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826B1 -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 Google Patents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4826B1 KR101074826B1 KR1020100068006A KR20100068006A KR101074826B1 KR 101074826 B1 KR101074826 B1 KR 101074826B1 KR 1020100068006 A KR1020100068006 A KR 1020100068006A KR 20100068006 A KR20100068006 A KR 20100068006A KR 101074826 B1 KR101074826 B1 KR 1010748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rake
- caught
- chain
- foreign mat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3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moving along a closed path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가 흐르는 배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의 전방에서 상승하면서 스크린에 거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레이크에 스크린 사이의 틈새에 낀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이물질빼냄구를 설치하되, 이물질빼냄구의 협잡물이 접촉하는 부분에 협잡물을 스크린의 전방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경사지거나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푸싱안내부를 형성하고,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에 이물질빼냄구가 접촉하면서 구동모터에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구간에서 정역회전을 수차례 반복하도록 함으로서,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접촉하면서 스크린 전방으로 밀어내어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로바닥(3)과 상부 콘크리트구조물(4) 사이의 배수로(2)에 설치되어 스크린(12)에 걸리는 협잡물을 걷어 올려 배출하는 로타리제진기(1)가 설치되고, 상기 로타리제진기(1)는 구동모터(15)에 의해 체인가이드(11)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체인(10)에 다수개의 레이크(2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20)는 띠강판 형태의 스크린(12)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전방에서 상향 이동하면서 스크린(12)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로타리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20)는 전방에 다수개의 갈퀴살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갈퀴본체(22)와, 갈퀴살 부분의 후방측 갈퀴본체(22)의 저면에 수평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과, 각각의 갈퀴살의 저면과 지지프레임(21)의 전면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보강지지대(23)와, 지지프레임(21)과 체인(10)을 연결 설치하는 체인설치구(9)와, 스크린(12) 사이의 간격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갈퀴본체(22) 상에 설치되는 이물질빼냄구(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질빼냄구(24)는 스크린(12) 사이의 간격으로 후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이물질빼냄구(24)의 상면은 스크린(12)의 사이의 간격에 낀 협잡물을 스크린(12)의 전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싱안내부(24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5)의 소정위치에는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에 이물질빼냄구(24)가 접촉되어 걸려서 구동모터(15)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감지한 뒤에, 그 구동모터(15)를 역회전과 정회전을 반복시켜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밀어내게 하는 제어부(16)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저면에 이물질빼냄구(24)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하측 이물질빼냄구(25)가 상측의 이물질빼냄구(24)와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수로바닥(3)과 상부 콘크리트구조물(4) 사이의 배수로(2)에 설치되어 스크린(12)에 걸리는 협잡물을 걷어 올려 배출하는 로타리제진기(1)가 설치되고, 상기 로타리제진기(1)는 구동모터(15)에 의해 체인가이드(11)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체인(10)에 다수개의 레이크(2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20)는 띠강판 형태의 스크린(12)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전방에서 상향 이동하면서 스크린(12)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로타리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20)는 전방에 다수개의 갈퀴살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갈퀴본체(22)와, 갈퀴살 부분의 후방측 갈퀴본체(22)의 저면에 수평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과, 각각의 갈퀴살의 저면과 지지프레임(21)의 전면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보강지지대(23)와, 지지프레임(21)과 체인(10)을 연결 설치하는 체인설치구(9)와, 스크린(12) 사이의 간격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갈퀴본체(22) 상에 설치되는 이물질빼냄구(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질빼냄구(24)는 스크린(12) 사이의 간격으로 