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239B1 -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239B1
KR102372239B1 KR1020210103755A KR20210103755A KR102372239B1 KR 102372239 B1 KR102372239 B1 KR 102372239B1 KR 1020210103755 A KR1020210103755 A KR 1020210103755A KR 20210103755 A KR20210103755 A KR 20210103755A KR 102372239 B1 KR102372239 B1 KR 10237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stream
gate
upstream
gate memb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경
강정미
Original Assignee
이미경
강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강정미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102021010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로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블록과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블록을 포함하는 지지블록; 상기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며, 저수하거나 전도식으로 방류시키기 위해 상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류측게이트부재;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며, 하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류측게이트부재;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트부재의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문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방류측 바닥에 적재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 개폐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FLOODGATE DEVICE FOR PREVENTING DEFORMATION AND MAINTENANCE OF FLOODGATE EASILY}
본 발명은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로의 측면블록 사이에 구비되되, 저수하거나 전도식으로 방류시키기 위해 상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상류측게이트부재가 구비하고, 상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되, 하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류측게이트부재를 구비하며, 하류측게이트부재의 하단부가 게이트 승강 시 수로의 바닥블록의 하류측 바닥면에 접하여 이동함으로써, 방류측 바닥에 적재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 개폐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문은 그 작동원리, 즉 개폐방식에 따라 회전식, 승강식, 전도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회전식은 수문을 특정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개폐하는 방식이고, 승강식은 수문을 하천의 밖으로 상승시켜 개방하고 다시 하강시켜 폐쇄하는 방식이며, 전도식은 수문을 하천 바닥으로 완전히 눕힐 수 있으면서 수문과 하천 바닥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여기에서, 전도식 수문은 저수지나 하천의 물을 저장하거나 또는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물을 저수하도록 축조된 관개수로, 저수지 등의 배수로에 설치하여 물을 저장하였다가 농지관리, 관개용수 등에 적절한 활용이 필요할 경우 물을 방류하여 사용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즉, 가뭄 때에는 폐쇄하여 물을 저장해 두고, 많은 우천으로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개방하여 물을 방류하는 역할을 하도록 수문이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문에는 주로 수문의 상단부를 전도시킴으로써, 방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도식 수문에서는 수문의 상단부를 넘어 방류되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예를 들면, 고목, 잡석 등)이 수문의 방류측 바닥면(즉, 배면)에 쌓이면서 수문 배면 하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의 유입으로 전도식 수문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예를 들면, 유압실린더 등)의 손상, 고장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문의 방류측 바닥면에 이물질이 쌓일 경우 수문이 원하는 수위까지 하강하지 못하게 되어 수문 개폐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0206호(2013.04.25.등록)
본 발명은 수로의 측면블록 사이에 구비되되, 저수하거나 전도식으로 방류시키기 위해 상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상류측게이트부재가 구비하고, 상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되, 하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류측게이트부재를 구비하며, 하류측게이트부재의 하단부가 게이트 승강 시 수로의 바닥블록의 하류측 바닥면에 접하여 이동함으로써, 방류측 바닥에 적재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 개폐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류측게이트부재에 구비되어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트부재의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문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내부공간에 적재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수단의 유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로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블록과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블록을 포함하는 지지블록; 상기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며, 저수하거나 전도식으로 방류시키기 위해 상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류측게이트부재;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며, 하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류측게이트부재;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트부재의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는, 수평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과, 수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 및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는 상류측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는, 수평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과, 상단부가 상기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 중에서 최상단수평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수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 및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는 하류측게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의 각 내측면에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류측게이트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상류측게이트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류측링크와, 상기 상 류측링크의 타단부와 링크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류측링크와, 하단부가 상기 바닥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상류측링크 및 하류측링크가 링크 결합되는 회동축에 결합되는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의 