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161B1 -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1161B1 KR101291161B1 KR1020130053710A KR20130053710A KR101291161B1 KR 101291161 B1 KR101291161 B1 KR 101291161B1 KR 1020130053710 A KR1020130053710 A KR 1020130053710A KR 20130053710 A KR20130053710 A KR 20130053710A KR 101291161 B1 KR101291161 B1 KR 101291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door
- closing door
- sensor unit
- doo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수장치가 개시된다. 차수장치는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에 설치되는 차수장치로서, 상기 통로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벽면 및 제2 벽면에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도어틀 및 제2 도어틀; 일측이 상기 제1 도어틀을 기준으로 좌, 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도어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 도어틀에 여닫히면서 상기 통로의 내측을 상기 통로의 외측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개폐도어; 상기 제1 도어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피스톤이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 내외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개폐도어를 회전시키는 실린더장치; 상기 제1 벽면 또는 상기 제2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콘트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또는 도로의 경계 등 유체의 유입이 가능할 수 있는 통로에 설치되어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수장치는 건물 또는 도로의 경계 등 유체의 유입이 가능할 수 있는 통로에 설치되어 많은 양의 폭우로 인한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건물은 다수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주차시설, 즉 지하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으며, 지하주차장의 입구는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지상과 직접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건물의 지하주차장은 대부분 입구가 지상과 통하도록 오픈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장마철 많은 양의 비가 내려서 빗물이 불어나는 경우에 불어난 빗물은 지하주차장 내부로 그대로 유입되어 지하주차장 내부에 주차된 차량 및 전기설비들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주차장의 내부로 불어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지하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 차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수장치는 설치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구동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한편 종래의 차수장치에는 개폐도어가 구비될 수 있고,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것에 의해 빗물 등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수장치는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가 완전히 닫혔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차수장치는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 주변으로 장애물이 출현하는 경우, 장애물의 출현을 인식하는 과정 없이 개폐도어의 밀폐 과정이 계속되었다. 이에 의해, 장애물이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인명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및 작동이 간단해질 수 있고, 개폐도어의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출현하는 것을 감지하여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을 중지시킬 수 있고, 실린더장치의 파손 및 작동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수장치는,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에 설치되는 차수장치로서, 상기 통로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벽면 및 제2 벽면에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도어틀 및 제2 도어틀; 일측이 상기 제1 도어틀을 기준으로 좌, 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도어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 도어틀에 여닫히면서 상기 통로의 내측을 상기 통로의 외측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개폐도어; 상기 제1 도어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피스톤이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 내외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개폐도어를 회전시키는 실린더장치; 상기 제1 벽면 또는 상기 제2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콘트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수장치는,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개폐도어의 제1 면이 맞닿는 상기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센서부; 상기 개폐도어가 닫힐 때 상기 개폐도어의 제2 면의 단부측이 맞닿는 상기 제2 도어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벽면 또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을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개폐도어의 밀폐를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기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차수장치는, 제3 센서부; 제4 센서부;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 및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제1 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제4 센서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제2 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는 상기 제1 면이 맞닿는 상기 제1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제1 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는 제1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제2 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개폐도어가 밀폐되도록 상기 실린더장치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4 센서부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및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실린더장치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3 센서부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 상기 제3 센서부, 상기 제4 센서부, 상기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 및 상기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센서부 및 상기 제4 센서부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된 이후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 및 상기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상기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 및 상기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는, 상기 제1 벽면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권취되어 있고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권취릴과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한 구동시 상기 와이어의 풀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권취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있고, 입구단 및 출구단을 포함하는 냉각수 순환관; 상기 입구단 및 냉각수 공급원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공급원으로부터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입구단으로 보내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순환관 내를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 및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설치된 온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센서 및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현재온도값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온도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현재온도값이 상기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는, 상기 개폐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다수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냉각수 분사장치; 및 상기 냉각수 순환관과 상기 냉각수 공급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분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 순환관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분배관을 통해 상기 냉각수 공급관으로 분배되어, 상기 냉각수 공급관 내로 공급된 냉각수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제2 면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수장치에 의하면, 설치 및 작동이 간단해질 수 있고, 개폐도어의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출현하는 것을 감지하여 개폐도어가 밀폐되는 과정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장애물이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실린더장치의 파손 및 작동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개폐도어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냉각수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개폐도어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냉각수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 및 도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물 내의 지하주차시설의 출입 통로, 건물 외의 도로와 건물 외곽의 건물로 통하는 출입구, 간선도로 및 이면도로 사이의 경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많은 양의 비에 의해 불어난 빗물 등이 건물의 내부 또는 이면도로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에서 이러한 차수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개폐도어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수장치는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은 개폐도어(110)의 개폐시 개폐도어(110)가 안착(밀착)되기 위한 부분이다.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은 통로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벽면(1a) 및 제2 벽면(1b)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어틀(2a)은 제1 벽면(1a)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도어틀(2b)은 제2 벽면(1b)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110)는 통로 내로 유입될 수 있는 빗물 등을 차단할 수 있다. 개폐도어(110)는 일 예로, 개폐도어(11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수 있다. 이러한 개폐도어(110)는 일측이 상기 제1 도어틀(2a)을 기준으로 좌, 우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개폐도어(110)의 일측이 제1 도어틀(2a)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좌, 우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연결된 일측의 반대편은 제2 도어틀(2b)에 맞닿거나 이격되면서 제2 도어틀(2b)에 여닫힐 수 있다. 이에 의해 통로가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120)는 개폐도어(1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린더장치(120)는 실린더(121) 및 피스톤(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장치(120)는 예를 들면, 제1 도어틀(2a)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121)는 제1 도어틀(2a)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피스톤(122)은 실린더(121) 내를 왕복할 수 있다.