후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이물질빼냄구(24)의 상면은 스크린(12)의 사이의 간격에 낀 협잡물을 스크린(12)의 전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싱안내부(24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5)의 소정위치에는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에 이물질빼냄구(24)가 접촉되어 걸려서 구동모터(15)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감지한 뒤에, 그 구동모터(15)를 역회전과 정회전을 반복시켜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밀어내게 하는 제어부(16)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저면에 이물질빼냄구(24)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하측 이물질빼냄구(25)가 상측의 이물질빼냄구(24)와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가 흐르는 배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의 전방에서 상승하면서 스크린에 거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레이크에 스크린 사이의 틈새에 낀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이물질빼냄구를 설치하되, 이물질빼냄구의 협잡물이 접촉하는 부분에 협잡물을 스크린의 전방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경사지거나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푸싱안내부를 형성하고,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에 이물질빼냄구가 접촉하면서 구동모터에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구간에서 정역회전을 수차례 반복하도록 함으로서,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접촉하면서 스크린 전방으로 밀어내어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발명은 특허등록 제570191호(발명의 명칭 : 로타리제진기)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스크린 사이에 끼인 협잡물이 원활하게 제거되도록 갈퀴의 구조를 개선하고, 수로 폭이 5m 이상일 경우에도 2스크린 1구동 스크린으로 설치하여 스크린에 걸리는 과부하를 경감시켜 로타리제진기의 고장을 방지하여 제진기의 가동 및 유지관리를 원활하게 가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위의 종래발명은 개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제진기에 있어서, 개수로의 바닥면과 일정 경사각을 가지며 위치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경유하며 협잡물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갈퀴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무한궤도의 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갈퀴는 인양갈퀴부와 긁음갈퀴부 및 상기 긁음갈퀴부에 설치된 긁음갈퀴바를 가지며, 상기 긁음갈퀴바는, 상기 긁음갈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협잡물에 의해 부하가 걸리면, 반부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부하가 제거되면 긁음갈퀴바가 원위치되도록, 상기 긁음갈퀴부와 긁음갈퀴바 사이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긁음갈퀴바에서 긁음갈퀴부 쪽 말단에는 회전제한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스크린의 사이에 낀 협잡물을 긁음갈퀴바로서 밀어주어 협잡물이 스크린 후방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스크린 사이의 간격은 80~100㎜로 설치하여 종래발명에 의하여 스크린 사이의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협잡물의 크기는 스크린 사이의 간격만큼의 크기인 80~100㎜가 된다.
이와 같이 80~100㎜ 크기의 작은 협잡물이 스크린을 통과하게 되면 커다란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종래발명과 같은 로타리제진기가 설치된 수로의 10여 미터 후방에는 스크린을 통과한 물을 펌핑시키는 펌프가 설치된다.
위와 같이 설치되는 펌프는 배수용량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로타리제진기 후방의 수로에 설치되는 펌프는, 그 유입구의 크기가 80~100㎜ 크기의 협잡물이 충분히 유입될 수 있을 만큼의 크기이면서 펌프의 내측 케이싱 내면과 임펠러 사이의 간격이 20~50㎜가 된다.
따라서, 스크린을 통과한 80~100㎜ 크기의 협잡물은 펌프의 유입구로 유입되게 되고, 유입구로 유입된 뒤에는 케이싱의 내면과 임펠러의 사이로 유입되지 못하고 임펠러에 걸리면서 임펠러와 계속적으로 충돌하여 임펠러가 손상되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종래발명에 설치되는 긁음갈퀴바는 설치구조상의 문제가 있는데, 이는 갈퀴 후방의 긁음갈퀴부 후방하측에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45ㅀ만큼 제켜진 뒤에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경사진 상태로 밀어올려서 그 협잡물이 후방으로 빠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로타리제진기가 설치된 수로에는 각종 협잡물들이 오폐수와 함께 흘러가는 곳이기 때문에 비닐이나 실이나 끈뭉치 등의 협잡물이 흘러가다가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한 긁음갈퀴바 부근에 걸리면서 긁음갈퀴바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수평한 긁음갈퀴바가 계속적으로 상측으로만 밀어주기 때문에 띠강판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폭을 지니고 있는 스크린 사이에 협잡물이 박히게 되고, 그로인하여 체인을 구동시키는 모터에 부하가 걸리면서 협잡물을 제대로 빼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크에 스크린 사이의 틈새에 낀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이물질빼냄구를 설치하되, 이물질빼냄구의 협잡물이 접촉하는 부분에 협잡물을 스크린의 전방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경사지거나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푸싱안내부를 