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055A -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055A
KR20200017055A KR1020180092195A KR20180092195A KR20200017055A KR 20200017055 A KR20200017055 A KR 20200017055A KR 1020180092195 A KR1020180092195 A KR 1020180092195A KR 20180092195 A KR20180092195 A KR 20180092195A KR 20200017055 A KR20200017055 A KR 20200017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conveyor
cleaning
inspe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574B1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5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3Extinguishers with spraying and projection of extinguishing agents by pressurised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 G01M3/1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제품의 소화기를 수평으로 눕혀 제1컨베이어에 안착시킨 상태로 수조의 수중에 잠기게 하여 통과시키면서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를 검사함으로써 소화기용기 내의 불활성가스가 얕아진 소화약제 내의 배출-관을 통해서 빠르게 밸브유닛으로 도달되며 이로 인하여 소화기용기의 상측에 조립된 헤드유닛의 밸브유닛을 통해 불활성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빠른 시간에 확인할 수 있어 검사시간 또한 단축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nd cleaning gas leaks in fire extinguishers}
본 발명은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기용기 내에 소화약제를 투입한 후 불활성가스가 소정압력으로 주입된 반제품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를 검사하고 이후에 소화기용기의 외면은 물론 헤드유닛에 잔존하는 수분제거와 건조시켜 클리닝하는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통형의 소화기용기에 불꽃의 번짐을 방해하거나 산소를 차단하는 소화약제가 채워진 소방기구의 하나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소화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069771호(이하, "문헌1"이라 약칭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04233호(이하, "문헌2"라 약칭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1과 문헌2의 소화기는 소화약제가 채워지는 통형의 소화기용기와, 이 소화기용기의 상단에 체결 결합되어 소화기용기 내부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헤드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화약제는 주요성분이 제일인산암모늄(NH4H2PO4)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헤드유닛은 플러그에 밸브유닛과 연통되게 소화기용기의 내부하방으로 배출-관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에 밸브유닛과 연통되게 압력게이지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플러그에 상부 및 하부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손잡이는 안전핀에 의해 잠기어 있고, 상기 상부손잡이는 안전핀을 제거한 상태에서 하부손잡이를 향하여 누르면 밸브유닛의 밸브가 개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에는 밸브유닛과 연통되게 소화기용기의 외부로 호스나 사이펀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소화기의 생산과정은 먼저, 플러그에 호스를 제외한 밸브유닛, 압력게이지와 상부 및 하부손잡이가 조립된 헤드유닛을 마련하고, 소화기용기 내에 일정량의 소화 약제를 투입한 다음, 소화기용기의 상단을 헤드유닛의 플러그로 체결 결합한다. 이후에 헤드유닛의 호스가 연결되는 플러그의 밸브유닛을 통해 질소 등의 불활성가스를 소정압력으로 주입하고 이렇게 불활성가스를 주입한 소화기 전체를 수조의 물속에 담가서 묻히도록 소정시간동안 유지시켜 상기 헤드유닛의 플러그는 물론 밸브유닛에서 불활성가스의 누출을 검사한다.
위와 같이 불활성가스의 누출검사를 완료한 다음에는 수조에서 소화기를 꺼내어 소화기용기나 헤드유닛에 묻은 수분을 닦아냄과 동시에 건조시킨 후 헤드유닛의 플러그에 밸브유닛과 연통되게 호스를 연결함으로써 완성품의 소화기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소화기의 생산과정에서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는 케이지에 십여 개의 소화기를 세운 상태로 수납하고 이후에 케이지를 크레인으로 수조에 집어넣어 소정시간 담근 상태에서 소화기용기 상단에 설치된 헤드유닛의 플러그는 물론 밸브유닛에서 불활성가스의 누출을 검사한 다음, 케이지와 함께 꺼내어 수분을 닦아냄과 동시에 건조하는 과정을 수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에 있어서, 소화기용기를 세운 상태에서 수조에 담가놓고 가스누출을 검사하기 때문에 밸브유닛에서의 가스배출은 70~80%의 소화약제가 채워진 소화기용기 내의 상부로부터 소화약제의 하부에 이르기까지 매립된 배출-관 하단으로 스며드는 시간이 길며, 이로 인하여 가스누출을 검사하는 시간이 적어도 5분 내지 10여분 동안 수조에 담가두고 지켜봐야 하므로 검사시간의 지연과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폐단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케이지에 십여 개의 소화기를 세운 상태로 수납하고 이후에 케이지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수조에 집어넣고 꺼내는 작업과정이 번거롭고 복잡하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없다는 폐단이 있다.
