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266B1 -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 Google Patents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266B1
KR102673266B1 KR1020210132940A KR20210132940A KR102673266B1 KR 102673266 B1 KR102673266 B1 KR 102673266B1 KR 1020210132940 A KR1020210132940 A KR 1020210132940A KR 20210132940 A KR20210132940 A KR 20210132940A KR 102673266 B1 KR102673266 B1 KR 10267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
powder container
unit
damage detectio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892A (ko
Inventor
정호열
정민수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한화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화 filed Critical (주)한화
Priority to KR102021013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2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2Inspecting the exterior surface of cylindrical bodies or wi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 G01N2201/1047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with rotating optics and moving stage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체용기의 세워진 측면부에서 측면부의 안쪽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 상기 측면부의 바깥쪽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센서 지지부, 상기 센서 지지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센서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로 이차전지용 양극재를 소성로에서 열처리하기 위한 분체용기를 반송 라인에서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손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분체용기의 파손 감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파손된 분체용기가 재활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DAMAGE INSPECTION APPARATUS FOR POWDER CONTAINER, CLASIFICATION SYSTEM FOR POWDER CONTAINER HAVING THE SAME AND CLASIFICATION METHOD FOR POWDER CONTAINER}
본 발명은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요 및 화석 연료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 자동차의 필요성과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대되고 있고, 고용량 및 고성능을 가지는 이차 전지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은 원료 분체를 분체용기에 담아 소성로 내에서 400℃ 내지 1,100℃의 온도로 소성하여 제조되고 있다.
분체용기는 소성된 양극활 물질이 비워진 후 반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어 재사용되고, 반송 라인을 따라 이송 중 파손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다.
분체용기의 파손 여부는 작업자가 직접 반송 라인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어 이에 따른 인건비가 소요되고, 파손 검사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체용기의 파손 여부는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파손 여부에 대한 정확도가 달라져 파손된 분체용기가 재활용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21-0103278호 "기판 처리 장치"(2021.08.23.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용 양극재를 소성로에서 열처리하기 위한 분체용기를 반송 라인에서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손된 분체용기와 파손되지 않은 분체용기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처리할 수 있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분체용기의 세워진 측면부에서 측면부의 안쪽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 상기 측면부의 바깥쪽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센서 지지부, 상기 센서 지지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센서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 지지부를 전, 후 이동시키는 제1센서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제1센서 지지부재,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제2센서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를 각각 이동시켜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는 연결 지지부재의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이동 스크류 및 상기 이동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를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승하강부는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의 센서 중심을 상기 측면부의 높이 대비 30% ~ 70%의 지점에 위치시켜 상기 측면부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체용기의 바닥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바닥거리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승하강부는 상기 바닥거리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거리 정보로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측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 및 상기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를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거리센서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의 단부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제1회전 브라켓트 및 상기 제1회전 브라켓트를 회전시키는 제1센서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분체용기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분체용기의 하부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하부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감지위치 전환용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 