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85B1 -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85B1
KR102093585B1 KR1020190141366A KR20190141366A KR102093585B1 KR 102093585 B1 KR102093585 B1 KR 102093585B1 KR 1020190141366 A KR1020190141366 A KR 1020190141366A KR 20190141366 A KR20190141366 A KR 20190141366A KR 102093585 B1 KR102093585 B1 KR 10209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veyor
inlet
gripping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혁
Original Assignee
고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혁 filed Critical 고광혁
Priority to KR102019014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6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differential pressur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flexible or elastic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누설불량을 검출가능하면서도 용기입구와 용기몸체의 경계지점에 존재하는 성형불량까지 검출가능하도록, 용기몸체의 상방으로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가 상면에 놓여 이동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용기의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장치는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구와,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밀폐구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용기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는 검사모듈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폐구가 용기입구를 밀폐시 하단이 용기입구를 지나 용기몸체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불량검출시스템{Defect detecting system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조된 용기의 누설 및 성형 불량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 등을 담는 용기는 내용물을 주입하기 전에, 제조 또는 취급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검사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용기의 불량 중 누설이나 용기 내부의 성형불량을 검사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 용기의 누설에 따른 불량을 검출하는 장치는 용기의 입구를 밀폐한 후 용기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일정압력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통해 불량을 검출하는데, 이때 공기의 주입이 용기의 입구의 상측에서 이루어지므로 용기 내부의 성형불량을 검출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용기 내부의 성형불량은 작업자가 일일이 눈으로 직접 검사하게 되는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2504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용기의 누설과 성형불량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인용발명은 공기주입노즐이 하강하여 용기주입구를 밀봉하게 되면, 공기주입노즐 내측에 구비된 내경노즐몸체가 용기의 입구가 형성된 지점까지 들어가게 되어, 공기주입노즐에 의한 누설 불량과 내경노즐몸체에 의한 용기 입구의 성형 불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내경노즐몸체가 용기 입구가 형성된 지점까지만 들어가게 되므로, 용기의 입구에 내측에 존재하는 성형불량검출이 가능하지만, 용기의 입구와 입구 이하의 몸체 간의 경계지점에 존재하는 성형불량은 검출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2504호 '용기 누설 및 성형불량 검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설불량을 검출가능하면서도 용기입구와 용기몸체의 경계지점에 존재하는 성형불량까지 검출가능한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은, 용기몸체의 상방으로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가 상면에 놓여 이동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용기의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장치는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구와,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밀폐구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용기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는 검사모듈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폐구가 용기입구를 밀폐시 하단이 용기입구를 지나 용기몸체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검출장치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를 파지하여 컨베이어가 이동하더라도 용기가 정지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파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모듈은 컨베이어의 일측에서 용기입구를 향해 이동되는 제1 파지구와, 컨베이어의 타측에서 용기입구를 향해 이동되는 제2 파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지구는 내측에 용기입구가 수용되도록 끝단이 'V'자로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2 파지구는 끝단이 용기입구와 맞닿도록 일자 또는 호 형태로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모듈은 파지모듈에 의해 용기입구가 파지된 후 하방으로 이동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검사종료 후 파지모듈에 의해 용기입구가 파지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파지모듈은 검사모듈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공기주입구가 용기로부터 벗어난 후 용기입구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입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모듈은 용기입구의 하부를 파지하되, 상기 검출장치는 컨베이어의 상면으로부터 용기가 이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모듈이 상방으로 이동시 용기의 내측성형불량으로 용기가 함께 상승되어 제1 감지부에 의해 용기와 컨베이어 간의 이격이 감지되면, 제1 파지구와 제2 파지구는 용기입구를 더 강하게 파지하여, 공기주입구가 용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검출장치를 