하단부에서 하류측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되, 하단부가 상기 바닥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수축 또는 신장되되, 상단부가 상기 회동축에서 상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류측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문부재는, 수평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과, 수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3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 및 복수의 제 3 수직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되, 상기 하류측게이트에 기 설정된 폭으로 결합되는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수평프레임 및 제 3 수평프레임에 삽입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류측게이트 및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류측게이트는, 외측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는, 상기 하류측게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바닥블록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하류측게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는, 상기 하류측게이트의 하단부에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블록의 표면에 하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레이퍼(scraper)를 더 포함하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로의 측면블록 사이에 구비되되, 저수하거나 전도식으로 방류시키기 위해 상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상류측게이트부재가 구비하고, 상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되, 하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류측게이트부재를 구비하며, 하류측게이트부재의 하단부가 게이트 승강 시 수로의 바닥블록의 하류측 바닥면에 접하여 이동함으로써, 방류측 바닥에 적재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 개폐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류측게이트부재에 구비되어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부재의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문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내부공간에 적재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수단의 유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의 상승 동작과 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의 개폐문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의 상승 동작과 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의 개폐문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은 지지블록(100), 상류측게이트부재(200), 하류측게이트부재(300), 승강수단(400), 개폐문부재(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록(100)은 수로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블록(110)과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블록(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수로에 설치되는 지지블록(100)을 통해 전도식 수문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닥블록(110)은 상류측게이트부재(20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류측바닥(111)의 높이가 하류측게이트부재(300)의 하단부가 전도식 수문의 승강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류측바닥(11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폭방향으로 단(113)을 이루면서 바닥블록(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류측게이트부재(200)는 지지블록(100)에 구비되는 측면블록(1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저수하거나 전도식으로 방류시키기 위해 상류측(즉, 저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220), 상류측게이트(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은 상류측게이트(23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220)은 상류측게이트(230)를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류측게이트(230)는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 및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22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류측게이트(230)는 외측방향(즉, 상류측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과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220)은 기 설정된 곡률반경(예를 들면, 5000R, 6000R 등)에 따라 만곡된 형태로 상류측게이트(2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류측게이트(230)의 만곡 형태에 따라 저수된 물이 수문의 상부로 전도되어 원활하게 하류측으로 방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류측게이트(23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과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220)은 각각 각관 형태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간격에 따라 수평 및 수직으로 각각 배열되어 상류측게이트(23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의 최하단수평프레임(211)에는 상류측바닥(111)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동결합구(212)가 구비됨으로써, 상류측게이트(230)가 승강수단(400)의 승강동작에 따라 승강할 경우 제 1 회동결합구(212)를 축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정방향회전 또는 역방향회전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의 최상단수평프레임(213)에는 제 2 회동결합구(214)가 구비되어 하류측게이트부재(3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의 각 상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류측게이트(230)가 승강수단(400)의 승강동작에 따라 승강할 경우 이에 연동하여 제 2 회동결합구(214)를 축으로 하여 하류측게이트부재(300)의 하류측게이트(330)의 하단부가 하류측바닥(112)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함께 승강될 수 있다.
