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004Y1 - 수압식 수문 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식 수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004Y1
KR200341004Y1 KR20-2003-0034907U KR20030034907U KR200341004Y1 KR 200341004 Y1 KR200341004 Y1 KR 200341004Y1 KR 20030034907 U KR20030034907 U KR 20030034907U KR 200341004 Y1 KR200341004 Y1 KR 200341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fting
upstream
water passage
wat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주) 삼안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안산업 filed Critical (주) 삼안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38Rolling gates or gates moving horizontally in their own plane, e.g. by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수압식 수문 장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을 자동으로 승강 및 선회 작동시켜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하고, 홍수 시, 수문의 선회 안착 작동으로 통수구를 완전히 열어, 통수구 및 수문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1)의 상류(a)에서 하류(b)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단속시키도록 보에 관통 형성되는 통수구(3), 이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9)에 횡단 설치되어, 보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통수구에서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되어,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 및 통수구를 완전 개방시키는 수문(5), 이 통수구에서의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시키도록 통수구의 내측벽과 이 내측벽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상호 작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승강/안착부(17), 및 이 승강/안착부에 의하여 통수구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통수구의 하류 측에 선회 안착되어 있는 수문을 반대로 선회시켜 통수구를 닫을 수 있게 하는 역승강/안착부 (15)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압식 수문 장치 {WATER GATE APPARATUS FOR USING WATER PRESSURE}
본 고안은 수압식 수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압에 의한 수문의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으로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洑)는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부분적으로 차단함으로서 강이나 하천에 소정의 수위를 유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가 설치되어 있는 강이나 하천은, 평상 시, 자연 생태 환경 및 수자원의 사용 가능 환경을 조성하여 유지하고 있다.
이 보는 그 상측에 저류되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통수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각 통수구에 설치되는 수문(水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문 장치는 보 상측의 수위가 소정치 이상에 이르게 되면 수문 위로 물이 넘쳐흐르거나, 부대 설비로 구비되는 유압 및 기계 장치로 수문을 작동시켜 통수구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문 장치는 보 상측 바닥에 퇴적물이 쌓이게 하고, 물이 넘치지 않는 평상시에는 어류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등, 환경 오염을 가속화시키며, 홍수 시에는 물의 배출을 지연시켜 자연 재해를 증대시키고, 유압 및 기계 장치에 의한 수질 오염 및 제작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압에 의하여 수문을 자동으로 승강 및 선회 작동시켜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홍수 시, 수문의 선회 안착 작동으로 통수구를 완전히 열어, 통수구 및 수문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수문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서 수문이 자중에 의하여 닫힌 상태도.
도 4는 제1 실시 예에서 수문이 수압에 의하여 열린 상태도.
도 5는 제1 실시 예에서 수문이 홍수에 의하여 완전히 열리어 안착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수문 장치의 제2 실시 예의 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 예에서 수문이 자중에 의하여 닫힌 상태도.
도 8은 제2 실시 예에서 수문이 수압에 의하여 열린 상태도.
도 9는 제2 실시 예에서 수문이 홍수에 의하여 완전히 열리어 안착된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수문 장치의 제3 실시 예의 사시도.
도 11은 제3 실시 예에서 수문이 자중에 의하여 닫힌 상태도.
도 12는 제3 실시 예에서 수문이 수압에 의하여 열린 상태도.