피스톤(122)은 실린더(121) 내에 위치하여 실린더(121)의 내, 외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피스톤(122)은 실린더(121)의 내, 외로 직선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122)의 전단부는 개폐도어(110)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장치(120)들에는 피스톤(122)의 왕복운동을 위한 공압 또는 유압의 동력원을 실린더(121) 내에 공급하기 위한 유압장치(미도시) 또는 공압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콘트롤장치(130)는 실린더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장치(130)는 제1 제어부(13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제어부(131)는 실린더장치(120)들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와 연결되어, 이들을 작동시키며, 이에 의해 실린더장치(120)가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장치(130)는 예를 들면, 실린더장치(120)가 설치되어 있는 제1 벽면(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수장치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날에 미리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를 밀폐하여 불어나는 빗물이 건물 내의 지하주차시설의 내부, 건물의 내부, 이면도로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트롤장치(130)를 조작하여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31)에 의해 실린더장치(120)가 구동되며, 이때, 실린더장치(120)의 피스톤(122)이 실린더(121)의 외부로 인출되고, 이에 의해 개폐도어(110)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2와 같이 개폐도어(110)의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통로를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상기 통로의 내측으로 불어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수장치는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 제1 센서부(141); 제2 센서부(142); 경보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수장치의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제1 센서부(141), 제2 센서부(142), 경보기(15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센서부(141)는 개폐도어(110)가 개방될 때 개폐도어(110)의 제1 면(111)이 맞닿는 제1 벽면(1a)에 설치될 수 있고, 개폐도어(110)가 상기 제1 벽면(1a)에 맞닿게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부(141)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부(141)는 제1 제어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감지신호를 제1 제어부(131)로 입력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42)는 개폐도어(110)가 닫힐 때 개폐도어(110)의 제2 면(112)의 단부측이 맞닿는 제2 도어틀(2b)에 설치될 수 있고, 개폐도어(110)가 상기 제2 도어틀(2b)에 맞닿게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센서부(142)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부(142)는 제1 제어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감지신호를 제1 제어부(131)로 입력할 수 있다.
경보기(150)는 제1 센서부(141) 및 제2 센서부(14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경보기(150)는 제1 제어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보기(150)는 통로 주변의 제1 벽면(1) 또는 제2 벽면(1b)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경보기(150)는 예를 들면, 경보음 및 점멸광을 출력하는 사이렌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보기(150)의 형태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콘트롤장치(130)의 제1 제어부(131)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센서부(141), 제2 센서부(142) 및 경보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센서부(141) 및 제2 센서부(142)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제1 제어부(131)로 입력될 수 있고, 개폐도어(110)의 개방을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1 센서부(141)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개폐도어(110)의 밀폐를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2 센서부(14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기(150)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수장치는 개폐도어(110)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 제어부(131)의 제어가 시작된 이후에 개폐도어(110)가 안전하게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과정과 같다.
개폐도어(110)의 개방을 위해, 제1 제어부(131)는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다. 실린더장치(120)가 작동되면 피스톤(122)의 전진 작동에 의해 개폐도어(110)가 제1 벽면(1a)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실린더장치(120)의 작동오류로 인해 개폐도어(110)가 완전히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 제1 센서부(141)는 제1 벽면(1a)을 향해 회전되는 개폐도어(110)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센서부(141)는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제1 제어부(131)는 실린더장치(120)가 작동된 이후 제1 센서부(141)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가 없는 것을 인식하여 경보기(150)를 작동시킨다.
개폐도어(110)를 닫기 위해, 제1 제어부(131)는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다. 실린더장치(120)가 작동되면 피스톤(122)의 후진 작동에 의해 개폐도어(110)가 제2 도어틀(2b)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실린더장치(120)의 작동오류로 인해 개폐도어(110)가 완전히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 제2 센서부(142)는 제2 도어틀(2b)을 향해 회전되는 개폐도어(110)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센서부(142)는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제1 제어부(131)는 실린더장치(120)가 작동된 이후 제2 센서부(14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가 없는 것을 인식하여 경보기(150)를 작동시킨다.