형성하고,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에 이물질빼냄구가 접촉하면서 구동모터에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구간에서 정역회전을 수차례 반복하도록 함으로서,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접촉하면서 스크린 전방으로 밀어내어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로바닥과 상부 콘크리트구조물 사이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걸리는 협잡물을 걷어 올려 배출하는 로타리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전방을 따라 체인에 의해 상승하는 레이크는 전방에 다수개의 갈퀴살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갈퀴본체와, 갈퀴살 부분의 후방측 갈퀴본체의 저면에 수평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갈퀴살의 저면과 지지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와, 지지프레임과 체인을 연결 설치하는 체인설치구와, 스크린 사이의 간격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갈퀴본체 상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이물질빼냄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질빼냄구는 스크린 사이의 간격으로 후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이물질빼냄구의 상면은 스크린의 사이의 간격에 낀 협잡물을 스크린의 전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싱안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소정위치에는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에 이물질빼냄구가 접촉되어 걸려서 구동모터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감지한 뒤에, 그 구동모터를 역회전과 정회전을 반복시켜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밀어내게 하는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이물질빼냄구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하측 이물질빼냄구가 상측의 이물질빼냄구와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는, 레이크에 스크린 사이의 틈새에 낀 협잡물을 전방측으로 밀어내면서 빼내는 이물질빼냄구를 설치하고,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에 이물질빼냄구가 접촉하면서 구동모터에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를 소정의 구간에서 정역회전을 수차례 반복하도록 함으로서,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밀어주면서 스크린 전방으로 밀어내어 빼내어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효율적으로 빼내는 효과와, 구동모터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제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타리제진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의 (가)(나)는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빼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타리제진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의 (가)(나)는 스크린 사이에 낀 협잡물을 빼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지된 로타리제진기에 이물질빼냄구(24)를 설치하여 스크린(12) 전방의 띠강판 형태의 스크린(12)에 낀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부딪치면서 빼내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공지된 로타리제진기의 구성과 이물질빼냄구(24)가 설치된 것에 대하여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로타리제진기(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폐수가 흐르는 배수로(2) 상측의 상부 콘크리트구조물(4)과 배수로바닥(3) 사이에 중간부분이 지지프레임(7a)으로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7)이 소정의 각도(75ㅀ내외)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프레임(7)의 양측 내면에는 "U"자 형태로 상측이 개구된 체인가이드(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가이드(11)의 개방된 쪽의 프레임(7)의 상부측에는 구동스프라켓(8)이 구동모터(1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구동스프라켓(8)과 체인가이드(11) 내에는 체인(10)이 안내되게 설치된다. 이때, 체인가이드(11)는 상부측이 개방된 "U"자 형태의 통로형으로 형성되어서 구동스프라켓(8)에 감겨지는 체인(10)의 상부측이 체인가이드(11)의 개방된 쪽으로 삽입되며 체인의 나머지 타측 부분은 "U"자 형태의 통로 형으로 형성되는 체인가이드(11)에 체인이 삽입되어 안내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7) 내측의 지지프레임(7a) 전방에는 띠강판 형태의 스크린(12)이 스크린지지봉(13)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프레임(7)과 동일한 각도로 세워지게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7a)은 양측 프레임(7)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수평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12)이 간격을 두고 수평 설치되는 지지프레임(7a)의 전방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크린(12)의 하단부는 배수로바닥(3)가 접촉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두게 되는데, 이 스크린(12)의 하단부측과 배수로바닥(3)과의 사이로 협잡물이 통과하는 것을 걸리게 하는 전방스크린(14)이 스크린(12) 전방측의 배수로바닥(3)에 프레임(7)과 동일하게 간격을 둔 띠강판으로 세워지게 설치된다.