(문헌1) KR10-2001-0069771 A (2001.07.25.공개) (문헌2) KR 10-1604233 B1 (2016.03.11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를 연구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기용기 내에 소화약제를 투입한 후 불활성가스가 소정압력으로 주입된 반제품인 소화기를 수조에 담가 통과시키면서 가스누출검사를 검사하고 수조를 통과하면서 소화기용기의 외면은 물론 헤드유닛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깨끗하게 닦아 건조시켜 클리닝하는 과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화기의 가스누출을 검사하는 검사파트와 이 검사파트를 통과한 소화기에 묻은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닦아내는 클리닝파트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파트는 수로타입의 수조가 마련되고 상기 소화기를 수조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수조 내의 수중에 일정시간동안 잠긴 상태로 통과시킬 수 있는 제1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파트의 제1컨베이어는 체인타입 무한벨트로 마련되며 상기 체인타입 무한벨트에는 소화기용기 내에 소화약제와 불활성가스가 주입된 반제품인 소화기를 눕힌 상태로 안착시켜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제1안착받침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착받침들은 소화기용기의 원통주면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는 형상, 예를 들어, V자형이나 U형 등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안착받침들은 자력을 갖도록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거나 제1안착받침에 영구자석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받침이 자력을 갖도록 마련하는 이유는, 소화기의 소화기용기가 강자성체이므로 제1안착받침 위에 소화기의 소화기용기를 올려놓으면 영구자석이나 영구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소화기의 소화기용기가 부착되어 유동 내지 수조의 수중에 잠긴 상태로 통과할 때 소화기에 작용하는 부력으로 인한 떠오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조의 수중에 소화기가 잠기는 제1컨베이어의 상부에는 제1안착받침에 안착된 소화기의 소화기용기 상단이 닿지 않고 통과되도록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바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파트는 상기 검사파트의 제1컨베이어에 의해 수조를 통과한 소화기를 인수받아 전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컨베이어가 마련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 위에 탑재된 소화기의 소화기용기 외면을 닦아내는 복수의 롤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파트의 제2컨베이어는 제1컨베이어와 마찬가지로 체인타입 제2무한벨트로 마련되고 상기 체인타입 제2무한벨트에는 소화기용기 내에 소화약제와 불활성가스가 주입된 반제품인 소화기를 눕힌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2안착받침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안착받침들은 소화기용기의 원통주면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는 형상, 예를 들어, V자형이나 U형 등으로 마련되고 그 상단엔 소화기용기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지지롤러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파트의 롤러유닛들 사이에는 소화기의 소화기용기 외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불어내는 복수의 송풍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리닝파트의 롤러유닛들 사이에는 소화기의 헤드유닛에 잔존하는 수분을 불어내는 복수의 에어노즐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파트의 롤러유닛들 후단에는 소화기의 소화기용기 외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열로 건조시키는 히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기용기 내에 소화약제를 투입하고 불활성가스가 소정압력으로 주입한 반제품의 소화기를 수평으로 눕혀 제1컨베이어에 안착시킨 상태로 수조의 수중에 잠기게 하여 통과시키면서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를 검사함으로써 소화기용기 내의 불활성가스가 얕아진 소화약제 내의 배출-관을 통해서 빠르게 밸브유닛으로 도달되며 이로 인하여 소화기용기의 상측에 조립된 헤드유닛의 밸브유닛을 통해 불활성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빠른 시간에 확인할 수 있어 검사시간 또한 단축 가능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컨베이어 상에 반제품의 소화기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동안, 검사파트에서 수조를 통과하면서 소화기용기의 외면은 물론 헤드유닛에 잔존하는 수분을 닦음-롤러와 송풍기 및 에어노즐로 닦아내고 불어내어 제거함은 물론 히터로 건조함으로써 반제품의 소화기를 확실하고도 완벽하게 닦음은 물론 건조시켜 깨끗하게 클리닝 가능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검사파트와 클리닝파트가 일렬로 배치됨으로써 소화기의 가스누출을 검사하고 소화기용기의 외면은 물론 헤드유닛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깨끗하게 닦아냄은 물론 건조시켜 클리닝하는 과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와 클리닝작업에 대한 작업능률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바람직한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클리닝하기 위한 소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서 검사파트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검사파트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검사파트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잘라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소화기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에서 