도 13은 제3 실시 예에서 수문이 홍수에 의하여 완전히 열리어 안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 3 : 통수구
5 : 수문 7, 17 : 승강/안착부
9 : 내측벽 11, 19 : 가이드 레일
11a, 11b : 상, 하측 가이드 레일 13, 21 : 가이드 롤
13a, 13b : 상, 하측 가이드 롤 15, 35, 41 : 역승강/안착부
23 : 링크 25, 43 : 피동 풀리
27, 45 : 구동 풀리 29, 47 : 구동부
31, 49 : 클러치 33, 51 : 동력 전달부재
37, 39 : 상, 하측 링크 a : 상류
b : 하류
이를 실현하는 본 고안의 수압식 수문 장치는,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설치되는 보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단속시키도록 보에 관통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에 횡단 설치되어, 보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통수구에서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되어,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 및 통수구를 완전 개방시키는 수문, 및
상기 통수구에서의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시키도록 통수구의 내측벽과 이 내측벽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상호 작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승강/안착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승강/안착부는, 보의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을 상승 후 선회 안착시키도록 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경사진 후, 다시 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승강/안착부는, 수문의 안정된 승강 및 선회 안착을 위하여 통수구의 내측벽 상, 하측에 구비되는 상, 하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상, 하측 가이드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 하측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수문의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 하측 가이드 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안착부는, 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형성되는 상, 하측 가이드 레일의 경사도에 있어서, 상측 가이드 레일의 경사도가 하측 가이드 레일의 경사도 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수압식 수문 장치는,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단속시키도록 보에 관통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에 횡단 설치되어, 보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통수구에서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되어,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 및 통수구를 완전 개방시키는 수문,
상기 통수구에서의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시키도록 통수구의 내측벽과 이 내측벽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상호 작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승강/안착부, 및
상기 승강/안착부에 의하여 통수구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통수구의 하류 측에 선회 안착되어 있는 수문을 반대로 선회시켜 통수구를 닫을 수 있게 하는 역승강/안착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승강/안착부는, 보의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을 상승 후 선회 안착시키도록 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경사진 후, 다시 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 및
상기 가이드 롤의 상방 수문의 양측을 가이드 레일의 하방 통수구의 내측벽에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역승강/안착부는, 상기 수문의 상측에 연결되는 승강/안착부의 링크와 일체로 선회 작동되도록 링크의 일단에 구비되는 피동 풀리,
상기 피동 풀리에 동력 전달부재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면서 승강/안착부에 의하여 수문이 선회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 풀리와 구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승강/안착부는, 보의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을 상승 후 선회 안착시키도록 그 일단이 수문의 상, 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통수구의 하방 내측벽에서 전, 후방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 하측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역승강/안착부는, 상기 수문의 상, 하측에 연결되는 승강/안착부의 상, 하측 링크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선회 작동되도록 상, 하측 링크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구비되는 피동 풀리,
상기 피동 풀리에 동력 전달부재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면서 승강/안착부에 의하여 수문이 선회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 풀리와 구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수문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보(1)에 관통 형성되는 통수구(3), 이 통수구(3)에 설치되는 수문(5), 및 이 수문(5)을 승강 및 선회 안착시키는 승강/안착부(7)를 포함하고 있다.
보(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얕은 수심의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상류(a)에서 하류(b)로 흐르는 소정의 수량을 차단시킴으로서, 보(1)의 상류(a)에 소정의 저수량을 유지시켜 자연 생태 환경을 조성 및 유지시키고 하류(b) 측에서 수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수 시 큰 수량은 보(1)의 상단을 넘어서 상류(a)에서 하류(b)로 흐르게 된다.
홍수 시는 물론이고 평상 시, 상기와 같은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되도록 보(1)는 하나 이상의 통수구(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수구(3)는 상류(a)에서 하류(b)로 이어지는 물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보(1)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통수구(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설치되는 수문(5)의 작용에 의하여 평상 시 보(1)의 상류(a)에서 하류(b)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이 수문(5)은 통수구(3)의 대향 내측벽(9)에 횡단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수문(5)은 보(1)의 상류(a)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통수구(3)에서 승강 작동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승강 작동에 이어 선회 안착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문(5)은 평상 시, 그 승강 작동에 의하여 통수구(3)의 개폐를 조절하며, 홍수 시, 상기 승강 작동에 이어지는 선회 안착 작동에 의하여 통수구(3)를 완전히 열게 된다.
이 수문(5)이 통수구(3)에서 상기와 같이 작동되어, 통수구(3)의 개폐를 조절하고, 통수구(3)를 완전히 여는 작용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승강/안착부(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승강/안착부(7)는 통수구(3)의 내측벽(9)과 이 내측벽(9)에 대향하는 수문(5)의 양측에 구비되어, 통수구(3)에서의 수문(5)을 승강 작동시키고, 이 승강 작동에 이어 선회 안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안착부(7)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실시 예에는 가이드 레일(11)과 가이드 롤(13)로 구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11)은 보(1)의 상류(a)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3)을 상승시킨 후 선회 안착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통수구(3) 대향 내측벽(9)에 구비되어 있다.
즉, 가이드 레일(11)은 보(1)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1)의 상류(a)에서 하류(b) 측으로 경사진 후,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보(1)의 상단에서 다시 하단으로 내려가면서 보(1)의 상류(a)에서 하류(b)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있다.
이 가이드 레일(11)은 수문(3)의 안정된 승강 작용 및 이 승강 작용에 이어지는 선회 안착 작용을 위하여 상, 하측 가이드 레일(11a, 11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 하측 가이드 레일(11a, 11b)은 통수구(3)의 내측벽(9)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롤(13)은 상기와 같은 가이드 레일(11) 상에서 수문(3)의 승강 작용 및 이 승강 작용에 이어지는 선회 안착 작용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가이드 롤(13)은 가이드 레일(11)에 대향하는 수문(3)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가이드 롤(13)은, 가이드 레일(11)이 상,하측 가이드 레일(11a, 11b)로 구비되는 경우, 상,하측 가이드 롤(13a, 13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 하측 가이드 롤(13a, 13b)은 상기 상, 하측 가이드 레일(11a, 11b)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문(5)의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을 자연스럽게 한다.