상기 양측 체인가이드(11)에 삽입 안내되는 양측 체인(10) 사이에는 수개의 레이크(20)가 체인설치구(9)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크(20)가 스크린(12)의 전방 외측에서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상승안내되게 되고, 구동스프라켓(8)을 기준하여 레이크(2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할 때는 하측을 향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가상선(B)는 레이크(20)가 이동하는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레이크(20)는 전방측에 다수개의 갈퀴살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갈퀴본체(22)와, 갈퀴살부분의 후방측 갈퀴본체(22)의 저면에 수평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과, 각각의 갈퀴살의 저면과 지지프레임(21)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23)와, 지지프레임(21)과 체인(10)을 연결 설치하는 체인설치구(9)와, 스크린(12)의 물이 통과하는 간격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갈퀴본체(22) 상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이물질빼냄구(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빼냄구(24)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린(12)의 띠강판 사이의 간격으로 후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이 이물질빼냄구(24)의 상면은 스크린(12)의 띠강판 사이의 간격(스크린 사이와 동일한 것임)에 낀 협잡물을 스크린(12)의 전방측으로 밀어서 빼낼 수 있도록 경사지거나,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푸싱안내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갈퀴본체(22) 상에 설치되는 이물질빼냄구(24)와 동일한 형상을 한 또 다른 이물질빼냄구가 지지프레임(21)의 저면에 상측의 이물질빼냄구(24)와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되는데, 하측에 설치되는 이물질빼냄구를 하측 이물질빼냄구(25)라고 칭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15)의 소정위치에는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을 이물질빼냄구(24)가 접촉하거나 또는 부딪칠 때 체인(10)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그 수초의 정지시간을 감지하여 구동모터(15)를 그 구동모터(15)가 정지된 지점에서 소정의 구간만큼 역회전과 정회전을 수차례 반복하여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밀어내게 하는 제어부(16)가 설치된다.
위의 제어부(16)는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는 것으로서, 스크린(12)의 띠강판 사이의 간격(틈새)에 협잡물이 끼어서 소정의 속도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던 레이크(20)가 그 협잡물에 접촉하며 걸려서 설정된 수초간의 시간동안 체인(10)이 회전하지 못하여 구동모터(15)가 회전하지 못하면, 제어부(16)에서 그 신호를 감지하고 설정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5)를 소정의 구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레이크(20)를 하강시킨 뒤에 다시 정방향으로 구동모터(15)를 회전시켜서 레이크(20)가 협잡물에 부딪치면서 밀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콘크리트구조물(4) 상측에는 레이크(20)에 실려서 상측으로 걷어 올려진 협잡물을 받아서 외부로 배출하는 밸트콘베이어(5)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6"은 프레임(7)을 배수로 내벽에 설치하는 브래킷이고, "17"은 스크린(12)의 상측에 설치되는 공지된 에이프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로(2)로 오폐수가 흐르는 상황에서 오폐수에 쓰레기와 같은 각종 이물질(협잡물)이 함께 떠내려 올 때에, 상기 협잡물의 크기가 스크린(12) 사이의 간격보다 현저히 작은 것은 스크린(12) 사이를 통과하여 로타리제진기(1)의 후방으로 오폐수와 함께 흘러가게 되고, 스크린(12) 사이의 간격보다 큰 협잡물은 스크린(12)에 걸리게 된다.
이때, 로타리제진기(1)에 설치된 레이크(20)는 구동모터(1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8)에 의해 구동스프라켓(8)과 체인가이드(11)에 감겨진 체인(10)이 회전이동하게 되는데, 이 체인(10)은 "U" 자형태로 상부가 개방된 통로형의 체인가이드(11)와, 체인가이드(11)의 개방된 쪽에 설치된 구동스프라켓(8)에 앤드리스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체인은 통로형의 체인가이드(11)와 구동스프라켓(8)를 다라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2,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인(10)에는 갈퀴형태의 레이크(20)가 연결 설치되어서, 스크린(12)의 전방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려서 레이크(20)의 갈퀴본체(22)에 얹은 상태로 상승하게 되고, 그 레이크(20)가 로타리제진기(1)의 제일 높은 지점까지 올라왔다가 하측으로 내려가는 부분에서 갈퀴본체(22)에 얹혀있던 협잡물은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협잡물이 낙하하는 부분에는 밸트콘베이어(5)가 설치되어서 협잡물이 밸트콘베이어(5)에 얹혀진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스크린(12)의 전방에 걸리는 협잡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린(12)에 걸리는 협잡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린(12)의 전방측에 협잡물(18)이 걸리면서 끼게 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던 레이크(20)의 이물질빼냄구(24)가 걸리게 된다.
이때, 스크린(12)에 끼게 되는 협잡물(18)은 도 6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스크린(12) 사이의 간격(C)보다 커서 스크린(12)의 전방측에 걸리지만, 협잡물(18)의 형상에 부분적으로 스크린 사이의 간격을 낄 수 있는 크기로 된 것이 주로 스크린(12)의 전방에 걸리면서 스크린 사이에 끼는 것이다.
