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061B1 -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061B1
KR101253061B1 KR1020120106741A KR20120106741A KR101253061B1 KR 101253061 B1 KR101253061 B1 KR 101253061B1 KR 1020120106741 A KR1020120106741 A KR 1020120106741A KR 20120106741 A KR20120106741 A KR 20120106741A KR 101253061 B1 KR101253061 B1 KR 10125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ewer
sewage
coupled
scre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Priority to KR102012010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높이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한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하수로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하수 중의 각종 협잡물을 걸러내는 한편, 우수시 하수로 상부로 부상하여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는 하수로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로 내측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고정판; 상기 천장고정판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결합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의 과다 유입시 부력에 의하여 스크린이 상승하기 때문에 하수의 과다 유입시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정전이나 설비 이상으로 인한 2차 피해 우려가 없어 안정적인 협잡물 제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Screen device for removing adulterated materials without power}
본 발명은 하수 높이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한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하수로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하수 중의 각종 협잡물을 걸러내는 한편, 우수시 하수로 상부로 부상하여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공장에서 발생하는 오폐수 또는 강우로 인한 우수는 옥내관을 통하여 배수설비로 집수된 다음, 하수로를 통하여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이때, 합류식 하수로에서는 우천시에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수송하는 한편, 계획된 하수량을 초과하는 나머지 우수는 하천 등의 수역으로 방류키시기 위한 시설인 우수토실이 위치된다.
상기 우수토실 전단에는 우수토실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각종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이 구비된다.
종래 스크린은 하수로 내부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스크린 측면에 쌓인 협잡물의 양이 증가하면 우수의 과다 유입시 각종 퇴적물에 의하여 하수가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로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유속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되, 상단에 유속방향으로 재차 기울기를 갖는 절곡부가 형성된 걸림봉을 다수 구비하여 작은 협잡물을 하수관으로 유도하고, 큰 협잡물만을 제거하는 하수로용 협잡물 스크린장치(특허출원 제10-2009-0025607호)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출원기술은 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여전히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협잡물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수 용량에 따라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어, 우수의 과다 유입시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하여 연동되기 때문에 정전이나 설비 이상 등에 의한 2차 피해 우려가 없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로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로 내측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고정판; 상기 천장고정판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결합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로 천장의 연결바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하수로의 바닥에는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가 걸려 하수가 흐르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스크린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구; 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걸림구는 하수로 바닥 상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앵커로 고정되는 바닥고정판; 상기 바닥고정판 상부에 결합되는 역V형의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판; 및 상기 걸림판 후면과 상기 바닥고정판 사이에 결합되는 리브;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연결바에 연직 결합되는 수평바; 와 상기 수평바에 연직 결합되어 협잡물을 거르는 복수의 수직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크린의 각 수직바 하단부는 하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력통은 하수가 흘러나가는 측 스크린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하수로 내측 천장에서, 상기 천장고정판의 힌지 전방 측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결바를 당겨 하수가 흘러오는 측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와이어;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고정편; 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편 일측에 고정되어 하우징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편 일측과 와이어가 외측으로 인출되는 하우징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는 탄성체;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수로 내부의 하수 만수위시, 상기 하수로 내측 천장면과 상기 부력통 사이에는 상호 일정한 공간이 유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하수로의 천장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수의 과다 유입시 부력에 의하여 스크린이 상승하기 때문에, 하수의 과다 유입시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부력에 연동하여 스크린이 상승 또는 하강하기 때문에, 정전이나 설비 이상 등으로 인한 2차 피해 우려가 없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의 (a) 내지 (d)는 하수의 변화에 따른 본 발명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의 단계별 거동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하수의 변화에 따른 본 발명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의 단계별 거동을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로(1)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로(1) 내측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고정판(10); 상기 천장고정판(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20); 상기 연결바(20)의 타단에 결합되는 스크린(30); 및 상기 스크린(30)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고정판(10)은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하수로(1) 천장에 결합한다.
상기 연결바(20)는 상기 천장고정판(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연결바(20)는 외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녹이나 부식의 위험이 없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20)와 천장고정판(10)의 힌지 결합은 MC 수지 또는 PP(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이용하여, 부식의 위험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30)은 하수 중의 스티로폼, 나무 등 각종 협잡물을 거르는 부분으로, 연결바(20)와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30)은 상기 연결바(20)에 연직 결합되는 수평바(32)와 상기 수평바(32)에 연직 결합되어 협잡물을 거르는 복수의 수직바(34)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30)의 각 수직바(34) 하단부는 하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34)의 하단은 고무캡을 억지 끼움으로 씌워 충격 및 진동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30)은 연결바(20)와 같이 스테인리스 스틸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며, 스크린(30)과 연결바(20)는 용접 또는 볼트 접합 등에 의하여 결합한다.
