부지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스펀지 도시의 빗물저류기능을 향상시키며,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채택한다.
플러싱 탱크 및 저류조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싱 탱크는 상기 저류조와 인접하며, 플러싱 탱크의 일측은 상기 저류조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싱 탱크의 높이는 저류조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사이의 벽면의 저부에는 플러싱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사이의 벽면의 중부에는 연통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홀에는 전자 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밸브의 입구단에는 호스를 통해 플로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는 저류조 내에 위치하며, 상기 플로트의 하단에는 입수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싱 탱크 정상부에는 밀폐된 덮개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에는 진공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저류조의 플러싱 탱크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집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수구 내에는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 장치는 플러싱 탱크의 상부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진공 펌프; 및 플러싱 탱크의 정상면에 연결되는 상기 진공 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할 때, 상기 저류조의 액면 높이는 전자 밸브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플로트는 액면 상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저류조는 저류조 상류에 위치하고, 오버플로판을 통해 상기 저류조와 상호 연결되는 입수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수조는 몸체, 입수관, 파쇄기, 모래 제거기 및 오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입수관은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기와 모래 제거기는 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파쇄기는 입수관과 연통되고, 상기 오수관은 몸체 저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류조 내에는 일단이 저류조의 벽면과 연결되고, 플러싱 게이트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갤러리의 수는 플러싱 탱크의 플러싱 게이트 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갤러리가 두개 이상인 경우, 갤러리는 세로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열되고, 갤러리 말단은 집수구와 상호 연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갤러리에는 플러싱 게이트와 근접하는 플립 버킷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저류조는 상기 집수구 내에 위치하는 상기 물 펌프를 더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은 서로 다른 강우량에 적용되고, 플러싱 탱크 내의 물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높이며, 갤러리를 플러싱하는 길이를 증가시키고, 스펀지 도시의 빗물저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길이를 가진 플러싱 갤러리를 플러싱할 경우, 플러싱 탱크의 부지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스펀지 도시의 빗물저류기능을 향상시키며,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는 플러싱 탱크 및 저류조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싱 탱크는 상기 저류조와 인접하고, 플로싱 탱크의 일측은 상기 저류조 내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싱 탱크의 높이는 저류조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사이의 벽면 저부에는 플러싱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사이의 벽면 중부에는 연통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홀에는 전자 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밸브의 입구단에는 호스를 통해 플로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는 저류조 내에 위치하며, 상기 플로트의 하단에는 입수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싱 탱크의 정상부에는 밀폐된 덮개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에는 진공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저류조의 플러싱 탱크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집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수구 내에는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다.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 사이의 벽면 중부에 연통홀과 전자 밸브를 설치하여 플러싱 게이트의 구조와 진공 플러싱 구조를 결합함으로써, 플러싱 탱크 내의 액면 높이가 더욱 높아지고, 플러싱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액면 높이에 따라 변하는 플로트를 저류조에 설치함으로써, 강우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플러싱력을 향상시키고, 갤러리를 플러싱하는 길이를 증가시키며, 스펀지 도시의 빗물저류기능을 향상시키고,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의 사시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의 사시 단면 모식도이다.
하기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일 뿐, 본 개시,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전체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 및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는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싱 탱크(14)는 상기 저류조(7)와 인접하고, 플러싱 탱크(14)의 일측은 상기 저류조(7) 내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싱 탱크(14)의 높이는 저류조(7)의 높이보다 높다. 상기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 사이의 벽면 저부에는 플러싱 게이트(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 사이의 벽면 중부에는 연통홀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통홀에는 전자 밸브(1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밸브(15)의 입구단에는 호스(19)를 통해 플로트(1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17)는 저류조(7)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트(17)의 하단에는 입수홀(18)이 설치되어 있다. 입수홀(18)은 호스(19)와 상호 연통된다. 상기 플러싱 탱크(14)의 정상부에는 밀폐된 덮개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판에는 진공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저류조(7)의 플러싱 탱크(14)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집수구(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수구(16) 내에는 배수관(9)이 설치되어 있다.
