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634B1 - 유압식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634B1
KR100812634B1 KR1020070093362A KR20070093362A KR100812634B1 KR 100812634 B1 KR100812634 B1 KR 100812634B1 KR 1020070093362 A KR1020070093362 A KR 1020070093362A KR 20070093362 A KR20070093362 A KR 20070093362A KR 100812634 B1 KR100812634 B1 KR 10081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odgate
fixed
hydraulic
wat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주) 삼안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안산업 filed Critical (주) 삼안산업
Priority to KR102007009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 등에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의 통수구에 설치되어 수위 변화에 의하여 수문의 개방시 수문의 하부가 먼저 개방되도록 하여 하부로 물이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수문의 상부를 통하여 배출되어 후면부 또는 상류 방향의 수문 하단부에 오니(汚泥)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수문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유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의 통수구에 설치되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단속하도록 통수구에 개폐되게 결합 고정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에 설치되어 수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식, 수문장치, 통수구, 보, 스크린, 실린더

Description

유압식 수문장치{A floodgate using hydraulic cylinder}
본 발명은 유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 등에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의 통수구에 설치되어 수위 변화에 의하여 수문의 개방시 수문의 하부가 먼저 개방되도록 하여 하부로 물이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수문의 상부를 통하여 배출되어 후면부 또는 상류 방향의 수문 하단부에 오니(汚泥)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수문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유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등에 설치되는 보(洑)는 주로 강 또는 하천의 폭 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보에 의해 물의 흐름을 부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강이나 하천에 소정의 수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농업용수나 공업용수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가 설치되어 있는 강이나 하천 등은 평상시에 자연 생태환경 및 수자원의 사용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여 유지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강이나 하천 등에 설치되는 보는 그 상측에 저류되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통수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하 도록 각 통수구에 설치되는 수문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수문장치는 보 상측의 수위가 소정위치 이상에 이르게 되면 수문 위로 물이 넘쳐흐르거나, 부대설비로 구비되는 유압 및 기계장치로 수문을 작동시켜 통수구를 개폐시켜 넘치는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수문장치는 보 상측 바닥에 오니(汚泥)가 쌓이게 하고, 평상시에는 어도(魚道)를 차단하거나, 환경 오염을 가속화시키며, 홍수 시에는 물의 배출을 지연시켜 자연 재해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쓰레기 등 이물질이 수문의 상부로 넘쳐 수문의 후단부에 쌓이게 되어 수문의 동작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 등에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보를 설치하고, 이 보의 소정 위치에 물의 수위에 따라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며, 이 통로에 수문이 승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선회 안착 작동으로 보의 통로를 개폐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수문을 개방할 때 수문을 개방함과 동시에 수문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물이 하부로 먼저 배출됨으로써, 수문의 후단부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수문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문의 하부로 먼저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전면 하단부에 쌓여 있는 오니(汚泥)를 수압을 이용하여 하부로 배출시키게 되어 수문의 오니(汚泥)에 의해 물의 오염 및 수문의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평상시에 수문의 하부를 소정의 높이로 개방시켜 두어 어도(魚道)를 형성함으로써,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문의 상부측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스크린을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이 수문의 하부로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같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이 수압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에 의한 수문의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통수구의 바닥부에 수문의 하단부가 안착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패킹이 더 구비되어 수문이 닫혀있을 때 상류의 물이 하류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문의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여 수문의 파손을 방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의 통수구에 설치되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단속하도록 통수구에 개폐되게 결합 고정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에 설치되어 수문의 개방시에 하부가 먼저 열리도록 하고, 개방된 수문을 원상복귀시켜 통수구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문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하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축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은 통수구의 양측면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수문에는 상기 고정축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문의 고정축에 체결 고정되는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에 유동 가능하게 제1링크가 체결 고정되되, 상기 제1링크의 일측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통수구의 바닥면에 고정브라켓을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이 체결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문에 유동방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에는 상기 유동방지구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로울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문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3단으로 