클리닝파트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2컨베이어의 선단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컨베이어에서 제1컨베이어로부터 소화기를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클리닝파트에서 롤러유닛과 송풍기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롤러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검사파트에서 수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클리닝파트에서 송풍기의 다른 배치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바람직한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는, 소화기(10)의 가스누출을 검사하는 검사파트(100)와, 이 검사파트(100)를 통과한 소화기(10)에 묻은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닦아내는 클리닝파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화기(10)는 도 2와 같이, 소화기용기(11) 내에 일정량의 소화약제(12)와 불활성가스(13)가 충전되고 소화기용기(11)상단의 헤드유닛(15)에 호스(19)만이 조립되지 아니한 반제품상태의 소화기이다. 상기 헤드유닛(15)은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플러그(16)와, 이 플러그(16)에 밸브유닛과 연통되게 소화기용기(11)의 내부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출-관(17)과, 상기 플러그(16)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 및 하부손잡이(18a,1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사파트(100)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로타입의 긴 수조(110)가 마련되고 상기 소화기(10)를 수조(110)의 선단인 한쪽에서 후단인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수조(110) 내의 수중에 일정시간동안 잠긴 상태로 통과시킬 수 있는 제1컨베이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컨베이어(120)는 수조(110)의 한쪽상부에서 수조(110)의 하부로 경사져 들어가고 수조(110)의 하부로 들어간 끝단에서 상기 수조(110)의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조(110)의 다른 한쪽하부에서 수조(110)의 상부로 경사져 올라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의 제1컨베이어(120)에 안착되는 소화기(10)는 수조(110) 내의 수중에서 일정시간동안 잠긴 상태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검사파트(100)의 제1컨베이어(120)는 도 3과 같이, 체인타입 제1무한벨트(121)로 마련되고 상기 체인타입 제1무한벨트(121)에는 소화기용기(11) 내에 소화약제(12)와 불활성가스(13)가 주입된 반제품의 소화기(10)를 눕힌 상태로 안착시켜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안착받침(122)이 배열된다. 상기 안착받침(122)은 소화기용기(11)의 원통주면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는 형상, 예를 들어, V자형이나 U형 등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무한벨트(121)의 제1안착받침(122)들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거나 안착받침(122)외면에 영구자석튜브로 씌워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안착받침(122)을 영구자석이나 영구자석튜브로 씌우는 이유는,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가 강자성체이므로 제1안착받침(122)위에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를 올려놓으면 영구자석이나 영구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가 부착되어 유동 내지 수조(110)의 수중에 잠긴 상태로 통과할 때 소화기(10)에 작용하는 부력으로 인한 떠오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무한벨트(121)는 제1컨베이어(120) 선단의 제1구동-모터(1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게 마련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120)의 선단위치에는 제1무한벨트(121)의 제1안착받침(122) 에 소화기(10)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300)로 신호를 보내는 제1감지기(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리닝파트(200)는 도 1과 같이, 상기 검사파트(100)의 다른 한쪽끝단에서 연장되듯이 일렬로 배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클리닝파트(200)는 도 8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120)에 의해 수조(110)를 통과한 반제품의 소화기(10)를 인수받아 전진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컨베이어(210)가 마련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210) 위에 탑재된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복수의 롤러유닛(220) 및 송풍기(230)는 물론 히터(250)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상기 각각의 롤러유닛(220)들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구동-모터(222)와 감속기(224) 및 회전구동축(226)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축(226)에 닦음-롤러(229)가 마련된다. 상기 롤러유닛(220)들은 소화기용기(11) 및 닦음-롤러(229)의 직경이나 닦음-롤러(229)의 가압정도에 따라 닦음-롤러(229)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닦음-롤러(229)의 높낮이 조절은 지주프레임(225)과 감속기(224) 양측에 서로 결합되어 승강되는 가이드레일(227)이 마련되고 상기 롤러유닛(220)이 지주프레임(225)에 관통 체결된 스크루(228) 상단과 연결되어 스크루(228)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되게 된다.