경보기(150)가 작동되면 차수장치가 설치된 장소 주변으로 차수장치의 이상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개폐도어(110)의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조취가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콘트롤장치의 구성 및 콘트롤장치와 다른 요소들과의 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차수장치는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 제1 센서부(141); 제2 센서부(142); 경보기(150); 제3 센서부(161); 제4 센서부(162);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 및 제2 제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32)는 콘트롤장치(1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 제1 센서부(141), 제2 센서부(142), 경보기(15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차수장치의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 제1 센서부(141), 제2 센서부(142), 및 경보기(15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제3 센서부(161), 제4 센서부(162),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 및 제2 제어부(132)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센서부(161)는 개폐도어(110)의 제1 면(111)에 설치되어 개폐도어(110) 주변에 장애물 출현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센서부(161)는 개폐도어(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장애물 출현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센서부(161)는 근접센서일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3 센서부(161)는 제1 제어부(131) 및 제2 제어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센서부(161)는 상기 개폐도어(110)가 밀폐되도록 상기 제1 제어부(131)에 의해 상기 실린더장치(120)가 구동될 때 활성화되도록 설정되며, 제3 센서부(161)의 활성화는 제1 제어부(131)에 의할 수 있다.
제4 센서부(162)는 개폐도어(110)의 제2 면(112)에 설치되어 개폐도어(110) 주변에 장애물 출현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제4 센서부(162)는 개폐도어(110)가 밀폐된 상태에서 장애물 출현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4 센서부(162)는 근접센서일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4 센서부(162)는 제1 제어부(131) 및 제2 제어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센서부(161)는 상기 개폐도어(110)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제어부(131)에 의해 상기 실린더장치(120)가 구동될 때 활성화되도록 설정되며, 제4 센서부(162)의 활성화는 제1 제어부(131)에 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센서부(161) 및 제4 센서부(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부(131)는 개폐도어(110)가 개방되도록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 이후 제3 센서부(161)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실린더장치(12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개폐도어(110)가 밀폐되도록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 이후 제4 센서부(16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실린더장치(12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및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는 각각 개폐도어(110)에 연결되어 개폐도어(11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는 제1 벽면(1a)에 설치되어 개폐도어(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폐도어(110)가 밀폐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는 제1 벽면(1a)에 설치되어 개폐도어(110)가 밀폐된 상태에서 개폐도어(110)가 개방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및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는 각각 권취릴(171a, 172a), 와이어(171b, 172b), 구동모터(171c, 172c)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릴(171a, 172a)은 와이어(171b, 172b)를 권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 예로, 권취릴(171a, 172a)은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 벽면(1)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71b, 172b)는 권취릴(171a, 172a)에 권취될 수 있다. 와이어(171b, 172b)의 일단은 개폐도어(110)에 고정되어 있고, 개폐도어(110)가 밀폐되는 경우 개폐도어(110)를 따라 권취릴(171a, 172a)로부터 자유롭게 풀릴 수 있다. 반대로, 와이어(171b, 172b)는 개폐도어(110)가 개방되거나 밀폐되는 경우 권취릴(171a, 172a)에 다시 감길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권취릴(171a, 172a)에는 탄성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장치는 권취릴(171a, 172a)에서 와이어가 풀리면서 회전된 권취릴(171a, 172a)을 와이어(171b, 172b)가 풀리는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권취릴(171a, 172a)을 탄성적으로 자동 회전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장치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태엽 스프링 형태의 탄성장치일 수 있다.