통해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를 컨베이어로부터 배출하는 제1 배출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출장치는 봉 형태를 이루며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컨베이어를 가르지르도록 이동되는 제1 배출봉을 포함하여, 상기 검출장치를 지나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불량 용기가 컨베이어의 타측을 향해 이동된 제1 배출봉에 의해 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장치는 복수 개의 검사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검사모듈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파지모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검사모듈과 복수 개의 파지모듈은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인접하게 일렬로 구비되되, 각각의 파지모듈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를 순차적으로 파지하고, 복수 개의 파지모듈 각각에 용기가 파지된 다음, 검사모듈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용기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장치는 복수 개의 용기 중 검사모듈에 의해 누설불량으로 판별된 용기가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몇 번째 용기인지 파악하고, 복수 개의 용기 중 제1 감지부에 의해 컨베이어와의 이격이 감지되어 내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가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몇 번째 용기인지 파악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장치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가 몇 번째 용기인지를 제2 감지부로 전송하여,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가 제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될 시 제1 배출봉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검출장치에 의한 검사를 수행하기 전 외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를 컨베이어로부터 배출하는 제2 배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공기주입구가 용기몸체 내에 위치하도록 검사모듈이 하방으로 이동되는바, 누설검사를 수행하여 누설불량을 검출할 수 있은 물론, 용기입구를 비롯하여 용기입구와 용기몸체의 경계지점에 존재하는 성형불량까지도 검출할 수 있어, 용기의 내측성형불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파지모듈을 통해 컨베이어의 이동과 상관없이 불량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내측성형불량으로 인해 공기주입구와 함께 상승하는 용기를 컨베이어에 다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바, 내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를 공기주입구로부터 빼내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중단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누설불량, 내측성형불량 및 외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를 컨베이어로부터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바,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지모듈에 의해 용기가 파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적용되는 검사모듈이 동작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적용되는 검출장치에 의해 용기가 검사되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적용되는 검출장치에 의해 내측성형불량을 가진 용기가 검사되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에 적용되는 제1 배출장치에 의해 불량 용기가 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누설불량을 검출가능하면서도 용기입구와 용기몸체의 경계지점에 존재하는 성형불량까지 검출가능하도록, 용기몸체의 상방으로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가 상면에 놓여 이동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용기의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장치는 용기입구를 밀폐하는 밀폐구와,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밀폐구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용기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는 검사모듈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폐구가 용기입구를 밀폐시 하단이 용기입구를 지나 용기몸체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와 검출장치(200)를 포함하며, 제1 배출장치(300)와 제2 배출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100)는 상면에 놓인 용기(10)를 이동시키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의 용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등과 같은 내용물이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용기몸체(11)와, 용기몸체(11)의 상방으로 용기몸체(11)와 연통되면서 용기몸체(11)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유출입되는 용기입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검출장치(100)는 컨베이어(100) 상에 위치한 용기(10)의 불량을 검출하는 것으로, 누설불량과 내측성형불량을 검사하여 불량 용기(10)를 판별한다. 여기서의 누설불량은 용기입구(12)를 밀폐한 후 용기(10)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일정압력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시 일정압력에 도달되지 않아 용기(10)에 구멍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내측성형불량은 용기입구(12) 또는 용기입구(12)와 용기몸체(11)의 경계지점 또는 용기몸체(11)에 제조과정 중 비정상적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불량부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누설불량과 내측성형불량을 검사하는 검출장치(200)는 컨베이어(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사모듈(210)을 포함하며, 검사모듈(210)은 용기입구(12)를 밀폐하는 밀폐구(211)와, 봉 형태를 이루며 밀폐구(211)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용기(10)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212)를 포함한다.