지지부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센서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빈 분체용기를 재사용하기 위해 반송하는 반송라인부, 상기 반송라인부에서 이송 중인 상기 분체용기의 파손을 감지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상기 반송라인부에 연결되며 상기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에서 파손이 감지된 분체용기를 이송하는 파손용기 이송라인부, 상기 반송라인부에서 이송 중이 파손된 분체용기를 상기 파손용기 이송라인부로 이동시키는 파손용기 소터부, 상기 반송라인부에 연결되고 새 분체용기를 이송시켜 상기 반송라인부로 새 분체용기를 공급하는 분체용기 공급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반송라인부에서 1개의 분체용기가 상기 파손용기 소터부에 의해 분류되어 상기 파손용기 이송라인부로 전달되면 상기 분체용기 공급라인부는 1개의 새 분체용기를 상기 반송라인부로 공급하여 상기 반송라인부를 통해 이송되는 전체 분체용기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의 일 실시예는 재활용을 위해 반송라인부로 반송 중인 분체용기의 파손을 감지하는 용기 파손감지단계, 상기 용기 파손감지단계에서 분체용기의 파손을 감지하면 파손된 분체용기를 상기 반송라인부에서 분류하여 제거하는 파손용기 분류단계, 상기 파손용기 분류단계에서 파손된 분체용기가 분류되면 상기 반송라인부에 새 분체용기를 공급하는 분체용기 공급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 파손감지단계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측면부에 각각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측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측면부의 파손을 감지하는 제1파손 감지과정, 상기 제1파손 감지과정 후 분체용기를 평면 상에서 회전시키는 분체용기 회전과정 및 상기 분체용기 회전과정 후 서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다른 측면부에 각각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측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측면부의 파손을 감지하는 제2파손 감지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 파손감지단계는 상기 분체용기 회전과정에서 분체용기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면 파손감지 센서부로 분체용기의 하부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하부면 파손 감지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파손 감지과정은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파손을 감지한 후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하향 회전시켜 분체용기의 바닥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2파손 감지과정은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파손을 감지한 후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하향 회전시켜 분체용기의 바닥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양극재를 소성로에서 열처리하기 위한 분체용기를 반송 라인에서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손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분체용기의 파손 감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파손된 분체용기가 재활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체용기의 파손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파손된 분체용기와 파손되지 않은 분체용기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처리할 수 있어 파손된 분체용기의 분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이에 따라 양극활물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분체용기(1000)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것으로 분체용기(100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한다.
분체용기(1000)는 하면부와 하면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세워져 내부에 분체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1100)를 포함하고, 소성된 소성용기로 공지의 내화갑(sagger)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분체용기(1000)의 세워진 측면부(1100)에서 측면부(1100)의 안쪽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측면부(1100)의 바깥쪽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를 포함한다.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는 검사 대상에 영역 타입의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와 검사 대상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영역 디텍터를 포함하며, 이에 영역 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X선에 상응하는 투시 영상을 분석하여 전극을 식별하는 영상 분석부 및 식별된 검사 대상의 결함을 검출하는 파손 검출부를 통해 검사 대상 즉, 측면부(1100)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는 검사 대상 즉, 측면부(1100)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 측면부(1100)의 크랙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비젼 검사 시스템일 수도 있다.
또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는 검사 대상을 스캔하는 광스캔부를 포함하여 광스캔부로 검사 대상 즉, 측면부(11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스캔하여 획득된 이미지에서 크랙 등의 파손을 감지하는 스캔 검사 시스템일 수도 있다.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는 균열 등의 파손을 검사할 수 있는 공지의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생략함을 밝혀둔다.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는 센서 지지부(300)에 장착되고, 센서 지지부(300)는 센서 승하강부(400)에 의해 하강되어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를 분체용기(1000)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게 위치시킬 수 있고, 분체용기(1000)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 검사가 완료된 후 다시 승강되어 검사가 완료된 분체용기(1000)가 반송라인부(2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센서 승하강부(400)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승하강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분체용기(1000)는 양극 활물질의 원료 분체가 내부에 담겨진 상태로 소성로를 통과하면서 원료 분체를 소성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고, 소성된 양극 활물질이 비워진 후 반송라인부(20)를 통해 다시 회수되어 재사용된다.
