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524B1 -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 Google Patents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524B1
KR102550524B1 KR1020200087382A KR20200087382A KR102550524B1 KR 102550524 B1 KR102550524 B1 KR 102550524B1 KR 1020200087382 A KR1020200087382 A KR 1020200087382A KR 20200087382 A KR20200087382 A KR 20200087382A KR 102550524 B1 KR102550524 B1 KR 10255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ssure
pressure test
transfer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096A (ko
Inventor
주찬규
Original Assignee
주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찬규 filed Critical 주찬규
Priority to KR102020008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5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flexible or elast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7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for verifying the internal pressure of 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압시험의 대상물인 압력용기를 공중에서 좌, 우, 전, 후,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마찰, 충격 등에 의해 압력용기가 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품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Pressure test equipment for pressure containers}
본 발명은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플레이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일부에 용기통과공(120)이 타공형성되며, 상부에 한 쌍의 렉기어(130)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00);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용기(10)를 거치시키는 제1 픽업부재(200);와, 상기 렉기어(130)에 안착되어 전, 후, 좌, 우, 상, 하 3축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제1 픽업부재(200)에 거치된 상기 용기(10)를 공중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용기(10)의 내압시험을 가이드하는 용기이송부재(300);와, 상기 용기통과공(120)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내측에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는 용기안착홈(410)이 형성되는 저장부재(400); 및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를 통해 상기 저장부재(400)로부터 빼낸 상기 용기(10)를 거치시키고 회전시키는 제2 픽업부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이나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압력용기는 그 내부에 천연가스(Natural gas)나 질소 또는 산소 등이 일정한 압력으로 충전되는 튜브 형상의 용기로 제조된다.
이러한 압력용기는 고압가스를 저장하는 용기의 특성상 우수한 기밀성능 및 내압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대부분이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로 제조되며, 압력용기의 제조 직후에는 내압시험과 같은 용기의 성능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필수이다.
한편, 상기한 성능검사를 위해서는 여러 과정이 수행되는데 먼저, 시험 대상이 되는 압력용기를 컨베이어에 세운 후 압력용기 내부에 물 등의 액체를 체운 후 컨베이어를 통해 압력용기를 내압시험을 위한 수조에 삽입시킨 다음 내압시험이 완료되면, 수조로부터 압력용기를 꺼내어 다시 컨베이어를 통해 압력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압력용기로 사용되는 튜브형 용기의 내압시험시에는 용기의 균열이나 팽창률 및 각종 이상 유무를 고압수를 매개체로 하여 검사하게 되는데, 고압수 주입용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약 250㎏㎠ 정도의 수압을 압력용기의 내부에 가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외부로 누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 및 주입된 수압으로 인한 용기의 팽창률과 기타 다른 여러 가지의 이상 유무 등을 검사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내압시험을 위한 장비 중 압력용기를 이송시키는 장치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1의 “수조식 내압검사를 위한 압력용기 이송 및 정위치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0681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수조식 내압검사를 위한 압력용기 이송 및 정위치 장치”는 압력용기 공급용 패널 컨베이어; 상기 압력용기 공급용 패널 컨베이어의 좌우에 압력용기 지름 너비 간격으로 설치된 펜스형 가이드;와, 상기 압력용기 공급용 패널 컨베이어의 일단인 접속부에 설치되는 압력용기 단속 게이트;와, 상기 공급 패널 컨베이어에 접속되고 시간설정에 따라 작동이 단속되며 충수 및 잔류가스 회수 단계와 내압검사 단계로 왕복 이동하는 제1 대차형 패널 컨베이어; 상기 제1 대차형 패널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압력용기를 정위치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를 따라 압력용기를 향해서 연동하여 전후진하는 한 쌍 이상의 제1 센터링 유니 트; 시간설정에 따라 작동이 단속되며 내압검사 단계와 배수단계로 왕복 이동하는 제2 대차형 패널 컨베이어; 상기 제2 대차형 패널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압력용기를 정위치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를 따라 압력용기를 향해서 연동하여 전후진하는 한 쌍 이상의 제2 센터링 유니트;와 상기 제2 대차형 패널 컨베이어와 접속되는 추출용 패널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컨베이어 상 동일한 평면을 유지하여 피검사 압력용기는 전도되거나 기울어짐이 없이 내압검사가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수조식 내압검사를 위한 압력용기 이송 및 정위치 장치”는 압력용기가 컨베이어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이송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압력용기를 컨베이어에 올려놓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압력용기의 바닥면이 닳거나 회손되어 압력용기의 내구성 및 품질 저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06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압시험의 대상물인 압력용기를 공중에서 좌, 우, 전, 후,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마찰, 충격 등에 의해 압력용기가 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품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는, 바닥플레이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일부에 용기통과공(120)이 타공형성되며, 상부에 한 쌍의 