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31Y1 - 수문 - Google Patents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31Y1
KR200449731Y1 KR2020080001982U KR20080001982U KR200449731Y1 KR 200449731 Y1 KR200449731 Y1 KR 200449731Y1 KR 2020080001982 U KR2020080001982 U KR 2020080001982U KR 20080001982 U KR20080001982 U KR 20080001982U KR 200449731 Y1 KR200449731 Y1 KR 200449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fresh water
oil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317U (ko
Inventor
정인철
Original Assignee
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철 filed Critical 정인철
Priority to KR2020080001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3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류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수문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수문은 농업 또는 공업용수 이용을 위해 시설되는 보나 저수지.댐 등 수리시설의 담수 수위조절을 하단배출방식으로 이루는 문비를 갖는 수문으로서, 문비에 상기 담수 측 수표면의 부유성 유류물질을 그 수표면에서 회수관로를 이용해 수거방식으로 분리하여 별도의 집유조에 회수하는 처리구조를 갖추어서, 담수 측 수표면의 오염원인 유류를 그 수표면에서 분리방식으로 수거처리하여 수질을 개선 시키게 된다.
수문,유류,오염방지

Description

수문{flood gate}
본 고안은 유류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담수 측 수표면의 오염원인 유류를 그 수표면에서 분리방식으로 수거처리하여 수질을 개선 시킬 수 있도록 한 수문에 관한 것이다.
농업 또는 공업용수, 그리고 수력발전 등을 위한 수리시설이나 다목적 댐 등은 일정량의 물을 담수 하였다 필요 시 사용목적에 따라 이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수리시설은 담수의 수위 조절을 위해 수문이 필수적으로 시설되고 있는 것이다.
수문은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일례로 방류되는 유수와 같은 방향으로 수문이 전도되는 전도방식과, 방류되는 유수와 교차하는 수직방향에서 수문이 상승.하강 되면서 하부로 유수가 방류되는 하단 배출방식으로 구분되어 시설된다.
이러한 수문에서 전도방식의 수문은 홍수가 발생했을 때 이물질이 수문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하단 배출방식의 수문은 퇴적물이 쌓이지 않으므로 하도 준설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러한 수문에서 하단 배출방식의 경우 담수 수표면의 부유 오염물들 로 인한 수질 오염에 대처하지 못하는, 다시 설명하면 강 유역에서 급속히 증가 되는 각종의 산업화단지 등으로부터 유입된 석유.등유.휘발유나 참기름.들기름.콩기름 등 부유성의 유류물질들은 수문을 개방하여 담수를 방류하는 과정에서 담수 측의 수표면에 잔류 되고 있으며, 이렇게 담수의 수표면에 잔류 되는 부유성의 유류물질은 담수의 수표면과 대기 사이를 차단하는 피막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유류 물질의 피막은 담수 내의 산소공급을 저해하여 산소결핍 현상 등 어류나 자연생태계에 치명적이며, 더욱이 자연정화능력이 저하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개폐방식으로 설치되는 문비에 담수 측 수표면의 부유 된 유류물질을 분리 수거하는 처리구조를 갖춤으로써, 담수를 정화하고 자연생태계 보존은 물론 깨끗한 물을 하류 측으로 방류할 수 있게 하여 하천의 수질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친화형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류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수문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수문은 농업 또는 공업용수 이용을 위해 시설되는 보나 저수지.댐 등 수리시설의 담수 수위조절을 하단배출방식으로 이루는 문비를 갖는 수문으로서, 문비에 상기 담수 측 수표면의 부유성 유류물질을 그 수표면에서 회수관로를 이용해 수거방식으로 분리하여 별도의 집유조에 회수하는 처리구조를 갖추어서, 담수 측 수표면의 오염원인 유류를 그 수표면에서 분리방식으로 수거처리하여 수질을 개선 시키게 된다.
본 고안 수문의 효과를 설명하면 상.하 개폐방식으로 설치되는 문비에 담수 측 수표면의 부유 된 유류물질을 분리 수거하는 처리구조를 갖춤으로써, 담수를 정화하여 수질과 자연생태계 보존은 물론 깨끗한 물을 하류 측으로 방류하여 하천의 수질개선을 이룰 수 있는 등 부유성 유류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본 고안은 농업 또는 공업용수 이용을 위해 시설되는 보나 저수지.댐 등 수리시설의 담수 수위조절을 하단배출방식으로 이루는 문비를 갖는 수문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문비에 담수 측 수표면의 부유성 유류물질을 그 수표면에서 수거방식으로 분리하여 회수처리케 한 것이 그 핵심적인 기술이다.
본 고안은 저수지.댐 등 수리시설의 제방(10)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로에 그 담수의 배수 흐름에 교차하는 수직방향에서 가이드레일(12)에 안내되고, 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권양기(14)에 의해 상.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담수를 하단배출방식으로 이루게 한 문비(16)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 문비(16)는 그 문비16)의 상부 측에서 동일 수평선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관(18)들을 갖는다. 이 유입관(18)들은 개폐밸브(7)에 의해 개로.폐로 되고, 담수 측으로부터 담수 측 반대까지 관통되게 설치되어 담수 수표면의 부유성 유류물질(30)을 담수와 분리하고 수거를 위한 유입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또 유입관(18)들은 수거관로(20)에 연결되어 유입관(18)들을 통해 유입된 유류물질(30)을 집유조(22)로 회수시키어 저장시키게 될 것이다. 이때 수거관로(20)는 집유조(22) 측으로 근접하면서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배를 가지어 유류물질(30)의 원할한 수거작용이 이루게 한다.
또한 문비(16)의 하부 측에는 담수 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담수의 유입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수시키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수위조절밸브(24)들을 갖는다.
이러한 수위조절밸브(24)들은 담수 측의 수위를 상기에서 설명한 유입관(18)들과 동일선상에 유지하여 담수 수표면의 부유성 유류물질을 담수와 분리시키고 수거관로(20)를 통해 회수처리케 하기 위한 수위제어기구이다.
그리고 수위조절밸브(24)들은 수동식이거나 담수 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6)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게 한다.
한편 문비(16)에는 담수 측의 퇴적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28)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문은 담수 측의 수위를 문비(16)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위조절밸브(24)들을 이용해 유입관(18)들과 동일선상에 유지시키고 담수의 수표면에 부유되어 있는 유류물질(30)들을 유입관(18)들로 흡입하여 수거관로(20)을 통해 집유조(22)로 수거처리되게 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수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수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가이드레일 14 :권양기
16 :문비 17 :개폐밸브
18 :유입관 20 :수거관로
22 :집유조 24 :수위조절밸브
26 :수위감지센서 28 :투시창