하여 상기 작동부가 체결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브라켓이 상기 수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중간부에 위치된 제1고정브라켓은 상, 하부에 구비된 제2,3고정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문의 공간부에 구비된 제1,2,3고정브라켓과 대응되게 통수구의 바닥면에 1,2,3체결브라켓이 구비되되, 제1고정브라켓과 제1체결브라켓에는 실린더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3고정브라켓은 제2,3체결브라켓의 각각에 양측이 체결 고정되는 제2,3링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문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 작동부가 체결되며, 상기 수문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통수구의 양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문의 공간부에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대응되게 상기 통수구의 바닥면에 체결브라켓이 구비되어 이 체결브라켓에 실린더가 고정되고, 상기 공간부의 고정브라켓에는 실린더 로드가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링크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및 체결브라켓은 통수구의 바닥 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이 안착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가 체결 고정되는 체결브라켓은 통수구의 바닥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이 안착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문의 후면에는 상기 링크가 유동 가능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문의 후단면에는 상기 실린더가 유동 가능하게 세로 방향으로 절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문의 하단부에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문이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은 통수구의 바닥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패킹은 상기 수문의 하단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문의 전방하부에는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이물질이 수문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은 통수구의 양측부에 대응되게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측부가 유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스크린바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상기 수문의 전면에 밀착되어 가이드 하는 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수문의 전면에는 스크린의 프레임에 구비된 로울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 등에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보를 설치하고, 이 보의 소정 위치에 물의 수위에 따라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며, 이 통로에 수문이 승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선회 안착 작동으로 보의 통로를 개폐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수문을 개방할 때 수문을 개방함과 동시에 수문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물이 하부로 먼저 배출됨으로써, 수문의 후단부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수문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이 수문의 하부로 먼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전면 하단부에 쌓여 있는 오니(汚泥)를 수압을 이용하여 하부로 배출시키게 되어 수문의 오니(汚泥)에 의해 물의 오염 및 수문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평상시에 수문의 하부를 소정의 높이로 개방시켜 두어 어도(魚道)를 형성함으로써,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의 상부측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스크린을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이 수문의 하부로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같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이 수압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에 의한 수문의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통수구의 바닥부에 수문의 하단부가 안착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패킹이 더 구비되어 수문이 닫혀있을 때 상류의 물이 하류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문의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여 수문의 파손을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식 수문장치(100)는 강이나 하천 등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10)의 통수구(12)에 설치되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단속하도록 통수구(12)에 개폐되게 체결 고정되는 수문(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문(110)은 내측에 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2)에는 하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축(11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축(114)의 양측은 상기 수문(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통수구(12)의 양측 하단부에는 고정브라켓(116)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16)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축(114)의 양측부가 체결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수문(110)의 공간부(112)에는 상기 고정축(114)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18)이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수문(110)의 하단부가 위치되는 통수구(12)의 바닥부 또는 수문(110)의 하단면에는 상기 수문(110)의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문이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패킹(13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130)은 상기 수문(110)의 하단면에 부착할 수도 있고, 상기 수문(110)이 위치되는 통수구(12)의 바닥부에 부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문(110)에 설치되어 수문(110)을 개폐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210)는 상기 수문(110)의 공간부(112)에 설치되되, 상기 수문(110)의 공간부(112)에 구비된 고정축(114)에 일측부가 체결 고정되고, 타측에 실린더 로드(214)가 형성된 실린더(2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실린더(212)의 실린더 로드(214)에는 유동 가능하게 제1링크(216)가 체결 고정되되, 상기 제1링크(216)의 일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214)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상기 통수구(12)의 바닥부에 안착홈(14)을 형성하여 이 안착홈(14)에 고정브라켓(218)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18)에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로드(214)와 통수구(12)의 바닥에 구비된 고정브라켓(218)에 고정된 제1링크(216)는 