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08B1 -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08B1
KR102152208B1 KR1020200049149A KR20200049149A KR102152208B1 KR 102152208 B1 KR102152208 B1 KR 102152208B1 KR 1020200049149 A KR1020200049149 A KR 1020200049149A KR 20200049149 A KR20200049149 A KR 20200049149A KR 102152208 B1 KR102152208 B1 KR 10215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ke
vibration damper
vibration isolator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박세진
김범중
Original Assignee
(유)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102020004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높은 효율로 강제배수할 수 있어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의 기상변화 등으로 인한 상류지역의 침수피해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Lifting-type screen device for vibration suppressor and driving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높은 효율로 강제배수할 수 있어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의 기상변화 등으로 인한 상류지역의 침수피해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이라 함은 배수장, 농업용 관개수로 및 기타 하천과 접하는 관개 용수로나, 기타 배수구 등의 수로에 설치되는 수리시설로서, 이와 같은 수문은 선택적인 개폐단속에 의해 유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수문이 설치된 수로에는 물에 침강된 상태로 유입되는 협잡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제진기 및 스크린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레이크를 승강시켜 슬러지, 쓰레기 등의 협잡물을 인양처리할 수 있는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129514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 수문은 수로를 개폐하여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자연 배수시키거나 차단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수문이 상기 수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의 기상변화 등이 발생되어 상류측 물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상류지역이 침수되는 등의 피해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문이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펌프를 이용하여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강제배수하게 되는데, 상기 제진기와 스크린이 상류측 물을 강제배수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강제배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12951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높은 효율로 강제배수할 수 있어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의 기상변화 등으로 인한 상류지역의 침수피해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가능하게 상기 수로에 설치되고, 제진기가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진기는 상기 수로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상기 수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한 멀티 레벨 제진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진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수로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로터리 제진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스크린과; 상기 수로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물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부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스크린의 하부는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축결합되고, 상기 하부스크린의 상부를 상기 수로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스크린의 상부는 상기 수로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물에 축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의 하부는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스크린은 상기 로터리 제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 제진기를 따라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로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전측이 고정되는 일측 와이어 및 타측 와이어를 권취 및 권출하여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권양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 와이어를 상기 스크린의 일측으로 안내하는 일측가이드부와; 상기 타측 와이어를 상기 스크린의 타측으로 안내하는 타측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일측가이드부의 후측 및 상기 타측가이드부의 후측에 각각 전측이 축결합되고 중간부에 상기 일측 와이어 및 타측 와이어가 각각 통과하는 가이드슬릿이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보조가이드슬릿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고 상기 권양기로부터 상기 일측 와이어 및 타측 와이어가 권취 및 권출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과정 중에 후측이 상하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판과, 상기 회전이동판의 하부면에 상기 회전이동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중간부에 상기 일측 와이어 및 상기 타측 와이어가 각각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하이동판과, 상기 상하이동판의 각 모서리부위와 상기 회전이동판의 보조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헐겁게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이동판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일측 와이어 및 타측 와이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진기는 상기 수로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상기 수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한 멀티 레벨 제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멀티 레벨 제진기의 연결축이 상기 멀티 레벨 제진기의 전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전측에 제 1가이드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레이크프레임과;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수평안착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과 직교를 이루는 제 2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레이크판과; 상기 레이크판의 제 2가이드슬릿과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레이크판을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하부레이크프레임과, 상기 하부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상부레이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레이크프레임과;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을 상기 하부레이크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의 전측에 제 1가이드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수평안착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과 직교를 이루는 제 2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레이크판과; 상기 레이크판의 제 2가이드슬릿과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레이크판을 상기 상부레이크판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진기의 