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233B1 -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 Google Patents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233B1
KR101604233B1 KR1020150012608A KR20150012608A KR101604233B1 KR 101604233 B1 KR101604233 B1 KR 101604233B1 KR 1020150012608 A KR1020150012608 A KR 1020150012608A KR 20150012608 A KR20150012608 A KR 20150012608A KR 101604233 B1 KR101604233 B1 KR 101604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case
fire extinguisher
communication ta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도
Original Assignee
우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현도 filed Critical 우현도
Priority to KR102015001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화기의 표면에 야광 물질을 도포하여 야간이나 시야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식별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 분말이 저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방부에 체결되어 내부를 폐쇄하는 헤드 플러그; 상기 헤드 플러그 상부에 위치되고, 안전핀이 구비된 핸들; 상기 헤드 플러그 하부에서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형성된 배출관; 상기 헤드 플러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 소화 분말을 분사시키는 호스; 및 상기 헤드 플러그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값을 나타내는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 상에는 야광 페인트 물질이 도포되는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FIRE EXTINGUISHER HAVING NOCTILUCENT FUN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나 자동차 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초기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불을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정용 혹은 휴대용 소화기는, 크게 하론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및 축압식 분말 소화기를 구분되며, 하론 소화기나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소화제(消化劑) 배출시 기체 상태로 방출되므로 기물을 더럽히거나 부식시킬 염려가 없고, 약제의 변질 우려도 없기 때문에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반면에, 건조 질소가 축압 밀봉된 축압식 분말 소화기의 경우에는, 소화제(消化劑)가 분말 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습기에 대단히 취약하고, 따라서 소화기 용기 내에 분말 상의 소화제(消化劑)와 함께 소량의 수분이 존재하거나 보관 과정에서 유입되면, 소화제가 수분을 흡수하여 굳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소화제가 경화되면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폐기처분하므로, 결국 축압식 분말 소화기는 관리가 어렵고 일정한 주기가 되면 교체해야 하는 등 관리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며, 자칫 관리가 소홀할 경우에는 소화제(消化劑)가 경화된 소화기를 그대로 보관하게 됨으로써 위급 상황시 화재 진화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간이나 시야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화재 발생시 소화기의 위치 식별이 쉽지 않아 소화기를 찾거나 활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851호 '제습수단이 구비된 소화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5125호 '투명창이 구비된 소화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기의 표면에 야광 물질을 도포하여 야간이나 시야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식별이 가능한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기 내부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게이지에 야광 물질을 도포하여 소화기의 압력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야광 기능을 구비한 소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는 소화 분말이 저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방부에 체결되어 내부를 폐쇄하는 헤드 플러그; 상기 헤드 플러그 상부에 위치되고, 안전핀이 구비된 핸들; 상기 헤드 플러그 하부에서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형성된 배출관; 상기 헤드 플러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 소화 분말을 분사시키는 호스; 및 상기 헤드 플러그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값을 나타내는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 상에는 야광 페인트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 상에는 인증 스티커와 비접촉식 통신태그가 일체화된 인증 태그가 부착되고, 상기 인증 태그는 통신 리더기와 인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외부의 관리자 단말에 의하여 비접촉식 통신태그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압력 게이지는 순차적으로 저상태, 정상 상태 및 고상태를 나타내도록 각각 다른 색상으로 코팅된 기판 상에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회전하는 지침이 가리키는 색상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저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이 코팅된 기판과 상기 지침 상에는 상기 야광 페인트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는 소화기의 표면에 야광 물질을 도포하고 있기 때문에, 야간이나 시야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식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기 내부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게이지의 저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이 도포된 기판이나 압력을 지칭하는 지침 상에 야광 물질을 도포하여 소화기의 압력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 게이지의 기판 표면에 야광 페인트 물질이 도포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소화기의 표면에 인증 태그를 부착한 상태와 이를 통한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력 게이지의 기판 표면에 야광 페인트 물질이 도포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소화기의 표면에 인증 태그를 부착한 상태와 이를 통한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는 축압식 분말소화기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소화 분말(17)를 넣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상단 개방부에 체결되어 내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플러그(13)와, 헤드 플러그(13)의 상부에 위치된 핸들(15) 및 헤드 플러그(13) 하부에서 케이스(11)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된 배출관(1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15)에는 안전핀(16)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헤드 플러그(13) 일측에는 고무 재질의 호스(1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의 외표면에는 야광 안료가 포함된 야광 페인트 물질(11a)이 도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소화기의 케이스(11) 외표면에 야광 페인트 물질(11a)을 도포하여 