상기 수문(110)이 개폐될 때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수문(110)의 후면부, 즉 상기 제1링크(216)가 구비된 위치에 절개홈(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12)의 동작시에 상기 실린더(212)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문(110)에 고정되는 유동방지구(22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구(220)는 실린더 로드(214)의 유동 반경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214)에는 상기 유동방지구(220)와 접촉되어 이 유동방지구(220)의 안내에 따라 유동되는 로울러(214a)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문(110)의 상류방향에는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각종 이물질이 수문(110)의 하부를 개방시에 물과 같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린(31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310)은 수문(1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하여 통수구(12)의 바닥 양측부에 고정브라켓(316)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316)에 유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312)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31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스크린바(3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312)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16)이 고정된 반대 방향에는 다수개의 로울러(318)가 구비되어 상기 수문(110)에 밀착되어 수문(110)의 개폐시에 수문(110)의 전면을 따라 동일 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수문(110)의 전면, 즉, 상기 스크린(310)의 로울러(318)가 구비된 위치에 상기 로울러(318)의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122)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122) 상에서 상기 스크린(310)의 로울러(318)가 왕복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정확하게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310)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6)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312)을 상류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프레임(312)을 선택적으로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고리(32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문(110)의 하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개방시켜 어도(魚道)를 확보하기 위하여 스크린(310)을 고정고리(320)에 걸어 수문의 하부방향을 개방시키고 수문(110)을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는 어도(魚道)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수문이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수문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평소에는 얕은 수심의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보(10)에 설치되어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소정의 수량을 차단함으로써, 보(10)의 상류에 소정의 저수량을 유지시켜 자연 생태 환경을 조성, 유지시키고 하류 측에서 수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집중호우나 홍수 등 자연재해에 의해 상류로부터 많은 수량이 흘러 내리게 되면 상류의 많은 수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수문(110)을 개방시켜 상류의 물이 하류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수문(110)의 내측에 구비된 실린더(2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린더 로드(214)가 상부로 인출되게 되고, 상기 실린더(212)가 고정축(114)을 중심으로 하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실린더 로드(214)에 체결된 제1링크(216)와 고정축(114)의 양측이 고정된 각각의 고정브라켓(218)(11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실린더(2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문(110)은 제1링크(216)와 고정축(114)이 각각 고정된 고정브라켓(218)(116)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수문(110)의 하부가 개방되게 되고, 상기 수문(114)의 하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수문(110)의 상부로 물이 배출되게 전에 하부를 통하여 상류의 물이 먼저 강한 수압으로 인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되어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수문(110)의 상류로 먼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문(110)의 하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하부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汚泥)가 하류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문(10)의 하부를 통하여 상류의 물을 배출시킬 때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부피가 큰 이물질이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스크린(310)에서 방지하게 되고, 이렇게 하부를 통하여 배출되려는 큰 이물질을 스크린(310)으로 차단한 후에는 스크린(310)에 걸린 이물질은 수문(110)이 완전히 개방되면 수문(110)의 상부로 배출되는 상류의 수압에 의해 하류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310)은 수문(110)의 개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로울러(318)가 상기 수문(110)의 정면에 밀착되어 유동하게 되어 상기 스크린(310)을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브라켓(316)을 중심으로 하여 수문(110)의 동작에 의해 수문(110)의 하부를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수문(110)의 하부로는 미세하고 작은 입자의 이물질은 통과시키면서 입자가 큰 이물질은 걸러주어 수문(110)의 하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상류의 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킴과 동시에 수문(11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수문(110)의 개방시에 수문(110)의 하부를 먼저 개방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수문(110)의 상부로 배출되어 수문(110)의 후방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수문(110)의 작동시에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되게 된다.
