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519B1 -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 Google Patents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519B1
KR101431519B1 KR1020140084583A KR20140084583A KR101431519B1 KR 101431519 B1 KR101431519 B1 KR 101431519B1 KR 1020140084583 A KR1020140084583 A KR 1020140084583A KR 20140084583 A KR20140084583 A KR 20140084583A KR 101431519 B1 KR101431519 B1 KR 10143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vable plate
roller
rak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to KR102014008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3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moving along a closed path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은 용량의 작동실린더에 의해서도 작동이 가능하고 수로 개방을 위한 부가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수로개방을 위한 별도의 설치공사가 불필요한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는, 스크린의 양측에서 스크린에 각각 부착되는 스크린롤러와, 상기 스크린롤러가 구름접촉하면서 그 상하이동이 안내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린가이드부재와, 상기 스크린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견인선에 의해 스크린과 연결되어 실린더로드의 신축에 의해 스크린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가이드부재는 레이크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 형성된 하측안내로와, 상기 스크린이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그 하측안내로의 상단에서 연속되어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안내로와, 상기 스크린이 경사안내로에 의해 후퇴한 상태에서 레이크의 상승방향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경사안내로의 상단에 연속되어 레이크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로 형성된 상측안내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설치위치는 상측안내로의 안내에 의해 상승한 위치의 스크린과, 에이프런 사이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A dust removing machine with open-close type screen}
본 발명은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폭우나 홍수와 같이 갑작스럽게 강수량이 증가되는 경우, 제진기의 스크린을 개방시켜 제진기가 설치된 개방수로의 배수량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에는 장마와 같은 우천시 범람하는 빗물과 함께 각종 생활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바, 이를 걷어내고 제거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에는 수로에 제진기를 설치하여 오물 및 협잡물 등을 수거하고 있다.
그러한 제진기는 폭우, 홍수와 같은 갑작스럽게 강수량이 증가되거나, 수로의 상류로부터 갑자기 많은 양의 협잡물이 일시에 떠내려 와서 제진기가 미처 처리를 못하거나 과부하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스크린이 수로를 막아 빠른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진기의 상류 측으로 침수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도 1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8956호에 도시된 것으로서, 그러한 비상상황에서 제진기로 인한 침수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제진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수로(1)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본체(2)의 전면으로 스크린이 구비되고, 한 쌍의 체인(3)이 커버(4)에 의해 안내되어 무한궤도로 상기 본체(2)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인(3)의 사이에 다수의 레이크(5)가 장착되고,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이 레이크(5)에 의해 걷어 올려져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제진기에는 수직상승부가 설치되어 비상상황에서 수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수로(1)의 상면에 설치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6)를 작동시키면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6)의 로드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수로(1)에 수직으로 세워진 안내부(7)의 안내를 받아, 커버(4)가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수로(1)를 따라 흐르는 물에서 본체(2)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로의 개방이 가능하고 수로의 개방에 따라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여 제진기로 인한 수로주변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제진기의 경우, 제진기의 본체 전체를 상승시켜 수로를 개방하고 있는 바, 본체 전체를 상승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시설이 수로 및 그 주변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설치공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설치된 부가시설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평상시 보수 및 관리작업에 방해가 되고 있으며, 수로 개방을 위해 대용량의 작동실린더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은 용량의 작동실린더에 의해서도 작동이 가능하고, 수로 개방을 위한 부가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수로개방을 위한 별도의 설치공사가 불필요한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는, 수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수로의 협잡물을 거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도록 상하로 스크린을 따라 이송되는 레이크와, 상기 스크린의 상측에서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판체로서 상기 레이크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협잡물을 상기 레이크가 상승하는 동안 받치는 에이프런을 포함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양측에서 상기 스크린에 각각 부착되는 스크린롤러와, 상기 스크린롤러가 구름접촉하면서 그 상하이동이 안내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린가이드부재와, 상기 스크린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견인선에 의해 상기 스크린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축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가이드부재는 상기 레이크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 형성된 하측안내로와, 상기 스크린이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그 하측안내로의 상단에서 연속되어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안내로와, 상기 스크린이 상기 경사안내로에 의해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레이크의 상승방향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안내로의 상단에 연속되어 상기 레이크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로 형성된 상측안내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설치위치는 상기 상측안내로의 안내에 의해 상승한 위치의 상기 스크린과, 상기 에이프런 사이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이프런과 상기 스크린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에이프런과 상기 스크린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이 상기 레이크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상측으로 상승하는 동안 상기 에이프런과 연속되는 외면을 형성하여 상기 협잡물을 받치는 가동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신장시 