분체용기(1000)는 소성로를 통과하면서 1000℃ 이상으로 가열된 후 공냉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측면부(1100) 또는 하면부에 크랙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소성된 양극 활물질이 비워진 후 반송라인부(20)로 이송 중인 빈 분체용기(1000)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센서 지지부(300)를 전, 후 이동시키는 제1센서 직선 이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 직선 이동부(500)는 센서 지지부(300)를 분체용기(1000)의 이송 방향으로 전, 후 이동시키면서 분체용기(1000)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며, 측면부(1100)의 전체 면적에 대한 파손을 확인할 수 있고, 분체용기(1000)가 반송라인부(20)로 이송 중에 즉, 분체용기(1000)를 정지시키지 않고 이송 중인 분체용기(1000)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어 분체용기(1000)의 반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센서 직선 이동부(500)는 공장 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지지되어 설치되거나 지면에 세워지는 별도의 지지체에 설치되어 분체용기(1000)의 반송라인부(20) 상에 위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1센서 직선 이동부(5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주행바퀴가 이동 안내 레일을 따라 구르면서 전, 후 이동하는 주행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1센서 직선 이동부(500)는 센서 승하강부(400)를 전, 후 이동시켜 센서 승하강부(400)와 센서 지지부(300)를 동시에 전, 후 이동시킴으로써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감지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센서 지지부(300)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가 장착되는 제1센서 지지부재(310),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가 장착되는 제2센서 지지부재(320),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재(330)를 포함하여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2개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 여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는 각각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가 장착되는 제1센서 브라켓트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가 장착되는 제2센서 브라켓트를 포함하고, 제1센서 브라켓트와 제2센서 브라켓트의 사이에 측면부(1100)가 위치되어 측면부(1100)의 양쪽면에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로 각각 측면부(1100)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는 제1센서 브라켓트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가 장착되는 제2센서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센서 지지부(300)에 장착되어 분체용기(1000)의 바닥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바닥거리 센서부(410)를 포함하고, 센서 승하강부(400)는 바닥거리 센서부(410)에 의해 감지된 거리 정보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센서 지지부(300)에 장착되고,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사이에 위치되어 측면부(1100)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420),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420)를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거리센서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센서 이동부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420)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사이에서 거리센서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어 즉, 제1센서 브라켓트와 제2센서 브라켓트의 사이에서 거리센서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어 측면부(110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측면부(110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바닥거리 센서부(410)와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420)는 레이저 거리센서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거리 센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센서 승하강부(400)는 바닥거리 센서부(410)에 의해 감지된 분체용기(1000)의 바닥면과의 거리 정보 및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420)에 의해 감지된 측면부(1100)의 높이를 통해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위치는 센서의 중심이 측면부(1100) 높이의 30% ~ 70%의 지점까지 하강되어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위치는 센서의 중심이 측면부(1100) 높이의 35% ~ 65%의 지점까지 하강되어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위치는 센서의 중심이 측면부(1100) 높이의 40% ~ 60%의 지점까지 하강되어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분체용기(1000)는 소성로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이므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가 분체용기(1000)의 바닥면과 근접하는 경우 분체용기(1000)의 열에 의해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가 손상될 위험이 있어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위치는 센서의 중심이 측면부(1100) 높이의 30% ~ 70%의 지점까지 하강되거나, 센서의 중심이 측면부(1100) 높이의 40% ~ 60%의 지점까지 하강되어 위치되거나, 센서의 중심이 측면부(1100) 높이의 40% ~ 60%의 지점까지 하강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측면부(1100)의 파손 검사에 대한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위치는 센서의 중심이 측면부(1100) 높이의 40% ~ 60%의 지점까지 하강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지지부(300)는 제1센서 브라켓트의 단부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가 장착되는 제1회전 브라켓트(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지지부(300)는 제2센서 브라켓트의 단부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가 장착되는 제2회전 브라켓트(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지지부(300)는 제1회전 브라켓트(340)를 회전시키는 제1센서 회전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지지부(300)는 제2회전 브라켓트(350)를 회전시키는 제2센서 회전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 회전부(360)와 제2센서 회전부(370)는 각각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제1회전 브라켓트(340)와 제2회전 브라켓트(350)를 회전시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검사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에 각각 장착되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는 제1회전 브라켓트(340)가 하향 회전되면서 분체용기(1000)의 바닥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분체용기(100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분체용기(1000)의 하부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하부면 파손감지 센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면 파손 감지 센서부는 반송라인부(2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반송라인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분체용기(1000)의 하부면에 대한 크랙 등의 파손을 감지한다.
