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160B1 -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160B1
KR101291160B1 KR1020130053709A KR20130053709A KR101291160B1 KR 101291160 B1 KR101291160 B1 KR 101291160B1 KR 1020130053709 A KR1020130053709 A KR 1020130053709A KR 20130053709 A KR20130053709 A KR 20130053709A KR 101291160 B1 KR101291160 B1 KR 10129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unit
sensor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일
Original Assignee
(주)디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디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5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차수장치는,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의 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개폐도어;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는 실린더장치로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통로 주변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개폐도어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를 개폐하는 실린더장치; 상기 통로 주변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콘트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SLIDING RETRACTABLE DRAINAGE APPARATUS}
본 발명은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또는 도로의 경계 등 유체의 유입이 가능할 수 있는 통로에 설치되어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수장치는 건물 또는 도로의 경계 등 유체의 유입이 가능할 수 있는 통로에 설치되어 많은 양의 폭우로 인한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건물은 다수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주차시설, 즉 지하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으며, 지하주차장의 입구는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지상과 직접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건물의 지하주차장은 대부분 입구가 지상과 통하도록 오픈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장마철 많은 양의 비가 내려서 빗물이 불어나는 경우에 불어난 빗물은 지하주차장 내부로 그대로 유입되어 지하주차장 내부에 주차된 차량 및 전기설비들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주차장의 내부로 불어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지하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 차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수장치는 설치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구동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한편 종래의 차수장치에는 개폐도어가 구비될 수 있고,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것에 의해 빗물 등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수장치는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가 완전히 닫혔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차수장치는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 주변으로 장애물이 출현하는 경우, 장애물의 출현을 인식하는 과정 없이 개폐도어의 밀폐 과정이 계속되었다. 이에 의해, 장애물이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인명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및 작동이 간단해질 수 있고, 개폐도어의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출현하는 것을 감지하여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을 중지시킬 수 있고, 관리자 및 중앙통제실에서는 차수장치의 작동에 대한 이상 상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의 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개폐도어;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는 실린더장치로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통로 주변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개폐도어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를 개폐하는 실린더장치; 상기 통로 주변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콘트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상기 통로 주변에 설치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여 서로 맞닿거나 이격되는 것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제1 개폐도어 및 제2 개폐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도어는 상기 제2 개폐도어를 향하고 있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수직한 단부에 위치한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부에는 상기 제1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개폐도어의 단부가 상기 인입부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개폐도어를 향하고 있는 상기 제2 개폐도어의 단부는 상기 인입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제2 개폐도어가 밀폐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밀폐 구동 후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기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제2 센서부;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 및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1 개폐도어 또는 상기 제2 개폐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제2 개폐도어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는, 상기 통로의 주변의 벽면 상부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으로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제2 개폐도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제2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제2 개폐도어를 따라 상기 권취릴로부터 자유롭게 풀리는 와이어; 및 상기 권취릴과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로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와이어의 풀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권취릴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제2 개폐도어가 밀폐되도록 상기 실린더장치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된 이후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상기 콘트롤장치는 통신모듈; 및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에는 관리자 단말기의 통신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차수장치의 통제를 위한 중앙통제실과 통신하여 상기 중앙통제실에서 상기 콘트롤장치에 접근하여 상기 콘트롤장치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차수장치의 이상신호를 상기 중앙통제실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의 통신번호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들로 차수장치의 이상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의 통신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상기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제2 개폐도어는 서로 맞물리는 단부측에 각각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통로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개폐도어 또는 상기 제2 개폐도어의 외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로 외측에 증가하는 빗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용부 내에서 팽창하여 상기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제2 개폐도어의 서로 맞물린 단부측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용 튜브; 및 상기 제1 개폐도어 또는 상기 제2 개폐도어의 내면 또는 상기 벽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용 튜브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기밀용 튜브를 팽창시키기 위한 미리 설정된 튜브팽창 수위값이 입력되어 있고, 상기 수위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튜브팽창 수위값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공급장치를 구동시켜서 상기 기밀용 튜브가 팽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수위측정부는, 상기 제1 개폐도어 또는 상기 제2 개폐도어의 