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046B1 - 노즐형 수중보 - Google Patents

노즐형 수중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046B1
KR101545046B1 KR1020130019627A KR20130019627A KR101545046B1 KR 101545046 B1 KR101545046 B1 KR 101545046B1 KR 1020130019627 A KR1020130019627 A KR 1020130019627A KR 20130019627 A KR20130019627 A KR 20130019627A KR 101545046 B1 KR101545046 B1 KR 10154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door
main body
sp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896A (ko
Inventor
이병순
Original Assignee
이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순 filed Critical 이병순
Priority to KR1020130019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04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형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 하천을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어 물을 설정된 높이로 담수하면서 상단으로 물을 월류시키고, 개구부가 마련된 둑본체; 상기 둑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면서 담수된 물을 배수하는 게이트; 및 상기 둑본체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물의 낙하 각도를 가변시키거나 물의 낙폭을 분할시켜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둑본체의 상류에서 하류로 낙하하는 물이 댐퍼에 의해 낙하각도가 가변되거나 낙폭이 분할됨에 따라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므로 물받이판이나 바닥보호판과 같은 구조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형 수중보{NOZZLE TYPE DAM}
본 발명은 노즐형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수로 등에 흐르는 물을 설정된 높이로 담수하기 위하여 하천을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는 노즐형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천이나 수로 등에는 흐르는 물을 일정량 저수하기 위하여 수중보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중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을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는 본체(1), 본체(1)의 양측에 설치되는 물받이판(2) 및 바닥보호판(3)으로 구성된다.
본체(1)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측벽(1a)이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상류의 물을 담수하면서 담수량을 초과하는 물을 상단으로 월류시키며, 하류측벽(1b)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월류되는 물을 하류로 낙하시킨다.
그런데, 통상의 수중보는 본체(1)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물이 하류측벽(1b)을 따라 낙하하거나 하류측벽(1b)을 넘어 낙하하면서 물받이판(2)이나 바닥보호판(3)을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의 수중보는 본체(1)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물받이판(2)이나 바닥보호판(3)에 반복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물받이판(2) 및 바닥보호판(3)이 침식되거나 파손되어 본체(1)의 침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통상의 수중보는 본체(1)의 높이가 높을수록 물의 낙폭이 커지므로 이와 동시에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둑본체의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완만하게 분사하거나 물의 낙폭을 다단계로 분할시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본체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형 수중보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즐식 수중보는, 하천을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어 물을 설정된 높이로 담수하면서 상단으로 물을 월류시키고, 개구부가 마련된 둑본체; 상기 둑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면서 담수된 물을 배수하는 게이트; 및 상기 둑본체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물의 낙하 각도를 가변시키거나 물의 낙폭을 분할시켜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는 예컨대, 상기 둑본체의 상부에 통수가능하게 관통형성되어 상류의 물을 하류로 통수시키는 수평관로형태의 통수노즐; 및 상기 통수노즐에 마련되어 상기 통수노즐로 유입된 물을 하류로 분사하면서 물의 분사각도를 가변시키는 틸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상기 틸트는 예컨대, 상기 통수노즐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되어 상기 통수노즐로 유입된 물을 관류시키면서 하류로 분사하는 관체형의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을 상기 통수노즐에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분사관을 시소운동시키면서 상기 분사관의 각도를 제어하는 분사관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사관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분사관의 일단부에 링형태로 돌출되는 분사관플랜지; 상기 통수노즐의 일측에 홈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분사관플랜지가 수용되고, 상기 분사관플랜지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분사관의 편축회전을 허용하는 플랜지홀더; 및 상기 분사관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둑본체의 상단으로 연장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분사관의 타단부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분사관을 시소운동시키는 분사관 승강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홀더는 예컨대, 상기 통수노즐의 일측에 매립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분사관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끼워지고, 상기 분사관의 타단부가 승강함에 따라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분사관 플랜지의 유동을 허용하는 탄성고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둑본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통수노즐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노즐게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댐퍼는 예컨대, 상기 둑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류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둑본체를 월류하는 물을 가로막으면서 물의 낙폭을 분할시키는 용기형태의 스크린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댐퍼는, 상기 스크린의 일측면에 구멍형태로 마련되어 물을 분사상태로 배출하는 스크린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는 예컨대, 상기 둑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틀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비; 상기 문비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문비를 승강시키는 문비승강기; 상기 문비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류의 물을 상기 문비로 관통시키면서 방류하는 구멍형태의 문비노즐; 상기 문비의 측벽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비노즐을 개폐하는 판상의 노즐도어; 및 상기 노즐도어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노즐도어를 승강시키는 도어승강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식 수중보는, 둑본체의 상류에서 하류로 낙하하는 물이 댐퍼에 의해 낙하각도가 가변되거나 낙폭이 분할됨에 따라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므로 물받이판이나 바닥보호판과 같은 구조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류의 물이 둑본체를 월류하기 전에 통수노즐을 통해 하류측으로 통수되는 동시에 틸트에 의해 분사되면서 각도가 가변되므로, 상류의 물이 수평상태로 분사됨에 따라 물의 충격이 현격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통수노즐에 내장된 분사관이 분사관 커넥터에 의해 시소운동하므로 분사관의 분사각도가 원활하게 가변될 수 있다.