하부면 파손 감지 센서부는 상기에서 언급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X선 검사 시스템, 비젼 검사 시스템, 스캔 검사 시스템 등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두며, 중복 기재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하부면 파손 감지 센서부는 반송라인부(2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분체용기(1000)가 회전될 때 분체용기(1000)의 하부면에 대한 크랙 등의 파손을 감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분체용기(1000)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총 4개의 측면부(1100)를 가지며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에 각각 장착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로 4개의 측면부(1100) 중 서로 마주 본 2개의 측면부(1100)의 파손이 감지된 후 90도로 회전되어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에 각각 장착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로 서로 마주본 다른 2개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분체용기(1000)는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에 각각 장착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로 2개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이 감지된 후 90도로 회전되어 다른 2개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이 동일하게 감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센서 지지부(300)를 회전시키는 감지위치 전환용 회전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위치 전환용 회전부(600)는 센서 승하강부(400)에 장착되어 센서 지지부(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측면부(1100)의 위치에 따라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사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위치 전환용 회전부(600)는 센서 지지부(300)를 90도로 회전시켜 4개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 검사를 2번에 걸쳐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에 각각 장착된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는 4개의 측면부(1100) 중 서로 마주 본 2개의 측면부(1100)의 파손을 감지한 후 감지위치 전환용 회전부(600)에 의해 90도로 회전되어 4개의 측면부(1100) 중 서로 마주 본 다른 2개의 측면부(1100)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센서 지지부(300)를 가로 방향 즉, 반송라인부(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센서 직선 이동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센서 직선 이동부(700)는 센서 지지부(300)를 반송라인부(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반송라인부(20)를 따라 이송 중인 분체용기(1000)의 위치에 따라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폭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사이로 측면부(1100)가 안정적으로 검사를 위한 정위치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센서 지지부(300)는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를 각각 이동시켜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의 간격을 조절하는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800)는 분체용기(1000)의 크기 즉, 측면부(1100)의 간격에 따라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의 간격을 조절하여 2개의 측면부(1100)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일 실시예에서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8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을 참고하면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800)는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좁히거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800)는 연결 지지부재(330)의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이동 스크류(810), 이동 스크류(810)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는 각각 이동 스크류(81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이동 스크류(810)의 회전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간격이 좁아지거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제1센서 지지부재(310)는 이동 스크류(810)에 왼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제2센서 지지부재(320)는 이동 스크류(810)에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와 반대 방향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800)는 분체용기(1000)의 크기에 따라 제1센서 지지부재(310)와 제2센서 지지부재(320)를 서로 마주보게 이동시키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2개의 측면부(1100)가 각각 제1센서 지지부의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사이 및 제2센서 지지부의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은 소성로에서 양극활 물질을 소성한 후 소송된 양극활 물질을 비운 빈 분체용기(1000)를 재활용하기 위해 반송하는 반송라인부(20)에서 파손된 분체용기(1000)를 분류하는 분체용기(1000)의 분류 시스템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빈 분체용기(1000)를 재사용하기 위해 반송하는 반송라인부(20), 반송라인부(20)에서 이송 중인 분체용기(1000)의 파손을 감지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 반송라인부(20)에 연결되며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에서 파손이 감지된 분체용기(1000)를 이송하는 파손용기 이송라인부(30), 반송라인부(20)에서 이송 중이 파손된 분체용기(1000)를 파손용기 이송라인부(30)로 이동시키는 파손용기 소터부(40), 반송라인부(20)에 연결되고 새 분체용기(1000)를 이송시켜 반송라인부(20)로 새 분체용기(1000)를 공급하는 분체용기 공급라인부(50)를 포함한다.
파손용기 소터부(40)는 반송라인부(20)로 이송 중인 분체용기(1000)를 밀어 파손용기 이송 라인부로 이동시키는 밀대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반송라인부(20)의 중간에 위치되는 휠 소터 등 공지의 소터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분체용기 공급라인부(50)는 반송라인부(20)에서 파손된 분체용기(1000)가 분류되면 새 분체용기(1000)를 이송시켜 파손된 분체용기(1000)를 새 분체용기(1000)로 대체시킨다.