하부에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진기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롤러가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탄소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의 외면에 커버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층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커버층은 탄소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된 제진기 및 스크린을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한 상태에서 펌프를 이용하여 특히,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상기 제진기와 스크린의 방해없이 높은 효율로 강제배수할 수 있어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의 기상변화 등으로 인한 상류지역의 침수피해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일예의 스크린의 인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하부스크린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협잡물이 하부스크린을 통과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다른예의 스크린의 인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구동부와 일측가이드부 및 타측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구동부와 일측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12는 타측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일측와이어와 연결된 스크린의 인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이물질 제거부의 상하이동판의 상하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구동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9는 제진기의 연결축에 협잡물이 걸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0은 제진기의 연결축이 제진기의 전측에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1은 제진기의 연결축이 제진기의 전측에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2는 제진기의 레이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일예의 레이크에서 레이크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평면도이고,
도 24는 일예의 레이크에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결합측면도이고,
도 26은 제진기의 레이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7 및 도 28은 도 26의 측면도이고,
도 29는 제진기의 레이크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측면도이고,
도 32는 간격유지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33은 레이크의 외면에 커버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34는 제진기가 스크린의 상부방향에 위치하지 않도록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5 및 도 36은 구동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측면도이고,
도 37 및 도 38은 다른예의 제진기의 인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스크린(10)과 구동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스크린(10)은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하부방향으로 하강가능하게 상기 수로(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로(1)에는 상기 스크린(1)에 걸린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는 제진기(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진기(2)는 다양한 종류의 제진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수로(1)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상기 수로(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한 멀티 레벨 제진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멀티 레벨 제진기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97537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10)은 일예로 크게, 하부스크린(110)과 상부스크린(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하부는 상기 수로(1)의 바닥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스크린(120)의 상부는 상기 수로(1)의 상부에 수평배치된 구조물(6)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6)은 콘크리트재질,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일예의 스크린의 인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멀티 레벨 제진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진기(2)가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10)의 상부스크린(120)의 하부를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상기 수로(1)의 하부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도 4는 하부스크린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한편, 상기 상부스크린(120)의 하부가 하강하는 과정 중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스크린(120)의 하부와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상부사이에 협잡물(4)이 낄 경우, 상기 상부스크린(120)의 하부가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상부방향으로 완전하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다분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하부는 상기 수로(1)의 바닥면에 축결합되고,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상부를 상기 수로(1)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3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부(3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하부의 축(111)을 감싼 상태로 상기 축(111)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스크린(111)의 상부를 상기 상기 수로(1)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협잡물이 하부스크린을 통과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상부스크린(120)의 하부와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상부사이에 끼인 협잡물(4)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하부스크린(110)을 상기 수로(1)의 후측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때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상부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로(1)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탄성부(30)가 수축되면서 상기 협잡물(4)이 원활하게 상기 하부스크린(11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협잡물(4)이 상기 하부스크린(110)을 통과한 후 팽창되는 상기 탄성부(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스크린(110)의 상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로(1)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원위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다른예의 스크린의 인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스크린(10)이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과정 중에 상기 스크린(10)의 하부방향에 협잡물(4)이 끼이지 않고 원활히 상기 스크린(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로서, 1개의 상기 스크린(10)의 상부가 상기 수로(1)의 상부에 수평배치된 상기 구조물(6)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스크린(10)의 하부는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수로(1)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구동부와 