반대로 상류의 물을 배출시킨 후에는 상기 수문(110)을 원상복귀시키는 동작은 인출된 상기 실린더 로드(214)를 인입시키게 되면 상기 제1링크(216)가 상기 고정브라켓(218)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실린더 로드(214)가 체결된 방향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링크(216)의 일측부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212)는 고정축(114)을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수문(110)은 자연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상기 수문(110)이 개방되기 전의 통수구(12)를 폐쇄시킨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문(110)이 상승하여 수문(110 하부가 통수구(12)에 밀착될 때 상기 패킹(130)이 안전하게 안착 됨과 동시에 상류의 물이 하류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수구(2)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어도(魚道)를 확보할 수 있도록 수문(110)의 상류에 구비된 스크린(310)을 상기 고정고리(320)에 고정시키고, 상기 수문(110)의 하부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키게 되면 물고기 등이 이동할 수 있는 어도(魚道)가 확보되게 되어 자연생태계 및 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문(110)의 하부로 이물질이 통과하거나,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고리(320)에 고정된 스크린(310)을 분리하여 상기 로울러(318)를 수문(110)의 정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스크린(310)의 중량에 의해 수문(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식 수문장치(1000)는 강이나 하천 등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10)의 통수구(12)에 설치되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단속하도록 통수구(12)에 개폐되게 체결 고정되는 수문(1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문(1110) 내측에 공간부(11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12)에는 수문(11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3단으로 형성된 제1,2,3고정브라켓(1114)(1116)(1118)이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4)은 중간부에 위치되어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3고정브라켓(1116)(1118)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4)과 서로 엇갈리게 하여 상, 하부에 각각 다수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문(1110)의 하단부가 위치되는 통수구(12)의 바닥면 또는 수문(1110)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수문(1110)의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문(1110)이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113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문(1110)에 설치되어 수문(1110)을 개폐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부(1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1120)는 상기 수문(1110)의 공간부(1112)에 구비된 제1,2,3고정브라켓(1114)(1116)(1118)과 대응되게 상기 통수구(12)의 바닥면에 안착홈(14)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4)에 제1,2,3체결브라켓(1121)(1123)(1125)이 구비되며, 상기 수문(1110)의 제1고정브라켓(1114)과 제1체결브라켓(1121)에는 실린더(1122)가 체결 고정되되, 상기 제1체결브라켓(1121)에는 실린더(1122)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4)에는 실린더 로드(1122a)가 체결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제2고정브라켓(111과) 제2체결부라켓(1123)에는 제2링크(1124)의 양측부가 각각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3고정브라켓(1118)과 제3체결브라켓(1125)에는 제3링크(1126)의 양측부가 각각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문(1110)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2,3링크(1124)(1126) 및 실린더(1122)가 유동할 때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제1,2절개홈(1115)(1119)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문(1110)의 후면부에 형성된 제1절개홈(1115)은 상기 실린 더(1122)의 동작 반경을 기준으로 하여 실린더(1122)가 작동할 때 걸림 없이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절개홈(1119)은 상기 제2,3링크(1124)(1126)의 동작시에 제2,3링크(1124)(1126)의 회전반경을 기준으로 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3링크(1124)(1126)가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압식 수문장치에 대한 동작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유압식 수문장치(1000)의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실린더(1122)를 동작시키게 되면 실린더 로드(1122a)가 인출되면서 상기 수문(1110)을 후방으로 상부를 밀어주게 되고, 이때 상기 수문(1110)이 후방으로 밀릴 때 제2,3링크(1124)(1126)를 기준으로 하여 수문(1110)의 상부가 후방으로 도 8과 같이 큰 원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문(1110)은 실린더(112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3링크(1124)(1126)를 기준으로 하여 수문(1110)의 상부가 큰 원을 그리며 하부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수문(1110)의 하부가 먼저 열리게 되면서 상류의 물이 수문(1110)의 하부를 통하여 먼저 배출되게 되어 수문(1110)의 상부로 상류에서 흐르는 물과 이물질이 수문(1110)의 상부로 먼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이 수문(1110)의 후단부에 적층되어 수문(1110)의 동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수문(1110)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수문(1110)을 열 때와 반대로 실린더(1122)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수문(1110)은 제2,3링크(1122)(1126) 를 중심으로 상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수문(1110)이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문(1110)이 닫힐 때 상기 패킹(1130)에 의해 수문(1110)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수문(1110)이 닫혀를 때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2000)는 강이나 하천 등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10)의 통수구(12)에 설치되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단속하도록 통수구(12)에 개폐되게 체결 고정되는 수문(2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문(2110)은 내측에 공간부(21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12)의 소정 위치에 제4고정브라켓(2114)이 구비되며, 상기 제4고정브라켓(2114)에는 작동부(2120)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수문(2110)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돌기(211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통수구(12)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113)가 끼워져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12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2120)는 상기 수문(2110)의 공간부(2112)에 형성된 제4고정브라켓(2114)과 대응되게 통수구(12)의 바닥면에 안착홈(14)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4)에 안착되게 제4체결브라켓(2121)이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2122)가 체결 고정되고, 수문(2110)의 공간부(2112)에 형성된 제4고정브라켓(2114)에는 실린더 로드(2122a)가 체결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수문(2110)의 후면 부에는 상기 