상기 닦음-롤러(229)들은 수분을 잘 흡수하는 소재의 섬유-포나 섬유브러시 등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롤러구동-모터(2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되게 마련된다.
상기 클리닝파트(200)의 제2컨베이어(210)는 제1컨베이어(120)와 마찬가지로 체인타입 제2무한벨트(211)로 마련되고 상기 체인타입 제2무한벨트(211)에는 소화기용기(11) 내에 소화약제(12)와 불활성가스(13)가 주입된 반제품인 소화기(10)를 눕힌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2안착받침(212)이 배열된다.
상기 제2안착받침(212)은 소화기용기(11)의 원통주면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는 형상, 예를 들어, V자형이나 U형 중의 하나로 마련되고 그 상단엔 소화기용기(1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지지롤러(213)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무한벨트(211)는 제2컨베이어(210) 선단의 제2구동-모터(21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게 마련된다.
상기 송풍기(230)는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불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클리닝파트(200)의 롤러유닛(220)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송풍기(230)의 토출구가 제2컨베이어(210)의 제2무한벨트(211)에 의해 이동되는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측주면을 향하도록 소화기(10)가 전진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클리닝파트(200)의 롤러유닛(220)들 사이에는 소화기(10)의 헤드유닛(15)에 잔존하는 수분을 불어내는 복수의 에어노즐(2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240)은 공기압축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히터(250)는 클리닝파트(200)의 롤러유닛(220)들 후단에 마련되고, 상기 히터(250)는 롤러유닛(220)들과 송풍기(230)들은 물론 복수의 에어노즐(240)에 의해서도 제거되지 아니하고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열로 증발시켜 건조시킨다.
상기 제2컨베이어(210)의 최-선단과 최-후단 위치에는 제2무한벨트(212)의 제2안착받침(212)에 소화기(10)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300)로 신호를 보내는 제2 및 제3감지기(260, 26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컨베이어(210)의 선단위치에서 1스텝 전진된 제2컨베이어(210)에는 제2안착받침(212)상의 소화기(10)에 의해 작동되어 제2컨베이어(210)의 제2구동-모터(214)를 정지시키기 위한 리밋스위치(264)가 마련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210)의 최-선단에는 제1컨베이어(120)로부터 소화기(10)를 받을 때 제1컨베이어(120)와 제2컨베이어(210)의 사이공간에서 낙하됨을 방지하면서 안내하는 탄성가이드(266)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를 이용하여 소화기 내의 가스누출을 검사하고 클리닝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소화기용기(11)에 일정량의 소화약제(12)를 주입하고 소정압력으로 불활성가스(13)를 충전한 반제품의 소화기(10)가 검사파트(100)의 제1컨베이어(120) 선단부에 공급되어 대기상태이다. 자동화장비나 작업자에 의해 검사파트(100)의 제1컨베이어(120) 선단위치인 제1무한벨트(121)상의 제1안착받침(122)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 반제품의 소화기(10)는 제1컨베이어(120) 선단위치의 제1안착받침(122) 위에 소화기용기(11)의 원통주면을 받쳐주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이다.
위와 같이 상기 제1무한벨트(121)의 제1안착받침(122)에 소화기(10)를 올려놓으면 제1안착받침(122)이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고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가 강자성체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안착받침(122)이 가진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가 부착되어 유동이 방지되게 된다.