Claims (5)

  1. 삭제
  2. 농업 또는 공업용수 이용을 위해 시설되는 보나 저수지.댐 등 수리시설의 담수 수위조절을 권양기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타고 상.하로 승강 이동 안내되면서 하단배출방식으로 이루는 문비를 갖는 수문으로서,
    상기 문비의 상부 측 동일 수평선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담수 측으로부터 담수 측 반대까지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담수 수표면의 부유성 유류물질을 유입되는 유입관들을 통해 모집하여 이송안내하는 수거관로;
    상기 수거관로의 단부에 상기 수거관로를 통하여 회수된 상기 유류물질을 저장하는 집유조; 및
    상기 문비의 하부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수위조절밸브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위조절밸브를 이용해 상기 담수 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담수 수표면의 부유성 유류물질을 수거관로를 통해 회수처리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밸브는 상기 담수 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게한 수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들에는 개폐밸브를 갖는 수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비는 상기 담수 측의 퇴적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을 더 포함하는 수문.
KR2020080001982U 2008-02-14 2008-02-14 수문 KR200449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82U KR200449731Y1 (ko) 2008-02-14 2008-02-14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82U KR200449731Y1 (ko) 2008-02-14 2008-02-14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17U KR20090008317U (ko) 2009-08-19
KR200449731Y1 true KR200449731Y1 (ko) 2010-08-05

Family

ID=4130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982U KR200449731Y1 (ko) 2008-02-14 2008-02-14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34B1 (ko) * 2014-04-30 2014-07-01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지능형 물관리 원격제어 자동화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178A (ko) * 2004-01-27 2005-08-01 일신엠텍(주)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178A (ko) * 2004-01-27 2005-08-01 일신엠텍(주)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17U (ko)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690B1 (ko)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CN211948667U (zh) 一种雨水分流收集系统
CN202170501U (zh) 一种多功能闸门系统
KR20190016432A (ko)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자연 형성시키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138574A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N104975648A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200449731Y1 (ko) 수문
CN204753798U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CN209494027U (zh) 一种雨污分离构筑物
KR101085199B1 (ko)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KR20080101645A (ko)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KR100749718B1 (ko)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20010000343A (ko) 다단계 저수장치를 이용한 자연적인 수질개선방법
JP2008179956A (ja) 淡水取水装置
KR101709908B1 (ko) 친환경 다목적 댐
RU2151840C1 (ru)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лавливания и сбора плавающих на поверхности реки загрязнений
KR20140019452A (ko) 대용량의 하천수를 저수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379795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일시 저류조
JP4369412B2 (ja) 流入ゲートの運転制御方法及び排水ポンプ設備
KR20140065986A (ko) 펌프 게이트 장치
RU10947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оемов от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KR100757314B1 (ko) 수문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는 자동보 수문
KR100721897B1 (ko) 하천 정화 구조물
KR100705420B1 (ko)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