더욱이, 분사관 커넥터를 구성하는 분사관 플랜지가 플랜지홀더에 유동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분사관 승강기가 분사관의 타단부를 승강시키므로, 분사관이 원활하게 시소운동하면서 분사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 플랜지홀더가 압축고무로 구성됨에 따라 분사관 플랜지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분사관의 단부를 수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통수노즐의 유입구가 노즐게이트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노즐게이트의 개폐를 통해 상류측의 담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댐퍼가 둑본체의 하류측면에 마련되는 스크린으로 구성될 경우, 둑본체를 월류하는 물을 스크린이 가로막으면서 물의 낙폭을 분할시키므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으로 낙하한 물이 스크린의 일면에 마련된 스크린노즐을 통해 분사상태로 배출되므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를 구성하는 문비에 문비노즐 및 노즐도어가 마련됨에 따라 상류의 물이 문비를 관통하면서 하류로 배출되므로, 문비의 초기개방시에 노즐도어의 선개방을 통해 물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개구부 바닥이나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수중보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둑본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댐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게이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형 수중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둑본체(100), 게이트(200) 및 댐퍼(D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둑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바닥면에 시공되어 하천의 물을 설정된 높이로 담수한다.
이러한 둑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0)가 마련되어 후술되는 게이트(200)가 개구부(1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에 물받이판(100a) 및 바닥보호판(100b)이 마련될 수 있다.
게이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둑본체(100)의 개구부(1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게이트(200)는 개구부(110)를 폐쇄하여 상류의 물을 담수하거나 개구부(110)를 개방하여 상류의 물을 하류로 방류한다.
이러한 게이트(200)는 예컨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10), 문비(220), 승강기(230), 문비노즐(240), 노즐도어(250) 및 도어승강기(2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문틀(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틀체로 형성되어 둑본체(100)의 개구부(110)에 설치된다.
문비(220)는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부재로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되는 문비승강기(230)에 의해 문틀(210)을 따라 승강하면서 둑본체(100)의 개구부(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이러한 문비(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함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나 외곽을 따라 수밀고무(220a)가 마련되어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문비승강기(230)는 개구부(110)를 개폐하기 위하여 문비(220)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31) 및 권양기(2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로드(2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20)의 상단에 연결되어 문틀(210)의 상단에 관통상태로 설치된다.
권양기(2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로드(231)를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권양기(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면서 로드(231) 및 문비(220)를 승강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로드(231)와 문비(220)를 승강시키는 기계식이나 미도시된 유압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문비(220)를 승강시키는 유압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문비승강기(230)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문비노즐(240)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20)의 측벽에 구멍형태로 관통형성되어 상류의 물을 문비(220)로 관통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20)가 함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전면판(221) 및 후면판(222)에 제각기 형성된다. 이러한 문비노즐(24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도어(250)는 문비노즐(240)을 개폐하는 부재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00)의 측벽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재로 구성되어 문비노즐(240)을 차폐한다.
이러한 노즐도어(250)는 도 6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20)에 마련된 승강레일(223)에 결합되어 승강레일(223)을 따라 승강하며, 하단부가 나이프형태로 형성되어 문비노즐(240)에 걸린 퇴적물이나 이물질을 절단한다.
도어승강기(260)는 문비노즐(240)을 개폐하기 위하여 노즐도어(250)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문비승강기(230)와 동일하게 로드(261) 및 권양기(26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권양기(262)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로드(261) 및 노즐도어(250)를 승강시키면서 문비노즐(240)을 개폐시킨다.
이에 따라, 문비(220)는 둑본체(100)의 개구부(110)를 차폐한 상태에서도 노즐도어(250)에 의한 문비노즐(240)의 개방을 통해 상류의 물을 하류로 방류시킬 수 있다.