밀폐구(211)는 일 예로 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용기입구(210)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주입구(212)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모듈(21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폐구(211)가 용기입구(12)를 밀폐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용기입구(12)를 지나 용기몸체(11)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공기주입구(212)는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용기입구(210)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검사모듈(210)은 밀폐구(211)에 의해 용기입구(12)가 밀폐된 상태에서 용기몸체(11) 내측에 위치한 공기주입구(212)를 통해 용기(10)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일정압력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누설검사를 수행하여 누설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검사를 수행한 검사모듈(21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용기입구(12) 또는 용기입구(12)와 용기몸체(11)의 경계지점 또는 용기몸체(11)의 내측에 불량부가 존재할 경우 공기주입구(212)가 상기 불량부로 인해 끼이게 되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가 검사모듈(21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어 컨베이어(100)로부터 이격되는바, 이를 통해 용기(10)의 내측성형불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100)는 이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10)가 검사모듈(21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정지될 수 있으며, 검사모듈(210)의 하측에 위치한 용기(10) 이후에 검사할 용기(10)의 이동 등을 고려하여 정지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출장치(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10)를 파지하는 파지모듈(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10)는 컨베이어(100)가 이동하더라도 정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파지모듈(220)은 컨베이어(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용기(10)의 일측편 또는 타측편만을 파지할 수도 있으나, 용기(10)를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모듈(220)은 용기(10) 중 용기몸체(11)보다는 용기입구(12)를 파지하여 공기주입구(212)가 용기입구(12)를 지나 삽입됨에 있어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지모듈(220)은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의 일측에서 용기입구(12)를 향해 이동되는 제1 파지구(221)와, 컨베이어(100)의 타측에서 용기입구(12)를 향해 이동되는 제2 파지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지구(221)와 제2 파지구(222)는 일자 또는 호 형태로 끝단이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어 용기입구(12)의 양측에 접하며 용기입구(12)를 파지할 수도 있으나, 제1 파지구(221)와 제2 파지구(222) 중 어느 하나가 내측에 용기입구(12)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용기입구(12)를 감싸도록 함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기입구(12)를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제1 파지구(221)는 내측에 용기입구(12)가 수용되도록 끝단이 'V'자로 형성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파지구(222)는 끝단이 용기입구(120와 맞닿도록 일자 또는 호 형태로 형성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검사모듈(210)과 파지모듈(220)을 포함하는 검출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모듈(220)이 용기입구(12)를 파지한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모듈(21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누설 검사를 진행한다. 누설 검사가 종료된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모듈(220)에 의해 용기입구(12)가 파지된 상태에서 검사모듈(210)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모듈(220)은 검사모듈(21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공기주입구(212)가 용기(10)로부터 벗어난 후 용기입구(12)의 파지를 해제한다.
이처럼 검사모듈(210)이 상방으로 이동된 후, 파지모듈(220)이 용기(10)의 파지를 해제하는 것은, 후술할 용기(10)의 내측성형불량시 용기(10)에 끼인 공기주입구(212)를 강제로 용기(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용기입구(1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파지모듈(22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의 하부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검출장치(2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의 상면으로부터 용기(10)가 이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모듈(210)이 상방으로 이동시 용기(10)의 내측성형불량으로 용기(10)가 검사모듈(210)과 함께 상방됨으로써, 제1 감지부(230)에 의해 용기(10)와 컨베이어(100) 간의 이격이 감지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구(221)와 제2 파지구(222)는 용기입구(12)를 더 강하게 파지하여, 공기주입구(212)가 용기(10)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한 다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구(221)와 제2 파지구(222)에 의한 용기입구(12)의 파지를 해제하여 내측성형불량인 용기(10)도 컨베이어(10)를 따라 검출장치(200)를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종래 내측성형불량으로 판결된 용기(10)를 공기주입구(212)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을 중단하고 작업자가 해당 용기(10)를 손으로 잡아 빼냈으나, 본 발명은 전체 시스템을 중단하지 않고 이후 과정에서 내측성형불량인 용기(10)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바, 전체 시스펨을 중단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용기 불량검출시스템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검출장치(200)를 통해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배출하는 제1 배출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장치(300)는 일 예로, 봉 형태를 이루며 컨베이어(100)의 상측에서 컨베이어(100)를 가르지르도록 이동되는 제1 배출봉(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장치(200)에서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는 검출장치(200)를 지나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다가, 제1 배출장치(300)가 설치된 지점을 지날 때 제1 배출봉(310)이 컨베이어(100)의 타측을 향해 이동되면서 컨베이어(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즉, 누설불량 또는/및 내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를 컨베이어(100)로부터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검출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검사모듈(210)과, 복수 개의 검사모듈(21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파지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검사모듈(210)과 복수 개의 파지모듈(220)은 컨베이어(100)를 따라 인접하게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파지모듈(220)은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10)를 순차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100)를 따라 일렬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이동하는 복수 개의 용기(10)는 일 용기(10)가 일 파지모듈(220)에 의해 파지되더라도 컨베이어(100)의 계속적인 동작으로 순차적으로 각 파지모듈(220)을 향해 이동하게 되며, 각 파지모듈(220)에 모두 용기(10)가 파지될 시 컨베이어(100)는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복수 개의 파지모듈(220) 각각에 용기(10)가 파지된 다음, 복수 개의 검사모듈(210)은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용기(10)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장치(200)는 복수 개의 용기(10) 중 검사모듈(210)에 의해 누설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컨베이어(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몇 번째 용기인지 파악하고, 복수 개의 용기(10) 중 제1 감지부(230)에 의해 컨베이어(100)와의 이격이 감지되어 내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컨베이어(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몇 번째 용기인지 파악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배출장치(3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10)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몇 번째 용기인지를 제2 감지부(320)로 전송하여,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제2 감지부(320)에 의해 감지될 시 제1 배출봉(310)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검출장치(200)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10)에 대한 불량검사를 한꺼번에 수행하더라도 누설불량 또는/및 내측성형불량을 가진 용기(10)를 선별하여 컨베이어(100)로부터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의 일측에 마련되면서, 검출장치(200)에 의한 검사를 수행하기 전 외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배출하는 제2 배출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외측성형불량이란, 제조과정에서 외관상으로 용기(10)가 변형된 것을 의미한다.
