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986A - 펌프 게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펌프 게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986A
KR20140065986A KR1020120133142A KR20120133142A KR20140065986A KR 20140065986 A KR20140065986 A KR 20140065986A KR 1020120133142 A KR1020120133142 A KR 1020120133142A KR 20120133142 A KR20120133142 A KR 20120133142A KR 20140065986 A KR20140065986 A KR 20140065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gate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민
Original Assignee
김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민 filed Critical 김보민
Priority to KR1020120133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986A/ko
Publication of KR2014006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며, 최저 운전 수위가 매우 낮은 펌프 게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는, 수로에 설치되는 수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수문; 상기 수문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수문의 하류 측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문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 내측에 결합되고, 물을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강제 배출할 수 있는 펌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 게이트 장치{PUMP GATE DEVICE}
본 발명은, 펌프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의 물을 강제 이송하기 위한 펌프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자원 관리는 홍수로 인한 하천의 범람 또는 역류로 인한 피해와 제방의 붕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수방대책의 일환으로서의 유수지 및 배수지(배수펌프장) 관리, 저수지 등의 물을 가두어 농업용수로 활용하기 위한 농업 용수 관리, 및 하천의 역류를 차단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 등을 포함하며, 특히, 농경지가 많고, 수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천 관리에 있어서 대표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배수 펌프장의 관리라고 할 수 있으며, 하천, 해안가, 및 수로 등에서 각종 용수를 사용케 하거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배수 펌프장은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기술이 발전 및 개량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배수 펌프장 등에는 각종 협잡물이 빈번하게 유입되는데, 여기서 협잡물은 배수 펌프장의 펌프 운전에 지장을 주는 목재, 풀, 가정용 또는 농사용 폐기물, 비닐 같은 것들을 말하는 것으로 배수 펌프장의 유해요소로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제진기가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진개물을 스크린으로 거른 다음 그 진개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유압식 제진기와 로터리 제진기로 구별된다.
유압식 제진기의 경우 고장이 거의 없고, 고장 시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로터리 제진기의 경우 펌프와 연동운전이 가능하고, 다수 개의 레이크로 연속처리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취수장 및 배수 펌프장이 대형화되고, 취수 및 배수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유압식 제진기로는 다양하게 유입되는 협잡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고, 협잡물의 유입량이 많을시 신속한 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양수펌프장 혹은 배수 펌프장의 펌프 전면 흡입부에서 각종 협잡물을 긁어 올려 자동으로 제거하는 로터리 제진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배수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수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문은 취수장 및 배수 펌프장 이외에도 상하수도, 도시하수처리장, 정수처리장, 농업용 관개수로 및 기타 하천과 접하는 관개 용수로 및 기타 배수구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선택적인 개폐단속에 의해 유량을 조절하고, 수심을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홍수 등으로 인한 물의 역류를 방지되게 하는 기능들을 행하게 된다. 즉, 평소에는 개방된 상태로서, 상류 측 내수를 하류 측으로 자연 배수시키는 기능을 행하게 되고, 기상 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으로 하류 측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상승하는 경우에는, 수로를 폐쇄시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수문으로 수로를 폐쇄하는 경우에, 상류측 내수위가 상승하여 주택이나 농경지의 침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로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상류의 내수를 하류로 역류현상 없이 강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수문에 펌프 장치가 구성될 수 있는데, 이것이 수문과 펌프가 일체화된 펌프 게이트 장치이다. 펌프 게이트는 장마와 같은 집중호우 시에는 내수를 강제로 배수시킬 수 있으므로 재해 예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펌프 게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문(10), 권양기(40) 및 펌프부를 포함한다.
