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691B1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691B1
KR102503691B1 KR1020220120336A KR20220120336A KR102503691B1 KR 102503691 B1 KR102503691 B1 KR 102503691B1 KR 1020220120336 A KR1020220120336 A KR 1020220120336A KR 20220120336 A KR20220120336 A KR 20220120336A KR 102503691 B1 KR102503691 B1 KR 10250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dgate
gate
removal
water gat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서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성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성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성정공
Priority to KR102022012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수된 물을 막거나 제방 시설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식 수문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상호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문틀; 상기 문틀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수문; 상기 수문의 승하강 동작을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수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수문의 개방 및 폐쇄 시 연동하여 상기 배출구로 인입 및 인출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수문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쌓이는 제거판과, 상기 수문의 하부와 상기 제거판의 외측단부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담수된 물을 막거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의 하부, 즉 배출구 저면에 쌓인 이물질 등에 의하여 수문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해 수문의 개방 및 폐쇄 시, 연동하여 수문의 하부로 이물질제거수단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을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이물질제거수단이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수문의 개폐만으로 동작함으로써 장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설치 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Elevating and descending floodgate device for easy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 농수로, 양수장, 배수장, 암거박스, 배수갑문 등 우수저류조 및 하천제방에 담수된 물을 막거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의 하부, 즉 배출구 저면에 쌓인 이물질 등에 의하여 수문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해 수문의 개방 및 폐쇄 시, 연동하여 수문의 하부로 이물질제거수단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을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이물질제거수단이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수문의 개폐만으로 동작함으로써 장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설치 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저지대의 물을 하천으로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지와 하천 사이의 제방과 같은 구조물에 수문을 설치하고, 하천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는 수문을 개방시켜 배수지의 물이 그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호우로 인하여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면 하천의 물이 배수지로 역류하게 되므로 수문을 닫아 역류를 방지하는 한편 배수지의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수펌프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배수지의 수문을 열고 닫는 것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역류방지 및 재해예방을 위해 수위조절의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특히 수문을 장시간 개방한 상태에서 수문을 닫아야 하는 경우 배출구 저부에는 협잡물이나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 등이 쌓일 수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 등이 배출구 저부에 쌓인 상태에서 수문을 닫게 되면 수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 물의 누수로 인한 수문 폐쇄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압식 실린더는 수문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문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유압식 실린더와 수문의 과부하로 장치의 파손이나 고장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문 하부에 쌓이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기존의 설치물들은 대부분이 별도의 구동수단을 도입하여 추가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장치가 복잡하여 설치 등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9485호(2009. 07. 2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의 하부, 즉 배출구 저면에 쌓인 이물질 등에 의하여 수문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해 수문의 개방 및 폐쇄 시, 연동하여 수문의 하부로 이물질제거수단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을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이물질제거수단이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수문의 개폐만으로 동작함으로써 장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설치 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는 담수된 물을 막거나 제방 시설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식 수문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상호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문틀; 상기 문틀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수문; 상기 수문의 승하강 동작을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수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수문의 개방 및 폐쇄 시 연동하여 상기 배출구로 인입 및 인출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수문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쌓이는 제거판과, 상기 수문의 하부와 상기 제거판의 외측단부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문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하부에는 상기 수문의 개방 시, 상기 수문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링크부재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제거판은 내측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이물질유출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브라켓의 설치위치는 상기 이물질유출방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문의 외측에는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제거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거판을 선회시켜 상기 제거판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물질배출수단은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거판의 내측단부 측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거판의 원활한 인입출을 위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문의 외측 지면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제거판의 외측단부에 양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는 하천의 제방, 농수로, 양수장, 배수장, 암거박스, 배수갑문 등 우수저류조 및 하천제방에 담수된 물을 막거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의 하부, 즉 배출구 저면에 쌓인 이물질 등에 의하여 수문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해 수문의 개방 및 폐쇄 시, 연동하여 수문의 하부로 이물질제거수단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을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제거수단이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수문의 개폐만으로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장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설치 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구동수단인 유압식 실린더를 구동시켜 수문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수량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지의 관제센터나 컨트롤센터에 구비된 제어부가 수량의 조절을 위해 수문의 개폐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도 모니터링함으로써 물의 역류나, 재해예방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가 여러 개 수문의 개폐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의 제어가 원격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수문 설치된 현장에서 별도 시설물을 위한 시공비용이나 토목공사를 위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승하깅식 수문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수문장치의 이물질제거수단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수단의 또 다른 구현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수문장치의 이물질배출수단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수문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는 문틀(10)과, 수문(20)과, 구동수단(30) 및 수문(20)의 개폐와 연동하여 배출구(1) 저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이물질제거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틀(10)은 저류조 및 하천제방 등의 구조물에 형성된 배출구(1) 양측에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문틀(10)은 수직으로 설치되어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문(20)의 양측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홈(11)이 형성된다.