상기 스크린의 상승전에 상기 에이프런의 후측공간으로 도피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각각 부착되는 가동플레이트롤러와, 상기 가동플레이트롤러가 구름접촉하면서 그 상하이동이 안내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는 상기 가동플레이트가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와, 상기 가동플레이트가 상기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에 의해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레이크의 상승방향을 향해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의 상단에 연속되어 상기 레이크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로 형성된 가동플레이트상측안내로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는 그 실린더로드가 하방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견인선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안내롤러 및 제2안내롤러와,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측부에 설치되는 견인선연결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견인선은 일단이 측면프레임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에 설치된 실린더로드롤러를 감아돌아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안내롤러를 감아돌아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견인선연결롤러를 감아 돌고,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안내롤러를 감아 돌며, 다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장시 상기 가동플레이트가 후퇴 및 상승작동한 후 상기 스크린이 상승작동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는, 수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진기 전체를 상승시키지 않고 스크린만 상승시킴으로써 작은 용량의 작동실린더에 의해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는, 스크린이 에이프런의 후측으로 도피하고,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설치위치가 그 도피한 스크린과, 에이프런 사이의 공간이므로, 수로 개방을 위한 장치들이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바, 타 작업이나 관리에 방해가 되지 않고, 그러한 장치의 설치를 위해 수로에서 별도의 설치공사를 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는 가동플레이트가 더 설치됨으로써, 스크린의 상승작동시 에이프런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크린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진행될 때는, 스크린과 에이프런 사이를 막아 빈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수로개폐가 가능한 로터리제진기의 구성 및 작용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의 측단면구성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에서 스크린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4의 (b)는 그 스크린의 정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에서 가동플레이트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및 견인선이 설치된 부분의 구성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에서 가동플레이트의 상세구성 및 작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에서 가동플레이트 및 스크린의 상승작동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에서 스크린이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에서 스크린이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는, 수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0)과, 상기 측면프레임(10)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수로의 협잡물을 거르는 스크린(20)과, 상기 스크린(20)에 걸린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도록 상하로 스크린(20)을 따라 이송되는 레이크(30)와, 상기 스크린(20)의 상측에서 상기 측면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판체로서 상기 레이크(30)에 의해 스크린(2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협잡물을 레이크(30)가 상승하는 동안 받치는 에이프런(40)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0)은 스크린(20)의 양측에 판상으로 설치되어 스크린(20)을 지지하고 있으며, 그 내측에는 레이크(30)가 스크린(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체인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20)은 상기 측면프레임(10)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수로의 협잡물을 거르고 있다.
상기 스크린(20)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크린바가 수로의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창살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수로의 유동방향을 막아 경사지게 설치되어 수로 내에서 유동하는 협잡물이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린(20)의 스크린바 사이의 간극에는 레이크(30)의 갈퀴가 끼워진 상태로 스크린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이동하며, 그에 따라 스크린(20)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수거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에이프런(40)은 스크린(20)의 상측에서 스크린(20)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측면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판체이다. 상기 에이프런(40)은 레이크(30)에 의해 스크린(2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협잡물을 레이크(30)가 상승하는 동안 받치게 됨으로써 협잡물이 에이프런(40)에서 슬라이딩하여 제진기의 상부로 운반된다. 그 협잡물은 에이프런(40) 상부의 회전반경을 넘어서면 협잡물을 처리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서는 스크린(2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수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스크린(20)의 양측에서 상기 스크린(20)에 각각 부착되는 스크린롤러(22)와, 상기 스크린롤러(22)가 구름접촉하면서 그 상하이동이 안내되도록 양측의 측면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린가이드부재(12;12a,12b)와, 상기 스크린(2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견인선(70)에 의해 스크린(20)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축에 따라 스크린(2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가 설치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스크린롤러(22)는 스크린(20)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롤러로서, 스크린가이드부재(12)를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스크린(20)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린롤러(22)는 스크린(20)의 상부의 양측과 하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가이드부재(12)는 스크린롤러(22)가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하는 통로로서 스크린(20)이 상하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고 있다. 스크린가이드부재(12)는 양측의 측면프레임(10)의 내측 즉, 스크린(20)을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어 스크린롤러(22)가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가이드부재(12;12a,12b)는 스크린롤러(22) 별로 각각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므로 일측 측면프레임(1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타측 측면프레임(10)이에도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린롤러(22)와 동수로 설치된다.