실린더(2122)의 작동시에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2122)의 동작 반경에 제3절개홈(2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문(2110)의 하단면이 위치되는 통수구(12)의 바닥면 또는 수문(2110)의 후면부에 고정되는 패킹(2118)을 더 구비되어 상기 수문(2110)의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문(2110)이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압식 수문장치에 대한 동작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유압식 수문장치(2000)의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실린더(2122)를 동작시키게 되면 실린더 로드(2122a)가 인출되면서 상기 수문(2110)을 후방으로 상부를 밀어주게 되고, 이때 상기 수문(2110)이 후방으로 밀릴 때 상기 가이드돌기(2113)가 상기 가이드레일(2124)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 11과 같이 수문(2110)의 상부가 큰 원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문(2110)은 실린더(2122)의 동작에 의해 수문(2110)의 상부가 큰 원을 그리며 하부로 회전할 때 수문(2110)의 하부가 먼저 열리게 되어 수문(2110)의 상부로 상류에서 흐르는 물과 이물질이 배수되기 전에 수문(2110)의 하부로 물을 먼저 배수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수문(2110)의 후단부에 적층되어 수 문(2110)의 동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수문(2110)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수문(2110)을 열 때와 반대로 실린더(2122)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수문(2110)은 가이드레일(2124)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수문(2110)이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문(2110)이 닫힐 때 상기 패킹(2118)에 의해 수문(2110)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수문(2110)이 닫혀를 때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유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 등에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의 통수구에 설치되어 수위 변화에 의하여 수문의 개방시 수문의 하부가 먼저 개방되도록 하여 하부로 물이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수문의 상부를 통하여 배출되어 후면부 또는 상류 방향의 수문 하단부에 오니(汚泥)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수문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유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의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수문이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수문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수문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10, 2110 : 유압식 수문장치
110, 1110, 2110 : 수문 112, 1112, 2112 : 공간부
114 : 고정축 210, 1120, 2120 : 작동부
212, 1122, 2122 : 실린더 214, 1122a, 2122a : 실린더 로드
216,1124, 1126 : 제1,2,3링크 310 : 스크린
312 : 프레임 314 : 스크린바
318 : 로울러 320 : 고정고리
2113 : 가이드돌기 2124 : 가이드레일

Claims (19)

  1.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의 통수구에 설치되어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단속하도록 통수구에 개폐되게 결합 고정되되,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하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축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축은 통수구의 양측면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수문과,
    상기 수문에 설치되어 수문의 개방시에 하부가 먼저 열리도록 하고, 개방된 수문을 원상복귀시켜 통수구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에는 상기 고정축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문의 고정축에 체결 고정되는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 기 실린더에 유동 가능하게 제1링크가 체결 고정되되, 상기 제1링크의 일측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통수구의 바닥면에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에 체결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문에 유동방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에는 상기 유동방지구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로울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6.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의 통수구에 설치되어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단속하도록 통수구에 개폐되게 결합 고정되되,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3단으로 하여 제1,2,3고정브라켓이 통수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위치한 제2고정브라켓은 상,하부에 구비된 제1,3고정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되게 구비된 수문과,
    상기 수문의 제1,2,3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수문의 개방시에 하부가 먼저 열리도록 하고, 개방된 수문을 원상복귀시켜 통수구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문의 공간부에 구비된 제1,2,3고정브라켓과 대응되게 통수구의 바닥면에 1,2,3체결브라켓이 구비되되, 제1고정브라켓과 제1체결브라켓에는 실린더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3고정브라켓은 제2,3체결브라켓의 각각에 양측이 체결 고정되는 제2,3링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8.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의 통수구에 설치되어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단속하도록 통수구에 개폐되게 결합 고정되되,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통수구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도록 양측부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수문과,
