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159Y1 - 복합 자동 수문 - Google Patents

복합 자동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159Y1
KR200433159Y1 KR2020060026639U KR20060026639U KR200433159Y1 KR 200433159 Y1 KR200433159 Y1 KR 200433159Y1 KR 2020060026639 U KR2020060026639 U KR 2020060026639U KR 20060026639 U KR20060026639 U KR 20060026639U KR 200433159 Y1 KR200433159 Y1 KR 200433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uice
water gate
drainag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경신산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산업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산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6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1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6Gates turning round a horizontal axis arranged midway of the fla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문을 구비하는 배출부, 수문을 지지하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어 수문을 개폐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수문의 상부로 배출되게 하거나 수문의 하단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공이 가능하고 전도식 및 하단 배출식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유수 보수가 용이한 복합 자동 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자동 수문은,
통상의 제방에 형성된 배수로의 타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배수로를 개폐하면서 양단면 하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된 수문을 갖는 배출부;
배수로의 양단면에 고정 배치되면서 회전축이 삽입 안내되는 구동챔버와, 구동챔버 내부에 고정 배치되면서 구동챔버 내로 연장된 회전축이 삽입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갖는 하우징부;
회전축을 선회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가지는 작동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복합 자동 수문 {composition mode automatic floodg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자동 수문을 일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합 자동 수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자동 수문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자동 수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복합 자동 수문장치 110 : 배출부
112 : 수문 114 : 회전축
115 : 고정축 116 : 연결축
120 : 하우징부 122 : 구동챔버
126 : 제1 안내 장공 128a : 제1 하우징
130 : 제2 안내 장공 128b : 제2 하우징
150 : 선회이송부 152 : 고정링크
154 : 실린더 156 : 실린더로드
158a : 제1 회전링크 158b : 제2 회전링크
본 고안은 전도식 및 하단 배출식이 혼합된 복합 자동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된 관개용수를 전도식으로 수문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수문의 하단으로 배출되도록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공이 가능하고 전도식 및 하단 배출식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복합 자동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수로는 농지관리 또는 관개용수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로에는 관개용수 관리, 즉 가뭄 때에는 물을 저장하여 두고 내리는 비의 양이 많을 때에는 이를 방출하기 위해 수문을 개폐 작동하는 수문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문장치는 배출되는 유수와 같은 방향으로 수문이 전도되는 전도식과, 수문의 하부로 유수가 배출되는 하단 배출식으로 구분된다.
전도식 수문장치는 홍수가 발생했을 때 이물질이 수문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하단 배출식 수문장치는 퇴적물이 쌓이지 않으므로 하도준설이 필요하지 않으며,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어도 공사가 필요하지 않아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를 하단배출하기 때문에 수질개선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도식 수문장치 및 하단 배출식 수문장치는 급격한 수위증가시 수평개방으로 홍수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술한 전도식 수문장치와 하단 배출식 수문장치의 장점을 취합한 수문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문장치는 다수의 구성요소 즉, 다수의 링크 연결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문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수문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서 링크 연결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 저장된 관개용수를 전도식으로 수문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수문의 하단으로 배출되도록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공이 가능하고 전도식 및 하단 배출식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복합 자동 수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통상의 제방에 형성된 배수로의 타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배수로를 개폐하면서 양단면 하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된 수문을 갖는 배출부;
배수로의 양단면에 고정 배치되면서 각각의 회전축이 삽입 안내되는 구동챔버와, 각각의 구동챔버 내부에 고정 배치되면서 각각의 구동챔버 내로 연장된 회전축과 고정축을 고정시켜주는 하우징부;
각각의 가이드에 대응하는 각각의 구동챔버의 바닥면 상에 고정 배치되는 고 정링크와, 일단이 각각의 고정링크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타단은 회전축을 선회시키는 작동실린더와, 회전축과 작동실린더를 연결시켜주는 제1 회전링크 및 제2 회전링크와 제2 회전링크를 고정시켜주는 선회이송부들로 이루어진 복합 자동 수문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챔버는 내부가 중공되고 외형은 전체적으로 제방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며, 서로 마주보는 구동챔버의 측면에는 회전축이 삽입 안내되는 제 1 안내장공이 구동챔버의 측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 1 안내장공과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제 1 안내장공에 대응하는 제 2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각각의 구동챔버 내부 연장된 각각의 회전축이 삽입 안내된다.