야간이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소화기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야광 페인트 물질(11a)이 소형 소화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형 소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대형 소화기에도 그 둘레 전체에 야광 페인트 물질(11a)을 도색할 수도 있지만, 비용이 증가하므로 대형 소화기의 일부분에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의 금속 재질의 안전핀(16)에는 산화방지를 위하여 산화크롬과 이산화티나늄으로 구성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는 헤드 플러그(13)의 일측에 체결되어 케이스(11) 내부의 압력값을 나타내는 압력 게이지(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게이지(20)는 순차적으로 저상태, 정상 상태 및 고상태를 나타내도록 각각 다른 색상으로 코팅된 기판 상에 케이스(11) 내부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회전하는 지침(21)이 가리키는 색상에 따라 케이스(11) 내부의 압력 상태를 표시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침(21)이 노란색의 기판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케이스(11) 내부의 압력이 저상태임을 나타내고, 이는 사용자에게 케이스(11) 내부의 압력을 충진해야 한다거나 소화기가 노쇠하여 교체해야 함을 알려준다. 또한, 상기 지침(21)이 녹색의 기판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케이스(11) 내부의 압력이 정상 상태임을 나타내고, 적색의 기판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케이스(11) 내부의 압력이 고상태임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저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즉, 노랜색)이 코팅된 기판과 지침(21) 상에는 야광 안료가 포함된 야광 페인트 물질(미도시)이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화기의 케이스(11) 외표면에 야광 페인트 물질을 도포하여 사용자에게 소화기의 케이스(11) 내부의 압력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화 분말(17)은 건조된 질소를 축압하여 분말 형태로 케이스(11) 내부에 저장된 것으로, 그 재료의 특성상 습기에 대단히 취약한 성질을 가진다. 즉, 분말 형태의 소화 분말(17)은 습기와 접하면, 수분을 흡수하여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와 같이 소화 분말(17)가 경화되면 핸들(15)을 가압하여 누르더라도 배출관(12)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화기의 작동 방법은, 먼저 핸들(15)에 체결된 안전핀(16)을 제거하고, 호스(14)의 배출구 방향을 불이 있는 곳으로 향하게 한 뒤, 핸들(15)을 잡은 상태에서 가압하여 누르면 용기(11) 내부에 축압 저장되어 있는 건조 질소와 같은 소화 분말(17)이 배출관(12)을 따라 배출되어 호스(14)를 경유하여 분사되며, 핸들(15)의 가압을 해제시키면 소화 분말(17)의 분사가 중지되는데, 이러한 형태로 하여 불이 난 곳에 대해 적소에 적량으로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케이스(11)의 외표면에 도포된 야광 페인트 물질과 저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이 코팅된 기판과 지침(21) 상에 도포된 야광 페인트 물질을 통하여 야간이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화기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하거나 소화기 내부의 압력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의 외표면에는 인증 스티커(106)와 비접촉식 통신태그(107)가 일체화된 인증 태그(105)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접촉식 통신태그(107)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 지그비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비접촉식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증 스티커(106)의 상부에 비접촉식 통신태그(107)를 형성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인증 스티커(106)는 인증 스티커(106) 내부에 비접촉식 통신태그(107)가 포함되거나, 인증 스티커(106)의 외부에 비접촉식 통신태그(107)가 부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 외에도 인증 스티커(106)와 비접촉식 통신태그(107)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증 스티커(106) 및 비접촉식 통신태그(107)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증 스티커(106)는 소화기의 케이스(11)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사용자 단말(30)의 화면에 인증 시스템이 작동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통신태그(107)에는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URL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으로 화면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30)의 메인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자를 인증할 때 필요한 인증 키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증 스티커(106) 및 비접촉식 통신태그(107)가 일체화된 인증 스티커(106)의 부착으로 관리자 또는 인증자외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하고, 분실 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비접촉식 인증 스티커(106)에 사용자 단말(30)인 스마트 폰 등을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이 비접촉식 통신태그(107)에 저장된 URL 정보 등을 인식하여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비접촉식 통신태그(107)의 인증 키 등을 외부 서버(40)에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를 인증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 후 메인프로세서의 제어 권한이 부여되면, 인증 어플리케이션으로 메인프로세서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인증 스티커(106)가 비접촉식 통신태그(107)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메인프로세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기, 예를 들어, 카드나 리더기 등의 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용 절약 및 간소화된 인증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30)은 비접촉식 통신태그(107)를 인식할 수 있는 비접촉식 통신 리더기(미도시)와 인증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증 어플리케이션은 메인프로세서의 동작 및 해제를 제어하고, 현재 소화기에 대한 위치, 제품 정보와 현재 소화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비접촉식 통신태그(107)를 인식하는 장치로 사용자 단말(30)로 스마트 폰을 이용하였지만, 스마트 폰 외에도 비접촉식 통신 리더기를 탑재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탑재 및 실행이 가능한 기기라면 어느 것이든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에 응용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되거나,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30) 내에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은 외부 서버(40)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또는 3G, 4G, LTE 등과 같은 원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서버(40)는 사용자 단말(30)의 인증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로 메인프로세서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서버(40)는 올바른 사용자로 인증된 사용자 단말(30)로 하여금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메인프로세서의 동작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30)로 전송한다.