즉, 게이트(200)는 문비(220)가 폐쇄된 상태에서 문비노즐(240)을 통해 상류의 물을 방류시키면서 문비(220)에 가해지는 물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문비(220)의 개방시 개구부(110)로 방류되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둑본체(100)의 바닥면이나 물받이판(100a) 또는 바닥보호판(100b)은 방류되는 물에 의해 침식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댐퍼(DP)는 게이트(200)의 폐쇄에 의해 둑본체(100)의 상류측이 만수됨에 따라 둑본체(100)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물을 분사하면서 각도를 가변시키거나, 하류측으로 낙하하는 물의 낙폭을 분할시킴으로써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댐퍼(DP)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노즐(300) 및 틸트(4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수노즐(3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둑본체(100)의 상부에 수평관로 형태로 관통형성되어 상류의 물을 하류로 통수시킨다.
이러한 통수노즐(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둑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어 상류의 물을 통수시키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노즐게이트(500)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물의 담수량 및 담수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틸트(400)는 통수노즐(300)로 유입된 물을 하류로 분사하면서 물의 분사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물을 완만한 각도로 낙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틸트(400)는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410) 및 분사관커넥터(4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분사관(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통수노즐(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되며, 통수노즐(300)로 유입된 물을 관류시키면서 하류로 분사한다.
이러한 분사관(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측의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물의 분사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다.
분사관 커넥터(420)는 분사관(410)을 통수노즐(300)의 내부에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여 분사관(410)을 시소운동시키면서 분사관(410)의 분사각도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분사관 커넥터(4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 플랜지(421), 플랜지홀더(422) 및 분사관 승강기(42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분사관 플랜지(4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410)의 일단부에 링형태로 돌출된다. 이러한 분사관 플랜지(4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홀더(4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 플랜지(421)를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구성요소로서, 통수노즐(300)의 일측에 홈형태로 마련되어 분사관 플랜지(421)가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수용된다.
이러한 플랜지홀더(4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 플랜지(421)의 둘레를 따라 끼워진 상태로 통수노즐(300)의 유입구측에 매립상태로 고정되어 탄성변형하면서 분사관 플랜지(421)의 유동을 허용하는 탄성고무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탄성고무(4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 플랜지(421)에 밀착된 상태로 탄성변형하면서 분사관 플랜지(421)의 유동을 허용함으로써 분사관(410)의 편축회전을 허용한다.
분사관 승강기(423)는 분사관(410)의 분사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분사관(410)을 시소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410)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둑본체(100)의 상단으로 연장되는 로드(423a) 및 외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로드(423a)를 승강시키는 핸들(423b)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핸들(423b)은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로드(423a)를 통해 분사관(410)의 타당부를 승강시키며, 이에 따라 분사관(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 플랜지(421)를 통해 플랜지홀더(422)를 압축시키면서 편축회전하면서 물의 분사각도를 가변시킨다.
따라서, 분사관(410)은 상류에서 통수노즐(300)로 유입되는 물을 하류를 향해 완만한 각도로 분사함으로써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분사관 커넥터(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428)를 통해 통수노즐(30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분사관 승강기(423)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428)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면서 물의 분사각도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댐퍼(D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게이트(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노즐게이트(500)는 통수노즐(300)의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둑본체(1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술한 문비승강기(23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로드(510) 및 권양기(520)에 의해 승강하면서 통수노즐(300)을 개폐한다.
즉, 노즐게이트(500)는 통수노즐(300)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둑본체(100)에 의한 담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둑본체(100)가 만수일 경우 관리자에 의해 개방되어 상류의 물을 완만한 각도로 배출시킨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댐퍼(DP)는 전술한 통수노즐(300)과 틸트(400)의 구성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60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스크린(6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태로 형성되어 둑본체(100)의 하류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린(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둑본체(100)를 월류하여 낙하하는 물을 가로막으면서 물의 낙폭을 분할시킨다.
즉, 스크린(600)은 둑본체(10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물의 낙폭을 분할시킴으로써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분할시킨다. 이에 따라, 둑본체(100)의 하단이나 물받이판(100a) 또는 바닥보호판(100b)과 같은 구조물의 침식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6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형태의 스크린노즐(610)이 마련되어 둑본체(100)에서 하강하는 물을 분사상태로 하류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600)은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노즐형 수중보의 작용 및 작동을 설명한다.