일측가이드부 및 타측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구동부와 일측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12는 타측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린(10)이 상기 수로(1)의 후측방향으로 필요이상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로(1)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는 상기 스크린(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일예로, 크게, 일측지지프레임(410)과 타측지지프레임(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프레임(410)은 일측고정판(411)과 일측지지몸체(4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판(411)은 상기 수로(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로(1)의 일측 내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몸체(412)는 상기 일측고정판(411)의 내측면에 상기 일측고정판(4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스크린(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스크린(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프레임(420)은 타측고정판(421)과 타측지지몸체(4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판(421)은 상기 수로(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로(1)의 타측 내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몸체(422)는 상기 타측고정판(421)의 내측면에 상기 타측고정판(41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스크린(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스크린(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몸체(412)와 상기 타측지지몸체(422)의 단면형상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형상 또는 'ㄷ'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0)는 일예로, 도 9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양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권양기는 상기 수로(1)의 상부에 수평배치된 상기 구조물(6)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구조물(6)의 전측방향에 수평배치되는 다른 구조물(7)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다른 상기 구조물(7)은 콘크리트재질,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권양기의 회전드럼(201)의 후측 외면과 전측 외면에 각각 일측 와이어(210) 및 타측 와이어(220)의 전측이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권양기는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상기 타측 와이어(220)를 권취 및 권출하여 일예의 상기 스크린(10)의 상부스크린(120)의 하부 및 다른예의 1개의 상기 스크린(10)의 하부를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하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권양기가 상기 스크린(10)의 일측과 타측을 보다 안정적으로 각각 인양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와이어(210)를 상기 스크린(10)의 일측으로 안내하는 일측가이드부(50)와; 상기 타측 와이어(220)를 상기 스크린(10)의 타측으로 안내하는 타측가이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부(5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크게, 일측가이드몸체(510), 일측수평풀리(520) 및 일측수직풀리(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몸체(510)는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권양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른 상기 구조물(7)의 상부 일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평풀리(520)는 상기 일측가이드몸체(510)의 상부 전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풀리(530)는 상기 일측가이드몸체(510)의 상부 후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와이어(210)는 상기 일측수평풀리(520)의 외주면 및 상기 일측수직풀리(530)의 상부 외주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으며, 상기 일측 와이어(210)의 후측은 일예의 상기 스크린(10)의 상부스크린(120)의 일측 및 다른예의 1개의 상기 스크린(1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편(101)의 전측을 관통한 상태로 감김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부(60)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크게, 타측가이드몸체(610), 타측수평풀리(620) 및 타측수직풀리(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몸체(610)는 다른 상기 구조물(7)의 상부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평풀리(620)는 상기 타측가이드몸체(610)의 상부 전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직풀리(630)는 상기 타측가이드몸체(610)의 상부 후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와이어(220)는 상기 타측수평풀리(620)의 외주면 및 상기 타측수직풀리(630)의 상부 외주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으며, 상기 타측 와이어(220)의 후측은 일예의 상기 스크린(10)의 상부스크린(120)의 타측 및 다른예의 1개의 상기 스크린(1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편(101)의 전측을 관통한 상태로 감김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을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일측와이어와 연결된 스크린의 인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이물질 제거부의 상하이동판의 상하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권양기의 회전드럼(201)의 외면에 일부 협잡물(4) 등의 이물질과 함께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상기 타측 와이어(220)가 권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권양기의 회전드럼(201)의 외면에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상기 타측 와이어(220)가 권취되는 과정 중에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상기 타측 와이어(220)에 잔재하는 일부 협잡물(4)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70)는 일예로,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이동판(710), 상하이동판(720) 및 체결부재(730)로 구성되어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상기 타측 와이어(220)로부터 일부 협잡물(4)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전측은 상기 일측가이드부(50)의 일측가이드몸체(5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전측은 상기 타측가이드부(60)의 타측가이드몸체(6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중간부에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상기 타측 와이어(220)가 각각 통과하는 가이드슬릿(711)이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슬릿(711)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되는 보조가이드슬릿(7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후측은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권양기로부터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타측 와이어(220)가 권취 및 권출되어 상기 스크린(10)이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과정 중에 상하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720)은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하부면에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하부면에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720)의 중간부에는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상기 타측 와이어(220)가 각각 통과하는 