더불어, 상기 외부 서버(40)에는 인증 스티커(106)의 비접촉식 통신태그(107)에 저장된 인증 키, 인증 키와 대응되는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외부 서버(40)는 저장된 정보를 통해 비접촉식 통신태그(107)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전송된 인증 키 및 사용자 단말(30)의 고유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소화기의 사용자를 인식한다. 또한, 사용자의 인식 후에 입력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즉,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 뒤, 사용자에게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메인 프로세서의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의 호스(14) 내부에는 특수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 실리콘은 분지결합상 치밀한 조직으로 구성되고, 약 250~300도의 내열성을 가지며 내화학성이 높은 FKM(Flourcarbon) 소재를 선정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고무 물질을 사용하는 호스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호스에 피로가 가중되어, 부식, 파열, 훼손 등에 쉽게 노출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악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호스의 안쪽에 특수 실리콘을 도포함으로써, 내구성을 만족시키고, 호스의 부식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막 도포 공정을 추가한다.
또한, 상기 호스(14)는 고무 호스의 부식 및 산화를 방지하고 내산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 조성물은,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 0.4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노화 방지제의 첨가량이 상술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호스에서 요구되는 내산화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상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직의 밀도 및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의 압력 게이지(20)의 외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다. 상기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 : 0.01 ~ 1 : 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또한,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 : 0.01 ~ 1 : 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거나 코팅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코팅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적용되는 기재는 유리, 수지, 세라믹 및 금속 재료 그리고 기재 표면상에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코팅되어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리재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침적법, 스프레이법, 플로우법 또는 러빙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기재의 크기가 크고 곡면의 대량생산 제조공정에 응용할 경우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한 코팅이 이루어진 경우 기재상의 최종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 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를 초과하면 코팅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한편, 기재상에 도포된 막의 제거에는 세정제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방법으로서는 세정수조에서의 침적, 초음파 장치에 의한 제거 및 고압스프레이에 의한 분사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압스프레이에 의한 분사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핀(16)의 둘레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도포된다.
여기서,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안전핀(16)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안전핀(16)의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안전핀(16)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안전핀(16)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안전핀(16)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안전핀(16)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안전핀(16)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안전핀(16)의 외주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안전핀(16)의 외주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안전핀(16)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안전핀(16)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안전핀(16)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전핀(16)의 외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안전핀(16)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소화기 11: 케이스
11a: 야광 페인트 물질 12: 배출관
13: 헤드 플러그 14: 호스
15: 핸들 16: 안전핀
17: 소화 분말 20: 압력 게이지
21: 지침

Claims (4)

  1. 소화 분말이 저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방부에 체결되어 내부를 폐쇄하는 헤드 플러그;
    상기 헤드 플러그 상부에 위치되고, 안전핀이 구비된 핸들;
    상기 헤드 플러그 하부에서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형성된 배출관;
    상기 헤드 플러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 소화 분말을 분사시키는 호스; 및
    상기 헤드 플러그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값을 나타내는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 상에는 야광 페인트 물질이 도포되며;
    상기 압력 게이지는 순차적으로 저상태, 정상 상태 및 고상태를 나타내도록 각각 다른 색상으로 코팅된 기판 상에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회전하는 지침이 가리키는 색상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지침이 상기 저상태에 해당되는 기판을 가리키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충진해야 한다거나 소화기가 노쇠하여 교체해야 함을 나타내며;
    상기 저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이 코팅된 기판과 상기 지침 상에는 상기 야광 페인트 물질이 도포되며;
    상기 압력 게이지의 외표면에는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 : 0.01 ~ 1 : 2 몰비로 포함된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되고;
    상기 안전핀의 둘레에는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지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도포되되, 상기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마모방지코팅층 둘레에 도포되고, 상기 무기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로 이루어지며;
    호스(14) 내부에는 특수 실리콘이 도포되되, 상기 특수 실리콘은 250~300도의 내열성을 가지며 내화학성을 갖는 FKM(Flourcarbon) 소재로 이루어지고;
    호스(14)는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 조성물은,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 0.4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 상에는 인증 스티커와 비접촉식 통신태그가 일체화된 인증 태그가 부착되고, 상기 인증 태그는 통신 리더기와 인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외부의 관리자 단말에 의하여 비접촉식 통신태그가 인식되며;