도 3을 참고하면, 각각의 상기 스크린가이드부재(12;12a,12b)는 상기 레이크(30)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 형성된 하측안내로(a)와, 상기 스크린(20)이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그 하측안내로(a)의 상단에서 연속되어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안내로(b)와, 상기 스크린(20)이 상기 경사안내로(b)에 의해 후퇴한 상태에서 레이크(30)의 상승방향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경사안내로(b)의 상단에 연속되어 레이크(30)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로 형성된 상측안내로(c)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안내로(a)와 경사안내로(b) 및 상측안내로(c)는 하나의 연통된 통로이나, 스크린롤러(22)의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을 경계로 영역이 나뉘어진 것이다.
상기 하측안내로(a)는 가장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스크린(20)의 상승시 스크린(20)이 레이크(30)의 상승방향으로 약간 상승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만일, 하측안내로(a)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수로에서 수량이 증가하여 수압이 스크린(20)을 밀어내면, 후술하는 경사안내로(b)를 타고 스크린(20)이 쉽게 상승할 수 있는 바, 하측안내로(a)는 수평으로 작용하는 수압을 받아 스크린(20)이 쉽게 상승하지 못하도록 스크린(20)을 수압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는 안내로를 하단부에 형성한 것이다.
상기 경사안내로(b)는 하측안내로(a)에 연속되도록 후방으로 경사진 안내로로서 스크린롤러(22)가 경사안내로(b)를 따라 진행하면서 스크린(20)은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상기 상측안내로(c)는 경사안내로(b)의 상단에 연속되도록 레이크(30)의 상승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크린롤러(22)가 상측안내로(c)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린(20)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0)은 스크린롤러(22)가 경사안내로(b)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후방으로 후퇴하고 그 후퇴한 위치에서 스크린롤러(22)가 상측안내로(c)를 따라 이동하면 상측으로 이동한다.
스크린(20)이 상승하기 전에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은 상측에 위치한 에이프런(40)이나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그 상승경로를 따라 상승함으로써 스크린(20)이 수로를 개방한 후 에이프런(40)의 후방으로 도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는 스크린(20)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로를 막고 있는 스크린(20)이 개페될 수 있도록 구동한다.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설치위치는 상기 상측안내로(c)의 안내에 의해 상승한 위치의 상기 스크린(20)과, 상기 에이프런(40) 사이의 공간이다.
또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는 실린더로드가 에이프런(40)의 경사방향과 같은 하측경사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로드의 끝단에는 실린더롤러(54)가 감아돌도록 설치되어 실린더로드의 신장에 의해 견인선(70)을 견인하여 스크린(20)을 상승시키도록 작동한다.
한편, 상기 에이프런(40)과 그 하측에 있는 스크린(20)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에이프런(40)과 상기 스크린(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협잡물이 레이크(30)에 의해 스크린(20)의 상측으로 상승하는 동안 에이프런(40)과 연속되는 외면을 형성하여 협잡물을 받치는 가동플레이트(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60)는 스크린(2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스크린(20)이 에이프런(40)에 부딪히지 않도록 스크린(20)의 상승 전에 상기 에이프런(40)의 후측공간으로 도피하도록 작동한다. 그러한 작동은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신장시 스크린(20)의 상승 전에 에이프런(40)의 후측공간으로 도피하도록 작동이 발생한다. 그러한 작동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플레이트(60)의 도피작동을 위하여 가동플레이트(60)의 양측에도 가동플레이트롤러(62)가 설치되고 양측 측면프레임(10)에는 각각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가동플레이트롤러(62)가 구름접촉하여 진행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상기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는 가동플레이트(60)가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17a)와, 상기 가동플레이트(60)가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17a)에 의해 후퇴한 상태에서 레이크(30)의 상승방향을 향해 상승할 수 있도록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17a)의 상단에 연속되어 레이크(30)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로 형성된 가동플레이트상측안내로(17b)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동플레이트롤러(62)의 상측에는 가동플레이트(60)의 측부에 견인선연결롤러(64)가 설치되어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신장에 따라 견인선(70)이 긴장되면 견인선연결롤러(64)를 끌어올리게 되는 바, 가동플레이트(60)가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가동플레이트(60)는 가동플레이트롤러(62) 및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에 의해 그 상승경로가 안내되므로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상승하여 에이프런(40)의 후방에 도피하게 된다.