플러싱 탱크(14)의 정상부에는 외부 공기가 플러싱 탱크(14) 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된 덮개판이 설치되어 있다. 저류조(7)가 저수하기 시작하면, 저부에 있는 플러싱 게이트(11)와 중부에 있는 전자 밸브(15)는 열린 상태에 있고, 저류조(7) 내의 빗물은 저부의 플러싱 게이트(11)를 통해 플러싱 탱크(14) 내로 들어간다. 저류조(7) 내의 빗물의 액면 높이가 매달린 플로트(17)에 도달하면, 플로트(17)는 액면이 높아짐에 따라 점점 상승한다. 액면 높이가 전자 밸브(15)의 높이에 도달하면, 저류조 내의 빗물은 플로트에 있는 입수홀(18)과 호스(19)를 통해 차례로 플러싱 탱크(14) 내로 들어간다. 플러싱 탱크의 액면 높이가 설정된 액면 높이에 도달하면,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의 액면 높이는 동일하다. 제어 시스템은 우선 플러싱 게이트(11)를 닫도록 유압 시스템을 지시하는데, 이때 플러싱 게이트 양측의 물은 하부에서 완전히 차단된다. 이후, 제어 시스템은 진공 장치를 통해 플러싱 탱크(14)를 진공 펌핑한 다음, 플로트(17)와 호스(19)를 통해 저류조(7) 내의 물을 대기압 작용으로 플러싱 탱크(14)에 흡입함으로써, 플러싱 탱크(14) 내의 액면 높이가 저류조(7) 내의 액면 높이보다 높도록 더욱 높인다. 이 과정에서, 플로트(17)와 호스(19)는 수면 높이에 따라 변화하며, 호스(19)는 액체를 흡입하여 플러싱 탱크(14)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다시 전자 밸브를 닫도록 지시한다. 플러싱이 필요할 때, 저류조(7) 내의 빗물을 완전히 배출하는데, 이때 플로트(17)는 전자 밸브(15)에 매달릴 때까지 액면에 따라 점점 하강한다.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 사이의 전자 밸브 및 플러싱 게이트가 닫힘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저류조(7)의 액면이 하강함에 따라 플러싱 탱크(14)의 액면 높이는 저류조(7)의 빗물이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변하지 않고, 플러싱 탱크(14)는 여전히 플러싱 전의 액면 높이를 유지한다. 저류조 내의 빗물이 거의 배출된 후, 진공 장치를 통해 외부 공기를 플러싱 탱크(14) 내로 유입시키고, 플러싱 게이트(11)를 열어 플러싱 탱크(14) 내의 대량의 빗물을 유출시킴으로써, 저류조(7) 바닥에 있는 침전물을 플러싱한다.
상기 실시예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는 플러싱 탱크(14) 내의 액면 높이를 높이고 액면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함으로써, 플러싱 탱크 내의 물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갤러리를 플러싱하는 길이를 증가시키며, 스펀지 도시의 빗물저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러싱 탱크(14) 내의 액면 높이를 높여 더 큰 수압을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길이를 가진 플러싱 갤러리를 플러싱할 경우, 플러싱 탱크의 부지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는 저류조(7) 상류에 위치하고, 오버플로판(5)을 통해 상기 저류조(7)와 상호 연결되는 입수조(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입수조(4)는 저류조(7)의 벽면과 인접하고, 상기 오버플로판(5)은 벽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빗물은 오버플로판(5)을 통해 입수조(4)로부터 저류조(7)로 흐르고, 오버플로판(5)은 부유물이 저류조(7)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막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 장치는 플러싱 탱크(14)의 상부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진공 펌프(13); 및 플러싱 탱크(14)의 정상면에 연결되는 진공 밸브(1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진공 펌프(13)가 플러싱 탱크(14)의 상부 공기를 흡인하면, 플러싱 탱크(14)의 액면의 상부 공간은 진공으로 된다. 진공 밸브(12)는 외부 공기를 플러싱 탱크(14)의 상부로 유입시키고 플러싱 탱크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진공 펌프(13)를 통해 플러싱 탱크(14)의 상부 공기를 흡인하여 상부에 일정한 진공도를 형성함으로써, 플러싱 탱크(14)의 액면 높이가 저류조(7)의 액면 높이보다 높도록 한다. 