상기 부력통(40)은 스크린(30)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속이 빈 통 형상이며, 각종 합성수지로 제작한다.
상기 부력통(40)은 스크린(30)의 부유가 용이하도록 하수가 흘러나가는 측 스크린(30) 측면에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하수로(1) 천장의 연결바(20)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하수로(1)의 바닥에는 상기 스크린(30)의 하단부가 걸려 하수가 흐르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스크린(3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구(5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걸림구(50)는 평상시 스크린(30)이 하수가 흐르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우수시 스크린(30)이 하수가 흘러오는 방향 측으로 부상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구(50)는 도 1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수로(1) 바닥 상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앵커로 고정되는 바닥고정판(52); 상기 바닥고정판(52) 상부에 결합되는 역V형의 돌출부(54); 상기 돌출부(54)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30)의 하단부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판(56); 및 상기 걸림판(56) 후면과 상기 바닥고정판(52) 사이에 결합되는 리브(5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고정판(52)은 하수로(1) 바닥면 상부에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상기 돌출부(54)는 바닥고정판(5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바닥고정판(52)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판(56)은 상기 돌출부(54)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54)와 걸림판(56)은 스크린(30)의 회전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스크린(30)의 수직바(34) 하단은 돌출부(54)와 걸림판(5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상기 리브(58)는 스크린(30)이 회전하려는 힘에 대응하도록 걸림구(50)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바닥고정판(52)의 너비는 리브(58)의 하단이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54)의 너비보다 크게 제작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수로(1) 내측 천장에서, 상기 천장고정판(10)의 힌지 전방 측에 고정되는 하우징(22); 상기 하우징(22)에서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바(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결바(20)를 당겨 하수가 흘러오는 측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와이어(24); 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22)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고정편(26); 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24)는 상기 고정편(26) 일측에 고정되어 하우징(22)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편(26) 일측과 와이어(24)가 외측으로 인출되는 하우징(22)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24)에 인장력을 가하는 탄성체; 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수위 또는 수압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와이어(24)의 회전력에 의하여 스크린(30)이 하수가 흘러오는 측으로 회전되지 않고, 연직 하방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24)는 하우징(22)에서 연결바(20)의 일측까지 직선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24)에 각종 협잡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고정판(10)과 연결바(20) 측에 인접하도록 와이어(22)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22)를 소정의 직경을 가진 케이블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2)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고정편(26)의 일실시예로 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28)으로 구성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a 내지 도 2d는 하수의 변화에 따른 본 발명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의 단계별 거동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대응되도록 하수의 변화에 따른 본 발명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의 단계별 거동을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상시 하수로(1)의 수위가 낮을 때에는 스크린(30)이 연직 하방을 향하며, 상기 스크린(30)은 걸림구(50)의 돌출부(54)와 걸림판(56)에 수직바(34)의 하단이 걸려 하수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와이어(24)의 회전력에 의하여 스크린(30)은 하수가 소정의 수위 또는 수압에 도달할 때까지 하수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하수로(1) 내부의 하수가 증가하면, 도 2b와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력에 의하여 부력통(40)이 하수 상면에 위치하도록 스크린(30)이 회전한다. 즉, 하수의 유속과 수압의 변화로 스크린이 부력판을 밀면서 상승하며, 스크린의 하부를 통하여 협잡물이 통과하기 때문에, 스크린(30) 전방에 각종 협잡물이 퇴적되어 우수의 흐름을 막지 못한다.
나아가 하수로(1) 내부의 하수가 더욱 증가하여 만수위에 도달하면, 도 2c와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력통(40)은 하수로(1) 내측 상면 측으로 완전히 부상한다.
이때, 상기 하수로(1) 내측 천장면과 상기 부력통(40) 사이에는 상호 일정한 공간이 유격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수로(1) 내부의 하수 수위가 증가하면 부력에 의하여 부력통(40)에 결합된 스크린(30)이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과다 유입되는 우수는 스크린(30) 하부의 개구된 공간을 통하여 통과한다.
마지막으로, 도 2d와 도 3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수로(1) 내부의 수위가 하강하면, 스크린(30)은 다시 천장고정판(10)에 연직 하방으로 위치된다.