관통공(7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30)는 볼트(731)와 너트(732)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이동판(720)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볼트(731)는 상기 상하이동판(720)의 각 모서리부위와 상기 회전이동판(710)의 보조가이드슬릿(712)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732)는 상기 볼트(731)에 헐겁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구동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0)는 다른예로서, 상기 스크린(10)을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이 하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의 다른예인 액추에이터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실린더 등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실린더튜브(202)의 하부 중간부는 다른 상기 구조물(7)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수평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판(71)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로드(20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스크린(10)의 연결편(101)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의 상기 스크린(10)의 상부스크린(120)의 하부 및 다른예의 1개의 상기 스크린(10)의 하부를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하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9는 제진기의 연결축에 협잡물이 걸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멀티 레벨 제진기의 일측 중간부와 타측 중간부 사이에는 상기 멀티 레벨 제진기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연결축(21)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연결축(21)에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멀티 레벨 제진기의 레이크(22)가 상기 스크린(10)으로부터 인양하는 일부 협잡물(4)이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멀티 레벨 제진기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0은 제진기의 연결축이 제진기의 전측에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1은 제진기의 연결축이 제진기의 전측에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멀티 레벨 제진기의 연결축(21)에 일부 협잡물(4)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21)은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멀티 레벨 제진기의 전측방향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멀티 레벨 제진기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멀티 레벨 제진기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편(20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21)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멀티 레벨 제진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돌출편(20a)의 전측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2는 제진기의 레이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일예의 레이크에서 레이크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평면도이고, 도 24는 일예의 레이크에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결합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진기(2)의 레이크(22)는 일예로, 도 22 내지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레이크프레임(221), 레이크판(222) 및 고정부재(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전측에는 제 1가이드슬릿(225)이 복수행 복수열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슬릿(225)은 일예로,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판(222)은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수평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판(222)의 전측에는 상기 스크린(10)에 걸린 협잡물(4)을 긁어 올리기 위한 스크레이퍼(222b)가 상기 레이크판(222)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레이크판(22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판(222)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 2가이드슬릿(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슬릿(226)이 상기 제 1가이드슬릿(225)과 직교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제 2가이드슬릿(226)은 상기 레이크판(222)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24)는 볼트(224a)와 너트(224b)로 구성되어 상기 레이크판(222)을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수평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볼트(224a)는 상기 레이크판(222)의 제 2가이드슬릿(226)과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제 1가이드슬릿(225)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224b)는 상기 볼트(224a)의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트(224a)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너트(224b)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진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레이크판(222)은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전후좌우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판(222)이 훼손된 경우, 복수의 상기 레이크판(222) 모두를 교체할 필요없이 훼손된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레이크판(222)만을 용이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다.
도 26은 제진기의 레이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7 및 도 28은 도 26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진기(2)의 레이크(22)는 다른예로서, 도 26 내지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크프레임(221)과 탄성부재(2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은 크게, 하부레이크프레임(221a)과 상부레이크프레임(22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이크프레임(221a)의 상부에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의 하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3)는 상기 하부레이크프레임(221a)의 상부에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의 하부를 결합시키는 축(227)을 감싼 상태로 상기 축(227)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을 상기 하부레이크프레임(221a)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이 무게가 너무 무거운 협잡물(4)과 접하면서 무게가 너무 무거운 협잡물(4)을 인양하지 못할 경우,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의 상부가 상기 하부레이크프레임(221a)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탄성부재(223)가 수축되면서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이 무게가 너무 무거운 협잡물(4)을 지나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이 무게가 너무 무거운 협잡물(4)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9는 제진기의 레이크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또 다른예로서, 상기 제진기(2)의 레이크(22)는 다른예와 동일하게 상기 레이크프레임(221)과 상기 탄성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29 내지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판(222)과 