진공 밸브(12)를 열어 외부 공기가 플러싱 탱크(14)의 상부로 들어가도록 제어함으로써, 플러싱 탱크(14)의 상부가 외부 공기와 연통되도록 하고, 공기압력을 회복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사용할 때, 상기 저류조(7)의 액면 높이는 전자 밸브(15)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플로트(17)는 액면에 위치한다. 전자 밸브(15)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류조(7) 내의 액면 높이는 전자 밸브(15)의 높이보다 높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밸브의 실장 높이는 현지 평균 빗물 강도에 따라 설정되고, 플로트의 최대 부상 높이는 현지 최대 빗물 강도에 따라 설정된다. 이와 같이, 플로트는 전자 밸브의 실장 높이와 최대 부상 높이 사이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빗물 강도에 따라 조절된다(평균 빗물 강도와 최대 빗물 강도 사이). 저류조(7) 내에 축적된 빗물의 높이가 전자 밸브의 실장 높이보다 낮을 경우, 저류조를 플러싱할 때, 플러싱 탱크(14)를 진공 펌핑하지 않아도 된다. 저류조(7) 내에 축적된 빗물의 높이가 전자 밸브의 실장 높이보다 높을 경우, 플러싱 전에 플러싱 탱크(14)를 진공 펌핑하여 플러싱 탱크(14)의 액면 높이를 높인다. 플로트(17)는 저류조(7)의 액면에 떠있고 항상 전자 밸브(15)보다 높아, 물이 사이펀 작용을 받을 수 있도록 확보한다. 플러싱 탱크(14)를 진공 펌핑할 때, 저류조(7)의 물은 플로트(17)와 호스(19)를 통해 플러싱 탱크(14)로 들어간다. 전자 밸브(15)는 플러싱 탱크(14) 내의 물이 저류조(7)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수조(4)는 몸체, 입수관(1), 파쇄기(2), 모래 제거기(3)와 오수관(6)을 포함하며, 상기 입수관(1)은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기(2)와 모래 제거기(3)는 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파쇄기(2)는 입수관(1)과 연통되고, 상기 오수관(6)은 몸체 저부에 위치한다. 빗물은 입수관(1)으로부터 입수조(4)에 들어가는데, 먼저 파쇄기(2)를 통해 빗물과 함께 진입한 큰 고형물을 파쇄한 후, 입수조(4)로 들어간다. 이후, 모래 제거기(3)는 가스 스트리핑 또는 펌프스트리핑 방식을 통해 입수조(4) 저부에 침적된 모래 등 고형물을 밖으로 이송한다. 몸체 저부의 오수관(6)은 입수조 저부에 있는 일정한 농도의 오수를 입수조 밖으로 직접 배출한다. 입수조(4) 내에 남아 있는 빗물(작은 과립과 부유물이 존재할 수 있음)은 벽면 상부의 오버플로판(5)을 통해 저류조(7) 내로 흐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류조(7) 내에는 일단이 저류조(7)의 벽면과 연결되고, 플러싱 게이트(11)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갤러리(8)의 수는 플러싱 탱크(14)의 플러싱 게이트(11)의 수와 동일하다. 갤러리(8)의 타단과 저류조(7)의 벽면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저류조(7) 내의 빗물이 배출되면, 빗물 내의 오물이 갤러리(8)에 잔류하게 된다. 플러싱 게이트(11)는 갤러리(8)와 마주함으로써, 플러싱 탱크(14)로부터 배출된 빗물이 직접 갤러리(8)를 플러싱하게 되고, 갤러리(8)에 있는 오물이 플러싱 탱크(14)로부터 배출된 빗물과 함께 집수구(16) 내로 들어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갤러리(8)가 두개 이상인 경우, 갤러리(8)는 세로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열된다. 각 갤러리(8)는 폭이 동일하고, 동시에 작동한다. 복수개의 갤러리(8)를 설치하여 저류조(7)의 저부에 위치하는 오물을 영역별로 플러싱함으로써, 플러싱 효율을 향상시키고, 플러싱할 수 없는 영역의 면적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갤러리(8)에는 플러싱 게이트에 근접한 플립 버킷이 설치되어 있다. 플러싱 게이트(11)의 저부로부터 분사된 물줄기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플립 버킷을 설치함으로써, 플러싱 게이트(11)로부터 분사된 물줄기가 강력한 분류를 형성하게 되고, 분류에 의해 형성된 파도는 저류조 바닥에 있는 침적물을 저류조(7) 말단에 있는 집수구(16) 내로 씻어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저류조는 상기 집수구(16) 내에 위치하는 물 펌프(10)를 더 포함한다. 물 펌프(10)는 플러싱된 후 집수구(16) 내에 위치하는 혼합액을 집수구(16)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플러싱 전에는 배수관(9)을 통해 빗물을 배출한다. 물 펌프(10)는 플러싱 후의 혼합액을 배출한다.