즉, 반송라인부(20)에서 1개의 분체용기(1000)가 파손용기 소터부(40)에 의해 분류되어 파손용기 이송라인부(30)로 전달되면 분체용기 공급라인부(50)는 1개의 새 분체용기(1000)를 반송라인부(20)로 공급하여 반송라인부(20)를 통해 이송되는 전체 분체용기(1000)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반송라인부(20), 파손용기 이송라인부(30), 분체용기 공급라인부(50)는 각각 벨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등 공지의 컨베이어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는 상기에서 기재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10)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은 반송라인부(20)에서 반송 중인 분체용기(1000)의 파손을 검사하여 파손된 분체용기(1000)를 분류하여 반송라인부(20)에서 제거되고, 새 분체용기(1000)를 반송라인부(20)로 공급함으로써 반송라인부(20)를 통해 이송되는 전체 분체용기(1000)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양극활 물질의 생산 라인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의 일 실시예는 재활용을 위해 반송라인부(20)로 반송 중인 분체용기(1000)의 파손을 감지하는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에서 분체용기(1000)의 파손을 감지하면 파손된 분체용기(1000)를 반송라인부(20)에서 분류하여 제거하는 파손용기 분류단계(S200), 파손용기 분류단계(S200)에서 파손된 분체용기(1000)가 분류되면 반송라인부(20)에 새 분체용기(1000)를 공급하는 분체용기 공급단계(S300)를 포함한다.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를 분체용기(1000)의 측면부(1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분체용기(1000)의 측면부(1100)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더 상세하게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측면부(1100)에 각각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를 측면부(1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측면부(1100)의 파손을 감지하는 제1파손 감지과정(S110), 제1파손 감지과정(S110) 후 분체용기(1000)를 평면 상에서 회전시키는 분체용기 회전과정(S130), 분체용기 회전과정(S130) 후 서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다른 측면부(1100)에 각각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를 측면부(1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측면부(1100)의 파손을 감지하는 제2파손 감지과정(S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는 분체용기 회전과정(S130)에서 분체용기(1000)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면 파손감지 센서부(900)로 분체용기(1000)의 하부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하부면 파손 감지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파손 감지과정(S110)은 측면부(1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파손을 감지한 후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를 하향 회전시켜 분체용기(1000)의 바닥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고, 제2파손 감지과정(S120)은 측면부(1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파손을 감지한 후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를 하향 회전시켜 분체용기(1000)의 바닥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는 제1파손 감지과정(S110), 제2파손 감지과정(S120), 하부면 파손 감지과정(S140)을 통해 분체용기(1000)의 전체에 대한 파손 즉, 측면부(1100)의 내측면과 외측면, 바닥면, 하부면의 파손을 모두 감지하여 분체용기(1000)의 파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는 검사 대상에 영역 타입의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와 검사 대상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영역 디텍터를 포함하며, 이에 영역 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X선에 상응하는 투시 영상을 분석하여 전극을 식별하는 영상 분석부 및 식별된 검사 대상의 결함을 검출하는 파손 검출부를 통해 검사 대상 즉, 측면부(1100)의 파손을 감지하는 X선 검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는 검사 대상 즉, 측면부(1100)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 측면부(1100)의 크랙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비젼 검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는 검사 대상을 스캔하는 광스캔부를 포함하여 광스캔부로 검사 대상 즉, 측면부(11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스캔하여 획득된 이미지에서 크랙 등의 파손을 감지하는 스캔 검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용기 파손감지단계(S100)는 측면부(1100)에 대한 이미지를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100)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200)로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측면부(1100)의 크랙 등의 파손을 감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크랙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기(1000)의 분류 방법은 반송라인부(20)에서 반송 중인 분체용기(1000)의 파손을 검사하여 파손된 분체용기(1000)를 분류하여 반송라인부(20)에서 제거하고, 새 분체용기(1000)를 반송라인부(20)로 공급함으로써 반송라인부(20)를 통해 이송되는 전체 분체용기(1000)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양극활 물질의 생산 