이와 같이, 승강/안착부(7)가 가이드 레일(11)과 가이드 롤(13)로 구성되는 경우, 가이드 레일(11)의 경사도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즉, 보(1)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1)의 상류(a)에서 하류(b) 측으로 형성되는 상, 하측 가이드 레일(11a, 11b)의 경사도에 있어서, 상측 가이드 레일(11a)의 경사도가 하측 가이드 레일(11b)의 경사도 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 하측 가이드 레일(11a, 11b)의 상기와 같은 경사도는 보(1)의 상류(a) 측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상승된 수문(5)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안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압식 수문 장치는 도 1,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을 가지는 수문(5)에 의하여 보(1)에 형성된 통수구(5)를 닫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보(1)의 상류(a) 측에서 작용하는 수압이 상승되면 수문(5)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승되는 수문(5)의 높이는 보(1)의 상류(a) 측 수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상류(a) 측 수량이 많은 경우 수문(5)은 높게 상승되고, 상류(a) 측 수량이 적은 경우 수문(5)은 낮게 상승된다.
이와 같이 수문(5)의 승강이 상류(a) 측 수량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본 수압식 수문 장치는 수문(5)의 승강을 위하여 별도의 인양장치를 불필요하게 하고, 이 인양장치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환경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압식 수문 장치는 수문(5)을 통수구(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시켜 통수구(3)를 열기 때문에, 보(1)의 상류(a) 측 바닥부의 물부터 배출시키므로 상류(a)에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어도(魚道)를 형성하여 자연 생태 환경을 조성 및 유지할 수 있다.
이 수압식 수문 장치는, 평상 시, 상기 도 2, 3 및 4와 같이 보(1)의 상류(a) 측 수압으로 수문(5)을 승강시켜 통수구(3)의 개폐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이 수압식 수문 장치는, 홍수 와 같은 상류(a)로부터 많은 수량이 흘러내릴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a)의 큰 수량의 흐름에 의하여 수문(5)을 선회 안착시켜 통수구(3)를 완전히 개방시키게 된다.
이 수압식 수문 장치는, 상기와 같은 수문(5)의 선회 안착 작용에 의하여, 통수구(3)를 완전히 개방시킴에 따라, 홍수 시, 상류(a)에서 유입되는 많은 쓰레기 및 이물질이 통수구(3) 및 수문(5)에 걸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수문 장치의 제2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 실시 예의 그것과 유사 내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2 실시 예를 제1 실시 예와 비교 설명하고, 제1 실시 예에 추가되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제2 실시 예의 수압식 수문 장치는 제1 실시 예의 구성에 역승강/안착부(15)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역승강/안착부(15)의 일부 구성은 제1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7)의 작용을 겸하기도 하므로 제2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17)는 제1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 (7)와 구성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이 제2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17)는 가이드 레일(19), 가이드 롤(21), 및 링크(23)로 구성되어, 보(1)의 상류(a)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5)을 승강시키고 수문(5)을 상승 후 선회 안착시키게 된다.
이 가이드 레일(19)은 보(1)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1)의 상류(a)에서 하류(b)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 다시 보(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가면서 보(1)의 상류(a)에서 하류(b)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레일(19)은 통수구(3)의 대향 내측벽(9)에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롤(21)은 가이드 레일(19)에 대향하는 수문(5)의 양측에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19) 상에서 수문(5)을 승강시키고, 수문(5)의 일정 높이 이상의 상승에 이어 수문(5)을 선회 안착시킬 수 있게 한다.
링크(23)는 가이드 롤(21) 및 가이드 레일(19)에 의하여 승강 작동되는 수문(5)의 작용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롤(21)의 상방 수문(5)의 양측을 가이드 레일(19)의 하방 통수구(3)의 내측벽(9)에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안착부(17)의 일부 구성, 즉 링크(23)를 공유하는 역승강/안착부(15)는 승강/안착부(7)에 의하여 수문(5)이 통수구(3)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통수구(3)의 하류(b) 측에 선회 안착되어 있는 수문(5)을 반대로 선회시켜 통수구(3)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하여, 제1 실시 예의 수압식 수문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5)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장비를 동원하여 수문(5)을 도 2 및 3의 상태로 원상 복귀시켜야 한다.