상기 실시예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의 작업 과정은 플러싱 전에 유압 기구에 의해 플러싱 게이트(11)를 열어 저류조(7) 내의 빗물이 플러싱 게이트(11)를 통해 플러싱 탱크(14)에 들어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전자 밸브(15)를 열어 저류조(7) 내의 빗물이 플로트(17)에 있는 입수홀(18)을 통해 전자 밸브(15)를 거쳐 플러싱 탱크(14) 내에 들어가도록 한다. 플러싱 탱크(14)의 액면 높이가 저류조(7)의 액면 높이와 동일한 경우, 도어식 플러싱 시스템을 닫아 플러싱 탱크의 액면과 저류조의 액면 높이가 동일하도록 한다. 이후, 플러싱 탱크(14)의 정상판에 있는 진공 밸브(12)를 닫아 플러싱 탱크(14)와 외부 공기의 연결을 차단한다. 진공 펌프(13)를 가동하여 플러싱 탱크(14)의 상부를 진공 펌핑한다. 이때, 저류조(7) 내의 빗물은 대기압 작용으로 인해, 전자 밸브(15)를 통해 플러싱 탱크(14) 내로 들어가 플러싱 탱크(14)의 액면이 더욱 높아지도록 한다. 이때, 플러싱 탱크(14)의 액면 높이는 H이고, 저류조(7)의 액면 높이는 H1이며, 플러싱 탱크(14)의 액면 높이(H)는 저류조(7)의 액면 높이(H1)보다 H2 높고, H2의 수치는 진공도와 동일하다. 이 경우, 플러싱 탱크(14)의 액면 높이가 저류조(7)의 액면 높이보다 6~7m 높도록 할 수 있다. 전자 밸브(15)와 진공 펌프(13)를 닫은 후, 배수관(9)을 통해 저류조(7) 내의 빗물을 배출하면, 플로트(17)는 전자 밸브(15)에 매달릴 때까지 액면에 따라 점점 하강한다. 이 과정에서, 플러싱 탱크(14)의 액면 높이는 그대로 유지한다. 저류조(7) 내의 빗물이 거의 다 배출된 후, 마지막으로 도어식 플러싱 시스템을 작동한다. 플러싱 게이트(11)는 플러싱 탱크(14) 내에 저장된 물을 순간적으로 배출하고, 플러싱 게이트(11)의 저부로부터 분사된 물줄기의 속도가 매우 빠르며, 저부의 플립 버킷을 통해 강력한 분류를 형성하고, 분류에 의해 형성된 파도는 저류조 바닥에 있는 침적물을 저류조(7) 말단에 있는 집수구(16) 내로 씻어내며, 물 펌프(10)를 통해 배출한다. 그 다음은 다시 물을 축적하는 과정인데, 저류조(7) 내의 액면이 점점 상승하여 플로트(17)에 접촉되면 플로트(17)는 액면에 따라 점점 상승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는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 사이의 벽면 중부에 연통홀과 전자 밸브를 설치하여 플러싱 게이트의 구조와 진공 플러싱 구조를 결합함으로써, 플러싱 탱크의 액면 높이를 더욱 높이고, 플러싱 전에 그대로 유지하며, 플러싱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와 동시에, 액면의 높이에 따라 변하는 플로트(17)를 저류조(7)에 설치함으로써, 강우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플러싱력을 향상시키고, 갤러리를 플러싱하는 길이를 증가시키며, 스펀지 도시의 빗물저류기능을 향상시키고,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의 내용에 따라 실시한 등가 변화 및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이 보호하는 기술 범주로 간주하여야 한다.