렉기어(130)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00);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용기(10)를 거치시키는 제1 픽업부재(200);와, 상기 렉기어(130)에 안착되어 전, 후, 좌, 우, 상, 하 3축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제1 픽업부재(200)에 거치된 상기 용기(10)를 공중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용기(10)의 내압시험을 가이드하는 용기이송부재(300);와, 상기 용기통과공(120)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내측에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는 용기안착홈(410)이 형성되는 저장부재(400); 및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를 통해 상기 저장부재(400)로부터 빼낸 상기 용기(10)를 거치시키고 회전시키는 제2 픽업부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는,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되, 내측에 제1 공간부(311)가 타공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리니어레일(312)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렉기어(130)와 맞물리는 회전기어(313)가 형성되는 하부이송블럭부재(310)와,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되, 내측에 상기 제1 공간부(311)와 연통되는 제2 공간부(321)가 타공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리니어레일(312)에 안착되는 한 쌍의 리니어블럭(322)이 형성되는 상부이송블럭부재(320)와,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접촉되어 압력에 따라 상기 용기(10)를 잡거나 놓아주고, 상기 용기(10)가 상기 저장부재(4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10) 내에 압력을 상승시키는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와,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2 공간부(311, 321)를 통과하는 샤프트부재(340)와, 상기 상부이송블럭부재(320)의 상부측에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부재(340)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재(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이송블럭(310)의 양측에는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상기 용기(10)를 공중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용기(10)의 무게중심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전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렉기어(130)의 하부에 걸려지는 고리형상의 전도방지부재(3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걸림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재(400)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안착홈(410)에 안착되어 내압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10)의 불량으로 인해 상기 용기(10)가 압력에 의해 파손시, 상기 용기(10) 내의 압력이 상기 저장부재(4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압력배출공(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압시험의 대상물인 압력용기를 공중에서 좌, 우, 전, 후,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마찰, 충격 등에 의해 압력용기가 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품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의 작동과정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1)는 크게, 프레임부재(100), 제1 픽업부재(200), 용기이송부재(300), 저장부재(400) 및 제2 픽업부재(5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1)는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장치, 센서, 제어부, 전원인가장치 및 연동되는 구동요소들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도 6을 기준으로 왼쪽을 좌측 또는 일측, 오른쪽을 우측 또는 타측으로 설정하고, 도 10을 기준으로 왼쪽을 전방 또는 전진방향, 오른쪽을 후방 또는 후진방향으로 설정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구성요소들 중 한 쌍 또는 대칭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들이 존재하고,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구성요소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레임부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00)는 도 1 또는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일종의 틀로서, 바닥플레이트(110), 용기통과공(120), 렉기어(130), 이탈방지걸림부재(140) 및 액체공급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플레이트(110)는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부재(110) 하부에 형성되어 내압시험을 시행하거나 마친 용기(10)가 놓여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용기통과공(120)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중앙측에 타공형성된 일종의 구멍으로서, 상기 용기통과공(120)을 통해 후술할 저장부재(400)가 지하로 매립되어 내압시험을 위해 후술할 용기이송부재(30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용기(10)가 상기 저장부재(40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렉기어(130)는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상부에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이송부재(300)의 좌, 우 이동을 가이드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걸림부재(14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상부 양측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재질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상기 프레임부재(100)을 벗어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체공급부(150)는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압시험 준비를 위해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위치된 용기(10) 내부에 물 등의 액체를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제1 픽업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픽업부재(2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위치된 용기(10)를 잡아 고정시키거나 놓아서 고정해제시켜주는 구성요소로서, 제1 측플레이트(210), 제1 가압핸들(220) 및 제1 가이드레일(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측플레이트(210)는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후면측에 고정되는 일종의 판(版)이다.
