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289B1 - 수압 자동 수문 - Google Patents

수압 자동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289B1
KR100254289B1 KR1019980007391A KR19980007391A KR100254289B1 KR 100254289 B1 KR100254289 B1 KR 100254289B1 KR 1019980007391 A KR1019980007391 A KR 1019980007391A KR 19980007391 A KR19980007391 A KR 19980007391A KR 100254289 B1 KR100254289 B1 KR 10025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plate
water
opening
sides
vertic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317A (ko
Inventor
김병무
Original Assignee
김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무 filed Critical 김병무
Priority to KR101998000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289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6Spillways; Devices for dissipation of energy, e.g. for reducing eddies also for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시설 내에 담수되는 물의 수압에 따라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제방시설의 수위를 조절함과 아울러 담수된 물의 수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방뚝의 배수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담수된 물의 수압에 따라 일차적으로 물을 차단 및 통수하는 수직개폐판과; 상기 배수구에 상기 수직개폐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이차적으로 물을 차단 및 통수하는 경사개폐판과; 상기 수직개폐판과 경사개폐판의 사이에 상기 경사개폐판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간격유지요소를 포함하여, 담수의 수압이 내수압 이하인 경우에는 물을 2단계로 차단하고, 내수압 이상인 경우에는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자동 수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압 자동 수문 (WATER PRESSURE ACCORDING TO AUTO FLOODRGATE)
본 발명은 자동수문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제방시설 내에 담수되는 물의 수압에 따라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제방시설의 수위를 조절함과 아울러 담수된 물의 수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저수지 또는 농수로의 경우 수로를 차단하여 저수할 경우에는 주로 제방에 수문을 장설하고 그 상부위에 가교를 놓은 다음 상기 가교 위에 핸들을 돌려 상기 수문을 들러올리거나 내려 제방에 담수된 물의 수위를 조정하는 구조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문은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핸들의 나사부 및 제방과 결합되는 수문의 양측단부가 부식되어 수문의 개폐가 어렵게되고, 장마철에 집중호우가 내려 제방 내의수위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 사람이 일일이 제방의 수위를 관측한 다음 그 상황에 따라 수문을 조정해야하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급격히 증가하는 수위의 관측부주위로 미처 수문을 개방하지못할 경우 제방 내 물의 범람으로 재해가 발생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 중 하나는 국내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 91-782 "수압을 이용한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이하 제 1 선행기술이라 칭함)가 있는데 이는 수문차를 지지축으로 수문지지틀의 기둥에 축설시켜 수수위의 상승에 따라 수압의 작용중심이 지지축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수압에 의해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지닌 제 1 선행기술에서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수문제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개폐되는 수문제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압에 의해 딸려오는 모래, 자갈, 이물질 등이 잘통과되지 못하거나 수문의 하단부에 퇴적물들이 쌓이에 되면서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문의 하단부에 쌓인 퇴적물 및 여러 가지 이물질등이 수문의 하단부를 막아놓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인위적인 힘을 사용하여 수문을 개폐하여야 하고, 항상 수문에 여러 가지 이물질등이 쌓여 있는지 검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 1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 중 하나인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96-41545 "자동수문"(이하 제 2 선행기술이라 칭함)이 있는데 이는 기초에 2개의 지지대가 세워지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일정중량을 갖는 수문의 상단이 축 결합되며, 상기 수문의 하단부에 저항판이 부착되어 구성된 것으로, 수위의 상승에 따라 수압이 작용하여 수문의 자중에 의한 힘 보다 수압이 크게 작용되면 수문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상기 수문을 통해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일정수이 이하가 되면수문의 자중에 의한 힘이 더 커저 자동으로 수문이 닫히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지닌 제 2 선행기술에서는 수문이 경사진 구조를 갖고 있어 수압을 받는 면적이 넓어 원활한 단수가 이루어지지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문의 자중이 수압을 견디도록 비교적 중량이 무겁게 설계되어 시공이 어렵고, 또 수문 작동시 개방되는 수문의 공간이 협소하여 많은량의 물이 동시에 배출되기 어려우며, 특히 수문의 하단부 또는 수문과 언체사이에 쌓이는 모래, 자갈, 이물질 등과 같은 퇴적물을 청소하여 수문이 원활히 작동되도록 하는 정기적 보수나 담수된 물을 정화하기 위해 제방뚝에 담수된 물을 막고 있는 수문을 사람이 직접 인위적으로 직접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수문은 연후 수문 사이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때 담수중인 수문을 열고 닫는데 과정에서 비교적 무거운 수문의 중량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방뚝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수직개폐판이 일차적으로 담수된 물을 단수하고 상기 수직개폐판에서 누수될 수 있는 물을 경사개폐판이 2차적으로 단수함으로써 확실한 단수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제방뚝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일 경우에는 수직개폐판이 경사개폐판을 밀어 비교적 넓은 공간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수문을 청소하거나 보수할 경우 경사개폐판을 개방하여 수문에 낀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압 자동 수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방뚝의 배수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담수된 물의 수압에 따라 일차적으로 물을 차단 및 통수하는 수직개폐판과; 상기 배수구에 상기 수직개폐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이차적으로 물을 차단 및 통수하는 경사개폐판과; 상기 수직개폐판과 경사개폐판의 사이에 상기 경사개폐판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간격유지요소를 포함하여, 담수의 수압이 내수압 이하인 경우에는 물을 2단계로 차단하고, 내수압 이상인 경우에는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자동 수문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자동 수문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경사차수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5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도 8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과 도 14와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방뚝 110 : 배수구
120 : 회동축지편 130 : 회동축지편
140 : 통수부 150 : 지지체
160 : 회동축지편 170 : 회동축지편
200 : 회동축 300 : 수직개폐판
310 : 회동축지편 320 : 회동축지편
400 : 회동축 500 : 경사개폐판
510 : 회동축지편 600 : 간격유지요소