이렇게 상측으로 이동하던 이물질빼냄구(24)의 상측에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이 걸리면서 부딪칠 때, 체인(10)이 상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의 저항력보다 강한 경우에는 협잡물이 스크린(12)의 사이에서 빠져 나가게 된다.
그런데, 체인(10)이 상측으로 당겨지는 힘보다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의 저항력이 강한 경우에는 스크린(12) 사이로 삽입된 이물질빼냄구(24)가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에 걸려서 레이크(20)가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레이크(20)가 정지되는 것은 체인(10)의 이동이 정지된 것이고, 그와 동시에 구동모터(15)가 정지된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는 구동모터(15)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제어부(16)에서 이물질빼냄구(24)가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에 걸려서 레이크(20)가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구동모터(15)가 정지된 것을 감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어부(16)에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16)를 그 지점에서 역방향으로 소정의 구간만큼 역회전하게 하고, 뒤이어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물질빼냄구(24)가 다시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에 부딪치게 한다.
이 신호는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이 빠질 때 까지 수차례를 반복하며, 스크린(12) 사이에 끼었던 협잡물이 스크린(12)의 사이에서 빠져나오면, 정상적인 체인(10)의 상향 이동으로 레이크(20)의 갈퀴본체(22)에 얹혀져서 상향 이동시키면서 최종적으로 밸트콘베이어(5)로 낙하시켜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빼냄구(24)가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에 부딪칠 때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물질빼냄구(24)의 상면에 푸싱안내부(24a)가 경사지거나,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어서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을 스크린(12)의 전방측으로 밀어주게 되어 스크린(12)에서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이물질빼냄구(24)는 그와 동일한 형상을 한 하측 이물질빼냄구(25)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크(20) 하측의 지지프레임(21) 하측에도 설치하는 경우는 1개의 레이크(20)을 기준하여 그 레이크(20)의 상하부측의 스크린(12)에 협잡물이 낀 경우에 상하측의 협잡물을 함께 빼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레이크(20)의 갈퀴살의 저면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갈퀴살의 하측을 받쳐주는 보강지지대(23)가 설치되어서 무거운 협잡물(18)이 갈퀴본체(22)에 실리는 경우에도 상기 보강지지대(23)가 각각의 갈퀴살을 보강하여 갈퀴살이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1 : 로타리제진기 2 : 배수로 3 : 배수로바닥
4 : 상부 콘크리트구조물 5 : 밸트콘베이어 6 : 브래킷
7 : 프레임 8 : 구동스프라켓 9 : 체인설치구
10 : 체인 11 : 체인가이드 12 : 스크린
13 : 스크린지지봉 14 : 전방스크린 15 : 구동모터
16 : 제어부 20 : 레이크 21 : 지지프레임
22 : 갈퀴본체 23 : 보강지지대 24 : 이물질빼냄구
25 : 하측 이물질빼냄구
4 : 상부 콘크리트구조물 5 : 밸트콘베이어 6 : 브래킷
7 : 프레임 8 : 구동스프라켓 9 : 체인설치구
10 : 체인 11 : 체인가이드 12 : 스크린
13 : 스크린지지봉 14 : 전방스크린 15 : 구동모터
16 : 제어부 20 : 레이크 21 : 지지프레임
22 : 갈퀴본체 23 : 보강지지대 24 : 이물질빼냄구
25 : 하측 이물질빼냄구
Claims (2)
- 삭제
- 배수로바닥(3)과 상부 콘크리트구조물(4) 사이의 배수로(2)에 설치되어 스크린(12)에 걸리는 협잡물을 걷어 올려 배출하는 로타리제진기(1)가 설치되고, 상기 로타리제진기(1)는 구동모터(15)에 의해 체인가이드(11)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체인(10)에 다수개의 레이크(2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20)는 띠강판 형태의 스크린(12)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전방에서 상향 이동하면서 스크린(12)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로타리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20)는 전방에 다수개의 갈퀴살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갈퀴본체(22)와, 갈퀴살 부분의 후방측 갈퀴본체(22)의 저면에 수평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과, 각각의 갈퀴살의 저면과 지지프레임(21)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23)와, 지지프레임(21)과 체인(10)을 연결 설치하는 체인설치구(9)와, 스크린(12) 사이의 간격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갈퀴본체(22) 상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이물질빼냄구(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질빼냄구(24)는 스크린(12) 사이의 간격으로 후단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이물질빼냄구(24)의 상면은 스크린(12)의 사이의 간격에 낀 협잡물을 스크린(12)의 전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싱안내부(24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5)의 