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801Y1 - 암거용 수문 - Google Patents

암거용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801Y1
KR200411801Y1 KR2020050035830U KR20050035830U KR200411801Y1 KR 200411801 Y1 KR200411801 Y1 KR 200411801Y1 KR 2020050035830 U KR2020050035830 U KR 2020050035830U KR 20050035830 U KR20050035830 U KR 20050035830U KR 200411801 Y1 KR200411801 Y1 KR 200411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culvert
gate
fix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성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강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강영성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2020050035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8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18Pivoting clos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Abstract

본 고안은 암거를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암거용 수문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은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로 물이 흐르는 암거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배수구들을 개폐시키며, 전면에 플랜지가 고정되어 있는 수문과; 상기 암거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와; 일측은 상기 수문의 플랜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문을 상기 프레임에서 회동시키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수문이 개폐될 때 상기 작동실린더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암거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수문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실린더와; 상기 배수구들이 상기 수문에 의하여 밀폐되었을 때 상기 암거에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수문을 상기 프레임측으로 밀착시키는 누수방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거내의 물이 누수 되거나 암거 내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수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암거, 수문, 실린더, 밀폐

Description

암거용 수문{FLOODGATE FOR UNDERDRAI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의 누수방지수단의 구동부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암거 10 : 수문
11 : 작동시린더 13 : 고정부
15 : 고무패킹 17 : 장공
20 : 프레임 21 : 개구부
23 : 브래킷 30 : 누수방지수단
31 : 하우징 33 : 회전플레이트
35 : 구동부 36 : 웜
37 : 웜기어 38 : 정역모터
본 고안은 암거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이 닫혔을 때 암거내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수문을 개폐할 수 있는 암거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물을 막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수로나 저수지에 설치하는 가동식 구조물로서, 하천의 분류 지점이나 합류지점에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고, 해안 제방에 설치하여 조수의 역류 방지, 내수 배제, 선박 운행 등에 이용되기도 하며, 댐의 홍수 토수구나 방수관에 설치하여 방류나 홍수 조절에 이용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수문은 하수를 흘려보내기 위하여 도로의 아래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거(下水管渠) 또는 시내의 도로, 주차장 등을 넓게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표로 흐르고 있는 수로를 복개한 암거(暗渠)에도 사용되고 있다. 암거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수문은 관로 내를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수문이 열리고 닫힌다. 즉, 수문 내측의 물의 압력이 크면 수문이 열려 물이 방류되고, 수문 외측의 물의 압력 즉, 역류되는 물의 양이 많게 되면 수문이 닫히게 된다.
그런데, 암거용 수문의 경우 단순히 관로 내를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만 수문이 열리고 닫히므로, 방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한 물이 흐르는 것을 수문의 무게에 의해서만 차단할 수밖에 없으므로, 수문이 닫혀 있을 때에도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수문이 암거 즉, 관로 내를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열리고 닫히므로, 장마나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시 필요에 따라 암거 내에 물을 담수하거나 방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수시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암거내의 물이 누수 되거나 암거 내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수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암거용 수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은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로 물이 흐르는 암거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배수구들을 개폐시키며, 전면에 플랜지가 고정되어 있는 수문과; 상기 암거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와; 일측은 상기 수문의 플랜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문을 상기 프레임에서 회동시키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수문이 개폐될 때 상기 작동실린더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암거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수문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실린더와; 상기 배수구들이 상기 수문에 의하 여 밀폐되었을 때 상기 암거에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수문을 상기 프레임측으로 밀착시키는 누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시내의 도로, 주차장 등을 넓게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표로 흐르고 있는 수로를 복개한 암거(暗渠: 1)의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암거(1) 내부로 흐르는 물을 담수하거나 배수시킬 수 있도록 수문(1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20)이 결합되어 있다. 암거(1)의 상면에는 수문(10)을 회동시키는 작동실린더(11)의 일측이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13)가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20)에는 암거(1) 내부로 흐르는 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수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는 수문(1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브래킷(23)들이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있다.