높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수장치에 의하면, 설치 및 작동이 간단해질 수 있고, 개폐도어의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출현하는 것을 감지하여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장애물이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관리자 및 중앙통제실에서는 차수장치의 작동에 대한 이상 상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차수장치의 작동에 대한 이상 상황에 대한 대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개폐도어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기밀용 튜브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 및 도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물 내의 지하주차시설의 출입 통로, 건물 외의 도로와 건물 외곽의 건물로 통하는 출입구, 간선도로 및 이면도로 사이의 경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많은 양의 비에 의해 불어난 빗물 등이 건물의 내부 또는 이면도로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에서 이러한 차수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들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개폐도어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0)은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 예를 들면 앞서 언급한 건물 내의 지하주차시설의 출입 통로, 건물 외의 도로와 건물 외곽의 건물로 통하는 출입구, 간선도로 및 이면도로 사이의 경계 등에 차수장치의 설치를 위해 형성되어 있는 벽면(1)에 수직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10)은 예를 들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120)는 통로 내로 유입될 수 있는 빗물 등을 차단할 수 있다. 개폐도어(120)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 각각의 지면과 평행한 하단부는 가이드레일(110)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이동하는 경우,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는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는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대응되면 밀폐되고, 이격되면 개방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130)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실린더장치(130)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에 연결되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실린더장치(130)는 실린더(131) 및 피스톤(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장치(130)들은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실린더(131)는 통로 주변의 벽면(1)에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132)은 실린더(131) 내에 위치하여 실린더(131)의 내, 외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피스톤(132)은 실린더(131)의 내, 외로 직선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132)의 전단부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132)의 전단부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고자 하는 공간에 마주하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 각각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장치(130)들에는 피스톤(132)의 왕복운동을 위한 공압 또는 유압의 동력원을 실린더(131) 내에 공급하기 위한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콘트롤장치(140)는 실린더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장치(140)는 제1 제어부(14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제어부(141)는 실린더장치(130)들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와 연결되어, 이들을 작동시키며, 이에 의해 실린더장치(130)가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장치(140)는 실린더장치(130)들이 설치되어 있는 벽면(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날에 미리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를 밀폐하여 불어나는 빗물이 건물 내의 지하주차시설의 내부, 건물의 내부, 이면도로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트롤장치(140)를 조작하여 실린더장치(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41)에 의해 실린더장치(130)가 구동되며, 이때, 실린더장치(130)의 피스톤(132)이 실린더(131)의 외부로 인출되고, 이에 의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3과 같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가 밀착되어 상기 통로를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상기 통로의 내측으로 불어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수장치는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도어(121)는 인입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는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인입부(121a),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입부(121a)는 제2 개폐도어(122)를 향하고 있는 제1 개폐도어(12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인입부(121a)로는 인입부(121a)와 마주하고 있는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센서부(150)는 인입부(121a)로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150)는 도 6과 같이 인입부(121a)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부(150)는 발광센서(151) 및 수광센서(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센서(151) 및 수광센서(152)는 인입부(121a)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고, 발광센서(151)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센서일 수 있고, 수광센서(152)는 발광센서(151)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입력되는 센서일 수 있다. 발광센서(151)는 인입부(121a)의 제1 면(121a1)으로부터 제2 면(121a2)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수광센서(152)는 이러한 발광센서(151)와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부(150)의 구성은 예시적인 형태일 뿐,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가 인입부(121a)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센서부(150)가 발광센서(151) 및 수광센서(152)로 이루어지는 경우, 인입부(121a)로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가 삽입되면, 발광센서(151)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는 수광센서(152)로 입력되지 않는다. 이때, 제1 센서부(150)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인입부(121a)로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가 삽입되지 않으면, 발광센서(151)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는 수광센서(152)로 계속 입력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제1 센서부(150)는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센서부(150)는 제2 개폐도어(122)가 인입부(121a)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경보기(160)는 제1 센서부(15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경보기(160)는 제1 제어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제어부(141)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보기(160)는 통로 주변의 벽면(1)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경보기(160)는 예를 들면, 경보음 및 점멸광을 출력하는 사이렌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보기(160)의 형태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콘트롤장치(140)의 제1 제어부(141)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센서부(150)및 경보기(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센서부(15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제1 제어부(141)로 입력될 수 있고, 제1 제어부(141)는 개폐도어(120)의 밀폐를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130)를 구동시킨 후 제1 센서부(15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경보기(160)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개폐도어(120)를 밀폐시키기 위한 제1 제어부(141)의 제어가 시작된 이후에 개폐도어(120)가 안전하게 밀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과정과 같다.