하류측게이트부재(300)는 상류측게이트부재(200)와 연결되어 측면블록(120)의 사이에 구비되며, 하류측(즉, 방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310),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 하류측게이트(330), 가이드레일(340), 캐스터(350), 스크레이퍼(scraper, 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310)은 하류측게이트(33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은 상단부가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 중에서 최상단수평프레임(2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류측게이트(330)를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하류측게이트(330)는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310) 및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340)은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의 각 내측면에 상하로 구비되어 승강수단(400)과 결합되어 하류측게이트(33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캐스터(350)는 하류측게이트(330)의 하단부가 바닥블록(110)의 표면(즉, 하류측바닥(11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류측게이트(3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360)는 하류측게이트(330)의 하단부에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바닥블록(110)의 표면(즉, 하류측바닥(112))에 하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크레이퍼(360)를 통해 하류측바닥(112)에 적재되는 이물질을 하류측방향으로 이동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이 적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게이트(3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 설정된 곡률반경(예를 들면, 5000R, 6000R 등)에 따라 내측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310)과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은 만곡된 형태로 하류측게이트(3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하류측게이트(330)의 만곡 형태에 따라 수문의 상부로 전도되는 물이 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하류측으로 방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310)과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은 각각 각관 형태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간격에 따라 수평 및 수직으로 각각 배열되어 하류측게이트(33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은 내측부에 상하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340)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레일(340)에 승강수단(400)의 하류측링크(420) 하단부 양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돌기(42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가이드레일(340)에 따라 이동해야만 하기 때문에, 두 개가 한 쌍으로 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은 하류측게이트(330)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340)도 두 개가 한 쌍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하류측링크(420)의 일단부가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레일(340)을 따라 하류측링크(420)의 하단부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40)은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과 같이 두 개가 한 쌍으로 하여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320)의 각 하단부에는 하류측바닥(112)에 접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캐스터(350)가 구비됨으로써, 상류측게이트부재(200)와 하류측게이트부재(300)의 승강 시 승강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하류측게이트(330)의 하단부 폭방향으로 길게 스크레이퍼(3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스크레이퍼(360)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하류측바닥(112)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스크레이퍼(360)는 원래 상태에서 수문의 하강 시 하류측바닥(112)에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꺾인 형태(즉, 휘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문의 상승 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꺾인 형태(즉, 휘어진 형태)로 탄력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스크레이퍼(360)의 하단 선단부가 수문의 승강 시 하류측바닥(112)에 밀착 접촉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류측바닥(112)에 적재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승강수단(400)은 상류측게이트부재(200) 및 하류측게이트부재(300)와 연결되어 승강시키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류측링크(410), 하류측링크(420), 지지링크(430), 승강실린더(440), 승강피스톤(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류측링크(410)는 일단부가 상류측게이트(230)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하류측링크(420)는 상류측링크(410)의 타단부와 링크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일단부가 하류측게이트부재(300)의 가이드레일(340)에 안내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링크(430)는 하단부가 바닥블록(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단부가 상류측링크(410) 및 하류측링크(420)가 링크 결합되는 제 2 회동축(41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승강실린더(440)는 지지링크(430)의 하단부에서 하류측방향으로 이격구비되되, 하단부가 바닥블록(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승강피스톤(450)은 승강실린더(440)에 결합되어 수축 또는 신장되되, 상단부가 제 2 회동축(412)에서 상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류측링크(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링크(410)는 일단부(즉, 상류측후단부)가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210) 중 중앙부수평프레임(215)에 구비된 두 개의 제 1 결합편(216)의 각 양측면에 서로 맞대어져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결합부분을 제 1 회동축(411)으로 하여 상류측게이트부재(200)에 상류측링크(4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결합편(216)의 각 양측면에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상류측링크(410)의 일단부는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두 개가 한 쌍으로 배치됨으로써, 안정적인 링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류측링크(410)의 타단부(즉, 하류측전단부)는 일단부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결합부분을 제 2 회동축(412)으로 하여 하류측링크(420)의 타단부(즉, 상류측전단부)와 지지링크(430)의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류측링크(420)는 타단부(즉, 상류측후단부)가 상류측링크(41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일단부(즉, 하류측전단부)는 하류측게이트부재(300)의 가이드레일(34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일단부의 각 양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421)가 가이드레일(340)의 어느 두 개의 한쌍과 다른 두 개의 한쌍에 각각 가이드레일(340)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링크(430)는 하류측바닥(112)에 고정된 제 1 회동브라켓(431)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부는 상류측링크(410)의 타단부에 구비된 제 2 회동축(4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 1 회동브라켓(431)은 어느 두 개를 한 쌍으로 하면서 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른 두 개를 한 쌍으로 하여 두 쌍이 구비될 수 있고, 지지링크(430)는 제 1 회동브라켓(431) 두 쌍에 각각 하나씩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두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링크(430)는 승강수단(400)의 작동으로 인한 상류측게이트부재(200)와 하류측게이트부재(300)의 승강 동작 과정에서 상류측링크(410), 하류측링크(420), 승강실린더(440) 