1: 하수로 10: 천장고정판
20: 연결바 22: 하우징
24: 와이어 26: 고정편
28: 스프링 30: 스크린
32: 수평바 34: 수직바
40: 부력통 50: 걸림구
52: 바닥고정판 54: 돌출부
56: 걸림판 58: 리브

Claims (10)

  1. 하수로(1)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로(1) 내측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고정판(10);
    상기 천장고정판(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20);
    상기 연결바(20)의 타단에 결합되는 스크린(30);
    상기 스크린(30)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40); 및
    하수로(1) 천장의 연결바(20)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하수로(1)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30)의 하단부가 걸려 하수가 흐르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스크린(3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구(50); 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구(50)는 하수로(1) 바닥 상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앵커로 고정되는 바닥고정판(52), 상기 바닥고정판(52) 상부에 결합되는 역V형의 돌출부(54), 상기 돌출부(54)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30)의 하단부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판(56) 및 상기 걸림판(56) 후면과 상기 바닥고정판(52) 사이에 결합되는 리브(5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스크린(30)은
    상기 연결바(20)에 연직 결합되는 수평바(32); 와
    상기 수평바(32)에 연직 결합되어 협잡물을 거르는 복수의 수직바(3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스크린(30)의 각 수직바(34) 하단부는 하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부력통(40)은 하수가 흘러나가는 측 스크린(30)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하수로(1) 내측 천장에서, 상기 천장고정판(10)의 힌지 전방 측에 고정되는 하우징(22);
    상기 하우징(22)에서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바(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결바(20)를 당겨 하수가 흘러오는 측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와이어(24);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하우징(22)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고정편(26); 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24)는 상기 고정편(26) 일측에 고정되어 하우징(22)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편(26) 일측과 와이어(24)가 외측으로 인출되는 하우징(22)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24)에 인장력을 가하는 탄성체;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8. 제1항에서,
    하수로(1) 내부의 하수 만수위시, 상기 하수로(1) 내측 천장면과 상기 부력통(40) 사이에는 상호 일정한 공간이 유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06741A 2012-09-25 2012-09-25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10125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741A KR101253061B1 (ko) 2012-09-25 2012-09-25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741A KR101253061B1 (ko) 2012-09-25 2012-09-25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061B1 true KR101253061B1 (ko) 2013-04-29

Family

ID=4844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741A KR101253061B1 (ko) 2012-09-25 2012-09-25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0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45B1 (ko) * 2013-07-15 2013-11-26 황동언 무동력 스크린장치
KR101365038B1 (ko) * 2013-09-10 2014-02-21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KR102078388B1 (ko) * 2019-06-19 2020-02-17 이태준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KR102559295B1 (ko) * 2023-01-16 2023-07-25 (주)정엔지니어링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509U (ja) * 1997-06-16 1997-12-22 大興機工株式会社 水路のごみ類流入防止用スクリーン
JP2008202285A (ja) * 2007-02-19 2008-09-04 Masae Suzuki 水路用除草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509U (ja) * 1997-06-16 1997-12-22 大興機工株式会社 水路のごみ類流入防止用スクリーン
JP2008202285A (ja) * 2007-02-19 2008-09-04 Masae Suzuki 水路用除草器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45B1 (ko) * 2013-07-15 2013-11-26 황동언 무동력 스크린장치
KR101365038B1 (ko) * 2013-09-10 2014-02-21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KR102078388B1 (ko) * 2019-06-19 2020-02-17 이태준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KR102559295B1 (ko) * 2023-01-16 2023-07-25 (주)정엔지니어링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US52978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lt erosion
KR101253061B1 (ko)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101220901B1 (ko)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JP5224388B2 (ja) 浸透装置用フィルタ及び浸透装置
KR101100383B1 (ko) 하수로용 협잡물 스크린장치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CN208056242U (zh) 一种防堵塞排污管道组件
JP2006002529A (ja) 液状化防止構造
KR101333045B1 (ko) 무동력 스크린장치
JP2012062696A (ja) 浸透フィルター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33076B1 (ko) 강우 유출수 및 지하수 관리 시스템
KR100994672B1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200295999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1345769B1 (ko) 저류조 시스템
KR101593374B1 (ko) 하수로용 스크린 장치
KR101413688B1 (ko) 낙하 우수 처리 장치
JP2006299509A (ja) 雨水貯水装置
CN108360568B (zh) 一种用于电缆井内的防倒灌装置
KR100574280B1 (ko) 하천 담수지의 쓰레기 제거 장치
CN108797611B (zh) 一种用于渣土边坡的防堵塞排水管
KR101007104B1 (ko) 무동력 하수관거 자동 세척장치
JP5557211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KR20160093208A (ko) 스컴 보호형 플로우트를 구비하는 수위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