개폐도어(120)의 밀폐를 위해, 제1 제어부(141)는 실린더장치(130)를 구동시킨다. 실린더장치(130)가 작동되면 피스톤(132)의 전진 작동에 의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을 향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수 있고,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가 제1 개폐도어(121)의 인입부(121a)로 삽입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인입부(121a) 내에 설치된 제1 센서부(150)는 제2 개폐도어(122)가 인입부(121a)로 삽입된 것을 감지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제1 센서부(150)는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제1 제어부(141)는 실린더장치(130)가 작동된 이후 제1 센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가 없는 것을 인식하여 경보기(160)를 작동시킨다. 경보기(160)가 작동되면 차수장치가 설치된 장소 주변으로 차수장치의 이상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개폐도어(120)의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조취가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들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및 제2 제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42)는 콘트롤장치(14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및 제2 제어부(142)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센서부(170)는 개폐도어(120)의 주변에 장애물 출현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70)는 제1 개폐도어(121) 또는 제2 개폐도어(12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센서부(170)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고자 하는 공간에 마주하는 제1 개폐도어(121) 또는 제2 개폐도어(122)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센서부(170)는 근접센서일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센서부(170)는 제1 제어부(141) 및 제2 제어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센서부(170)는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도록 상기 제1 제어부(141)에 의해 상기 실린더장치(130)가 구동될 때 활성화되도록 설정되며, 제2 센서부(170)의 활성화는 제1 제어부(141)에 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부(141)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도록 실린더장치(130)를 구동시킨 이후 제2 센서부(17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실린더장치(13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는 각각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에 연결되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는 각각 권취릴(181), 와이어(182), 구동모터(183)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릴(181)은 와이어(182)를 권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권취릴(181)은 통로의 주변의 벽면(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권취릴(181)은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상기 벽면(1)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82)는 권취릴(181)에 권취될 수 있다. 와이어(182)의 일단은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일면에 고정되어 있고,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는 경우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를 따라 권취릴(181)로부터 자유롭게 풀릴 수 있다. 반대로, 와이어(182)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개방되는 경우 권취릴(181)에 다시 감길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권취릴(181)에는 탄성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장치는 권취릴(181)에서 체인이 풀리면서 회전된 권취릴(181)을 와이어(182)가 풀리는 방향의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권취릴(181)을 탄성적으로 자동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장치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태엽 스프링 형태의 탄성장치일 수 있다.
구동모터(183)는 권취릴(181)을 와이어(182)의 풀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183)는 권취릴(181)과 회전축(183a)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183)는 제2 제어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제어부(14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42)는 제1 제어부(141), 제2 센서부(170) 및 구동모터(1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센서부(17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된 이후 제1 제어부(14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실린더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183)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될 때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밀폐를 중지시킬 수 있다.