1 : 입수관
2 : 파쇄기
3 : 모래 제거기
4 : 입수조
5 : 오버플로판
6 : 오수관
7 : 저류조
8 : 갤러리
9 : 배수관
10 : 물 펌프
11 : 플러싱 게이트
12 : 진공 밸브
13 : 진공 펌프
14 : 플러싱 탱크
15 : 전자 밸브
16 : 집수구
17 : 플로트
18 : 입수홀
19 : 호스
H : 플러싱 탱크의 액면 높이
H1 : 저류조 액면 높이
H2 :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의 액면 높이 차이
2 : 파쇄기
3 : 모래 제거기
4 : 입수조
5 : 오버플로판
6 : 오수관
7 : 저류조
8 : 갤러리
9 : 배수관
10 : 물 펌프
11 : 플러싱 게이트
12 : 진공 밸브
13 : 진공 펌프
14 : 플러싱 탱크
15 : 전자 밸브
16 : 집수구
17 : 플로트
18 : 입수홀
19 : 호스
H : 플러싱 탱크의 액면 높이
H1 : 저류조 액면 높이
H2 : 플러싱 탱크와 저류조의 액면 높이 차이
Claims (8)
-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싱 탱크(14)는 상기 저류조(7)와 인접하고, 플러싱 탱크(14)의 일측은 상기 저류조(7) 내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싱 탱크(14)의 높이는 저류조(7)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와 사이의 벽면 저부에는 플러싱 게이트(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싱 탱크(14)와 저류조(7) 사이의 벽면 중부에는 연통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홀에는 전자 밸브(1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밸브(15)의 입구단에는 호스(19)를 통해 플로트(17)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17)는 저류조(7) 내에 위치하며, 상기 플로트(17)의 하단에는 입수홀(1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싱 탱크(14)의 정상부에는 밀폐된 덮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에는 진공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류조(7)의 플러싱 탱크(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집수구(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수구(16) 내에는 배수관(9)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할 때, 상기 저류조(7)의 액면 높이는 전자 밸브(15)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플로트(17)는 액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장치는 플러싱 탱크(14)의 상부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진공 펌프(13); 및 플러싱 탱크(14) 정상면에 연결되는 상기 진공 밸브(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제1항에 있어서,
저류조(7) 상류에 위치하고, 오버플로판(5)을 통해 상기 저류조(7)와 상호 연결되는 입수조(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조(4)는 몸체, 입수관(1), 파쇄기(2), 모래 제거기(3)와 오수관(6)을 포함하며, 상기 입수관(1)은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파쇄기(2)와 모래 제거기(3)는 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파쇄기(2)는 입수관(1)과 연통되고, 상기 오수관(6)은 몸체 저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7) 내에는 일단이 저류조(7)의 벽면과 연결되고, 플러싱 게이트(11)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갤러리(8)의 수는 플러싱 탱크(14)의 플러싱 게이트(11)의 수와 동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갤러리(8)가 두개 이상인 경우, 갤러리(8)는 세로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열되고, 갤러리(8) 말단은 집수구(16)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갤러리(8)에는 플러싱 게이트(11)에 근접한 플립 버킷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16) 내에 위치하는 물 펌프(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1356190.2A CN112459217B (zh) | 2020-11-27 | 2020-11-27 | 一种含有高效冲洗门的雨水调蓄池 |
CN202011356190.2 | 2020-11-27 | ||
PCT/CN2021/102957 WO2022110798A1 (zh) | 2020-11-27 | 2021-06-29 | 一种含有高效冲洗门的雨水调蓄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4811A true KR20220124811A (ko) | 2022-09-14 |
Family
ID=7480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9134A KR20220124811A (ko) | 2020-11-27 | 2021-06-29 |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24811A (ko) |
CN (1) | CN112459217B (ko) |