및 승강피스톤(450)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실린더(440)는 그 하단부가 하류측바닥(112)에 고정된 제 2 회동브라켓(44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일정간격 이격된 두 개의 제 2 회동브라켓(441)의 사이에 승강실린더(44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회동로드(442)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실린더(440)는 회동로드(442)를 축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실린더(440)에 제공되는 유압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되는 승강피스톤(450)이 승강실린더(44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승강피스톤(450)은 하부가 승강실린더(440)의 내부에 결합되고, 그 상단부는 상류측링크(410)의 제 2 회동축(412)에서 후측방향(즉, 상류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의 상류측링크(410)에 구비된 제 3 회동축(4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실린더(440)에 제공되는 유압에 따라 승강피스톤(450)이 수축할 경우 상류측링크(410)를 하부방향으로 당겨 상류측게이트(230)가 하강하고, 이와 연동하여 하류측게이트(330)도 하강할 수 있으며, 지지링크(430), 승강실린더(440) 및 승강피스톤(450)은 각각 회동되어 전단방향(즉, 하류측방향)으로 눕혀지는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승강실린더(440)에 제공되는 유압에 따라 승강피스톤(450)이 신장할 경우 상류측링크(410)를 상부방향으로 밀어 상류측게이트(230)가 상승하고, 이와 연동하여 하류측게이트(330)도 상승할 수 있으며, 지지링크(430), 승강실린더(440) 및 승강피스톤(450)은 각각 회동되어 후단방향(즉, 상류측방향)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들 동작에 따라 하류측게이트(330)의 하부 선단부에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스크레이퍼(360)는 하류측바닥(112)에 접촉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하류측바닥(112)에 적재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개폐문부재(500)는 하류측게이트부재(300)에 구비되어 상류측게이트부재(200) 및 하류측게이트부재(300)의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것으로,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510), 복수의 제 3 수직프레임(520), 개폐플레이트(530), 고정프레임(5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510)은 개폐플레이트(53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복수의 제 3 수직프레임(520)은 개폐플레이트(530)를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개폐플레이트(530)는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510) 및 복수의 제 3 수직프레임(520)에 지지 고정되되, 하류측게이트(330)에 기 설정된 폭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플레이트(530)는 하류측게이트(330)가 내측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곡률반경(예를 들면, 5000R, 6000R 등)에 따라내측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540)은 제 2 수평프레임(310) 및 제 3 수평프레임(510)에 삽입 이동하는 방식으로 하류측게이트(330) 및 개폐플레이트(530)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플레이트(530)는 하류측게이트(330)의 중간 부분이 기 설정된 폭만큼 절개되어 그 공간에 구비될 수 있는데,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510) 및 복수의 제 3 수직프레임(520)에 지지 고정되는 개폐플레이트(530)의 일측면은 힌지방식으로 하류측게이트(330)의 상하로 결합됨으로써, 그 일측면을 축으로 개폐플레이트(530)가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플레이트(530)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타측수직프레임(521)에는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510)의 내부로 연통되어 고정프레임(5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522)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공(522)에 삽입되는 고정프레임(540)은 하류측게이트(330)의 외측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이동레버(541)와 연결되어 있어 이동레버(541)의 좌우 이동에 따라 고정프레임(540)이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310)과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510)의 사이에서 좌우 이동함으로써, 개폐플레이트(530)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540)과 이동레버(541)는 한 쌍으로 하여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개폐플레이트(530)가 하류측게이트(330)에 닫힌 상태에서 개폐플레이트(530) 양측 부분의 하류측게이트(330)에 돌출된 이동레버(541)를 각각 개폐플레이트(530)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개폐플레이트(530)의 양측에서 고정프레임(540)이 제 3 수평프레임(510)의 내부에 삽입 이동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개폐플레이트(530) 양측 부분의 하류측게이트(330)에 돌출된 이동레버(541)를 각각 개폐플레이트(530) 양측 외부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 3 수평프레임(510)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프레임(540)이 개폐플레이트(530)의 양측 외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플레이트(530)를 하류측게이트(330)에서 고정 해제시킬 수 있으며, 이 후 개폐플레이트(530)의 일측면을 축으로 개폐플레이트(53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공간의 점검, 수리, 이물질 제거 등이 필요한 시점에 개폐플레이트(530)를 개방시켜 쉽게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하류측게이트부재(300)에 구비되는 스크레이퍼(360)는 개폐문부재(500)가 중앙부분에 구비되기 때문에, 개폐플레이트(530)의 하부 선단부에 대응하여 절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물론, 개폐플레이트(530)의 하부 선단부에도 스크레이퍼(360)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로의 측면블록 사이에 구비되되, 저수하거나 전도식으로 방류시키기 위해 상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상류측게이트부재가 구비하고, 상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되, 하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류측게이트부재를 구비하며, 하류측게이트부재의 하단부가 게이트 승강 시 수로의 바닥블록의 하류측 바닥면에 접하여 이동함으로써, 방류측 바닥에 적재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 개폐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류측게이트부재에 구비되어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트부재의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문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내부공간에 적재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수단의 유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지지블록
200 : 상류측게이트부재
300 : 하류측게이트부재
400 : 승강수단
500 : 개폐문부재

Claims (4)

  1. 수로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블록과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블록을 포함하는 지지블록;