제2 배출장치(400)는 제1 배출장치(300)와 마찬가지로, 봉 형태를 이루며 컨베이어(100)의 상측에서 컨베이어(100)를 가르지르도록 이동되는 제2 배출봉(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10)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 배출장치(400) 이전에 외형검사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외형검사장치에서 검사를 진행하는 복수 개의 용기(10) 중 외형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에 대하여, 상기 외형검사장치는 컨베이어(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몇 번째 용기인지 파악하여 제3 감지부(4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외형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제3 감지부(420)에 의해 감지될 시 제2 배출봉(410)이 작동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누설불량 및 내측성형불량 뿐만 아니라 외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도 컨베이어로부터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바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용기 11 : 용기몸체
12 : 용기입구
100 : 컨베이어
200 : 검출장치 210 : 검사모듈
211 : 밀폐구 212 : 공기주입구
220 : 파지모듈 221 : 제1 파지구
222 : 제2 파지구 230 : 제1 감지부
300 : 제1 배출장치 310 : 제1 배출봉
320 : 제2 감지부
400 : 제2 배출장치 410 : 제2 배출봉
420 : 제3 감지부

Claims (10)

  1. 용기몸체(11)의 상방으로 용기입구(12)가 형성된 용기(10)가 상면에 놓여 이동하는 컨베이어(100); 및
    상기 컨베이어(100) 상에 위치한 용기(10)의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장치(200)는 용기입구(12)를 밀폐하는 밀폐구(211)와,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밀폐구(211)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용기(10)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212)를 포함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사모듈(21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212)는 검사모듈(21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폐구(211)가 용기입구(12)를 밀폐시 하단이 용기입구(12)를 지나 용기몸체(11)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200)는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입구(12)를 파지하여 컨베이어(100)가 이동하더라도 용기(10)가 정지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파지모듈(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모듈(220)은 컨베이어(100)의 일측에서 용기(10)를 향해 이동되는 제1 파지구(221)와, 컨베이어(100)의 타측에서 용기입구(12)를 향해 이동되는 제2 파지구(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구(221)는 내측에 용기입구(12)가 수용되도록 끝단이 'V'자로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2 파지구(222)는 끝단이 용기입구(12)와 맞닿도록 일자 또는 호 형태로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모듈(210)은 파지모듈(220)에 의해 용기입구(12)가 파지된 후 하방으로 이동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검사종료 후 파지모듈(220)에 의해 용기입구(12)가 파지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파지모듈(220)은 검사모듈(21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공기주입구(212)가 용기(10)로부터 벗어난 후 용기입구(12)의 파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1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모듈(220)은 용기입구(12)의 하부를 파지하되,
    상기 검출장치(200)는 컨베이어(100)의 상면으로부터 용기(10)가 이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모듈(210)이 상방으로 이동시 용기(10)의 내측성형불량으로 용기(10)가 함께 상승되어 제1 감지부(230)에 의해 용기(10)와 컨베이어(100) 간의 이격이 감지되면, 제1 파지구(221)와 제2 파지구(222)는 용기입구(12)를 더 강하게 파지하여, 공기주입구(212)가 용기(10)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검출장치(200)를 통해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배출하는 제1 배출장치(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출장치(300)는 봉 형태를 이루며 컨베이어(100)의 상측에서 컨베이어(100)를 가르지르도록 이동되는 제1 배출봉(310)을 포함하여, 상기 검출장치(200)를 지나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는 불량 용기(10)가 컨베이어(100)의 타측을 향해 이동된 제1 배출봉(310)에 의해 컨베이어(100)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200)는 복수 개의 검사모듈(210)과 상기 복수 개의 검사모듈(21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파지모듈(220)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검사모듈(210)과 복수 개의 파지모듈(220)은 상기 컨베이어(100)를 따라 인접하게 일렬로 구비되되,