즉, 차수장치는 폭우 등이 예상되는 경우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를 미리 밀폐하게 되는데, 이때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밀폐를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장애물은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대형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은 중요하다.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밀폐를 중지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폭우 등이 예상되는 경우,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는 제1 제어부(14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장애물은 제2 센서부(17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2 센서부(170)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감지신호는 제1 센서부(150) 및 제2 센서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41)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부(141)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를 밀폐방향(제1 개폐도어 및 제2 개폐도어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장치(13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주변에 출현된 장애물이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는 것에 의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만약, 제1 제어부(141)의 파손이 발생되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를 밀폐시키도록 작동된 실린더장치(130)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고 작동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앞서 언급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제2 제어부(142) 및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즉, 제2 센서부(17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된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4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제2 제어부(142)는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각각의 구동모터(183)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83)는 권취릴(181)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183a)을 권취릴(181)로부터 풀리는 와이어(182)의 풀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83a)의 회전은 관리자에 의해 실린더장치(130)의 작동이 정지되기 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린더장치(130)가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를 미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41)가 파손되어 실린더장치(130)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밀폐 과정이 중지되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주변에 출현된 장애물이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및 제2 제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42)는 콘트롤장치(14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콘트롤장치(140)는 통신모듈(144); 및 메모리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및 제2 제어부(142)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및 제2 제어부(142)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통신모듈(144) 및 메모리부(143)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메모리부(143)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부(143)에는 차수장치의 관리자의 통신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모듈(144)은 제1 통신부(144a) 및 제2 통신부(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44a)는 차수장치의 통제를 위한 중앙통제실(200)과 통신하여 중앙통제실(200)에서 콘트롤장치(140)에 접근하여 콘트롤장치(140)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44a)는 제1 센서부(150) 및 제2 센서부(17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차수장치의 이상신호를 중앙통제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상신호는 제1 제어부(141)에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이상신호는 예를 들면, '위험'과 같은 문자 형태로 중앙통제실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통신부(144b)는 제1 센서부(150) 및 제2 센서부(17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메모리부(143)에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의 통신번호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300)들로 상기 이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부(144a) 및 제2 통신부(144b)는 제1 제어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제어부(141)에 의해 통신과정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를 이용하면, 개폐도어(120)를 밀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하여 관리자 및 중앙통제실로 즉각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개폐도어(120)가 완전한 밀폐가 되지 않은 상황, 제2 센서부(17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개폐도어(120)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120)의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된 상황과 같은, 개폐도어(120)를 밀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하여 관리자 및 중앙통제실로 즉각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및 중앙통제실에서는 차수장치의 작동에 대한 이상 상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차수장치의 작동에 대한 이상 상황에 대한 대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5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제2 제어부(142); 수위측정부(201); 기밀용 튜브(202); 및 에어공급장치(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는 수용부(121b, 122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및 제2 제어부(142)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의 가이드레일(110), 개폐도어(120), 실린더장치(130), 콘트롤장치(140), 제1 센서부(150), 경보기(160),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및 제2 제어부(142)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수용부(121b, 122b), 수위측정부(201), 기밀용 튜브(202), 에어공급장치(203)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수용부(121b, 122b)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 각각의 서로 맞물리는 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121b, 122b)는 제1 개폐도어(121)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제1 수용부(121b) 