또한 문틀(10)의 가이드홈(11)에는 수문(20)의 승하강을 위한 구동수단(30)이 내장되는데, 구동수단(30)을 유압식 실린더(3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문(20)이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금속 구조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자체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소정 이상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식 실린더(3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문(20)은 문틀(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배출구(1)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수문(20)은 구동수단(30)인 유압식 실린더(31)에 의하여 승강 및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문(20)의 상단 양측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유압식 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3)의 상단가 연결되는 결합부(21)가 구비된다. 따라서 유압식 실린더(31)의 작동으로 피스톤로드(33)가 인입되어 있는 경우 수문(20)은 하강한 상태로 배출구(1)를 닫고 있는 폐쇄상태이고, 반대로 피스톤로드(33)가 인출되는 경우 수문(20)은 승강된 상태로 배출구(1)를 개방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수문(20)을 열고 닫는 것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역류방지 및 재해예방을 위해 수위조절의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특히 수문(20)을 장시간 개방한 상태에서 수문(20)을 닫아야 하는 경우 배출구(1) 저부에는 협잡물이나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하 '이물질 등'이라 함)이 쌓일 수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 등이 배출구(1) 저부에 쌓인 상태에서 수문(20)을 닫게 되면 수문(20)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문(20)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 물의 누수로 인한 수문(20) 폐쇄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압식 실린더(31)는 수문(20)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문(20)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유압식 실린더(31)와 수문(20)의 과부하로 장치의 파손이나 고장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는 수문(20)을 닫는 경우 배출구(1) 저부에 쌓인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수문(20)이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이물질제거수단(40)을 도입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수단(4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수단(40)은 수문(20)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동수단(30)에 의한 수문(20)의 개방 및 폐쇄 시 연동하여 배출구(1)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이물질제거수단(40)은 수문(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쌓이는 제거판(41)과, 수문(20)의 하부와 제거판의 외측단부(41B)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물질제거수단(40)의 제거판(41)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링크부재(43)의 동작에 의하여 배출구(1) 저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문(20)의 개방 시 배출구(1)로 인입되거나, 수문(20)의 폐쇄 시 배출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물질제거수단(40)의 링크부재(43)는 일단은 수문(2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거판의 외측단부(41B)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제거판의 외측단부(41B)는 도 2의 도시에서 배출구(1) 내지 수문(2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제거판(41)의 단부를 의미하고, 역으로 제거판의 내측단부(41A)는 배출구(1) 내지 수문(2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또한 제거판의 내측단부(41A) 측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이물질유출방지부(41a)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유출방지부(41a)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판(41)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거판(41) 상에 쌓인 이물질 등이 유수에 의하여 쓸려나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배출구(1)나 수문(20) 하부에 재차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 (a) 및 (b)의 도시는 수문(20)이 열린 상태 내지 열리는 과정에서 링크부재(43)에 의하여 제거판(41)은 배출구(1) 쪽으로 수평 이동하여 배출구(1) 저부로 인입되거나, 또는 수문(20)의 연직 하부에 배치된다.