수문(10)은 고정축(23a)에 의하여 브래킷(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 브래킷(23)들이 삽입되는 삽입홈(10b)들이 형성되어 있다. 수문(10)은 작동실린더(11)에 의하여 프레임(20)에서 회동되면서 프레임(20)의 배수구(21)들을 개폐시킨다. 수문(10)의 전면에는 수문(10)이 작동실린더(11)에 의하여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다수의 플랜지(10a)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 플랜지(10a)에는 작동실린더(11)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문(10)과 프레임(20) 사이에는 수문(10)이 닫혔을 때 누수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고무패 킹(15)이 마련되어 있으며, 고무패킹(15)은 수문에 고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암거(1)의 측면에는 작동실린더(11)에 의하여 수문(10)이 프레임(20)에서 개폐될 때 작동실린더(1)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문(10)이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보조실린더(17)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보조실린더(17)의 일측은 암거(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수문(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암거(1)의 전방부에는 수문(10)이 닫혔을 때 수문(10)의 하단부를 프레임(20)측으로 밀착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누수방지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누수방지수단(30)은 수문(10)의 양측 전방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에서 회동 되도록 일측 및 타측이 회전축(33a)에 의하여 하우징(31)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플레이트(33)와, 하우징(31)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플레이트(33)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5)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축(33a)의 일측은 회전플레이트(33)에 장착되어 있고, 타측은 하우징(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구동부(35)는 웜(36)과 웜기어(37) 및 웜(36)을 회전시키는 정역모터(38)로 이루어져 있으며, 웜기어(37)에는 회전축(33a)의 타측이 압입되어 고정된다. 정역모터(38)는 정역 회전되면서 웜(36)을 정역 회전시키고, 웜(36)의 정역 회전에 의하여 웜기어(37)가 회전되면서 회전플레이트(33)를 회동시킨다. 즉, 회전플레이트(33)는 정역모터(38)가 정회전하면 그 일단부가 수문(10)의 하단부에 접축되면서 수문(10)을 프레임(20)측으로 밀착시키고, 정역모터(38)가 역회전하면 회전플레이 트(33)가 수문(10)의 하단부에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정역모터(38)로는 정확한 회전속도를 얻을 수 있도록 감속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정역모터(38)를 기어드모터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동기모터로 대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부(40)는 회전축(33a)에 고정되어 있는 회동바(41)와, 이 회동바(41)를 회동시키는 실린더(43)로 이루어져 있다. 회동바(41)에는 실린더(43)의 실린더로드(45)가 신장 및 수축될 때 회동바(41)가 회전축(33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장구멍(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45)에는 장구멍(41a)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핀(45a)이 부착되어 있다. 회동바(41)에 형성되어 있는 장구멍(41a)에 의하여 회동바(41)가 회전축(33a)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회전플레이트(33)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장구멍(41a)에 의하여 실린더로드(45)의 직선운동을 회동바(41)의 회동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암거(1) 내부에 물을 담수 시킬 때에는 수문(10)이 닫혀진 상태에서 수문(10)의 하측이 회전플레이트(33)에 의하여 프레임(20)측으로 밀착되어 진다. 이때, 수문(10)과 프레임(20) 사이에는 고무패킹(15)이 마련되어 있어서 암거(1) 내의 물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암거(1) 내부에 담수 되어 있던 물을 방류할 때에는 구동부(35)의 모터()를 구동시켜 회전플레이트(33)를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시킨 후, 작동실린더(11)를 수축시켜 수문(10)을 이전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에서 회전시켜 암거(1)를 개방하여 물을 방류 시킨다. 이때, 수문(10)의 플랜지(10a)에 작동실린더(11)가 연결되어 있어서 수문(10)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은 배수구에 걸려 있는 쓰레기가 수문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일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수문(10)의 상측 양단에는 회전축(50)이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20)의 상단 양측에는 회전축(50)이 고정되는 고정블럭(25)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고정블럭(25)에는 수문(10)이 고정블럭(25)에서 회전 및 상하로 이동되도록 회전축(5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5a)이 형성되어 있다. 수문(10)은 가이드홈(25a)에 의하여 프레임(20)에 닫힐 때 프레임(20)에서 슬라이딩 되며, 이에 의하여 프레임(20)의 배수구(21)에 걸려 있는 쓰레기나 부유물 등이 수문(10)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홈(25a)에 끼워지는 회전축(50) 부위에는 수문(10)이 슬라이딩 될 때 용이하게 회전 및 슬라이딩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51)이 삽 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문(10)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11)가 수축하여 수문(10)이 열렸을 때는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0)이 가이드홈(25a)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작동실린더(11)를 신장시켜 수문(10)을 회전시키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20)의 전면과 접촉되면서 수문(10)이 닫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20)의 배수구(21)가 수문(10)에 의하여 완전하게 밀폐되지 않고 배수구(21)의 하측이 약간 개방된다.