이렇게 반제품의 소화기(10)를 제1컨베이어(120)의 선단위치인 제1무한벨트(121)의 제1안착받침(122)에 올려놓으면 제1감지기(130)가 소화기(10)의 존재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전송한다. 상기 제1감지기(130)로부터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300)는 제1컨베이어(120)의 제1구동-모터(124)를 구동시켜 제1컨베이어(120)의 제1무한벨트(121) 또한 구동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1무한벨트(121)의 제1안착받침(122)에 안착된 소화기(10)가 전진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컨베이어(120)의 선단위치인 제1무한벨트(121)의 제1안착받침(122) 상에 소화기(10)가 없으면 제1컨베이어(120)의 제1구동-모터(124)는 구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1컨베이어(120)는 제1무한벨트(121)에 의해 1스텝씩 전진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 때마다 제1컨베이어(120)가 1스텝씩 전진 이동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게 되면서 수조(110)의 수중에 잠기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일정구간동안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제1안착받침(122)에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수조(110)의 수중에 잠김에 따라 소화기(10)에 작용하는 부력으로 인한 들뜸이나 떠오름을 방지한다.
상기 제1안착받침(122)에 안착되어 있는 소화기(10)는 소화기용기(11)가 수평으로 눕혀져있는 상태로 지속되는바, 이러한 상태에선 소화기용기(11) 내에 충전된 70~80%의 소화약제(12)와 불활성가스(13)의 경계면이 넓고 상기 경계면에서 소화기용기(11) 중앙에 마련된 배출-관(17)까지의 깊이가 얕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조(110)의 수중에 잠기어 1스텝씩 간헐적으로 일정구간동안 이동될 때, 소화약제(12)와 불활성가스(13)의 경계면에서 불활성가스(13)가 소화기용기(11) 중앙에 마련된 배출-관(17)의 끝단으로 스며들고, 상기 배출-관(17)과 연결된 헤드유닛(15)의 밸브유닛에 이르기까지 스며들게 된다. 이때, 소화약제(12)와 불활성가스(13)의 경계면에서 배출-관(17)까지의 깊이가 얕기 때문에 불활성가스(13)가 스며드는 시간이 1분 내지 3분 정도로 짧아진다.
이로 인하여, 반제품인 소화기(10)는 수평으로 눕혀져있는 상태에서 수조(110)의 수중에 잠기어 순차적으로 이동되되, 이때의 이동시간은 적어도 10분에서 40분에 걸쳐 이동되게 되고 이렇게 이동되는 동안에 소화기용기(11) 내의 배출-관(17)을 통해 헤드유닛(15)의 밸브유닛에서 불활성가스(13)가 누출되는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가스의 누출여부는 헤드유닛(15)의 밸브유닛에 기포가 맺히거나 지속적으로 올라오면 가스가 누출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검사과정은 제1컨베이어(120)가 1스텝씩 전진 이동하면서 검사파트(100)의 수조(110)를 통과하는 동안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사과정이 진행될수록 제1컨베이어(120)상의 반제품인 소화기(10)는 수조(110)의 선단인 한쪽에서 후단인 다른 한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조(110)의 다른 한쪽끝단에 도달하면서 수조(110)의 수중에서 대기로 나온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소화기(10)는 제1컨베이어(120) 끝단부에 다다르게 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120)의 끝단위치인 제1무한벨트(121)의 제1안착받침(122)에 안착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감지기(260)가 제2컨베이어(210)의 선단위치인 제2무한벨트(211)의 제2안착받침(212) 상에 소화기(10)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2무한벨트(211)의 제2안착받침(212) 상에 소화기(10)가 없으면 컨트롤러(300)는 제1컨베이어(120)의 제1구동-모터(124)를 구동시켜 제1컨베이어(120)의 제1무한벨트(121) 또한 구동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1무한벨트(121)의 제1안착받침(122)에 안착된 소화기(10)가 전진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컨베이어(120)로부터 클리닝파트(200)를 이루는 제2컨베이어(210)의 선단위치인 제2무한벨트(211)의 제2안착받침(212)에 안착되게 넘겨진다.