상기 고정부재(2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의 전측에 상기 제 1가이드슬릿(225)이 복수행 복수열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판(222)은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의 상부에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수평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판(222)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제 2가이드슬릿(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24)의 볼트(224a)는 상기 레이크판(222)의 제 2가이드슬릿(226)과 상기 레이크프레임(221)의 상부레이크프레임(221b)의 제 1가이드슬릿(225)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24)의 너트(224b)는 상기 볼트(224a)의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32는 간격유지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제진기(2)가 상기 스크린(10)에 지나치게 밀착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린(10)과 상기 제진기(2) 사이의 전후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롤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롤러(80)는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진기(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스크린(10)의 전측과 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진기(2)의 레이크(22)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상기 레이크(22)가 협잡물(4)을 인양하는 과정 중에 상기 레이크(22)가 휘어지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이크(22)는 일예로, 내식성과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내충격성이 뛰어난 탄소섬유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3은 레이크의 외면에 커버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서, 상기 레이크(22)의 외면에는 도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22)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커버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층(23)은 일예로, 내식성과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금속재질 또는 내충격성이 뛰어난 탄소섬유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4는 제진기가 스크린의 상부방향에 위치하지 않도록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멀티 레벨 제진기가 상기 스크린(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지 않도록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멀티 레벨 제진기는 상기 구조물(6)의 상부에 구비된 레일(6a)을 따라 상기 구조물(6)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구동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0)를 이룰 수 있는 액추에이터의 또 다른예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룰 수 있는 텔레스코픽 실린더 등의 실린더는 도 35 및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로(1)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10)을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하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0)의 상부가 상기 수로(1)의 상부에 수평배치된 구조물(6)의 전측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10)은 상기 구조물(6)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룰 수 있는 텔레스코픽 실린더 등의 실린더의 하부는 상기 스크린(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1)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되는 고정판(1a)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a)의 전측상부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룰 수 있는 텔레스코픽 실린더 등의 실린더가 상기 고정판(1a)의 전측방향으로 필요이상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이동방지판(1b)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룰 수 있는 텔레스코픽 실린더 등의 실린더의 상부는 상기 스크린(10)의 연결편(101)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룰 수 있는 텔레스코픽 실린더 등의 실린더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도 35 및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0)이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하부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은 다른예의 제진기의 인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진기(2)는 도 37 및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a)을 중심으로 상기 수로(1)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로터리 제진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로터리 제진기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5084호 등을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진기(2)를 이룰 수 있는 로터리 제진기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구동부(20)를 이를 수 있는 권양기의 회전드럼(201)으로부터 권취 및 권출되는 상기 일측 와이어(210) 및 타측 와이어(2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이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진기(2)가 로터리 제진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크린(10)은 상기 로터리 제진기의 하부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로터리 제진기를 따라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1)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수로(1)에 설치된 제진기(2) 및 스크린(10)을 상기 수로(1)의 상부방향으로 인양한 상태에서 펌프(3)를 이용하여 특히,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상기 제진기(2)와 스크린(10)의 방해없이 높은 효율로 강제배수할 수 있어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의 기상변화 등으로 인한 상류지역의 침수피해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스크린, 20; 구동부.

Claims (22)

  1.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가능하게 상기 수로에 설치되고, 제진기가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전측이 고정되는 일측 와이어 및 타측 와이어를 권취 및 권출하여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권양기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일측 와이어를 상기 스크린의 일측으로 안내하는 일측가이드부와;
    상기 타측 와이어를 상기 스크린의 타측으로 안내하는 타측가이드부와;
    상기 일측가이드부의 후측 및 상기 타측가이드부의 후측에 각각 전측이 축결합되고 중간부에 상기 일측 와이어 및 타측 와이어가 각각 통과하는 가이드슬릿이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보조가이드슬릿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고 상기 권양기로부터 상기 일측 와이어 및 타측 와이어가 권취 및 권출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과정 중에 후측이 상하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판과, 상기 회전이동판의 하부면에 상기 회전이동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중간부에 상기 일측 와이어 및 상기 타측 와이어가 각각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하이동판과, 상기 상하이동판의 각 모서리부위와 상기 회전이동판의 보조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헐겁게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이동판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일측 와이어 및 타측 와이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는 상기 수로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상기 수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한 멀티 레벨 제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수로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로터리 제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스크린과;