610 : 수납부 700 : 지지프레임
710 : 패킹
이하 본 발명인 수압 자동 수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자동 수문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자동 수문은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상단부에 형성된 축공(121)을 갖는 회동축지편(120)에 상단이 회동축(200)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을 일차적으로 차단 및 통수하는 수직개폐판(30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부나 제방뚝(100)의 상단부에 상단이 회동축(400)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회동축(20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직개폐판(300)에서 누수될 수 있는 물을 이차적으로 차단 및 통수하는 경사개폐판(50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사이에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간격유지요소(600)를 포함하여, 담수의 수압이 내수압 이하인 경우에는 물을 2단계로 차단하고, 내수압 이상인 경우에는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부에는 회동축(200)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축공(311)을 갖는 회동축지편(310)이 형성되고, 상측부의 일면 양측부위에는 축공(321)을 갖는 회동축지편(320)이 결합되며,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상단부에는 회동축(40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축공(511)을 갖는 회동축지편(510)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요소(600)는 서로 마주보는 수직개폐판(300) 또는 경사개폐판(500)의 일측면에 고정 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단부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이 제방뚝(100)에 정확히 설치되어 정밀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이 지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700)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은 내수성이 좋은 스텐레스 또는 FRP 등으로 성형하되 수직개폐판(300)보다 경사개폐판(500)의 중량이 적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프레임(700) 또는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단부와 접하는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단부에는 수밀성을 유지하는 패킹(330)(540)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개폐판(300) 및 경사개폐판(500)의 단부와 접하는 지지프레임(700) 또는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부위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710)이 설치되고, 상기 간격유지요소(600)에는 수직개폐판(300) 또는 경사개폐판(500)의 중량을 가감하는 중량물이나 수압 자동 수문의 설치 및 보수시 이용되는 공구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610)를 형성하되 상기 경사개폐판(500)이 간격유지요소(600)의 단부를 밀폐하여 수납부(610)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만약, 상기 수납부(610)로 물이 유입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에 유입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간격유지요소(600)에 배수공(611)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공(611)은 밀폐용 캡(6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개폐판(30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개폐판(5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개폐판(300)에 형성된 회동축지편(32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400) 결합되는 축공(521)을 갖는 회동축지편(522)이 구비된 회동플레이트(520)와, 상기 회동플레이트(520)와 결합수단 예를들어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방뚝(100)의 배수구(110)를 밀폐하는 차수플레이트(5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도 5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 자동 수문은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이 각각 개별적으로 소정간격과 각도를 유지하며 제방뚝(100)의 배수구(110)에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상단부에는 축공(131)을 갖는 회동축지편(130)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지편(130)의 축공(131)에 경사개폐판(500)의 상단에 형성된 회동축지편(510)의 축공(511)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한 후 상기 일치된 축공(131)(511)에 회동축(400)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경사개폐판(500)이 회동축(40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은 도 8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수압 자동 수문은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이 소정간격과 각도를 유지하며 하나의 회동축(200)에 각각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방뚝(100)의 배수구(110)에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상단에는 축공(511)을 갖는 회동축지편(510)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지편(120)의 축공(121)에 수직개폐판(300)의 회동축지편(310) 축공(311)과 경사개폐판(500)의 회동축지편(510) 축공(511)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한 후 일치된 축공(121)(311)(511)에 회동축(200)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이 회동축(20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3과 도 14와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거리의 배수구(110)를 갖는 제방뚝(100)에 수문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단부에 회동축지편(160)을 갖는 지지체(150)를 상기 배수구(110)의 거리에 따라 적절하게 소정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다수 설치하고, 상기 각 지지체(15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60) 및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상단부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2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회동축지편(310)을 회동축(200)으로 각각 힌지 결합하며,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측부에 형성한 복수개의 회동축지편(320)에 상기 경사개폐판(500)에 대응되게 형성한 복수개의 회동축지편(510)을 회동축(400)으로 힌지 결합함으로써, 비교적 넓은 배수구(110)를 갖는 제방뚝(100)에 설치된 수문의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개폐판(500)은 그 상단부에 다수 형성된 회동축지부(510)가 상기 수직개폐판(300)을 배수구(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한 회동축지편(120)과 인접되도록 배수구(110)의 상단부 양측 및 각각의 지지체(150)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30)(170)과 회동축(400)으로 힌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수직개폐판(300)을 제방뚝의 배수구(110)에 결합한 회동축(200)에 경사개폐판(500)의 회동축지편(510)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수압 자동 수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방뚝(100)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일 경우 즉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의 수압이 수문의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자중을 합한 힘보다 작게 되면, 수문의 수직개폐판(300)이 일차적으로 담수된 물을 단수하고, 상기 수직개폐판(300)에서 누수될 수 있는 물을 다시 경사개폐판(500)이 2차적으로 단수함으로써 확실한 단수가 이루어지게된다.