펌프부는 모터(20)를 가지고, 모터(20)는 회전축에 의해 프로펠러(21)에 연결된다. 수문(10)에는 유동로(13)가 형성되는데, 수문(10)의 일측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12)가 형성되며,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서로 유동로(13)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유동로(13)의 내부에는 펌프부가 결합되고, 배출구(12)에는 플랩 밸브(30)가 구성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수문(10)의 상부 수로 구조물(50)에는 권양기(40)가 설치되고 권양기(40)와 수문(10)은 래크바(41)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수문(10)은 권양기(40)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하지만, 유동로(13)가 수평이고, 펌프부 또한 유동로(13)에 수평으로 배치되므로 수문(1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수문(10)이 수로 구조물(50) 상부까지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구조에서는 수로 구조물(50)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펌프부가 고장나는 경우에 펌프부를 수문(10)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데, 수평으로 배치된 펌프부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수문(10)을 수로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 후 펌프부를 수문(1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데, 이 작업 또한 불편하고, 수문(10)을 꺼낼 수 있도록 수문(10) 상부에 개방된 공간이 충분해야하므로 수문(10) 구조물이 대형화되며, 폐쇄형 수로 구조물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수로 구조물(50)의 개방부의 길이a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길어져야 펌프부 또는 수문(10)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는 물을 배출할 수 없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수위가 A인 상태에서는 유입구(11)를 통하여 물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으나, 수위가 B인 상태에서는 유입구(11)에 물이 닿지 않아 물을 배출할 수 없다. 따라서, 저수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펌프 게이트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최저 운전 수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협소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펌프 게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부의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한 펌프 게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저 운전 수위가 매우 낮은 펌프 게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는, 수로에 설치되는 수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수문; 상기 수문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수문의 하류 측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문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 내측에 결합되고, 물을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강제 배출할 수 있는 펌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펌프부를 상기 파이프로부터 분리하여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에 구성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역류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류 방지 장치는, 플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부는, 모터; 및 회전축에 의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구 하측의 상기 수로 저면에 함몰 유로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 유로는, 상기 수문이 최대로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유입구가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상류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문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권양기; 및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권양기로부터 상기 수문 측면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수문 결합되는 레크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크바의 하부는 상기 권양기에 의해 상기 권양기의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는,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여 소형 수로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며, 최저 운전 수위가 매우 낮아 저수량과 무관하게 운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펌프 게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의 정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의 정면 투영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의 정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의 정면 투영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는 수문(100), 펌프부 및 권양기(400)를 포함한다.
수문(100)에는 파이프(130)가 구성되는데, 파이프(130)의 하단은 수문(100)의 하단에 노출되어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파이프(130)의 측면에는 수문(100) 외부와 통하도록 배출구(120)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구(110)와 파이프(130) 내부, 그리고 배출구(120)가 서로 통하여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로가 형성된다.
펌프부는 모터(200)를 가지고, 모터(200)는 회전축에 의해 프로펠러(210)에 연결된다. 펌프부는 파이프(130)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고, 물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배출구(120)에는 역류 방지 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랩 밸브(121)일 수 있다.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플랩 밸브(121)의 구성은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 기술에 불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문(100) 상부의 수로 구조물(300)에는 권양기(400)가 설치되고 권양기(400)와 수문(100)은 래크바(41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권양기(400)의 작동에 의해 수문(100)이 슬라이딩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함으로써 수로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레크바(410)의 하단이 수문(100)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수문(100)의 측면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어 레크바(410)의 하단이 수문(100)의 측면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수문(100) 개방시에 수문(100)의 하부가 권양기(400)의 배치되는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으므로 권양기(400)가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수문(100)이 충분히 개방될 수 있다.
파이프(130)의 상단은 커버(131)에 의해 폐쇄되는데, 필요한 경우에 파이프(130)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커버(131)가 파이프(130)에 조립 결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사 결합일 수 있다. 따라서, 펌프부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펌프부를 수문(10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교체하는 경우에, 커버(131)를 파이프(130)로부터 분리하여 개방하고 펌프부를 파이프(130)로부터 수직으로 상승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 게이트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수문(100)이 상승된 상태에서 권양기(400)를 작동하면 래크바(410)가 하강하고, 래크바(410)에 연결된 수문(100) 또한 함께 하강하여 수로가 폐쇄된다. 이때, 플랩 밸브(121)에 의해 물이 하류로부터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모터(200)를 구동하면 모터(200)에 연결된 프로펠러(21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류의 물이 유입구(110)를 통하여 파이프(130)에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배출구(120)로 향하는데, 펌프부로 인하여 강제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플랩 밸브(121)가 개방되고, 물은 개방된 배출구(120)를 통하여 하류 측으로 강제 배출된다.