반대로 도 2 (c)의 도시는 도 2 (a) 및 (b)의 상태, 즉 수문(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수문(20)이 닫히는 경우 수문(20)이 하강하면 링크부재(43)는 제거판(41)을 외측방향으로 밀어 배출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제거판(41)에 쌓인 이물질 등은 수문(20) 밖으로 배출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수단(40)은 수문(20)의 개방 및 폐쇄 동작 시, 수문(20)과 연동하여 배출구(1) 저부로 인입하거나 또는 인출됨으로써 이물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에너지원을 사용하지 않아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20)과 연동하는 구조로서 링크구조를 채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이물질제거수단(40)은 또 다른 실시례로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링크부재(43)를 제1 부재(43a)와 제2 부재(43b)를 힌지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도 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수단의 링크부재(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문(20)의 외측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데, 이 경우 수문(20)의 외측 하부에는 링크부재(43) 일단의 힌지 결합을 위한 브라켓(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50)은 외측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브라켓(50) 하부에는 수문(20)의 개방 시, 수문(20)의 외측방향으로 링크부재(43)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재(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60)는 수문(20)의 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어 수문(20)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링크부재(43)가 수문(20)의 외측방향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는 수문(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6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브라켓(50)의 돌출길이에 의하여 링크부재(43)가 내측방향, 즉 링크부재(43)의 타단이 배출구(1) 내부 쪽으로 유입되어 내측방향으로 경사를 이룰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문(20)이 닫히게 되면 링크부재(43)의 수문(20)의 압력에 의한 과부하로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60)를 수문(20)의 하단부, 즉 브라켓(50)의 하부에 배치시켜 지지부재(60)에 의하여 링크부재(43)가 배출구(1) 내측이 아닌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수문(20)의 하강 시, 링크부재(43)가 자연스럽게 외측방향으로 제거판(41)을 밀면서 제거판(41)이 배출구(1)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부재(60)의 외측단면에 경사면(61)을 형성하여 링크부재(43)의 경사 각도를 설정하거나, 또는 링크부재(43)와 지지부재(60)가 경사면(61)을 통해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설치위치(H)는 이물질제거수단(40)의 이물질유출방지부의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문(20)이 닫히는 경우 수문(20) 하단면이 배출구(1) 저면에 맞닿게 되는데, 이 경우 브라켓의 설치위치(H)가 이물질유출방지부의 높이(h)보다 낮은 경우 상호간의 간섭이나, 또는 링크부재(43)의 일단 측이 이물질유출방지부(41a)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이물질유출방지부(41a)에 의하여 링크부재(43)가 파손되거나 또는 이물질유출방지부(41a)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의 설치위치(H)를 이물질유출방지부의 높이(h)보다 높게 설정하여 이물질유출방지부(41a)와 브라켓(50) 상호간의 간섭이나, 이물질유출방지부(41a)와 링크부재(43)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작동신뢰성을 보장하고, 부개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수단(40)에 의하여 제거판(41)이 배출구(1)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제거판(41)에 쌓인 이물질 등을 그대로 방지하지 않고, 이를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수단(7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물질배출수단(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수단(40)의 제거판(41)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제거판(41)을 선회시켜 제거판(41)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물질배출수단(70)은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구조물(77)에 장착되는 구동모터(71)와, 구동모터(71)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권취부(73)와, 권취부(73)에 연결되고, 제거판의 내측단부(41A) 측에 연결되는 와이어(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75)는 제거판의 내측단부(41A) 측이나 내측단부(41A) 측에 위치하는 이물질유출방지부(41a)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물질배출수단(70)은 수문(20)의 닫힌 후, 구동모터(71)를 구동시켜 권취부(73)가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75)를 권취부(73)에 감게 되면 제거판의 외측단부(41B) 측이 회전중심이 되어 내측단부(41A) 측이 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75)를 권취하여 제거판(41)이 세워지면 제거판(41)에 쌓인 이물질 등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거판(41)의 선회각도는 이물질 등이 제거판(41)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배출될 수 있는 각도면 충분하다. 따라서 이물질 등의 배출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모터(71)의 회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거판(41)의 원활한 인입출 동작을 위해 가이드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20)의 외측 지면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홈(81)과, 제거판의 외측단부(41B)에 양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드홈(81)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돌기(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가이드부(80)의 슬라이드홈(81)은 수문(20)의 외측 지면 내지 바닥면에 서로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슬라이드홈(81)에 제거판(41)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돌기(83)가 삽입되어 수문(20)의 개방 및 폐쇄 시, 제거판(41)의 수평방향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돌기(83)가 제거판의 외측단부(41B) 측에 형성되는 것은 링크부재(43)가 제거판의 외측단부(41B)에 힌지 결합되어 수문(20)의 승강 및 하강 시 제거판의 외측단부(41B) 측에 외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가이드부(80)가 부재하는 경우 수문(20)의 승하강 동작, 특히 수문(20)의 승강 시 링크부재(43)도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제거판의 외측단부(41B) 측을 지면측에서 지지하지 않게 되면 제가판의 외측단부(41B) 측이 들릴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80)를 구비하여 제거판의 외측단부(41B) 측을 지면측으로 지지함으로써 이물질제거수단(40)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하고, 이를 통해 장치의 동작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20)장치는 원격지에서 구동수단(30)인 유압식 실린더(31)를 구송시켜 수문(20)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센터나 컨트롤센터에는 수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수량의 조절을 위해 수문(20)의 개폐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 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물의 역류나, 재해예방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부가 여러 개 수문의 개폐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의 제어가 원격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수문 설치된 현장에서 별도 시설물을 위한 시공비용이나 토목공사를 위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H : 브라켓의 설치위치 H : 이물질유출방지부의 높이