그리고, 제방뚝(100)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일 경우 즉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의 수위 상승에 따라 수압이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자중을 합한 힘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이 제방뚝(100)의 배수구(110)를 밀폐하고 있던 수직개폐판(300)을 회동축(20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 회동되는 수직개폐판(300)은 간격유지요소(600)로 제방 뚝의 배수구(110)를 경사지게 밀폐하고 있던 경사개폐판(500)을 회동축(40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되어 상기 경사개폐판(500)이 비교적 넓게 개방됨으로써 상기 개방된 제방뚝(100)의 배수구(110)를 통해 많은량의 담수된 물이 동시에 원활히 배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이 배수구(110)를 통해 배출되며 제방뚝(100)의 수위가 낮아져 수압이 다시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자중을 합한 힘보다 작아지게 되면,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이 각각 회동축(200)과 회동축(40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방뚝(100)의 배수구(110)를 밀폐함으로써 제방뚝(100)의 배수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단수하게된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수압 자동 수문은 제방뚝에 물을 담수함과 아울러 소정량의 물은 배수되도록 구성하여 특히 농수로에 설치하여 사용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이와 같은 수압 자동 수문은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상단부에 형성된 축공(121)을 갖는 회동축지편(120)에 상단이 회동축(200)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을 일부 단수함과 아울러 소정량의 물은 배수되도록 하는 수직개폐판(30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부나 제방뚝(100)의 상단부에 상단이 회동축(400)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회동축(20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개폐판(300)에서 배수되는 소정량의 물을 단수하는 경사개폐판(50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에 대하여 경사개폐판(500)이 소정간격 및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직개폐판(300) 또는 경사개폐판(500)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경사개폐판(500)을 미는 간격유지요소(60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직개폐판(300)은 그 하단부와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바닥면 과의 사이에는 소정높이의 통수부(140)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경사개폐판(500)은 그 하부에 수직으로 연이어지는 수직부(550)를 형성하여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의 수압을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하며,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하단부 즉 지지프레임(700)이나 배수구(110)의 단부 또는 패킹(710) 등과 접하는 단부에는 패킹(540)을 결합하여 수압에 의해 개방되었던 상기 경사개폐판(500)이 닫힐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 자동 수문의 작용을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의 수압이 수문의 경사개폐판(500)의 자중보다 작게 되면,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자중에 의해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을 단수하게되고, 상기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의 수압이 수문의 경사개폐판(500)의 자중보다는 크고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자중을 합한 힘보다 작게 되면, 수문의 수직개폐판(300)은 회동되지 않고, 상기 경사개폐판(500)만 회동축(40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배수구(110) 저면사이의 통수부(140)를 지난 소정량의 물이 배수된다.