이후, 작동실린더(11)가 더 신장하게 되면 회전축(50)이 가이드홈(25a)의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수문(10)이 프레임(20)과 접촉된 상태에서 프레임(2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배수구(21)를 완전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그러면, 배수구(21)에 걸려있던 쓰레기나 부유물 등이 수문(10)의 하면에 의하여 밀리면서 배수구(21)에서 제거되어 수문(10)과 프레임(20)이 완전하게 밀폐된다.
그런 후 수문(10)이 자중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면, 배수구(21)에 걸려있던 쓰레기나 부유물 등이 수문(10)의 하면에 의하여 밀리면서 배수구(21)에서 제거되어 수문(10)과 프레임(20)이 완전하게 밀폐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암거용 수문은 암거내의 물이 누 수 되거나 암거 내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수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을 개폐시키면서 프레임의 배수구에 걸려있는 쓰레기,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을 제거 할 수 있으므로, 수문과 프레임을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로 물이 흐르는 암거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배수구들을 개폐시키며, 전면에 플랜지가 고정되어 있는 수문과;
    상기 암거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와;
    일측은 상기 수문의 플랜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문을 상기 프레임에서 회동시키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수문이 개폐될 때 상기 작동실린더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암거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수문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실린더와;
    상기 배수구들이 상기 수문에 의하여 밀폐되었을 때 상기 암거에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수문을 상기 프레임측으로 밀착시키는 누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용 수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수단은 상기 수문의 양측 전방부에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들과, 일측 및 타측이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용 수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모터에 의하여 정역 회전되는 웜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용 수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는 다수의 브래킷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문은 상측에 상기 브래킷들이 삽입되는 삽입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들에 관통되는 고정축에 의하여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용 수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상측 양단에는 회전축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암거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는 고정블럭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블럭에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고정블럭에서 회전 및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용 수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수문 사이에는 고무패킹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용 수문.
KR2020050035830U 2005-12-20 2005-12-20 암거용 수문 KR200411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830U KR200411801Y1 (ko) 2005-12-20 2005-12-20 암거용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830U KR200411801Y1 (ko) 2005-12-20 2005-12-20 암거용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801Y1 true KR200411801Y1 (ko) 2006-03-17

Family

ID=4176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830U KR200411801Y1 (ko) 2005-12-20 2005-12-20 암거용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8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18B1 (ko) * 2006-11-22 2007-09-20 원승묵 울타리용 주차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18B1 (ko) * 2006-11-22 2007-09-20 원승묵 울타리용 주차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101351063B1 (ko) 펌프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일체형 펌프 게이트
KR200401266Y1 (ko) 밀폐구조를 갖춘 유압식 수문
KR20060122333A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0768155B1 (ko) 슬라이드형 자동 수문
KR200411801Y1 (ko) 암거용 수문
KR20090000991A (ko) 수문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KR101815490B1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KR101275510B1 (ko) 개폐가 용이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0594630B1 (ko) 가변 수량 자동 수문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0571724B1 (ko) 슬라이드형 수문
KR100295497B1 (ko) 수문개폐장치
KR200427611Y1 (ko) 자동비를 갖는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KR200355826Y1 (ko) 하천용 수문
JP3957213B2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の排砂構造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KR200297673Y1 (ko) 자동 보의 수문 개폐장치
KR200359070Y1 (ko) 역류방지용 수문
KR100945588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KR200433159Y1 (ko) 복합 자동 수문
KR200321712Y1 (ko) 유압식 수문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