1 : 배출구
10 : 문틀
11 : 가이드홈
20 : 수문
21 : 결합부
30 : 구동수단
31 : 유압식 실린더 33 : 피스톤로드
40 : 이물질제거수단
41 : 제거판 41A : 내측단부
41B : 외측단부 41a : 이물질유출방지부
43 : 링크부재 43a : 제1 부재
43b : 제2 부재
50 : 브라켓
60 : 지지부재
61 : 경사면
70 : 이물질배출수단
71 : 구동모터 73 : 권취부
75 : 와이어 77 : 설치구조물
80 : 가이드부
81 : 슬라이드홈 83 : 슬라이드돌기

Claims (7)

  1. 담수된 물을 막거나 제방 시설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식 수문(20)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상호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출구(1)를 형성하는 문틀(10);
    상기 문틀(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배출구(1)를 개폐시키기 위한 수문(20);
    상기 수문(20)의 승하강 동작을 위한 구동수단(30);
    상기 수문(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한 상기 수문(20)의 개방 및 폐쇄 시 연동하여 상기 배출구(1)로 인입 및 인출되는 이물질제거수단(40);을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은,
    상기 수문(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쌓이는 제거판(41)과,
    상기 수문(20)의 하부와 상기 제거판의 외측단부(41B)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문(20)의 외측에는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의 제거판(41)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거판(41)을 선회시켜 상기 제거판(41)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20)에는 상기 링크부재(43)의 일단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브라켓(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50) 하부에는 상기 수문(20)의 개방 시, 상기 수문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링크부재(43)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재(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의 제거판(41)은 내측단부(41A)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이물질유출방지부(41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의 설치위치(H)는 상기 이물질유출방지부(41a)의 높이(h)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배출수단(70)은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권취부(73)와,
    상기 권취부(73)에 연결되고, 상기 제거판(41)의 내측단부(41A) 측에 연결되는 와이어(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판(41)의 원활한 인입출을 위한 가이드부(8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80)는,
    상기 수문(20)의 외측 지면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홈(81)과,
    상기 제거판(41)의 외측단부(41B)에 양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81)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돌기(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KR1020220120336A 2022-09-22 2022-09-22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KR10250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36A KR102503691B1 (ko) 2022-09-22 2022-09-22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36A KR102503691B1 (ko) 2022-09-22 2022-09-22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691B1 true KR102503691B1 (ko) 2023-02-24

Family

ID=8533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336A KR102503691B1 (ko) 2022-09-22 2022-09-22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6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148A (ko) * 2005-07-14 2005-08-11 한상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의구성방법
KR100909485B1 (ko) 2009-03-11 2009-07-28 김상현 유압권양수문
KR101147130B1 (ko) * 2011-05-02 2012-05-25 대영이엔씨(주) 수문용 이물질 선별장치
KR20150050922A (ko) * 2013-11-01 2015-05-11 장영진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되는 전도식 수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148A (ko) * 2005-07-14 2005-08-11 한상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의구성방법
KR100909485B1 (ko) 2009-03-11 2009-07-28 김상현 유압권양수문
KR101147130B1 (ko) * 2011-05-02 2012-05-25 대영이엔씨(주) 수문용 이물질 선별장치
KR20150050922A (ko) * 2013-11-01 2015-05-11 장영진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되는 전도식 수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KR100749721B1 (ko) 대용량 저장용 슬라이딩 자동보 수문
KR102503691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승하강식 수문장치
KR100597602B1 (ko) 저수지 비상 방수문의 개폐 안전장치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KR100994564B1 (ko) 언주높이를 낮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 설치방법
KR101681141B1 (ko) 좌우회동개폐 펌프일체형수문
KR101163364B1 (ko) 자동 개폐 문비
KR102576808B1 (ko) 플립업 가동문장치
JP4046517B2 (ja) 段階的開閉式ゲートポンプ設備
KR200330105Y1 (ko) 가동보의 자동 잠금회로
KR102566704B1 (ko) 횡형 게이트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KR102671735B1 (ko) 유압모터펌프 수문을 포함하는 유압식 수문관리 시스템
KR102640244B1 (ko) 주차장 침수 차단장치
KR102592378B1 (ko) 회전 차수문
CN117090159B (zh) 一种地下车库防水装置
KR102511690B1 (ko) 월파 방지용 차수도어
JP3742776B2 (ja) 制水扉付きゲートポンプ設備
KR200219514Y1 (ko) 캠을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
CN114351837B (zh) 一种雨水篦子装置
CN217128155U (zh) 一种翻板闸门及水坝
KR101163496B1 (ko) 반달형 회전식 자동수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