    각각의 파지모듈(220)은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되는 용기(10)를 순차적으로 파지하고, 복수 개의 파지모듈(220) 각각에 용기(10)가 파지된 다음, 검사모듈(21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용기(10)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200)는 복수 개의 용기(10) 중 검사모듈(210)에 의해 누설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컨베이어(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몇 번째 용기인지 파악하고, 복수 개의 용기(10) 중 제1 감지부(230)에 의해 컨베이어(100)와의 이격이 감지되어 내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컨베이어(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몇 번째 용기인지 파악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장치(300)는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10)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몇 번째 용기인지를 제2 감지부(320)로 전송하여, 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가 제2 감지부(320)에 의해 감지될 시 제1 배출봉(310)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검출장치(200)에 의한 검사를 수행하기 전, 외측성형불량으로 판별된 용기(10)를 컨베이어(100)로부터 배출하는 제2 배출장치(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KR1020190141366A 2019-11-07 2019-11-07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KR10209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366A KR102093585B1 (ko) 2019-11-07 2019-11-07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366A KR102093585B1 (ko) 2019-11-07 2019-11-07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585B1 true KR102093585B1 (ko) 2020-03-25

Family

ID=7000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366A KR102093585B1 (ko) 2019-11-07 2019-11-07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9589A (zh) * 2020-08-15 2021-01-05 苏州云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罐装食品气密性的检测装置及方法
KR102564881B1 (ko) * 2022-11-23 2023-08-09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생산공정에서 이송되는 용기형 제품의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검사장치
KR102673266B1 (ko) 2021-10-07 2024-06-11 (주)한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504B1 (ko) 2017-09-18 2018-06-28 이춘학 용기 누설 및 성형불량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504B1 (ko) 2017-09-18 2018-06-28 이춘학 용기 누설 및 성형불량 검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9589A (zh) * 2020-08-15 2021-01-05 苏州云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罐装食品气密性的检测装置及方法
KR102673266B1 (ko) 2021-10-07 2024-06-11 (주)한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KR102564881B1 (ko) * 2022-11-23 2023-08-09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생산공정에서 이송되는 용기형 제품의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585B1 (ko)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KR101872504B1 (ko) 용기 누설 및 성형불량 검사장치
CN106671199B (zh) 一种汽车电磁阀阀体自动开窗机
CN101441126A (zh) 瓶子漏气快速检测机
KR101780859B1 (ko)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US111489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a filling product
KR20130107135A (ko) 채혈관 뚜껑 조립장치
US20140182245A1 (en) Tray-sealing machine with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JP5760520B2 (ja) リーク検査装置
US5662226A (en) Kegging facility control process and apparatus
CN108680316A (zh) 罐装食品的气密性检测设备
US20020148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ngitudinal orientation of hosiery articles
KR102269628B1 (ko) 케미컬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미컬 샘플링 시스템
JP2018162991A (ja) カップ状容器の漏れ検出ユニット
WO2011045256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containers of liquids
KR102095977B1 (ko) 검사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페트병 리크 검사장치
KR102042903B1 (ko)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CN210585956U (zh) 成品箱暗箱自动检测装置
JP2006137109A (ja)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における容器の漏洩検査機構を備えた離型装置
CN105319018A (zh) 一种漏气检测装置
KR102361185B1 (ko) 용기 검사장비용 노즐장치
US5618990A (en) Inspection system for detecting a leaking liquid and entering air
US10189589B2 (en) Chamber machine with gas nozzle monitoring
CN220760144U (zh) 一种预制袋包装漏油检测设备
US6014891A (en) On-line leak tested and container 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