둑본체(100)는 게이트(200)에 의해 개구부(110)가 폐쇄됨에 따라 상류에서 흐르는 물을 담수한다.
게이트(200)는 개구부(110)를 개방하여 상류에 담수된 물을 하류로 방류한다. 이때, 게이트(200)는 문비노즐(240)을 개방하여 문비(220)에 가해지는 물의 압력을 감소시킨 후 문비(220)를 개방하여 물을 하류로 방류한다.
구체적으로, 노즐도어(250)는 도어승강기(260)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문비노즐(240)을 개방하여 상류의 물을 문비노즐(240)로 배출시키며, 문비(220)는 문비승강기(230)에 작동에 의해 문틀(210)을 따라 상승하면서 개구부(110)를 개방하여 물을 하류로 방류한다. 이에 따라, 상류의 물은 문비노즐(240)을 통해 배출되면서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유속이 감소된 상태로 문비(220)로 배출된다.
한편, 댐퍼(DP)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노즐(300) 및 틸트(400)로 구성된 경우, 노즐게이트(500)는 상류의 물이 만수됨에 따라 상승하면서 통수노즐(300)을 개방하고, 틸트(400)를 구성하는 분사관(410)은 통수노즐(300)로 유입된 물을 완만한 각도로 가변시키면서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분사관(410)은 분사관 승강기(423)의 작동에 의해 배출구측이 승강함에 따라 물의 분사각도를 완만한 각도로 분사한다.
이때, 분사관(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 플랜지(421)를 통해 플랜지홀더(422)를 구성하는 압축고무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승강함으로써 원활하게 편축회전하면서 각도가 가변된다.
이에 따라, 상류의 물은 분사관(410)을 통해 하류로 배출되면서 완만한 각도로 분사됨에 따라 낙하에 의한 충격이 감소된 상태로 방류된다.
다른 한편, 댐퍼(DP)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600)으로 구성된 경우, 스크린(600)은 둑본체(100)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물을 가로막으면서 물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스크린노즐(610)을 통해 물을 하류로 분사한다. 이에 따라,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더욱 감소된 상태로 하류로 방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노즐형 수중보는, 둑본체(100)의 상류에서 하류로 낙하하는 물이 댐퍼(DP)에 의해 낙하각도가 가변되거나 낙폭이 분할됨에 따라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므로 물받이판(100a)이나 바닥보호판(100b)과 같은 구조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류의 물이 둑본체(100)를 월류하기 전에 통수노즐(300)을 통해 하류측으로 통수되는 동시에 틸트(400)에 의해 분사되면서 각도가 가변되므로, 상류의 물이 수평상태로 분사됨에 따라 물의 충격이 현격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통수노즐(300)에 내장된 분사관(410)이 분사관커넥터(420)에 의해 시소운동하므로 분사관(410)의 분사각도가 원활하게 가변될 수 있다.
더욱이, 분사관 커넥터(420)를 구성하는 분사관 플랜지(421)가 플랜지홀더(422)에 유동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분사관 승강기(423)가 분사관(410)의 타단부를 승강시키므로, 분사관(410)이 원활하게 시소운동하면서 분사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 플랜지홀더(422)가 압축고무로 구성됨에 따라 분사관 플랜지(421)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분사관(410)의 단부를 수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통수노즐(300)의 유입구가 노즐게이트(500)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노즐게이트(500)의 개폐를 통해 상류측의 담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댐퍼(DP)가 둑본체(100)의 하류측면에 마련되는 스크린(600)으로 구성될 경우, 둑본체(100)를 월류하는 물을 스크린(600)이 가로막으면서 물의 낙폭을 분할시키므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600)으로 낙하한 물이 스크린(600)의 일면에 마련된 스크린노즐(610)을 통해 분사상태로 배출되므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200)를 구성하는 문비(220)에 문비노즐(240) 및 노즐도어(250)가 마련됨에 따라 상류의 물이 문비(220)를 관통하면서 하류로 배출되므로, 문비(220)의 초기개방시에 노즐도어(250)의 선개방을 통해 물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개구부(110) 바닥이나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둑본체 110 : 개구부
200 : 게이트 210 : 문틀
220 : 문비 230 : 문비승강기
231 : 로드 232 : 권양기
240 : 문비노즐 250 : 노즐도어
260 : 도어승강기 300 : 통수노즐
400 : 틸트 410 : 분사관
420 : 분사관 커넥터 421 : 분사관 플랜지
422 : 플랜지홀더 423 : 분사관 승강기
500 : 노즐게이트 600 : 스크린
610 : 스크린노즐

Claims (9)

  1. 삭제
  2. 하천을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어 물을 설정된 높이로 담수하면서 상단으로 물을 월류시키고, 개구부가 마련된 둑본체;
    상기 둑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면서 담수된 물을 배수하는 게이트; 및
    상기 둑본체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물의 낙하 각도를 가변시키거나 물의 낙폭을 분할시켜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는,
    상기 둑본체의 상부에 통수가능하게 관통형성되어 상류의 물을 하류로 통수시키는 수평관로형태의 통수노즐; 및
    상기 통수노즐에 마련되어 상기 통수노즐로 유입된 물을 하류로 분사하면서 물의 분사각도를 가변시키는 틸트;를 포함하는 노즐형 수중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는,