상기 제1 가압핸들(220)은 상기 제1 측플레이트(210)의 전면에 대칭으로 이루어져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벌어진다.
상기 제1 가이드레일(230)은 상기 제1 측플레이트(21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가압핸들(22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다음으로, 용기이송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는 도 2,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렉기어(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전, 후, 좌, 우, 상, 하 3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용기(10)를 공중에서 이동시키고, 용기(10)의 내압시험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하부이송블럭부재(310), 상부이송블럭부재(320),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00), 샤프트부재(340) 및 실린더부재(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는 상기 렉기어(1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 공간부(311), 리니어레일(312), 회전기어(313), 전도방지부재(314), 걸림돌기(315), 제1 회전샤프트(316) 및 지지찬넬(3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공간부(311)는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일종의 공간으로서, 후술할 샤프트부재(340)가 통과되어 후술할 실린더부재(350)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리니어레일(312)은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상부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리니어블럭(322)이 안착되어 후술할 상부이송블럭부재(320)의 전, 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찬넬(317)은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1 회전샤프트(31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회전샤프트(315)는 상기 지지찬넬(317)에 의해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구성요소로서, 전면 및 후면에는 후술할 회전기어(313)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기어(313)은 상기 제1 회전샤프트(315)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렉기어(130)와 맞물려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좌, 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도방지부재(314)는 상기 하부이송블럭(310)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 걸림돌기(315)를 포함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가 상기 렉기어(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315)가 상기 렉기어(130)의 하부면에 걸려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상기 용기(10)를 공중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용기(10)의 무게중심 이동에 따라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상부이송블럭부재(320)는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요소로서, 제2 공간부(321) 및 리니어블럭(3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공간부(321)는 상기 상부이송블럭부재(3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일종의 공간으로서, 상기 제1 공간부(3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샤프트부재(340)가 통과되어 후술할 실린더부재(350)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리니어블럭(322)은 상기 상부이송블럭부재(320)의 하부에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니어레일(312)에 안착된다.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는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접촉되어 압력에 따라 상기 용기(10)를 잡거나 놓아주고, 상기 용기(10)가 상기 저장부재(4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부재(400)를 밀폐시킨 후 상기 용기(10) 내에 압력을 상승시켜 내압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2019년 01월 21일 출원된 “용기 내압시험용 자동 탈고착장치(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07337호)”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샤프트부재(340)는 상기 제1, 2 공간부(311, 321)를 통과하여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와 후술할 실린더부재(350)를 연결시켜 주고, 상기 실린더부재(350)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의 상, 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실린더부재(350) 상기 상부이송블럭부재(32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40)와 연결된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저장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저장부재(4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용기통과공(120)을 통해 지하에 매립되어 용기(10)의 내압시험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저장부재(400)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는 용기안착홈(4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재(400)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안착홈(410)으로부터 연통되어 외부로 타공형성되는 압력배출공(420)이 더 구비됨으로써, 용기(10)가 상기 용기안착홈(410)에 안착되어 내압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용기(10)의 불량으로 인해 용기(10)가 압력에 의해 파손하는 경우, 용기(10) 내의 압력이 상기 저장부재(400)의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저장부재(400)의 파손 및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해 준다.
다음으로, 제2 픽업부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픽업부재(5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픽업부재(200)의 반대편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를 통해 상기 저장부재(400)로부터 빼낸 용기(10)를 잡아 고정시키거나 놓아서 고정해제시켜주고,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2 측플레이트(510), 제2 가압핸들(520), 제2 가이드레일(530), 제2 회전샤프트(540), 기어부(550) 및 모터부(5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측플레이트(510), 제2 가압핸들(520) 및 제2 가이드레일(530)은 상기한 제1 픽업부재(20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회전샤프트(520)는 상기 제2 측플레이트(51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기어부(550)는 상기 회전샤프트(5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일종의 기어로서 후술할 모터부(560)의 샤프트기어(미도시)와 맞물려 상기 모터부(560)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5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모터부(560)는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기어부(550)와 맞물려 상기 회전샤프트(5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초 외부로부터 용기(10)가 상기 제1 픽업부재(200)가 위치한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놓여지면, 상기 제1 픽업부재(200)가 용기(10)를 잡아 고정시키고, 상기 액체공급부(150)를 통해 물 등의 액체를 용기(10) 내에 주입시킨다. 이때,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는 용기(10)의 상부측에 대기한 상태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10) 내에 액체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부재(3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가 하강하여 용기(10)의 주입구와 맞닿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를 구동하여 압력을 통해 용기(10)가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에 매달려 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픽업부재(200)가 용기(10)를 놓아 고정해제시키면, 상기 실린더부재(3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가 상승하여 용기(10)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후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부이송블럭부재(320)가 전진하여 용기(10)가 상기 제1 픽업부재(200)로부터 이탈시킨다.