및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제2 수용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용부(121b) 및 제2 수용부(122b)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될 때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수위측정부(201)는 통로의 외측에 증가하는 빗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위측정부(201)는 통로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1 개폐도어(121) 또는 제2 개폐도어(122)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측정부(201)는 제1 개폐도어(121) 또는 제2 개폐도어(122)의 높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는 제1 개폐도어(121)에 위치하고, 제1 개폐도어(12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는, 지면과 맞닿는 제1 개폐도어(121)의 하단으로부터 제1 개폐도어(121)의 높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수위감지센서(201a), 제2 수위감지센서(201b), 제3 수위감지센서(201c), 제4 수위감지센서(201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는 제1 제어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들은 예를 들면, 봉형태의 수위감지센서일 수 있고, 제1 개폐도어(121)에 관통설치되어 측정단부가 제1 개폐도어(121)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기밀용 튜브(202)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서로 맞물린 단부측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기밀용 튜브(202)는 제1 수용부(121b)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수용부(121b) 및 제2 수용부(122b) 내에서 팽창되어 제1 수용부(121b) 및 제2 수용부(122b)의 내면에 팽팽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용 튜브(202)는 고무 소재일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공급장치(203)는 기밀용 튜브(202)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에어공급장치(203)는 제1 개폐도어(121)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고, 기밀용 튜브(202)와 공급관(203a)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에어공급장치(203)는 제1 제어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41)는 수위측정부(201)에서 측정되는 수위값에 따라 에어공급장치(203)를 제어하여 기밀용 튜브(202)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제어부(141)는 상기 기밀용 튜브(202)를 팽창시키기 위한 미리 설정된 튜브팽창 수위값이 입력되어 있고, 상기 수위측정부(201)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튜브팽창 수위값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공급장치(203)를 구동시켜서 상기 기밀용 튜브(202)가 팽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튜브팽창 수위값은 상기 각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브팽창 수위값은 제3 수위감지센서(201c)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제어부(141)는 제3 수위감지센서(201c) 및 제4 수위감지센서(201d)로부터 측정신호가 입력되면 에어공급장치(203)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기밀용 튜브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기밀용 튜브(202)가 팽창되는 과정이 설명된다.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된 상태에서 통로 외측의 빗물이 증가하는 정도를 수위측정부(201)를 통해 알 수 있다. 수위측정부(201)의 각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들은 빗물의 증가하는 수위를 감지하고, 각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들은 제1 제어부(141)로 측정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1)로 전달되는 측정신호는 기밀용 튜브(202)의 팽창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가하는 빗물의 수위가 제1 수위감지센서(201a) 및 제2 수위감지센서(201b)의 측정 위치인 경우, 제1 제어부(141)는 각 수위감지센서(201a, 201bc)로부터 측정신호를 전달받지만 에어공급장치(203)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이후 빗물이 더욱 증가하여 빗물의 수위가 제3 수위감지센서(201c) 또는 제4수위감지센서(201d)의 측정 위치까지 도달된 경우, 제3 수위감지센서(201c) 및 제4 수위감지센서(201d)는 측정신호를 제1 제어부(141)로 전달하고, 제1 제어부(141)는 제3 수위감지센서(201c) 및 제4 수위감지센서(201d)로부터 측정신호가 입력되면 에어공급장치(203)를 구동시키도록 한 설정에 따라 제1 제어부(141)는 에어공급장치(203)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에어공급장치(203)가 구동되면 에어공급장치(203)는 기밀용 튜브(202)로 에어를 공급하고, 기밀용 튜브(202)는 도 15와 같이 제1 수용부(121b) 및 제2 수용부(122b) 내에서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기밀용 튜브(202)는 제1 수용부(121b) 및 제2 수용부(122b) 내면에 밀착되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서로 맞물린 단부측의 기밀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빗물의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수압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가 서로 맞물려 있는 취약할 수 있는 부분에 작용하여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서로 맞물린 단부가 미세하게 이격되더라도 빗물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기밀용 튜브(202)에 의해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서로 맞물린단부측의 기밀이 증가하므로 빗물의 수위가 증가하더라도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의 서로 맞물린 단부측으로 빗물이 쉽게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멸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는 차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132)의 둘레에는 코팅층이 형성된다. 피스톤(132)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피스톤(132)은 소재가공공정, 열처리공정, 최종가공공정, 코팅공정 및 연마공정 순서로 나누어지며, 코팅 공정은, 가공된 실린더로드의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작업, 클리닝(cleaning)작업을 수행한 후 그 둘레에 코팅층을 형성시킨다.
이 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피스톤(132)의 둘레에 용사되어 이루어진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코팅층이 피스톤(132)의 둘레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피스톤(132)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피스톤(132)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에 이산화티타늄(TiO2) 2∼4%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피스톤(132)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피스톤(132)의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피스톤(132)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피스톤(132)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피스톤(132)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400㎛으로 용사한 후 다이아몬드휠(Diamond Wheel) 및 필름(Film)을 이용하여 50∼600㎛으로 랩핑한다.