    상기 통수노즐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되어 상기 통수노즐로 유입된 물을 관류시키면서 하류로 분사하는 관체형의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을 상기 통수노즐에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분사관을 시소운동시키면서 상기 분사관의 각도를 제어하는 분사관 커넥터;를 포함하는 노즐형 수중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 커넥터는,
    상기 분사관의 일단부에 링형태로 돌출되는 분사관플랜지;
    상기 통수노즐의 일측에 홈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분사관플랜지가 수용되고, 상기 분사관플랜지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분사관의 편축회전을 허용하는 플랜지홀더; 및
    상기 분사관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둑본체의 상단으로 연장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분사관의 타단부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분사관을 시소운동시키는 분사관 승강기;를 포함하는 노즐형 수중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홀더는,
    상기 통수노즐의 일측에 매립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분사관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끼워지고, 상기 분사관의 타단부가 승강함에 따라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분사관 플랜지의 유동을 허용하는 탄성고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형 수중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둑본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통수노즐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노즐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노즐형 수중보.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둑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틀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비;
    상기 문비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문비를 승강시키는 문비승강기;
    상기 문비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류의 물을 상기 문비로 관통시키면서 방류하는 구멍형태의 문비노즐;
    상기 문비의 측벽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비노즐을 개폐하는 판상의 노즐도어; 및
    상기 노즐도어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노즐도어를 승강시키는 도어승강기;를 포함하는 노즐형 수중보.
KR1020130019627A 2013-02-25 2013-02-25 노즐형 수중보 KR10154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627A KR101545046B1 (ko) 2013-02-25 2013-02-25 노즐형 수중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627A KR101545046B1 (ko) 2013-02-25 2013-02-25 노즐형 수중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896A KR20140105896A (ko) 2014-09-03
KR101545046B1 true KR101545046B1 (ko) 2015-08-17

Family

ID=5175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627A KR101545046B1 (ko) 2013-02-25 2013-02-25 노즐형 수중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0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908B1 (ko) * 2001-09-07 2005-04-13 (주)청호종합기술단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908B1 (ko) * 2001-09-07 2005-04-13 (주)청호종합기술단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896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5983A (en) Movable gate system for a hydraulic dam
KR101545046B1 (ko) 노즐형 수중보
CN107999152B (zh) 一种自适应双向防倒吸装置
JP2627866B2 (ja) 井戸の洗浄方法
CN110835784B (zh) 蚕茧渗透方法
KR20170060325A (ko) Rpd 방지 및 지지력 확보를 위한 스퍼드캔 장치
KR102211006B1 (ko) 수직형 배수펌프
KR101283761B1 (ko)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JPH09228349A (ja) 水門扉
JP4068586B2 (ja) 曝気槽における散気体の昇降装置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KR101792481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JP5394337B2 (ja) 残留放射性スラッジ液吸引装置
KR101792478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WO2012002419A1 (ja) 残留放射性スラッジ液吸引装置
KR101027578B1 (ko) 계단형 선박건조장치
KR101651793B1 (ko) 튜브 수문 모듈
JP3695471B2 (ja) 造波装置
KR102190506B1 (ko) 고로용 수질 측정 장치
KR100830690B1 (ko) 하천제방의 방수량 조절용 수문구조
CN219195859U (zh) 一种具有缓冲效果的水利水电闸门提升装置
CN211143007U (zh) 一种便于检测维修的水闸
JPS58106026A (ja) 貯水場の低汚濁浚渫設備
KR20130058881A (ko) 드라이 도크 배수 시스템
CN108380849B (zh) 一种真空铸锭用中间包的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