또한, 각각의 작동실린더로드의 연장부에는 하부가 각각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부는 각각의 작동실린더로드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회전링크와 제2 회전링크가 배치된다.
한편, 제1 하우징은 회전축에 삽입되는 일정높이에 고정배치되고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며 고정배치 되어 제1 회전링크와 제2 회전링크를 고정시켜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저장된 관개용수를 선택적으로 수문의 상부로 배출되게 하거나 수문의 하단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 시공이 가능하고 전도식 및 하단 배출식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자동 수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자동 수문의 일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자동 수문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자동 수문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자동 수문(100)은 제방(10)에 형성된 배수로(12) 상에 배치되어 배수로(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부(110)와,
상기 배출부(110)의 양단면 상에 배치되어 배출부(110)를 지지하는 하우징부(12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배출부(110)를 고정시켜주는 제1 하우징(128a)과 제2 하우징(128b) 및 마찬가지로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배출부(110)를 선회 운동시키는 선회이송부(150)를 구비한다.
먼저, 배출부(110)는 배수로(12)를 선택적으로 개폐(開閉)하는 수문(水門)(112)을 구비한다.
이때, 수문(112)은 배수로(12)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수문(11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수문(112) 폐문 시 물이 닫는 부분은 라운드(round)형상을 가지며 반대편은 수직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문(112)과 회전축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축(116)이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수로(12)의 바닥부에 수문(112)의 라운드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배수로 바닥부분에 일정두께를 가진 지수판(16)이 형성되며 수문(112)의 라운드 부분과 양쪽측면 및 수문(112)의 끝부분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을 장착한다.
구동챔버(122)는 내부가 중공되고 외형은 전체적으로 제방(10)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챔버(122)의 상부면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구동챔버(122)의 측면에는 수문(112)에 형성된 회전축(114)이 삽입 안내되는 제 1 안내장공(126)과 고정축(115)이 삽입 안내되는 제2 안내장공(130)이 각각 구동챔버(122)의 측면을 따라서 수평하게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제1 하우징(128a)과 제2 하우징(128b)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됨과 아울러 각각의 구동챔버(122) 내부에서 제 1 안내장공(126)과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구동챔버(122)에는 제1 하우징(128a)및 제2 하우징(128b)과 선회이송부(150)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선회이송부(150)는 고정링크(152) 및 실린더(154)를 구비한다.
상기의 고정링크(152)는 각각의 구동챔버(122)의 바닥면 상에 고정 배치된다. 이러한 각각의 고정링크(152)에는 실린더(154)의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154)에서 연장되는 실린더로드(156)는 제1 하우징(128a)과 제2 하우징 (128b) 사이로 연장된다.
이때, 각각의 제1하우징(128a)과 제2 하우징(128b) 사이로 연장된 각각의 실린더로드(156)의 연장부에는 실린더로드(15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회전링크(158a)와 제2 회전링크(158b)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각각의 실린더(154)는 각각의 실린더로드(156)를 신장 또는 압축시켜 각각의 회전축(114)을 제1 안내장공(126) 및 제2 안내장공(130) 상에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실린더(154)는 수문(112)을 배수로(12)의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수로(12)에서 이탈 개방되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복합 자동 수문(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수문(112)이 배수로(12)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문(112)이 배수로(12)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우선, 수문(112)의 상부가 구동챔버(122)의 상부와 일치될 때까지 실린더(154)의 실린더로드(156)를 신장시켜 배수로(12)를 폐쇄한다.
이때, 신장되는 각각의 실린더로드(156)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 회전링크(128a)와 제2 회전링크(128b)는 각각의 회전축(114)의 방사상 상부측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자동 수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 로, 도 4는 유수가 수문(112)의 상부 측으로 배출되는 전도식 개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유수가 수문(112)의 하부 측으로 배출되는 하단 배출식 개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문(112)의 상부 측으로 유수를 배출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각각의 실린더(154)를 작동시켜 실린더로드(156)를 압축시킨다.
이와 같이 실린더로드(156)가 압축되면, 실린더로드(156)의 연장부에 장착된 각각의 제1 회전링크(128a)와 제2 회전링크(128b)는 실린더(154) 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제1 회전링크(128a)와 제2 회전링크(128b)가 선회함에 따라서 제1 회전링크(128a)와 제2 회전링크(128b)와 고정된 회전축(114)은 마찬가지로 실린더(154) 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그 결과, 수문(112)은 배수로(12)의 타측으로 선회하면서 배수로(1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로드(156)의 압축량을 조절하여 적절하게 수문(112)을 개방한다.