    상기 수문의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수문의 개방시에 하부가 먼저 열리도록 하고, 개방된 수문을 원상복귀시켜 통수구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문의 공간부에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대응되게 상기 통수구의 바닥면에 체결브라켓이 구비되어 이 체결브라켓에 실린더가 고정되고, 상기 공간부의 고정브라켓에는 실린더 로드가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0.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은 통수구의 바닥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이 안착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체결 고정되는 체결브라켓은 통수구의 바닥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이 안착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2.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후단면에는 상기 링크가 유동 가능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3.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후단면에는 상기 실린더가 유동 가능하게 세로 방향으로 절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하단부에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문이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통수구의 바닥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수문의 하단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전방하부에 스크린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통수구의 양측부에 대응되게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측부가 유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스크린바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상기 수문의 전면에 밀착되어 가이드 하는 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전면에는 스크린의 프레임에 구비된 로울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KR1020070093362A 2007-09-14 2007-09-14 유압식 수문장치 KR10081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362A KR100812634B1 (ko) 2007-09-14 2007-09-14 유압식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362A KR100812634B1 (ko) 2007-09-14 2007-09-14 유압식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634B1 true KR100812634B1 (ko) 2008-03-13

Family

ID=3939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362A KR100812634B1 (ko) 2007-09-14 2007-09-14 유압식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63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66B1 (ko) * 2009-07-14 2011-08-09 한상관 어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분리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357453B1 (ko) 2013-09-30 2014-02-03 (주)경신이엔씨 접이식 가동보 개폐장치
CN105133553A (zh) * 2015-09-29 2015-12-09 芜湖市银鸿液压件有限公司 液压坝内置式驱动支撑机构及其使用方法
CN105155482A (zh) * 2015-09-29 2015-12-16 芜湖市银鸿液压件有限公司 内置式驱动支撑机构液压坝及其使用方法
KR101592287B1 (ko) * 2015-09-04 2016-02-11 (주)대한엔지니어링 피아노건반형 수문 시스템
CN106638492A (zh) * 2016-11-17 2017-05-10 安徽艺河智能活动坝科技有限公司 一种活动坝支撑杆人工解锁装置
KR101812803B1 (ko) 2009-07-15 2017-12-27 한상관 어도를 형성시켜 주면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분리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CN108442337A (zh) * 2018-03-15 2018-08-24 安徽建筑大学 一种液压式并联驱动闸门及通流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004Y1 (ko) 2003-10-13 2004-02-11 (주) 삼안산업 수압식 수문 장치
KR20050033379A (ko) * 2003-10-06 2005-04-12 김수복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어도수문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20050033378A (ko) * 2003-10-06 2005-04-12 김수복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양축이 상하 작동되는 겸용 자동수문
KR200403173Y1 (ko) 2005-09-08 2005-12-08 김상현 수문
KR100668505B1 (ko) 2004-12-31 2007-01-16 주식회사 유일기연 유압식 가동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379A (ko) * 2003-10-06 2005-04-12 김수복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어도수문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20050033378A (ko) * 2003-10-06 2005-04-12 김수복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양축이 상하 작동되는 겸용 자동수문
KR200341004Y1 (ko) 2003-10-13 2004-02-11 (주) 삼안산업 수압식 수문 장치
KR100668505B1 (ko) 2004-12-31 2007-01-16 주식회사 유일기연 유압식 가동보
KR200403173Y1 (ko) 2005-09-08 2005-12-08 김상현 수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66B1 (ko) * 2009-07-14 2011-08-09 한상관 어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분리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812803B1 (ko) 2009-07-15 2017-12-27 한상관 어도를 형성시켜 주면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분리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357453B1 (ko) 2013-09-30 2014-02-03 (주)경신이엔씨 접이식 가동보 개폐장치
KR101592287B1 (ko) * 2015-09-04 2016-02-11 (주)대한엔지니어링 피아노건반형 수문 시스템
CN105133553A (zh) * 2015-09-29 2015-12-09 芜湖市银鸿液压件有限公司 液压坝内置式驱动支撑机构及其使用方法
CN105155482A (zh) * 2015-09-29 2015-12-16 芜湖市银鸿液压件有限公司 内置式驱动支撑机构液压坝及其使用方法
CN106638492A (zh) * 2016-11-17 2017-05-10 安徽艺河智能活动坝科技有限公司 一种活动坝支撑杆人工解锁装置
CN106638492B (zh) * 2016-11-17 2020-03-31 安徽艺河智能活动坝科技有限公司 一种活动坝支撑杆人工解锁装置
CN108442337A (zh) * 2018-03-15 2018-08-24 安徽建筑大学 一种液压式并联驱动闸门及通流控制方法
CN108442337B (zh) * 2018-03-15 2020-06-26 安徽建筑大学 一种液压式并联驱动闸门及通流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634B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20070055462A (ko)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100641826B1 (ko)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KR20090083296A (ko) 담수용 차수문
KR102035183B1 (ko)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KR20110063421A (ko)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KR100645393B1 (ko)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20080064349A (ko) 파형강판 보호형 고무댐
CN106795712B (zh) 无动力防逆流装置
KR102013394B1 (ko) 유압식 가동보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0571724B1 (ko) 슬라이드형 수문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1934407B1 (ko) 저수층 배출 구조의 전도식 가동보
KR200408865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JPH10280366A (ja) 排水システムの防塵設備
KR20090057783A (ko) 보조수문을 구비한 수문
KR20190038517A (ko) 친환경 관로형 생태보
KR200427634Y1 (ko) 수질개선의 기능을 갖는 가동보
KR20070022379A (ko) 사이펀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수량의 조절방법
JP2003253715A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KR200449731Y1 (ko) 수문
KR100645331B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KR100803739B1 (ko) 수문의 유압배관 시스템의 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