이때, 상기 소화기(10)는 제2컨베이어(210)의 선단에 마련된 탄성가이드(266)를 통해 제1컨베이어(120)와 제2컨베이어(210)의 사이공간에서 낙하되지 않으면서 안내되므로 제1컨베이어(120)에서 제2컨베이어(210)상의 제2안착받침(212)을 향하여 구르면서 하강되어 제2컨베이어(210)상의 제2안착받침(212)에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컨베이어(210) 선단위치의 제2안착받침(212)에 소화기(10)가 안착되면 제2감지기(260)는 소화기(10)가 있음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전송한다. 이 신호를 전송받은 컨트롤러(300)는 곧바로 제1컨베이어(120)의 제1구동-모터(124)를 정지시킨 다음, 제2컨베이어(210)의 제2구동-모터(214)를 구동시켜 제2컨베이어(210)의 제2무한벨트(211)가 연동됨으로써 제2안착받침(212)에 안착된 소화기(10)가 전진되게 된다. 이때, 제1컨베이어(120)의 제1구동-모터(124)가 정지됨으로써 제1컨베이어(120)의 제1무한벨트(121) 또한 정지되게 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210)의 제2안착받침(212)에 안착된 소화기(10)가 전진되면서 1스텝 전방위치의 제2컨베이어(210)에 마련된 리밋스위치(264)를 작동시켜 오프시킴으로써 제2컨베이어(210)의 제2구동-모터(214)가 정지되며, 이로 인하여 제2컨베이어(210)의 제2무한벨트(211) 또한 정지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사파트(100)의 제1컨베이어(120)와 클리닝파트(200)의 제2컨베이어(210)는 서로 연계되어 상기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의해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120)와 제2컨베이어(210)는 제1컨베이어(120)로부터 반제품인 소화기(10)를 넘겨받을 때마다 1스텝씩 간헐적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컨베이어(210)가 1스텝씩 간헐적으로 이동되는 제2컨베이어(210)상의 반제품인 소화기(10)는 각각의 롤러구동-모터(22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각각의 닦음-롤러(229)를 통과할 때마다 닦음-롤러(229)가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측주면을 닦아낸다.
이러한 닦음 과정은, 제2안착받침(212) 상단의 지지롤러(213)위에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고 닦음-롤러(229)가 소화기용기(11)의 외측주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회전 구동되므로, 닦음-롤러(229)와 소화기용기(11)의 마찰력에 의해 닦음-롤러(229)보다 저속으로 소화기용기(11)가 따라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닦음-롤러(229)가 소화기용기(11)의 회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측주면 전체를 골고루 닦아낼 수 있다.
위와 같이 닦음-롤러(229)로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측주면을 닦아낸 후, 각각의 닦음-롤러(229)들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송풍기(230)를 통과하게 되고 이렇게 송풍기(230)를 통과하는 동안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측주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불어내어 제거한다. 상기 송풍기(230)들은 제2컨베이어(210)의 제2무한벨트(211)에 의해 이동되는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측주면을 향해 에어를 토출하므로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측주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확실하게 불어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소화기용기(11)의 외측주면을 닦음-롤러(229)로 닦아낸 후 송풍기(230)로 수분을 불어 제거하는 과정을 2~3회 반복하여 소화기용기(11)의 외측주면을 깨끗하게 클리닝한다.
이와 동시에, 소화기(10)의 헤드유닛(15) 부분은 닦음-롤러(229)들 사이의 전방에 마련된 복수의 에어노즐(240)에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므로 소화기(10)의 헤드유닛(15)을 이루는 플러그(16)와 상부 및 하부손잡이(18a,18b) 등에 잔존하는 수분을 불어내어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제2컨베이어(210) 상의 소화기(10)는 소화기용기(11)와 헤드유닛(15)에 묻은 수분과 이물질을 닦음-롤러(229)와 송풍기(230) 및 에어노즐(240)로 제거하고 난 후 제2컨베이어(210) 상부의 히터(250)를 통과한다.