    상기 인증 스티커는 내부에 비접촉식 통신태그가 포함되거나, 인증 스티커의 외부에 비접촉식 통신태그가 부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고;
    상기 비접촉식 통신태그에는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URL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으로 화면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메인프로세서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자를 인증할 때 필요한 인증 키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인증 스티커 및 비접촉식 통신태그가 일체화된 인증 스티커의 부착으로 관리자 또는 인증자외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하고, 분실 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비접촉식 통신태그에 사용자 단말을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이 비접촉식 통신태그에 저장된 URL 정보를 인식하여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비접촉식 통신태그의 인증 키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를 인증하게 되며, 사용자 인증 후 메인프로세서의 제어 권한이 부여되면, 인증 어플리케이션으로 메인프로세서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비접촉식 통신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비접촉식 통신 리더기와 인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되, 상기 인증 어플리케이션은 메인프로세서의 동작 및 해제를 제어하고, 현재 소화기에 대한 위치, 제품 정보와 현재 소화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외부 서버에는 인증 스티커의 비접촉식 통신태그에 저장된 인증 키, 인증 키와 대응되는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저장된 정보를 통해 비접촉식 통신태그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키 및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소화기의 사용자를 인식하며, 사용자의 인식 후에 입력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즉,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 뒤, 사용자에게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메인 프로세서의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게이지의 외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되되, 상기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 : 0.01 ~ 1 : 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며;
    상기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적용되는 기재는 유리, 수지, 세라믹 및 금속 재료 그리고 기재 표면상에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코팅되어 있는 재료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침적법, 스프레이법, 플로우법 또는 러빙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기재상의 최종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 Å일 수 있고;
    상기 기재상에 도포된 코팅막의 제거에는 세정제로서 물을 사용하되, 그 방법으로서는 세정수조에서의 침적, 초음파 장치에 의한 제거 및 고압스프레이에 의한 분사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12608A 2015-01-27 2015-01-27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KR101604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08A KR101604233B1 (ko) 2015-01-27 2015-01-27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08A KR101604233B1 (ko) 2015-01-27 2015-01-27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233B1 true KR101604233B1 (ko) 2016-03-25

Family

ID=5564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608A KR101604233B1 (ko) 2015-01-27 2015-01-27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2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04A (ko) * 2017-02-02 2018-08-13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선택분사 소화기
KR20200010724A (ko) 2018-07-23 2020-01-31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소화기용기에의 헤드유닛 조립장치
KR20200017055A (ko) 2018-08-08 2020-02-18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495B2 (ja) * 1991-04-09 2000-0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
KR200343692Y1 (ko) * 2003-12-01 2004-03-04 심영보 축압식 소화기
KR101446599B1 (ko) * 2014-03-27 2014-10-06 (주)카네비컴 마린 모바일 리프트용 레일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495B2 (ja) * 1991-04-09 2000-0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
KR200343692Y1 (ko) * 2003-12-01 2004-03-04 심영보 축압식 소화기
KR101446599B1 (ko) * 2014-03-27 2014-10-06 (주)카네비컴 마린 모바일 리프트용 레일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04A (ko) * 2017-02-02 2018-08-13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선택분사 소화기
KR101890517B1 (ko) * 2017-02-02 2018-08-22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선택분사 소화기
KR20200010724A (ko) 2018-07-23 2020-01-31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소화기용기에의 헤드유닛 조립장치
KR20200017055A (ko) 2018-08-08 2020-02-18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233B1 (ko)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US20130334236A1 (en) Security Device for Gas Cylinders
US20150290482A1 (en) Smart Fire Extinguisher
KR101611470B1 (ko) 어망 정보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망 관리 시스템
CN109011313A (zh) 一种危险化学品仓库的集中式控制系统
KR101985908B1 (ko) 충전압력 상태 감지가 가능한 소화기
CN205582044U (zh) 一种医药仓库监控系统
KR101291160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CN205983546U (zh) 厂区仓储物流监测系统
CN104329121A (zh) 一种煤矿粉尘监控预警系统及方法
CN105975836A (zh) 用于签名、权限认证设备的管理方法
KR101699689B1 (ko) 휴대용 전동식 라쳇 커터
CN206147797U (zh) 一种智能监控、门禁控制安全防范系统
CN112940275A (zh) 一种金属有机框架化合物材料的制备方法
CN106843034A (zh) 一种无线单兵穿戴装置控制系统
CN106723604A (zh) 一种智能头盔与led灯位置显示装置通信控制系统
FR2831874B1 (fr) Fixation indemontable d'un dispositif de distribution sur un boitier metallique
CN212593620U (zh) 一种新型多功能家用灭火器
US11383115B1 (en) Smart fire extinguisher
CN206841474U (zh) 防止有害气体泄漏的钢瓶防护装置
CN207773824U (zh) 电能计量器具配送箱
CN110693212A (zh) 一种危化品工作站管理系统
RATE Preparation
CN206249383U (zh) 一种防护服装全生命周期质量监测系统
CN105678226A (zh) 指纹识别的安全管理方法及装置、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