    상기 수로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물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부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크린의 하부는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축결합되고,
    상기 하부스크린의 상부를 상기 수로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상부는 상기 수로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물에 축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의 하부는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로터리 제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 제진기를 따라 상기 수로의 상부방향으로 인양 및 상기 수로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는 상기 수로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상기 수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한 멀티 레벨 제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멀티 레벨 제진기의 연결축이 상기 멀티 레벨 제진기의 전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전측에 제 1가이드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레이크프레임과;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수평안착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과 직교를 이루는 제 2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레이크판과;
    상기 레이크판의 제 2가이드슬릿과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레이크판을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하부레이크프레임과, 상기 하부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상부레이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레이크프레임과;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을 상기 하부레이크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의 전측에 제 1가이드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수평안착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기 상부레이크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과 직교를 이루는 제 2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레이크판과;
    상기 레이크판의 제 2가이드슬릿과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제 1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레이크판을 상기 레이크프레임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의 하부에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진기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롤러가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는 탄소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의 레이크의 외면에 커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탄소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200049149A 2020-04-23 2020-04-23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KR10215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149A KR102152208B1 (ko) 2020-04-23 2020-04-23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149A KR102152208B1 (ko) 2020-04-23 2020-04-23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208B1 true KR102152208B1 (ko) 2020-09-07

Family

ID=7247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149A KR102152208B1 (ko) 2020-04-23 2020-04-23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542B1 (ko) 2021-02-17 2021-10-15 (유)신일 스크린 인양이 가능한 제진기
KR102593198B1 (ko) * 2023-02-07 2023-10-25 주식회사 도완 레이크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레이크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916U (ko) * 1989-12-11 1991-08-19
KR101197537B1 (ko) * 2012-05-21 2012-11-09 박세진 멀티 레벨 제진기
KR101254542B1 (ko) * 2012-11-19 2013-04-19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수로 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20190129514A (ko) 2018-05-11 2019-11-20 김원배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916U (ko) * 1989-12-11 1991-08-19
KR101197537B1 (ko) * 2012-05-21 2012-11-09 박세진 멀티 레벨 제진기
KR101254542B1 (ko) * 2012-11-19 2013-04-19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수로 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20190129514A (ko) 2018-05-11 2019-11-20 김원배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80916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542B1 (ko) 2021-02-17 2021-10-15 (유)신일 스크린 인양이 가능한 제진기
KR102593198B1 (ko) * 2023-02-07 2023-10-25 주식회사 도완 레이크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레이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208B1 (ko) 제진기의 인양식 스크린장치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US6406221B1 (en) Bridge pillar debris deflection apparatus
KR101253973B1 (ko) 부유물 제거용 스크린 인양 및 전도식 로터리 제진기
CN110206118B (zh) 一种有利于雨天市政雨水分流装置
KR102161407B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101431519B1 (ko)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JP5968661B2 (ja) 汚泥掻き寄せ機
KR100980723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KR100953300B1 (ko)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DE2343182A1 (de) Raeumeinrichtung fuer klaer- und abwasseranlagen
KR200394557Y1 (ko) 오물제거장치를 구비하는 수문
KR101261700B1 (ko) 회전식 가동보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102042384B1 (ko) 수류 유도장치를 구비한 제진기
KR100755033B1 (ko) 협잡물 제거장치
CN214328774U (zh) 一种水利闸门结构
KR101317391B1 (ko) 긴급 상황용 강제배수 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2291857B1 (ko)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EP3751067B1 (de) Rohrsedimentationsanlage
CN210975526U (zh) 一种防止淤泥堵塞的桥梁建筑用排水结构
CN113897859A (zh) 一种高架桥梁快速排水装置
KR200421186Y1 (ko) 수로 개폐를 위한 전도식 제진기
CN112227313A (zh) 一种利用水流动能作用的消力井除污装置
CN213060249U (zh) 一种河道污染清理设备
DE19543285C2 (de) Absetzbecken für Kläranla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