    상기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며, 저수하거나 전도식으로 방류시키기 위해 상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류측게이트부재;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측면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며, 하류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류측게이트부재;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트부재와 연결되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 및 하류측게이트부재의 내부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류측게이트부재는, 수평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과, 수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 및 복수의 제 1 수직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는 상류측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는, 수평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과, 상단부가 상기 복수의 제 1 수평프레임 중에서 최상단수평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수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2 수평프레임 및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는 하류측게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 2 수직프레임의 각 내측면에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류측게이트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상류측게이트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류측링크와, 상기 상류측링크의 타단부와 링크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류측링크와, 하단부가 상기 바닥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상류측링크 및 하류측링크가 링크 결합되는 회동축에 결합되는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의 하단부에서 하류측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되, 하단부가 상기 바닥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수축 또는 신장되되, 상단부가 상기 회동축에서 상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류측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문부재는, 수평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과, 수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3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 3 수평프레임 및 복수의 제 3 수직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되, 상기 하류측게이트에 기 설정된 폭으로 결합되는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수평프레임 및 제 3 수평프레임에 삽입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류측게이트 및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게이트는, 외측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는, 상기 하류측게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바닥블록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하류측게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게이트부재는, 상기 하류측게이트의 하단부에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블록의 표면에 하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레이퍼(scraper)를 더 포함하는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20210103755A 2021-08-05 2021-08-05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237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755A KR102372239B1 (ko) 2021-08-05 2021-08-05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755A KR102372239B1 (ko) 2021-08-05 2021-08-05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239B1 true KR102372239B1 (ko) 2022-03-07

Family

ID=8081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755A KR102372239B1 (ko) 2021-08-05 2021-08-05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2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17A (ko) * 1998-03-06 1998-06-05 김병무 수압 자동 수문(water pressure according to auto floodrgate)
KR20060078726A (ko) * 2004-12-31 2006-07-05 윤유탁 유압식 가동보
KR200445121Y1 (ko) * 2009-01-05 2009-06-30 (주)현진엔지니어링 횡단이 가능한 사절링크형 가동보
KR101260206B1 (ko) 2012-09-11 2013-05-0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전도식 수문 시스템
KR101302203B1 (ko) * 2013-02-22 2013-08-30 강종찬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101946342B1 (ko) * 2018-09-19 2019-02-11 미래수문 주식회사 개선된 이물질 차단부를 구비한 전도 수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17A (ko) * 1998-03-06 1998-06-05 김병무 수압 자동 수문(water pressure according to auto floodrgate)
KR20060078726A (ko) * 2004-12-31 2006-07-05 윤유탁 유압식 가동보
KR200445121Y1 (ko) * 2009-01-05 2009-06-30 (주)현진엔지니어링 횡단이 가능한 사절링크형 가동보
KR101260206B1 (ko) 2012-09-11 2013-05-0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전도식 수문 시스템
KR101302203B1 (ko) * 2013-02-22 2013-08-30 강종찬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101946342B1 (ko) * 2018-09-19 2019-02-11 미래수문 주식회사 개선된 이물질 차단부를 구비한 전도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310B1 (ko)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전도 수문
KR102372239B1 (ko)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1431519B1 (ko)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KR200424060Y1 (ko) 수문의 안전장치
KR101517561B1 (ko) 하천형 가동보
KR100664671B1 (ko) 하천용 유압식 전도 수문
KR102392574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문장치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1946342B1 (ko) 개선된 이물질 차단부를 구비한 전도 수문
KR102495505B1 (ko)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KR100286853B1 (ko) 차량정비용리프트
KR100994564B1 (ko) 언주높이를 낮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 설치방법
KR20170100128A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101396958B1 (ko) 댐의 튜브 수문
JP7237306B2 (ja) ポンプゲート
CN210658360U (zh) 取土装置
KR102503691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CN218204238U (zh) 一种钢坝闸
KR101886830B1 (ko) 유압식 인양수문
KR102143062B1 (ko) 유압식 인양수문의 낙하방지장치
KR100831086B1 (ko) 이중 수문
KR101651793B1 (ko) 튜브 수문 모듈
JPS5841217Y2 (ja) ドロツプゲ−ト
JP3612281B2 (ja) 伸縮門扉
CN217128155U (zh) 一种翻板闸门及水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