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피스톤(132)에 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피스톤(132)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피스톤(132)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피스톤(132)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도포된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에 빈번히 노출되는 피스톤(132)의 둘레에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피스톤(132)이 산화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차수장치의 수명이 연장되어서 유지 보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도어(120)의 외면에는 살균, 소독 기능 등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며, 이에 따라 살균, 살충 등의 작용을 하여 개폐도어(120)의 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택사 50중량%, 휀넬(Fenne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택사(Alisma canaliculatum)는 택사과(Alismataceae)에 속하고, 세균 독성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작용 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휀넬(Fennel)은 아니시드, 카라웨이, 코리안더 등과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화학적 구성요소로는 anethol, estragol, camphene 등을 들 수 있으며 항균, 살균효과 등이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개폐도어(120)의 외면에 코팅됨에 따라 살균, 살충 등의 작용을 하여 개폐도어(120)의 외면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110 : 가이드레일 120 : 개폐도어
121 : 제1 개폐도어 122 : 제2 개폐도어
121a : 인입부 130 : 실린더장치
131 : 실린더 132 : 피스톤
140 : 콘트롤장치 141 : 제1 제어부
142 : 제2 제어부 143 : 메모리부
144 : 통신모듈 144a : 제1 통신부
144b : 제2 통신부 150 : 제1 센서부
160 : 경보기 170 : 제2 센서부
180 : 도어밀폐 차단장치 181 : 권취릴
182 : 와이어 183 : 구동모터
200 : 중앙통제실 3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6)

  1.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의 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0);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는 개폐도어(120);
    실린더(131) 및 피스톤(132)을 포함하는 실린더장치(130)로서, 상기 실린더(131)는 상기 통로 주변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132)은 상기 개폐도어(120)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132)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120)를 개폐하는 실린더장치(130);
    상기 통로 주변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141)를 포함하고 있는 콘트롤장치(140)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 주변에 설치되는 경보기(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120)는 상기 가이드레일(110) 상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여 서로맞닿거나 이격되는 것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제1 개폐도어(121) 및 제2 개폐도어(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도어(121)는 상기 제2 개폐도어(122)를 향하고 있는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수직한 단부에 위치한 인입부(121a)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부(121a)에는 상기 제1 제어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가 상기 인입부(121a)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부(15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개폐도어(121)를 향하고 있는 상기 제2 개폐도어(122)의 단부는 상기 인입부(121a)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고,
    상기 제1 제어부(141)는 상기 개폐도어(120)의 밀폐 구동 후 상기 제1 센서부(15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기(160)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센서부(170);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 및 제2 제어부(1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170)는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또는 상기 제2 개폐도어(1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밀폐 차단장치(180)는,
    상기 통로의 주변의 벽면 상부에 설치되는 권취릴(181);
    상기 권취릴(181)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182)로서, 상기 와이어(182)의 일단은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를 따라 상기 권취릴(181)로부터 자유롭게 풀리는 와이어(182); 및
    상기 권취릴(181)과 회전축(183a)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183)로서, 상기 구동모터(183)의 구동시 상기 회전축(183a)이 상기 와이어(182)의 풀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권취릴(181)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18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141)는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가 밀폐되도록 상기 실린더장치(130)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2 센서부(17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장치(13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제어부(142)는 상기 제1 제어부(141), 상기 제2 센서부(170) 및 상기 구동모터(1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서부(17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된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4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183)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장치(140)는 통신모듈(144); 및 메모리부(1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144)은, 제1 통신부(144a); 및 제2 통신부(144b)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143)에는 관리자 단말기의 통신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신부(144a)는 상기 차수장치의 통제를 위한 중앙통제실(200)과 통신하여 상기 중앙통제실에서 상기 콘트롤장치(140)에 접근하여 상기 콘트롤장치(140)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센서부(150) 및 상기 제2 센서부(17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차수장치의 이상신호를 상기 중앙통제실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통신부(144b)는 상기 제1 센서부(150) 및 상기 제2 센서부(17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43)에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의 통신번호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들로 차수장치의 이상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제어부(141)는 상기 제1 통신부(144a) 및 제2 통신부(144b)의 통신 과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는 서로 맞물리는 단부측에 각각 수용부(121b, 122b)를 가지며,