라인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양극재를 소성로에서 열처리하기 위한 분체용기(1000)를 반송 라인에서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손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분체용기(1000)의 파손 감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파손된 분체용기(1000)가 재활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체용기(1000)의 파손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파손된 분체용기(1000)와 파손되지 않은 분체용기(1000)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처리할 수 있어 파손된 분체용기(1000)의 분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이에 따라 양극활물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20 : 반송라인부
30 : 파손용기 이송라인부 40 : 파손용기 소터부
50 : 분체용기 공급라인부
100 :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 200 :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
300 : 센서 지지부 310 : 제1센서 지지부재
320 : 제2센서 지지부재 330 : 연결 지지부재
340 : 제1회전 브라켓트 350 : 제2회전 브라켓트
360 : 제1센서 회전부 370 : 제2센서 회전부
400 : 센서 승하강부 410 : 바닥거리 센서부
420 :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 500 : 제1센서 직선 이동부
600 : 감지위치 전환용 회전부 700 : 제2센서 직선 이동부
800 :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 810 : 이동 스크류
820 : 스크류 회전모터 1000 : 분체용기
1100 : 측면부
S100 : 용기 파손감지단계 S110 : 제1파손 감지과정
S120 : 제2파손 감지과정 S130 : 분체용기 회전과정
S140 : 하부면 파손 감지과정 S200 : 파손용기 분류단계
S300 : 분체용기 공급단계

Claims (18)

  1. 분체용기의 세워진 측면부에서 측면부의 안쪽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
    상기 측면부의 바깥쪽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센서 지지부; 및
    상기 센서 지지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센서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를 전, 후 이동시키는 제1센서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제1센서 지지부재;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제2센서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를 각각 이동시켜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정 간격 조절용 이동부는 연결 지지부재의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이동 스크류; 및
    상기 이동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승하강부는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의 센서 중심을 상기 측면부의 높이 대비 30% ~ 70%의 지점에 위치시켜 상기 측면부의 파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체용기의 바닥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바닥거리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승하강부는 상기 바닥거리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거리 정보로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측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 및
    상기 높이측정용 거리 센서부를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상기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거리센서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제1센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센서 지지부재의 단부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가 장착되는 제1회전 브라켓트; 및
    상기 제1회전 브라켓트를 회전시키는 제1센서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체용기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분체용기의 하부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하부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감지위치 전환용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센서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13. 빈 분체용기를 재사용하기 위해 반송하는 반송라인부;
    상기 반송라인부에서 이송 중인 상기 분체용기의 파손을 감지하는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상기 반송라인부에 연결되며 상기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에서 파손이 감지된 분체용기를 이송하는 파손용기 이송라인부;
    상기 반송라인부에서 이송 중이 파손된 분체용기를 상기 파손용기 이송라인부로 이동시키는 파손용기 소터부; 및
    상기 반송라인부에 연결되고 새 분체용기를 이송시켜 상기 반송라인부로 새 분체용기를 공급하는 분체용기 공급라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반송라인부에서 1개의 분체용기가 상기 파손용기 소터부에 의해 분류되어 상기 파손용기 이송라인부로 전달되면 상기 분체용기 공급라인부는 1개의 새 분체용기를 상기 반송라인부로 공급하여 상기 반송라인부를 통해 이송되는 전체 분체용기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15. 재활용을 위해 반송라인부로 반송 중인 분체용기의 파손을 감지하는 용기 파손감지단계;
    상기 용기 파손감지단계에서 분체용기의 파손을 감지하면 파손된 분체용기를 상기 반송라인부에서 분류하여 제거하는 파손용기 분류단계; 및