또한, 상기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의 수위 상승에 따라 수압이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자중을 합한 힘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이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일부를 밀폐하고 있던 수직개폐판(300)을 회동축(20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 회동되는 수직개폐판(300)은 간격유지요소(600)로 상기 통수부(140)를 지나는 소정량의 물을 배수하고있던 경사개폐판(500)을 회동축(40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되어 상기 경사개폐판(500)이 비교적 넓게 개방됨으로써 상기 개방된 제방뚝(100)의 배수구(110)를 통해 많은량의 담수된 물을 동시에 원활히 배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방뚝(100)에 담수된 물이 배수구(110)를 통해 배출되어 제방뚝(100)에 담수되는 물의 수압이 다시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자중을 합한 힘보다 작아지게 되면,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이 각각 회동축(200)과 회동축(40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방뚝(100)의 배수구(110)를 밀폐함으로써 제방뚝(100)의 배수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다시 단수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방뚝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개폐판과 상기 제방뚝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개폐판과 상기 수직개폐판에 대하여 경사개폐판이 소정간격과 각도로 설치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압 자동 수문은 수압에 의해 수직개폐판의 회동되며 간격유지요소가 경사개폐판을 밀어 제방뚝의 배수구를 밀폐했던 수문이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제방뚝의 배수구를 밀폐할 경우 2차에 걸처 제방뚝에 담수된 물을 차단하기 때문에 단수의 효과가 뛰어나고, 수문의 개방시 종래의 경사진 수문에 비해 같은 수압에서도 개방되어지는 공간이 비교적 넓어 많은량의 물을 동시에 배수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수문이 수직개폐판과 경사개폐판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이므로수문의 중량 분산이 실현되어 제방뚝에 수문을 설치하는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방뚝에 설치된 수문을 보수 또는 점검하거나 수문 부위를 청소할 경우 경사개폐판을 들어올려 고정한 후 수문의 하단부 또는 수문과 제방뚝 사이에 쌓인 모래, 자갈, 이물질 등과 같은 퇴적물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수문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제방뚝(100)의 배수구(11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담수된 물의 수압에 따라 일차적으로 물을 차단 및 통수하는 수직개폐판(300)과; 상기 배수구(110)에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이차적으로 물을 차단 및 통수하는 경사개폐판(50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과 경사개폐판(500)의 사이에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간격유지요소(600)를 포함하여, 담수의 수압이 내수압 이하인 경우에는 물을 2단계로 차단하고, 내수압 이상인 경우에는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자동 수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2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310)이 회동축(200)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측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320)과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510)이 회동축(400)으로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자동 수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2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310)과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510)이 회동축(200)으로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자동 수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2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310)이 회동축(200)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지편(120)과 인접되도록 배수구(11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30)과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510)이 회동축(400)으로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자동 수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방뚝(100)의 장형 배수구(110)에 복수개의 지지체(150)를 형성하고, 상기 각 지지체(15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60) 및 제방뚝(100)의 배수구(110) 상단부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2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회동축지편(310)을 회동축(200)으로 각각 힌지 결합하며,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측부에 형성한 복수개의 회동축지편(320)에 상기 경사개폐판(500)에 대응되게 형성한 복수개의 회동축지편(510)을 회동축(400)으로 힌지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자동 수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120)과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310)이 회동축(200)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직개폐판(300)의 상측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320)과 상기 경사개폐판(50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지편(510)이 회동축(400)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수직개폐판(300)은 그 하단부와 배수구(110)의 바닥면 사이에 소정높이의 통수부(140)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자동 수문.
KR1019980007391A 1998-03-06 1998-03-06 수압 자동 수문 KR10025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391A KR100254289B1 (ko) 1998-03-06 1998-03-06 수압 자동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391A KR100254289B1 (ko) 1998-03-06 1998-03-06 수압 자동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17A KR19980019317A (ko) 1998-06-05
KR100254289B1 true KR100254289B1 (ko) 2000-05-01

Family

ID=1953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391A KR100254289B1 (ko) 1998-03-06 1998-03-06 수압 자동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239B1 (ko) * 2021-08-05 2022-03-07 이미경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2392574B1 (ko) * 2021-11-03 2022-04-28 이미경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17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169B2 (en) Unpowere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MX2010012365A (es) Barrera contra inundaciones autocerrables y metodo para proteger la region interior utilizando la misma.
JP2010530484A (ja) 下水道管路逆流防止装置
KR100514555B1 (ko) 혼합형 수문장치
KR100765894B1 (ko) 복합 자동수문장치
KR100645393B1 (ko)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100254289B1 (ko) 수압 자동 수문
EP1009882A1 (en) Flood prevention barrier apparatus
KR200294017Y1 (ko) 수압자동수문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20120040805A (ko) 맨홀의 하수역류 방지장치
KR20050109422A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178138Y1 (ko) 수압 자동 수문
JP3544503B2 (ja) 作動装置付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KR200432308Y1 (ko) 자동수문
KR101769896B1 (ko) 무동력 하수구 개폐장치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KR20170081374A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KR200433159Y1 (ko) 복합 자동 수문
KR20180091247A (ko) 무동력 역류 방지 수문 장치
KR100531031B1 (ko)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KR200163428Y1 (ko) 제방시설의배수장치
KR20010109058A (ko) 전면부 개폐식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KR102078388B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KR100620750B1 (ko)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