다음으로,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10)가 수직상 상기 저장부재(400)의 상공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가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10)가 수직상 상기 저장부재(400)의 상공에 위치되면, 상기 실린더부재(3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가 하강하여 용기(10)를 상기 용기안착홈(410)에 안착시킨후 상기 저장부재(400)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한 후 내압시험을 시행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10)의 내압시험이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부재(3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가 상승하여 용기(10)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후 용기(10)가 수직상 상기 제2 픽업부재(500)의 상공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가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10)가 상기 제2 픽업부재(500)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이송블럭부재(320)를 후진시킨다.
다음으로,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실린더부재(3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가 하강하여 용기(10)가 상기 제2 픽업부재(500)가 위치한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놓여지면,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를 통해 용기(10) 내의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와 용기(10)가 분리되고, 분리된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은 상승 시킨다. 이후 제2 픽업부재(500)는 용기(10)를 잡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10)가 상기 제2 픽업부재(5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부(560)를 가동하여 용기(10)를 180°로 회전시켜 용기(10) 내의 액체를 배출시킨 후, 액체의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반대방향으로 180°로 회전시켜 용기(10)를 바로 세운 후 내압시험이 완료된 용기(10)는 장비에 의해 외부로 이송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100: 프레임부재
110: 바닥플레이트 120: 용기통과공
130: 렉기어 140: 이탈방지걸림부재
150: 액체공급부
200: 제1 픽업부재
210: 제1 측플레이트 220: 제1 가압핸들
230: 제1 가이드레일
300: 용기이송부재
310: 하부이송블럭부재 311: 제1 공간부
312: 리니어레일 313: 회전기어
314: 전도방지부재 315: 걸림돌기
316: 제1 회전샤프트 317: 지지찬넬
320: 상부이송블럭부재 321: 제2 공간부
322: 리니어블럭
330: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
340: 샤프트부재
350: 실린더부재
400: 저장부재
410: 용기안착홈 420: 압력배출공
500: 제2 픽업부재
510: 제2 측플레이트 520: 제2 가압핸들
530: 제2 가이드레일 540: 제2 회전샤프트
550: 기어부 560: 구동부

Claims (5)

  1. 바닥플레이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일부에 용기통과공(120)이 타공형성되며, 상부에 한 쌍의 렉기어(130)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00);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용기(10)를 거치시키는 제1 픽업부재(200);
    상기 렉기어(130)에 안착되어 전, 후, 좌, 우, 상, 하 3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픽업부재(200)에 거치된 상기 용기(10)를 공중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용기(10)의 내압시험을 가이드하는 용기이송부재(300);
    상기 용기통과공(120)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내측에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는 용기안착홈(410)이 형성되는 저장부재(400); 및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후면측에 고정되는 제2 측플레이트(510)와, 상기 제2 측플레이트(5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는 제2 가압핸들(520)와, 상기 제2 측플레이트(51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530)와, 상기 제2 측플레이트(51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샤프트(540)와, 상기 회전샤프트(540)의 타측에 형성되는 기어부(550)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기어부(550)와 맞물려 상기 회전샤프트(54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560)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를 통해 상기 저장부재(400)로부터 빼낸 상기 용기(10)를 거치시키고 회전시키는 제2 픽업부재(500);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이송부재(300)는,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되, 내측에 제1 공간부(311)가 타공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리니어레일(312)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렉기어(130)와 맞물리는 회전기어(313)가 형성되는 하부이송블럭부재(310)와,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되, 내측에 상기 제1 공간부(311)와 연통되는 제2 공간부(321)가 타공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리니어레일(312)에 안착되는 한 쌍의 리니어블럭(322)이 형성되는 상부이송블럭부재(320)와,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접촉되어 압력에 따라 상기 용기(10)를 잡거나 놓아주고, 상기 용기(10)가 상기 저장부재(4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10) 내에 압력을 상승시키는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와,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2 공간부(311, 321)를 통과하는 샤프트부재(340)와,
    상기 상부이송블럭부재(320)의 상부측에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부재(340)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내압시험 탈고착장치(33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재(35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이송블럭부재(310)의 양측에는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상기 용기(10)를 공중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용기(10)의 무게중심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전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렉기어(130)의 하부에 걸려지는 고리형상의 전도방지부재(314)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이송부재(300)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걸림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1).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400)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안착홈(410)에 안착되어 내압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10)의 불량으로 인해 상기 용기(10)가 압력에 의해 파손시, 상기 용기(10) 내의 압력이 상기 저장부재(4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압력배출공(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1).