    상기 통로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또는 상기 제2 개폐도어(122)의 외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제어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로 외측에 증가하는 빗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부(201);
    상기 수용부(121b, 122b)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위측정부(201)에서 측정되는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용부(121b, 122b) 내에서 팽창하여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및 상기 제2 개폐도어(122)의 서로 맞물린 단부측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용 튜브(202); 및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또는 상기 제2 개폐도어(122)의 내면 또는 상기 벽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용 튜브(202)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장치(2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141)는 상기 기밀용 튜브(202)를 팽창시키기 위한 미리 설정된 튜브팽창 수위값이 입력되어 있고, 상기 수위측정부(201)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튜브팽창 수위값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공급장치(203)를 구동시켜서 상기 기밀용 튜브(202)가 팽창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부(201)는,
    상기 제1 개폐도어(121) 또는 상기 제2 개폐도어(122)의 높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위감지센서(201a, 201b, 201c, 20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0130053709A 2013-05-13 2013-05-13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129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709A KR101291160B1 (ko) 2013-05-13 2013-05-13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709A KR101291160B1 (ko) 2013-05-13 2013-05-13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160B1 true KR101291160B1 (ko) 2013-07-31

Family

ID=4899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709A KR101291160B1 (ko) 2013-05-13 2013-05-13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1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71B1 (ko) 2015-04-14 2015-09-17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지하주차장램프의 스윙방식 차수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88732B1 (ko) * 2022-09-05 2023-01-18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거용 건축물의 침수방지 및 대피장치
KR102491861B1 (ko) 2022-07-01 2023-01-27 (주)에스엔비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620953B1 (ko) 2023-09-08 2024-01-08 (주)에스엔비 밀폐력이 향상된 차수장치
KR102630735B1 (ko) 2022-12-23 2024-01-30 케이비엔지니어링(주) 개폐식 슬라이딩 차수문의 락킹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168B1 (ko) * 2012-04-10 2012-10-15 (주)디엠씨코리아 지하통로용 차수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168B1 (ko) * 2012-04-10 2012-10-15 (주)디엠씨코리아 지하통로용 차수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71B1 (ko) 2015-04-14 2015-09-17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지하주차장램프의 스윙방식 차수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91861B1 (ko) 2022-07-01 2023-01-27 (주)에스엔비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488732B1 (ko) * 2022-09-05 2023-01-18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거용 건축물의 침수방지 및 대피장치
KR102630735B1 (ko) 2022-12-23 2024-01-30 케이비엔지니어링(주) 개폐식 슬라이딩 차수문의 락킹장치
KR102620953B1 (ko) 2023-09-08 2024-01-08 (주)에스엔비 밀폐력이 향상된 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160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1306089B1 (ko) 상하로 회전되는 업다운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KR101291161B1 (ko)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KR101291159B1 (ko) 리프팅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KR102335204B1 (ko) 체온 감지 및 방역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847268B1 (ko) 무인 자동차 방역 살균세척기
KR102283833B1 (ko) 자동 소독제 분사장치
CN204563374U (zh) 防火文物贮存展示柜
CN106239473A (zh) 家庭安防机器人
JP2008019008A (ja) 乗客コンベアの表示装置
US2022008007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Robots to Autonomously Disinfect In-door Spaces Using Remote-controlled Automated Shades
EP3922274A2 (en) Manual and automatic disinfecting door system and method
WO2021221578A4 (en) Rotatable uvc disinfectant system around its own axis
KR101657458B1 (ko) 공장 고도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604233B1 (ko)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KR101797552B1 (ko) 전자식 캠 리미트 스위치
CN113085929B (zh) 列车卫生间空调器的杀菌控制方法及列车卫生间空调器
KR102338485B1 (ko) 신발 오염먼지 제거용 진공흡입식 발판매트를 갖춘 살균소독 게이트
KR102369994B1 (ko) 터널식 모듈형 소독 시스템 장치
CN113691784B (zh) 一种高安全性的智能可视对讲装置
WO2012085606A1 (en) Electronic home protection apparatus
JP2009144395A (ja) 車庫及び建物
KR101661525B1 (ko) 저상버스용 도어의 개폐 시스템
CN213759707U (zh) 通道结构
JP6767073B2 (ja) 消火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