    상기 파손용기 분류단계에서 파손된 분체용기가 분류되면 상기 반송라인부에 새 분체용기를 공급하는 분체용기 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손감지단계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측면부에 각각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측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측면부의 파손을 감지하는 제1파손 감지과정;
    상기 제1파손 감지과정 후 분체용기를 평면 상에서 회전시키는 분체용기 회전과정; 및
    상기 분체용기 회전과정 후 서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다른 측면부에 각각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와 외측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측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측면부의 파손을 감지하는 제2파손 감지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손감지단계는 상기 분체용기 회전과정에서 분체용기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면 파손감지 센서부로 분체용기의 하부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하부면 파손 감지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파손 감지과정은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파손을 감지한 후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하향 회전시켜 분체용기의 바닥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2파손 감지과정은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파손을 감지한 후 상기 내측면 파손감지 센서부를 하향 회전시켜 분체용기의 바닥면에 대한 파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KR1020210132940A 2021-10-07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KR10267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940A KR102673266B1 (ko) 2021-10-07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940A KR102673266B1 (ko) 2021-10-07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892A KR20230049892A (ko) 2023-04-14
KR102673266B1 true KR102673266B1 (ko) 2024-06-11

Family

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632A (ja) 1999-10-12 2001-04-20 Precision:Kk 容器底部の欠陥検査装置
JP3698637B2 (ja) 1999-12-02 2005-09-21 オウェンス ブロックウェイ グラス コンテナ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容器のネックのひび割れの検出
JP3847197B2 (ja) 2002-03-27 2006-11-15 株式会社クボタ 分光分析装置
KR101970035B1 (ko) 2011-11-15 2019-04-17 프로세스 메트릭스, 엘엘씨 컨테이너의 무결성을 감시하기 위한 장치,방법 및 시스템
KR102093585B1 (ko) 2019-11-07 2020-03-25 고광혁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JP2021067538A (ja) 2019-10-23 2021-04-30 オムロン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632A (ja) 1999-10-12 2001-04-20 Precision:Kk 容器底部の欠陥検査装置
JP3698637B2 (ja) 1999-12-02 2005-09-21 オウェンス ブロックウェイ グラス コンテナ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容器のネックのひび割れの検出
JP3847197B2 (ja) 2002-03-27 2006-11-15 株式会社クボタ 分光分析装置
KR101970035B1 (ko) 2011-11-15 2019-04-17 프로세스 메트릭스, 엘엘씨 컨테이너의 무결성을 감시하기 위한 장치,방법 및 시스템
JP2021067538A (ja) 2019-10-23 2021-04-30 オムロン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KR102093585B1 (ko) 2019-11-07 2020-03-25 고광혁 용기 불량검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96051B (zh) 一种活塞销检测机和检测方法
US89610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substrates
KR101697216B1 (ko) 판유리의 검사 유닛 및 제조 설비
KR101297395B1 (ko) 이차 전지용 극판 비젼 검사 방법
KR20180046549A (ko) 렌즈유닛 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유닛 분류 시스템
KR20140013675A (ko) 전지 검사장치
JPWO2018066230A1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206556697U (zh) 一种陶瓷器皿的三维视觉检测设备
CN109604180B (zh) 一种子弹壳检测机
CN111982507A (zh) 一种汽车发动机齿轮通孔检测装置
KR102673266B1 (ko)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CN113351507A (zh) 包装盒检测设备、制造设备及包装盒检测方法
KR20230049892A (ko) 분체용기용 파손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체용기의 분류 시스템 및 분체용기의 분류 방법
CN210220663U (zh) 烧结机台车轮工作状态检测装置
CN111595849A (zh) 缺陷检测装置
CN218797473U (zh) 一种电芯全自动分类下料机
JP6626241B2 (ja) 対象物検査装置
CN114951020B (zh) 一种产品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N111085463A (zh) 一种分选装置
KR20120077745A (ko) 스트립 이송방법 및 그 장비
US20180176549A1 (en) Multi-view-angle image capturing device and multi-view-angle image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465275B1 (ko) 디스펜싱 마운트 시스템
CN112718540B (zh) 一种基于刀具检测的智能筛选控制方法及其系统
CN112620136B (zh) 基于机器视觉引导的lcr与3d测量定位系统
KR101337563B1 (ko) 감지유닛을 이용하여 매니퓰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