또한, 가동플레이트(60)에 설치되는 견인선연결롤러(64)는 가동플레이트(60)에 힌지결합되는 회동판(66)에 설치되어 견인선(70)이 감아돌고 있고, 힌지축(67)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회동판(66)이 가동플레이트롤러(62)가 설치된 측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이 부가되고 있다. 탄성력에 의해 힌지축(67)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판(66)은 도 6의 (a)와 같이, 그 일부분이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17c)을 통하여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의 측벽에 삽입된다. 이는 가동플레이트(60)가 하강한 상태에서 가동플레이트(60)를 지지하는 걸림수단의 역할을 한다.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신장으로 견인선(70)이 긴장되면, 견인선(70)은 힌지축(67)에 있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견인선연결롤러(64)를 끌어올리고, 도 6의 (b)와 같이, 상기 회동판(66)은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17c)에서 이탈된다. 이후, 견인선(70)이 견인선연결롤러(64)를 더 끌어올리면 가동플레이트(60)는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를 따라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는 그 실린더로드가 하방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견인선(70)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플레이트(60)의 상측에서 상기 측면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안내롤러(71) 및 제2안내롤러(72)가 설치된다.
상기 견인선(70)은 일단이 측면프레임(10)에 고정(56)(도면에서는 측면프레임에 고정된 실린더 본체의 일부분에 견인선의 일단이 고정된 것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실린더가 측면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견인선의 일단이 측면프레임에 고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에 설치된 실린더로드롤러(54)를 감아돌아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안내롤러(71)를 감아돌아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견인선연결롤러(64)를 감아돌고,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안내롤러(72)를 감아돌며, 다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견인선(70)의 타단이 스크린(20) 상부의 고정부(26)에 고정된다.
상기 견인선(70)의 연결구성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장시 가동플레이트(60)가 후퇴 및 상승작동한 후 상기 스크린(20)이 상승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로에서 협잡물을 거르는 작업상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크린(20)이 하강하여 수로를 막고 있는 상태이다. 그 상태에서 협잡물은 스크린(20)에 걸려 레이크(30)가 수거하여 상승한 후 제거하게 되고, 물은 스크린(20) 사이로 유동하게 된다.
홍수, 폭우 등의 상황에서 수로가 범람할 우려는 있는 경우에는 스크린(20)을 상승시켜 수로를 개방한다.
상기 스크린(20)의 개방을 위해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가 하측방향으로 신장되면, 견인선(70)이 실린더로드의 실린더로드롤러(54)를 감아돌고 있으므로 견인선(70)이 긴장되면서 당겨지게 된다.
견인선(70)에 장력이 작용하여 당겨지면, 무거운 스크린(20)이 상승하기 전에 보다 가벼운 중량의 가동플레이트(60)가 먼저 상승한다. 즉, 가동플레이트(60)에 설치된 견인선연결롤러(64)를 견인선(70)이 감아돌면서 견인선연결롤러(64)를 끌어올리게 되므로 가동플레이트(60)는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 때, 견인선(70)이 견인선연결롤러(64)를 끌어올리면 가동플레이트(60)가 상승하기 전에 도 6의 (B)와 같이, 힌지축(67)의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로 회동판(66)이 회전하여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17c)에서 이탈된 후, 가동플레이트(60)가 끌려올라가게 된다.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의 상단까지 가동플레이트(60)의 상승이 완료된 후에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견인선연결롤러(64)가 정지한 안내롤러의 역할만 하게 되므로, 실린더로드가 계속 신장되면, 스크린(20)의 상승이 시작된다.
상기 스크린(20)은 스크린가이드부재(12;12a,12b)를 따라 상승하되, 하측안내로(a)를 따라 약간 상승한 후, 상기 경사안내로(b)를 따라 진행하면서 스크린(20)은 후방으로 후퇴하며, 이후 상측안내로(c)를 따라 상승함으로써 도 7(b)의 점선경로와 같이 스크린(20)의 상승경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20)의 상승이 완료되면, 도 8과 같이, 스크린(20)이 에이프런(40)과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후측의 공간으로 도피할 수 있다.