상기 히터(250)를 통과하는 동안 히터(250)에서 발생되는 열로써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와 헤드유닛(15)에 잔존하는 미량의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건조한다. 이때, 상기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내에 9.5~9.9㎏/㎠의 불활성가스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과도한 열이 전열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클리닝파트(200)의 히터(250)를 통과한 반제품의 소화기(10)는 제2컨베이어(210)의 끝단위치까지 이동되게 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210)의 끝단위치에 마련된 제3감지기(262)는 제2무한벨트(211)상의 안착받침(212)에 안착된 소화기(10)가 있음을 감지하면 그 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전송한다. 상기 제3감지기(262)의 신호를 전송받은 컨트롤러(300)는 제2컨베이어(210)의 제2구동-모터(214)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2컨베이어(210) 끝단위치의 제2안착받침(212)에서 소화기(10)를 인출하면 제3감지기(262)는 소화기(10)가 없음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전송한다. 상기 제3감지기(262)의 신호를 전송받은 컨트롤러(300)는 제2컨베이어(210)의 제2구동-모터(214)를 구동시킨다. 위와 같이 제1 및 제2컨베이어(120,210)의 제1 및 제2구동-모터(124,214)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대로 서로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연동되게 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210) 끝단위치의 제2안착받침(212)에서 인출한 소화기(10)는 라벨을 부착하고 헤드유닛(15)의 플러그(16)에 밸브유닛과 연통되게 호스(19)를 연결한 다음 완제품의 소화기로 출하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검사파트에서 수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적어도 상기 수조(110)의 수중에 소화기(10)가 잠기는 제1컨베이어(120)의 상부에는 안착받침(122)에 안착된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상단이 닿지 않고 통과되도록 수조(11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바(126)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분사에 의하면, 소화기(10)가 제1컨베이어(120)의 안착받침(122)에 안착되거나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이송될 때, 제1컨베이어(120) 상부의 가이드 바(126)가 소화기(10)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수조(110)의 수중에 잠긴 소화기(10)에 작용하는 부력에 의한 들뜸이나 떠오름을 방지하므로 제1컨베이어(120)의 제1무한벨트(121)를 따라 확실하게 이동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화기(10)의 가스누출검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클리닝파트에서 송풍기의 다른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2개의 송풍기(230)가 롤러유닛(220)들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송풍기(230)의 토출구가 3개의 롤러유닛(220)들 중에서 중간에 배치된 롤러유닛(220)의 닦음-롤러(229)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른 배치 예인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분사에 의하면, 제2컨베이어(210) 상의 소화기(10)가 3개의 롤러유닛(220)들 중 중간에 배치된 롤러유닛(220)을 통과할 때, 도 14의 가상선과 같이, 송풍기(230)들의 토출구로부터 3개의 롤러유닛(220)들 중 중간에 배치된 롤러유닛(220)의 닦음-롤러(229)를 향하여 집중적인 에어토출이 이루어지므로 소화기(10)의 소화기용기(11) 외측주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확실하고 완벽하게 불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애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장치와 소화기의 클리닝장치에 개별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소화기의 가스누출을 검사하고 클리닝을 자동으로 시행하고자 하는 소화기의 조립자동화라인분야에 아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소화기 11: 소화기용기
12: 소화약제 13: 불활성가스
15: 헤드유닛 16: 플러그
17: 배출-관 18a: 상부손잡이
18b: 하부손잡이 19: 호스
100: 검사파트 110: 수조
120: 제1컨베이어 121: 제1무한벨트
122: 제1안착받침 124: 제1구동-모터
200: 클리닝파트 210: 제2컨베이어
211: 제2무한벨트 212: 제2안착받침
213: 지지롤러 214: 제2구동-모터
220: 롤러유닛 222: 롤러구동-모터
224: 감속기 229: 닦음-롤러
230: 송풍기 240: 에어노즐
250: 히터

Claims (7)

  1. 소화기의 가스누출을 검사하는 검사파트와 이 검사파트를 통과한 소화기에 묻은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닦아내는 클리닝파트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파트는 수로타입의 수조가 마련되고 상기 소화기를 수조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이르기까지 수조 내의 수중에 일정시간동안 잠긴 상태로 통과시킬 수 있는 제1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파트의 제1컨베이어는 체인타입 제1무한벨트로 마련되며 상기 체인타입 제1무한벨트에는 소화기용기 내에 소화약제와 불활성가스가 주입된 반제품인 소화기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안착시켜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제1안착받침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받침들은 자력을 갖도록 영구자석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
  4. 소화기의 가스누출을 검사하는 검사파트와 이 검사파트를 통과한 소화기에 묻은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닦아내는 클리닝파트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파트는 상기 검사파트의 제1컨베이어에 의해 수조를 통과한 소화기를 인수받아 전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컨베이어가 마련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 위에 탑재된 소화기의 소화기용기 외면을 닦아내는 복수의 롤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
  5. 제4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파트의 롤러유닛들 사이에는 소화기의 소화기용기 외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불어내는 복수의 송풍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파트의 롤러유닛들 사이에는 소화기의 헤드유닛에 잔존하는 수분을 불어내는 복수의 에어노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파트의 롤러유닛들 후단에는 소화기의 소화기용기 외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열로 건조시키는 히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 및 클리닝장치.