KR1020200087382A 2020-07-15 2020-07-15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KR102550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382A KR102550524B1 (ko) 2020-07-15 2020-07-15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382A KR102550524B1 (ko) 2020-07-15 2020-07-15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096A KR20220009096A (ko) 2022-01-24
KR102550524B1 true KR102550524B1 (ko) 2023-07-03

Family

ID=8004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382A KR102550524B1 (ko) 2020-07-15 2020-07-15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850B1 (ko) * 2022-03-29 2022-10-06 (자)제일소방전설공사 가스용기 무게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7291A (ja) * 2002-09-27 2004-04-15 Daido Tec Kk 非水槽式耐圧試験方法及びその試験装置
CN105424489A (zh) * 2015-12-22 2016-03-23 长庆石油勘探局技术监测中心 一种碳纤维气瓶检测线及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181B1 (ko) * 1997-12-31 2000-03-02 박재식 압력용기내압 검사방법 및 장치
KR100850681B1 (ko) 2007-11-23 2008-08-06 홍종승 수조식 내압검사를 위한 압력용기 이송 및 정위치 장치
KR102003394B1 (ko) * 2017-12-28 2019-07-24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용기용 혼합형 팽창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7291A (ja) * 2002-09-27 2004-04-15 Daido Tec Kk 非水槽式耐圧試験方法及びその試験装置
CN105424489A (zh) * 2015-12-22 2016-03-23 长庆石油勘探局技术监测中心 一种碳纤维气瓶检测线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096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524B1 (ko)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KR101278451B1 (ko) 백-인-박스 방식의 포장시스템
KR101780859B1 (ko)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KR100478817B1 (ko) 굴착 파이프 보관 장치, 굴착 파이프 취급 장치, 및 굴착 파이프 보관 방법
CN101288935B (zh) 一种集装箱门端组装台
JPH086305B2 (ja) 半水没型掘削船
KR101479308B1 (ko) 용접튜브용 수압 및 공압 겸용 테스트장치
KR101138007B1 (ko)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CN114824691B (zh) 一种软包电池注液设备
CN109051067A (zh) 中药煎药系统循环上料装置
CN110155856B (zh)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CN111828831B (zh) 一种液氯包装一体化装置
JP5895020B2 (ja) 燃料要素の搬送の為の搬送装置
CN114701742B (zh) 一种煤矿机械用运输装置
CN210277629U (zh) 安葬工作系统
CN206609569U (zh) 高型电池水检装置
JP2003057388A (ja) 貯蔵キャスク反転装置
JP3803211B2 (ja) カプセル輸送設備
US3298746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101408851B1 (ko) 타이어 공기 주입장치
KR102170552B1 (ko) 더블 로터리 방식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 장치, 상기 더블 로터리 방식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 장치를 구성하는 스파우트 파우치 공급 유닛 및 스파우트 파우치 캡핑 유닛
CN116586418B (zh) 一种可缓释药剂的污染土壤原位修复用埋置桩及修复方法
CN206606986U (zh) 一种升降装置的强制开合机构
KR200469814Y1 (ko) 캔용기 기밀 테스트장치
CN114593883B (zh) 一种气瓶水压试验设备及试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