이는 도 9와 같이 수로를 스크린(20)이 개방한 상태이고, 스크린(20)이 에이프런(40)의 후방에 은폐된 상태이므로 제진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후, 스크린(20)을 하강시켜 수로에 스크린(20)을 침수시키는 작동은 전술한 과정이 역으로 진행된다.
즉,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가 수축하기 시작하면, 견인선(70)이 풀리면서 스크린(20)이 스크린가이드부재(12)를 따라 하강을 시작한다.
스크린가이드부재(12)를 따라 하강하는 스크린(20)은 경사안내로(b)에서 전방으로 나오면서 하측안내로(a)에 안착하여 하강을 완료한다.
스크린(20)의 하강이 완료되면, 견인선(70)에 가동플레이트(60)가 매달려 있는 상태이므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가 계속 수축하면서 견인선(70)이 풀려 자중에 의해 가동플레이트(60)도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를 따라 하강하여 스크린(20)과 에이프런(40) 사이의 공간으로 안착된다. 그 안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견인선(70)의 긴장도가 떨어지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판(66)이 탄성회전하여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17c)에 다시 삽입됨으로써 가동플레이트(60)가 지지되고 그 안착이 완료된다. 이 시점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수축이 완료되는 시점이 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는, 스크린(20)이 에이프런(40)의 후측으로 도피하고,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설치위치가 도피한 스크린(20)과, 에이프런(40) 사이의 공간이므로, 수로 개방을 위한 장치들이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바, 타 작업이나 관리에 방해가 되지 않고, 그러한 장치의 설치를 위해 수로에서 별도의 설치공사를 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는 가동플레이트가 더 설치됨으로써, 스크린의 상승작동시 에이프런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크린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진행될 때는, 스크린과 에이프런 사이를 막아 빈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측면프레임 12,12a,12b; 스크린가이드부재
17;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 17a;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
17b; 가동플레이트상측안내로 17c; 슬릿
20; 스크린 22; 스크린롤러
26; 고정부 30; 레이크
40; 에이프런 50;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54; 실린더롤러 60; 가동플레이트
62; 가동플레이트롤러 64; 견인선연결롤러
66; 회동판 67; 힌지축
70; 견인선 71; 제1안내롤러
72; 제2안내롤러 a; 하측안내로
b; 경사안내로 c; 상측안내로

Claims (4)

  1. 수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0)과,
    상기 측면프레임(10)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수로의 협잡물을 거르는 스크린(20)과,
    상기 스크린(20)에 걸린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도록 상하로 스크린(20)을 따라 이송되는 레이크(30)와,
    상기 스크린(20)의 상측에서 상기 측면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판체로서 상기 레이크(30)에 의해 상기 스크린(2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협잡물을 상기 레이크(30)가 상승하는 동안 받치는 에이프런(40)을 포함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의 양측에서 상기 스크린(20)에 각각 부착되는 스크린롤러(22)와,
    상기 스크린롤러(22)가 구름접촉하면서 그 상하이동이 안내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스크린가이드부재(12)와,
    상기 스크린(2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견인선(70)에 의해 상기 스크린(20)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축에 따라 상기 스크린(2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가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가이드부재(12)는
    상기 레이크(30)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 형성된 하측안내로(a)와,
    상기 스크린(20)이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그 하측안내로(a)의 상단에서 연속되어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안내로(b)와,
    상기 스크린(20)이 상기 경사안내로(b)에 의해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레이크(30)의 상승방향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안내로(b)의 상단에 연속되어 상기 레이크(30)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로 형성된 상측안내로(c)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설치위치는
    상기 상측안내로(c)의 안내에 의해 상승한 위치의 상기 스크린(20)과, 상기 에이프런(40) 사이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40)과 상기 스크린(20)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에이프런(40)과 상기 스크린(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이 상기 레이크(30)에 의해 상기 스크린(20)의 상측으로 상승하는 동안 상기 에이프런(40)과 연속되는 외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협잡물을 받치는 가동플레이트(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60)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의 신장시 상기 스크린(20)의 상승전에 상기 에이프런(40)의 후측공간으로 도피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플레이트(60)의 양측에서 상기 가동플레이트(60)에 각각 부착되는 가동플레이트롤러(62)와,
    상기 가동플레이트롤러(62)가 구름접촉하면서 그 상하이동이 안내되도록 양측의 상기 측면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가이드부재(17)는
    상기 가동플레이트(60)가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17a)와,