이때, 유입구(110)가 수문(100)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상류 측의 물이 거의 고갈될 때까지 물이 하류 측으로 강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수문(100) 하측의 수로의 바닥에 함몰 유로(310)를 함몰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물을 배출하는 경우에 상류 측의 물을 모두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 유로(310)는 수문(100)이 최대로 하강하는 경우에 유입구(100)를 완전히 폐쇄하지 않도록 유입구(110)로부터 상류 측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어 함몰되어 개방부를 가진다. 따라서, 필요할 경우에 상류의 저수량과 무관하게 물을 하류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펌프부의 손상으로 인하여 펌프부를 수문(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파이프(130)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31)를 파이프(130)로부터 분리하고, 펌프부를 파이프(130)로부터 분리하여 상부로 이동시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일례로 커버(131)를 개방하고, 크레인에 구성되는 견인로프를 펌프부에 연결하며, 파이프(130)와 펌프부의 결합 수단을 해제한다. 이후 크레인을 구동시켜 펌프부를 수직으로 이송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펌프부를 수문(100)에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펌프부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이송되므로 수로 구조물(300)의 개방부의 길이(b)가 짧아도 되므로 수로 구조물(300)을 소형화할 수 있고,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펌프 게이트 장치에 따르면, 유동로(13)가 수평이고, 펌프부 또한 유동로(13)에 수평으로 배치되므로 수문(1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수문(10)이 수로 구조물(50) 상부까지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구조에서는 수로 구조물(50)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펌프부가 고장나는 경우에 펌프부를 수문(10)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데, 수평으로 배치된 펌프부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수문(10)을 수로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 후 펌프부를 수문(1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데, 이 작업 또한 불편하고, 수문(10)을 꺼낼 수 있도록 수문(10) 상부에 개방된 공간이 충분해야하므로 수문(10) 구조물이 대형화되며, 폐쇄형 수로 구조물에는 적용할 수 없고,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최저 운전 수위가 높아 상류의 저수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을 배출할 수 없으므로, 펌프 게이트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펌프 게이트 장치에 따르면, 펌프부의 손상으로 인하여 펌프부를 수문(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펌프부를 상부로 이동시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작업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펌프부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이송되므로 수로 구조물(300)의 개방부가 짧아도 되므로 수로 구조물(300)을 소형화할 수 있고,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하여, 유입구(110)가 수문(100)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상류 측의 저수량이 거의 고갈될 때까지 물을 하류 측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상류의 저수량과 무관하게 운용할 수 있고,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수문 110: 유입구
120: 배출구 121: 플랩 밸브
130: 파이프 131: 커버
200: 모터 210: 프로펠러
300: 수로 구조물 310: 함몰 유로
400: 권양기 410: 래크바

Claims (7)

  1. 수로에 설치되는 수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수문(100);
    상기 수문(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구(110);
    상기 수문(100)의 하류 측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120);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를 연결하여 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문(10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파이프(130); 및
    상기 파이프(130) 내측에 결합되고, 물을 상기 유입구(110)로부터 상기 배출구(120)로 강제 배출할 수 있는 펌프부
    를 포함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3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131)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펌프부를 상기 파이프로부터 분리하여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0)에 구성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역류 방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장치는,
    플랩 밸브(121)
    를 포함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모터(200); 및
    회전축에 의해 상기 모터(20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프로펠러(210)
    를 포함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 하측의 상기 수로 저면에 함몰 유로(310)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 유로(310)는, 상기 수문(100)이 최대로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유입구(110)가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유입구(110)로부터 상기 상류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개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문(100)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권양기(400); 및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권양기(400)로부터 상기 수문(100) 측면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수문(100) 결합되는 레크바(41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크바(410)의 하부는 상기 권양기(400)에 의해 상기 권양기(400)의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게이트 장치.
KR1020120133142A 2012-11-22 2012-11-22 펌프 게이트 장치 KR20140065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42A KR20140065986A (ko) 2012-11-22 2012-11-22 펌프 게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42A KR20140065986A (ko) 2012-11-22 2012-11-22 펌프 게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86A true KR20140065986A (ko) 2014-05-30

Family

ID=5089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142A KR20140065986A (ko) 2012-11-22 2012-11-22 펌프 게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9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18B1 (ko) * 2015-09-07 2016-10-13 금장건설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기능을 구비한 펌프 게이트 시스템
CN109385985A (zh) * 2018-12-07 2019-02-26 江苏大学 一种泵闸和控制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18B1 (ko) * 2015-09-07 2016-10-13 금장건설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기능을 구비한 펌프 게이트 시스템
CN109385985A (zh) * 2018-12-07 2019-02-26 江苏大学 一种泵闸和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63B1 (ko) 펌프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일체형 펌프 게이트
US8602687B2 (en) Water/fluids surge/backflow protection systems and management
KR20220124811A (ko) 고효율 플러싱 게이트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KR20140065986A (ko) 펌프 게이트 장치
CN205636892U (zh) 基于混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调蓄及处理系统
CN209523286U (zh) 雨水终端应急沉砂井
CN204753798U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CN206660721U (zh) 水泵进水口自动清污装置
CN109723134A (zh) 新型截流泵站
CN206706968U (zh) 一种自动排水防堵塞防外溢集水井
CN205637027U (zh) 基于合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调蓄及处理系统
KR101257759B1 (ko)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KR101709908B1 (ko) 친환경 다목적 댐
JP5713258B2 (ja) 洗濯機の洗濯水自動回収容器
CN105649142A (zh) 基于混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调蓄及处理系统
KR102060647B1 (ko) 펌프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일체형 펌프 게이트
CN105332412A (zh) 室外化工设备泄露收集与雨水自动分段排放系统
JP4468905B2 (ja) 水路における異常水位時のバイパスゲート
CN106731135A (zh) 一种水泵进水口自动清污装置
JP4369412B2 (ja) 流入ゲートの運転制御方法及び排水ポンプ設備
CN219973433U (zh) 一种具有预处理功能的排水装置
KR101627922B1 (ko) 수위 조절이 용이한 수문
CN220080255U (zh) 一种雨水泵站
CN220888900U (zh) 一种雨水排口截污及分流的智能排口装置
CN212641696U (zh) 一种无动力截流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