이 제2 실시 예의 역승강/안착부(15)는 피동 풀리(25), 구동 풀리(27), 구동부(29), 및 클러치(31)로 구성되어 있다.
피동 풀리(25)는 수문(5)의 상측에 연결되는 승강/안착부(17)의 링크(23)와 일체로 선회 작동되도록 링크(23)의 일단에 구비되어, 통수구(3)의 내측벽(9)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구동 풀리(27)는 피동 풀리(25)에 동력 전달부재(33)로 연결되어, 피동 풀리 (25)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 동력 전달부재(33)는 피동 풀리(27)가 통수구(3) 및 물이 흐르는 곳에 위치하는 것을 감안하여 상당한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 로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 풀리(27) 및 피동 풀리(25)가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동력 전달부재(33)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29)는 이 구동 풀리(27)에 전달할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전동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러치(31)는 구동부(29)와 구동 풀리(27)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부 (29)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 풀리(27) 측으로 선택 전달할 수 있게 하며, 승강/안착부(17)에 의하여 수문(5)이 선회 안착되는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 및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클러치(31)는 통상적인 기계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압식 수문 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의 상류(a) 측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5)을 승강시키면서 통수구(3)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되는 수문(5)은 홍수 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구(3)에서 선회 안착되어 통수구(3)를 완전히 열게 되므로 쓰레기 및 이물질이 통수구(3) 및 수문(5)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홍수 후, 역승강/안착부(15)의 구동부(29)를 수문(5)의 선회 안착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구동부(29)의 동력은 구동 풀리(29), 동력 전달부재(33), 피동 풀리(25), 및 링크(23)를 통하여 수문(5)으로 전달되어, 수문(5)을 도 6 및 7과 같은 상태로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수문 장치의 제3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 및 2 실시 예의 그것과 유사 내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3 실시 예를 제1 및 2 실시 예와 비교 설명하고, 제1, 2 실시 예와 비교되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제3 실시 예의 수압식 수문 장치는 제1 실시 예의 구성에 역승강/안착부(35)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실시 예의 구성에 비하여 다른 역승강/안착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역승강/안착부(35)의 일부 구성은 제1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7)의 작용을 겸하기도 하므로 제3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35)는 제1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7)의 구성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면서, 제2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17)의 구성과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이 제3 실시 예의 승강/안착부(35)는 상, 하측 링크(37, 39)로 구성되어,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의 상류(a)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5)을 승강시키고 수문(5)을 상승 후 선회 안착시키게 된다.
이 상, 하측 링크(37, 39)는, 그 일단이 수문(5)의 상, 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통수구(3)의 하방 내측벽(9)에서 전, 후방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안착부(35)의 구성, 즉 상, 하측 링크(37, 39)를 공유하는 역승강/안착부(4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안착부(35)에 의하여 수문(5)이 통수구(3)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통수구(3)의 하류(b) 측에 선회 안착되어 있는 수문(5)을 반대로 선회시켜 통수구(3)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3 실시 예의 역승강/안착부(41)는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피동 풀리(43), 구동 풀리(45), 구동부(47), 및 클러치(49)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피동 풀리(43)는 수문(5)의 상, 하측에 연결되는 승강/안착부(35)의 상, 하측 링크(37, 39) 중 하나와 일체로 선회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통수구(3)의 내측벽(9)에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피동풀리(43)가 상측 링크(37)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으나, 하측 링크(39)의 일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피동 풀리(43)에 동력 전달부재(51)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45), 이 구동 풀리(45)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7), 및 클러치(49)는 제2 실시 예의 그것들과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수압식 수문 장치는, 통수구에 승강/안착부를 구비하여, 수문을 승강시켜 통수구를 개폐시키고 수문의 상승 후 선회 안착시켜 통수구를 완전히 열어, 수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며, 홍수 시 통수구를 완전히 열어 통수구 및 수문에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수압식 수문 장치는 승강/안착부에 역승강/안착부를 더 구비하여, 홍수로 인하여 선회 안착되어 통수구를 완전히 열고 있는 수문을 편리하게 원상 복귀시켜 통수구를 닫을 수 있다.