한편, 수문(112)의 하부 측으로 유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도 1과 같은 상태 하에서 작업자는 실린더(154)를 작동시켜 실린더로드(156)를 끝까지 신장시킨다. 이와 같이 각각의 실린더로드(156)가 신장되면, 실린더로드(156)의 연장부에 장착된 각각의 제1 회전링크(158a)와 제2 회전링크(158b)가 회전하게 되면서 수문(112)의 하부측이 배수로(12)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배수로(12)를 개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자동 수문(100)는 수문(112)을 구비하는 배출부(110)와, 수문(112)을 지지 안내 하는 하우징부(120)와, 하우징부(120)에 지지된 수문(112)을 선회 시키는 선회이송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문(112)을 전도식 즉, 구조물의 에이플런 높이와 같은 높이로 수문(112)을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가 수문(112)의 하단으로 배출되게 개방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수로에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문장치들에 비하여 수문(112)을 개폐하는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문장치(100) 제작에 따른 제작기간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장치(100)의 고장발생시 누구나 쉽게 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통상의 제방에 형성된 배수로의 타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로를 개폐하면서 양단면 하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된 수문을 갖는 배출부;
    상기 배수로의 양단면에 고정 배치되면서 각각의 상기 회전축과 고정축이 삽입 안내되는 구동챔버와, 각각의 상기 구동챔버 내부에 고정 배치되면서 각각의 상기 구동챔버 내로 연장된 상기 회전축이 삽입 안내되는 하우징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는 제2 하우징과, 일단이 각각의 상기 제1 하우징와 제2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실린더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실린더에서 연장되는 실린더로드는 상기 가이드 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선회시키는 선회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동 수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기 구동챔버는 모두 내부가 중공되고 외형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방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구동챔버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 안내되는 안내장공이 상기 구동챔버의 측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동 수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모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1 안내장공과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제 1 안내장공에 대응하는 제 2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구동챔버 내부 연장된 각각의 상기 회전축과 고정축이 삽입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동 수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린더로드의 연장부에는 하부가 각각의 상기 회전축과 고정축에 고정되며 상부는 각각의 상기 실린더로드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회전링크와 제2 회전링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동 수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일측에 인접한 양단면 및 하부에는 상기 수문의 일측면 테두리및 하부가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 바닥부분에는 수문의 형상과 같은 형상의 지수판이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자동 수문.
KR2020060026639U 2006-09-29 2006-09-29 복합 자동 수문 KR200433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639U KR200433159Y1 (ko) 2006-09-29 2006-09-29 복합 자동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639U KR200433159Y1 (ko) 2006-09-29 2006-09-29 복합 자동 수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459A Division KR100765894B1 (ko) 2006-09-29 2006-09-29 복합 자동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159Y1 true KR200433159Y1 (ko) 2006-12-11

Family

ID=4178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639U KR200433159Y1 (ko) 2006-09-29 2006-09-29 복합 자동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1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25B1 (ko) * 2008-03-20 2011-03-17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오존공급기능을 갖는 배수로를 개폐하는 수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25B1 (ko) * 2008-03-20 2011-03-17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오존공급기능을 갖는 배수로를 개폐하는 수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555B1 (ko) 혼합형 수문장치
KR100765894B1 (ko) 복합 자동수문장치
KR100848186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KR100788918B1 (ko) 펌프일체형수문
CN110284466B (zh) 一种河道组合闸门及其控水方法
JP2010530484A (ja) 下水道管路逆流防止装置
KR20060111885A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200433159Y1 (ko) 복합 자동 수문
KR100622272B1 (ko) 전도식 수문장치
KR100768155B1 (ko) 슬라이드형 자동 수문
KR200427632Y1 (ko) 가동보의 구동장치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0734152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가지는 수문장치
KR101275510B1 (ko) 개폐가 용이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0541030B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100748014B1 (ko) 다단 배출식 자동보 수문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200446309Y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200178138Y1 (ko) 수압 자동 수문
KR100254289B1 (ko) 수압 자동 수문
KR200438107Y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101163496B1 (ko) 반달형 회전식 자동수문장치
KR100415503B1 (ko) 자동 개폐식 유압 실린더 내장형 밀폐식 수문
KR20090042877A (ko) 구조적 강도와 지수성능을 보강한 회전수문
KR200411801Y1 (ko) 암거용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