WO (1) | WO20221107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59217B (zh) * | 2020-11-27 | 2021-07-13 | 蓝深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含有高效冲洗门的雨水调蓄池 |
CN113235721B (zh) * | 2021-04-19 | 2022-11-04 | 浙江原野建设有限公司 | 海绵生态雨水调蓄池系统 |
CN115247452A (zh) * | 2021-04-26 | 2022-10-28 | 江苏长三角智慧水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雨水调蓄池及排水系统 |
CN115434411B (zh) * | 2022-09-01 | 2024-05-14 | 长沙市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 一种环保型调蓄池冲洗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221569A1 (de) * | 1992-07-01 | 1994-01-05 | Alloy Tech Ag Vaduz | Spüleinrichtung zum selbsttätigen Spülen eines leergelaufenen Flüssigkeitsspeicherraumes, insbesondere eines Regenbeckens oder eines Kanalstauraumes |
US6655402B1 (en) * | 2002-06-13 | 2003-12-02 |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System and method for vacuum flushing sewer solids |
KR200427026Y1 (ko) * | 2006-07-11 | 2006-09-20 |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
CN103806525A (zh) * | 2012-11-09 | 2014-05-21 | 烟台水泰和水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雨水调蓄池的门式自冲洗装置 |
CN204080917U (zh) * | 2014-06-26 | 2015-01-07 | 合肥怡湖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雨水调蓄池冲洗门 |
CN204139302U (zh) * | 2014-09-02 | 2015-02-04 | 洼石环境工程(上海)有限公司 | 一种可自清洁的矩形雨水调蓄池 |
US10052570B2 (en) * | 2017-01-06 | 2018-08-21 | Cb Shield Inc. | Settling basin insert |
CN107761935B (zh) * | 2017-10-27 | 2023-06-20 |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 一种真空启闭装置、真空冲洗系统及方法 |
CN209874028U (zh) * | 2019-04-24 | 2019-12-31 | 四川大学 | 一种具有水力自净功能的雨水调蓄池 |
CN211873285U (zh) * | 2020-03-09 | 2020-11-06 | 江苏清溢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门式自冲洗系统 |
CN112459217B (zh) * | 2020-11-27 | 2021-07-13 | 蓝深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含有高效冲洗门的雨水调蓄池 |
-
2020
- 2020-11-27 CN CN202011356190.2A patent/CN112459217B/zh active Active
-
2021
- 2021-06-29 WO PCT/CN2021/102957 patent/WO2022110798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6-29 KR KR1020227029134A patent/KR2022012481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10798A1 (zh) | 2022-06-02 |
CN112459217A (zh) | 2021-03-09 |
CN112459217B (zh) | 2021-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24811A (ko) |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 |
CN205421517U (zh) | 一种带有拦渣和电控限流功能的防倒灌智慧截流井 | |
CN209353440U (zh) | 适用于海绵城市的道路雨水蓄排系统 | |
CN211873292U (zh) | 排水泵站与调蓄池的合建结构 | |
CN212561851U (zh) | 一种自清洁泵站 | |
CN109853492B (zh) | 闸阀管道式过鱼方法 | |
CN209874028U (zh) | 一种具有水力自净功能的雨水调蓄池 | |
CN112343014A (zh) | 一种挡潮闸防淤装置及其方法 | |
KR200427026Y1 (ko) |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 |
CN109811872A (zh) | 水池自动液压底阀清淤装置及其方法 | |
CN212641711U (zh) | 一种防倒灌雨水箱涵截污泵站 | |
CN212772757U (zh) | 智能真空清洗系统 | |
CN215165205U (zh) | 一种排沙坝 | |
CN211690240U (zh) | 一种用于闸坝小开度泄流的底流消能结构 | |
CN213538900U (zh) | 一种用于钢坝的清淤排沙装置 | |
CN212641696U (zh) | 一种无动力截流井 | |
CN213014130U (zh) | 一种应用于排涝泵站前池清淤的组合装置 | |
CN209227711U (zh) | 雨水舱及具有雨水舱的综合管廊 | |
CN220080255U (zh) | 一种雨水泵站 | |
CN108222218B (zh) | 一种污水处理工程中多种功能提升泵井合建系统及方法 | |
CN112982317A (zh) | 利用雨洪资源的河口地表地下立体挡水建筑物及运行方法 | |
CN112031121A (zh) | 防洪深层隧道及排洪方法 | |
CN220521209U (zh) | 一种感潮港池自动防淤系统 | |
CN105332412A (zh) | 室外化工设备泄露收集与雨水自动分段排放系统 | |
CN221169818U (zh) | 一种水力发电用水轮机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