Claims (9)

  1.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단속시키도록 보에 관통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에 횡단 설치되어, 보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통수구에서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되어,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 및 통수구를 완전 개방시키는 수문, 및
    상기 통수구에서의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시키도록 통수구의 내측벽과 이 내측벽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상호 작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승강/안착부를 포함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착부는,
    상기 보의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을 상승 후 선회 안착시키도록 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경사진 후, 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을 포함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착부는,
    상기 수문의 안정된 승강 및 선회 안착을 위하여 통수구의 내측벽 상, 하측에 구비되는 상, 하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상, 하측 가이드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 하측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수문의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 하측 가이드 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착부는,
    상기 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형성되는 상, 하측 가이드 레일의 경사도에 있어서, 상측 가이드 레일의 경사도가 하측 가이드 레일의 경사도 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5.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단속시키도록 보에 관통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에 횡단 설치되어, 보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통수구에서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되어, 통수구의 개폐를 조절 및 통수구를 완전 개방시키는 수문,
    상기 통수구에서의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 작동시키도록 통수구의 내측벽과 이 내측벽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상호 작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승강/안착부, 및
    상기 승강/안착부에 의하여 통수구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통수구의 하류 측에 선회 안착되어 있는 수문을 반대로 선회시켜 통수구를 닫을 수 있게 하는 역승강/안착부를 포함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착부는,
    상기 보의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을 상승 후 선회 안착시키도록 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경사진 후, 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가면서 보의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통수구의 대향 내측벽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수문을 승강 및 선회 안착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수문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 및
    상기 가이드 롤의 상방 수문의 양측을 가이드 레일의 하방 통수구의 내측벽에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역승강/안착부는,
    상기 수문의 상측에 연결되는 승강/안착부의 링크와 일체로 선회 작동되도록 링크의 일단에 구비되는 피동 풀리,
    상기 피동 풀리에 동력 전달부재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면서 승강/안착부에 의하여 수문이선회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 풀리와 구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착부는,
    상기 보의 상류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을 상승 후 선회 안착시키도록 그 일단이 수문의 상, 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통수구의 하방 내측벽에서 전, 후방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 하측 링크를 포함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역승강/안착부는,
    상기 수문의 상,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안착부의 상, 하측 링크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선회 작동되도록 상, 하측 링크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구비되는 피동 풀리,
    상기 피동 풀리에 동력 전달부재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면서 승강/안착부에 의하여 수문이 선회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 풀리와 구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수문 장치.
KR20-2003-0034907U 2003-10-13 2003-11-07 수압식 수문 장치 KR20034100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06 2003-10-13
KR20030032006 2003-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004Y1 true KR200341004Y1 (ko) 2004-02-11

Family

ID=4942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907U KR200341004Y1 (ko) 2003-10-13 2003-11-07 수압식 수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00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35B1 (ko) 2007-03-02 2007-10-26 (주) 삼안산업 수압식 수문장치
KR100789936B1 (ko) 2006-09-29 2008-01-02 문화종합건설(주) 전도식 수문을 이용한 하천보
KR100812634B1 (ko) 2007-09-14 2008-03-13 (주) 삼안산업 유압식 수문장치
KR101073437B1 (ko) 2011-06-21 2011-10-17 주식회사 삼안 도크식 어도
KR102080024B1 (ko) * 2019-10-07 2020-02-2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춘 가동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36B1 (ko) 2006-09-29 2008-01-02 문화종합건설(주) 전도식 수문을 이용한 하천보
KR100770035B1 (ko) 2007-03-02 2007-10-26 (주) 삼안산업 수압식 수문장치
KR100812634B1 (ko) 2007-09-14 2008-03-13 (주) 삼안산업 유압식 수문장치
KR101073437B1 (ko) 2011-06-21 2011-10-17 주식회사 삼안 도크식 어도
KR102080024B1 (ko) * 2019-10-07 2020-02-2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춘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1723A1 (en) Self-regulating weirs and fishways
JP5333872B2 (ja) 水門
KR200341004Y1 (ko) 수압식 수문 장치
KR101557744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JP3395033B2 (ja) 水位調整水門
TWI767100B (zh) 油壓控制裝置
KR20100057110A (ko) 수문조절장치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JP2972868B2 (ja) 水力利用装置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JP3074672B2 (ja) 排砂流路の二段ゲート
KR100787405B1 (ko) 오리피스 게이트형 유량조절장치
KR920003107B1 (ko) 게이트용 펌프 시스템
US11479943B2 (en) Buoyant mechanical liquid level control
JP2552616B2 (ja) 魚道装置の制御ゲートおよびその集魚装置
JP2514841B2 (ja) 自動水位制御ゲ―ト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KR200340320Y1 (ko) 부력체와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한 가동언 (자동보 수문)
JP2000045253A (ja) チェックゲート
JPH11222835A (ja) 堰装置
KR20060095022A (ko) 회동식 가동보
KR200329807Y1 (ko) 무동력 자동수문
KR200215796Y1 (ko) 중력 자동 수문
KR20050003961A (ko) 수압식 수문 장치
JP2000073345A (ja) 強制排水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