KR1020180092195A 2018-08-08 2018-08-08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KR10208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95A KR102088574B1 (ko) 2018-08-08 2018-08-08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95A KR102088574B1 (ko) 2018-08-08 2018-08-08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55A true KR20200017055A (ko) 2020-02-18
KR102088574B1 KR102088574B1 (ko) 2020-03-12

Family

ID=6963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95A KR102088574B1 (ko) 2018-08-08 2018-08-08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1702A (zh) * 2021-12-31 2022-04-12 江苏呈森嘉泽能源科技有限公司 超低温双隔热层液氦焊接绝热气瓶及其制作方法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9081B (zh) * 2020-11-24 2022-04-15 陕西金叶印务有限公司 一种高效清洁丝网印刷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71A (ko) 2001-05-10 2001-07-25 최현호 미분무수 소화기
CN204936480U (zh) * 2015-08-26 2016-01-06 河南省绿博能源设备有限公司 灭火器干燥印刷一体机
KR101604233B1 (ko) 2015-01-27 2016-03-25 우현도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CN206192582U (zh) * 2016-10-26 2017-05-24 河南省绿博能源设备有限公司 全自动灭火器试水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71A (ko) 2001-05-10 2001-07-25 최현호 미분무수 소화기
KR101604233B1 (ko) 2015-01-27 2016-03-25 우현도 야광 기능을 구비하는 소화기
CN204936480U (zh) * 2015-08-26 2016-01-06 河南省绿博能源设备有限公司 灭火器干燥印刷一体机
CN206192582U (zh) * 2016-10-26 2017-05-24 河南省绿博能源设备有限公司 全自动灭火器试水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1702A (zh) * 2021-12-31 2022-04-12 江苏呈森嘉泽能源科技有限公司 超低温双隔热层液氦焊接绝热气瓶及其制作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574B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7055A (ko) 소화기의 가스누출검사장치
JP5654877B2 (ja) 原子力設備の水槽側壁における損傷箇所の修繕装置
KR101734121B1 (ko) 알루미늄 거푸집 세척장치 및 방법
JPH0818637B2 (ja) エンジンオイルの注入方法および装置
KR101123282B1 (ko) 강구 비전 검사기
KR101758461B1 (ko) 냉온수혼합수전 주조물의 누설시험장치
US7141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pattern to surface of steering wheel
KR100956141B1 (ko) 공기호흡기 용기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2408752B1 (ko) 피팅류 리크테스트 장치
KR100245181B1 (ko) 압력용기내압 검사방법 및 장치
KR102093585B1 (ko)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KR102030156B1 (ko) 브러쉬롤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러쉬롤 이물질 제거방법
KR101450007B1 (ko) 호스 누설 검사장치
KR102550524B1 (ko)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KR101202912B1 (ko) 볼트의 투입장치
KR100916335B1 (ko) 엔진 밸브의 통합 측정장치
JP7121263B2 (ja) 輪軸洗浄装置
US6367312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ontainer for leakage of liquid
KR101783740B1 (ko) 액체침투탐상법을 이용한 파이프 내면 육성용접부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JPS63298022A (ja) 自動車ボデ−のシャワ−試験方法及び装置
KR20110008596A (ko) 소재 표면의 잔류액 제거 장치
CN112710736B (zh) 一种超声水浸在线检测系统和方法
JP3593395B2 (ja) 浸透探傷試験における洗浄方法
CN214749864U (zh) 一种用于检测瓶体外观的在线视觉检测装置
CN217765419U (zh) 换热管试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