소정위치에는 스크린(12) 사이에 낀 협잡물에 이물질빼냄구(24)가 접촉되어 걸려서 구동모터(15)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감지한 뒤에, 그 구동모터(15)를 역회전과 정회전을 반복시켜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밀어내게 하는 제어부(16)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저면에 이물질빼냄구(24)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하측 이물질빼냄구(25)가 상측의 이물질빼냄구(24)와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006A KR101074826B1 (ko) | 2010-07-14 | 2010-07-14 |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006A KR101074826B1 (ko) | 2010-07-14 | 2010-07-14 |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4826B1 true KR101074826B1 (ko) | 2011-10-19 |
Family
ID=4503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8006A KR101074826B1 (ko) | 2010-07-14 | 2010-07-14 |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482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308B1 (ko) * | 2013-02-07 | 2013-08-05 | 주식회사 우승산업 | 스크린 제진기의 보호장치 |
KR101695462B1 (ko) * | 2016-03-24 | 2017-01-23 | 주식회사 가온텍 |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
KR101746465B1 (ko) * | 2016-07-19 | 2017-06-14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충돌방지 레이크를 가지는 제진기 |
KR102325145B1 (ko) * | 2021-03-05 | 2021-11-11 | 엔텍스 주식회사 | 로터리식 제진기 |
KR102411793B1 (ko) | 2021-12-03 | 2022-06-22 | 주식회사 한하산업 | 절전형 스마트 로터리 제진기 자동제어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0191B1 (ko) * | 2003-11-13 | 2006-04-24 | 다음기술 주식회사 | 로타리 제진기 |
-
2010
- 2010-07-14 KR KR1020100068006A patent/KR1010748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0191B1 (ko) * | 2003-11-13 | 2006-04-24 | 다음기술 주식회사 | 로타리 제진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308B1 (ko) * | 2013-02-07 | 2013-08-05 | 주식회사 우승산업 | 스크린 제진기의 보호장치 |
KR101695462B1 (ko) * | 2016-03-24 | 2017-01-23 | 주식회사 가온텍 |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
KR101746465B1 (ko) * | 2016-07-19 | 2017-06-14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충돌방지 레이크를 가지는 제진기 |
KR102325145B1 (ko) * | 2021-03-05 | 2021-11-11 | 엔텍스 주식회사 | 로터리식 제진기 |
KR102411793B1 (ko) | 2021-12-03 | 2022-06-22 | 주식회사 한하산업 | 절전형 스마트 로터리 제진기 자동제어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7812B1 (ko) |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 |
KR101767872B1 (ko) |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 |
KR101074826B1 (ko) |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 |
KR100951623B1 (ko) | 제진기의 협잡물 감지장치 | |
KR101695462B1 (ko) |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 |
KR100540219B1 (ko) |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 |
KR101893203B1 (ko) |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 |
KR101177923B1 (ko) | 제진장치 | |
KR101373531B1 (ko) | 협잡물 찌꺼기 자동제거유닛을 갖는 로터리식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 |
KR101964591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1025167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1254450B1 (ko) | 대형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제진기 | |
KR101259093B1 (ko) | 제진기 | |
KR101427980B1 (ko) |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 |
KR101406712B1 (ko) | 이중 스크린 제진기 | |
KR20140033613A (ko) |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 |
KR101695428B1 (ko) | 로타리 제진기 | |
KR101085460B1 (ko) | 배수장용 락크바식 자동 제진기 | |
KR101594101B1 (ko) | 인/아웃 자동 제진기 | |
KR100975915B1 (ko) | 로터리식 제진기 | |
KR101133073B1 (ko) | 제진기 | |
KR102150568B1 (ko) | 협잡물 배출기능이 개선된 로터리 제진기 | |
KR100570191B1 (ko) | 로타리 제진기 | |
KR20190129514A (ko) |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 |
KR100709343B1 (ko) | 강제 하강식 제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