    상기 가동플레이트(60)가 상기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17a)에 의해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레이크(30)의 상승방향을 향해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플레이트경사안내로(17a)의 상단에 연속되어 상기 레이크(30)의 상승방향으로 설정길이로 형성된 가동플레이트상측안내로(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50)는 그 실린더로드가 하방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견인선(70)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플레이트(60)의 상측에서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안내롤러(71) 및 제2안내롤러(72)와,
    상기 가동플레이트(60)의 측부에 견인선연결롤러(64)가 설치되며,
    상기 견인선(70)은 일단이 측면프레임(10)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에 설치된 실린더로드롤러(54)를 감아돌아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안내롤러(71)를 감아돌아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견인선연결롤러(64)를 감아돌고,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안내롤러(72)를 감아돌며, 다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스크린(20)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장시 상기 가동플레이트(60)가 후퇴 및 상승작동한 후 상기 스크린(20)이 상승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KR1020140084583A 2014-07-07 2014-07-07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KR10143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583A KR101431519B1 (ko) 2014-07-07 2014-07-07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583A KR101431519B1 (ko) 2014-07-07 2014-07-07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519B1 true KR101431519B1 (ko) 2014-08-21

Family

ID=5175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583A KR101431519B1 (ko) 2014-07-07 2014-07-07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5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0B1 (ko) * 2014-07-22 2014-11-20 정근수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CN106862117A (zh) * 2017-04-28 2017-06-20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上下分体式清灰刷
KR101877203B1 (ko) * 2018-03-26 2018-07-10 김현숙 동력 및 무동력 겸용 우수토실 개폐장치
CN108298614A (zh) * 2018-04-13 2018-07-20 苏州凯新分离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废水处理的翻转升降式固态颗粒物过滤机构
KR102256778B1 (ko) * 2020-06-23 2021-05-26 정근수 스크린 승강식 제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8087A (ja) 2004-11-11 2006-06-01 Maezawa Ind Inc 除塵機
KR101025167B1 (ko) 2010-09-20 2011-03-31 (주)효성엔바이로 로터리 제진기
KR101259093B1 (ko) 2013-02-12 2013-04-29 (주)지텍 제진기
JP2013096204A (ja) 2011-11-07 2013-05-20 Maezawa Ind Inc 除塵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8087A (ja) 2004-11-11 2006-06-01 Maezawa Ind Inc 除塵機
KR101025167B1 (ko) 2010-09-20 2011-03-31 (주)효성엔바이로 로터리 제진기
JP2013096204A (ja) 2011-11-07 2013-05-20 Maezawa Ind Inc 除塵機
KR101259093B1 (ko) 2013-02-12 2013-04-29 (주)지텍 제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0B1 (ko) * 2014-07-22 2014-11-20 정근수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CN106862117A (zh) * 2017-04-28 2017-06-20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上下分体式清灰刷
KR101877203B1 (ko) * 2018-03-26 2018-07-10 김현숙 동력 및 무동력 겸용 우수토실 개폐장치
CN108298614A (zh) * 2018-04-13 2018-07-20 苏州凯新分离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废水处理的翻转升降式固态颗粒物过滤机构
KR102256778B1 (ko) * 2020-06-23 2021-05-26 정근수 스크린 승강식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519B1 (ko)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KR101408394B1 (ko) 스크린이 상하로 분리되는 스크린 인양식 제진기
KR102080060B1 (ko) 전위스크린 및 제진기의 승하강 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1751812B1 (ko) 승강식 로터리 제진기
KR101538322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용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2152208B1 (ko)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KR101427980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0458956B1 (ko) 수직상승형 로터리 제진기
KR101074826B1 (ko)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101594101B1 (ko) 인/아웃 자동 제진기
KR101599999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0755033B1 (ko) 협잡물 제거장치
CN114808874B (zh) 一种水利工程用自动调节式水闸装置
KR101104858B1 (ko) 협잡물 제거시스템
KR102132902B1 (ko) 프론트스크린의 승강구조를 가진 로터리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200421186Y1 (ko) 수로 개폐를 위한 전도식 제진기
KR101910617B1 (ko) 협잡물 제거용 로터리 제진기
KR101317391B1 (ko) 긴급 상황용 강제배수 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232891B1 (ko)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10037878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102152401B1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