구동모터(171c, 172c)는 권취릴(171a, 172a)을 와이어(171b, 172b)의 풀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171c, 172c)는 권취릴(171a, 172a)과 회전축(171d, 172d)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171c, 172c)는 제2 제어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제어부(13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32)는 제1 제어부(131), 제3 센서부(161) 및 제4 센서부(162), 구동모터(171c, 17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센서부(161) 및 제4 센서부(16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된 이후 제1 제어부(13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실린더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171c, 172c)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차수장치는 개폐도어(110)가 개방되거나 밀폐되도록 회전될 때 개폐도어(110)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개폐도어(110)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즉, 차수장치는 폭우 등이 예상되는 경우 개폐도어(110)를 미리 밀폐하게 되는데, 이때 개폐도어(110)의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개폐도어(110)의 밀폐를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애물은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대형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은 중요하다. 개폐도어(110)의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개폐도어(110)의 회전을 중지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폭우 등이 예상되는 경우, 개폐도어(110)는 제1 제어부(13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110)가 밀폐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110)의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장애물은 제3 센서부(16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3 센서부(161)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감지신호는 제1 센서부(141) 및 제2 센서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31)로 제3 센서부(161)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부(131)는 개폐도어(110)를 밀폐방향(제2 도어틀을 향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실린더장치(1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폭우 등으로 인해 불어난 빗물이 모두 제거된 경우, 밀폐되었던 개폐도어(110)는 제1 제어부(131)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11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110)의 주변에 장애물이 출현되는 경우, 장애물은 제4 센서부(16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4 센서부(162)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감지신호는 제1 제어부(131) 및 제2 제어부(132)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31)로 제4 센서부(162)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부(131)는 개폐도어(110)를 개방방향(제1 벽면을 향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실린더장치(1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에 의해, 개폐도어(110)의 주변에 출현된 장애물이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개폐도어(110)가 밀폐되는 것에 의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만약, 제1 제어부(131)의 파손이 발생되면 개폐도어(110)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된 실린더장치(120)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고 작동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앞서 언급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제2 제어부(132) 및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및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즉, 제3 센서부(161) 또는 제4 센서부(16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된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3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제2 제어부(132)는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또는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의 구동모터(171c, 172c)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71c, 172c)는 권취릴(171a, 172a)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171d, 172d)을 권취릴(171a, 172a)로부터 풀리는 와이어(171b, 172b)의 풀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71d, 172d)의 회전은 관리자에 의해 실린더장치(120)의 작동이 정지되기 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린더장치(120)가 개폐도어(110)를 회전시키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개폐도어(110)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31)가 파손되어 실린더장치(120)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개폐도어(110)의 회전 과정이 중지되어 개폐도어(110)의 주변에 출현된 장애물이 차량 또는 사람인 경우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수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는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 냉각수 순환관(210); 펌프(220); 및 온도측정센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 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수장치의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 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냉각수 순환관(210); 펌프(220); 및 온도측정센서(23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냉각수 순환관(210)은 실린더장치(120)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냉각수 순환관(210)은 실린더장치(120)의 실린더(121)의 외면에 설치된다. 즉, 냉각수 순환관(210)은 실린더(121)의 외면에 실린더(121)의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 순환관(210)은 입구단(211) 및 출구단(212)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단(211)은 펌프(220)에 연결될 수 있고, 출구단(212)은 실린더(121)의 외면에 감겨지면서 연장되어 냉각수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입구단(211)은 냉각수 공급원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단부이고, 출구단은 냉각수 순환관(210) 전체를 통과하여 냉각수 공급원으로 냉각수가 회수되도록 냉각수가 배출되는 단부일 수 있다.
펌프(220)는 냉각수 공급원으로부터 냉각수를 펌핑하여 냉각수 순환관(210) 내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펌프(220)는 냉각수 순환관(210)의 입구단(211)과 연결될 수 있고, 냉각수 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된 공급배관(3)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220)는 공급배관(3)을 통해 냉각수 공급원에 저장된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입구단(211)측으로 보내고, 이에 의해 냉각수 순환관(210) 내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온도측정센서(230)는 개폐도어(110) 주변의 실외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측정센서(230)는 개폐도어(110)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개폐도어(110)의 제2 면(1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센서(230)는 제1 제어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현재온도값을 제1 제어부(131)로 입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1)는 온도측정센서(230) 및 상기 펌프(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230)에서 측정된 현재온도값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온도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현재온도값이 상기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펌프(220)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는, 온도측정센서(230)가 개폐도어(110) 주변의 실외온도를 측정하여 실외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냉각수를 순환시켜서 실린더장치(1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온도측정센서(230)는 실시간으로 개폐도어(110) 주변의 실외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현재온도값은 제1 제어부(131)로 입력된다. 제1 제어부(131)는 입력된 현재온도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는 기준온도값보다 높은 온도값을 갖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 제어부(131)로 입력된 현재온도값이 기준온도값 이상이면 제1 제어부(131)는 펌프(220)를 구동시킨다. 구동된 펌프(220)는 냉각수 공급원으로부터 냉각수를 펌핑하여 냉각수 순환관(210) 내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냉각수 순환관(210)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냉각수 순환관(210)을 지나면서 다시 냉각수 공급원으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냉각수 순환관(210)으로 냉각수가 순환되면 냉각수 순환관(210)은 실린더장치(120)의 실린더(121) 외면을 감싸고 있으므로 실린더장치(120)의 상승된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차수장치는 실외 온도가 높게 상승하는 여름철에 실린더장치(120)가 가열되어 실린더장치(120)의 과열로 인한 파손 및 작동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냉각수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는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 냉각수 순환관(210); 펌프(220); 온도측정센서(230); 냉각수 분사장치(240); 및 분배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개폐도어(110); 실린더장치(120); 콘트롤장치(13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고, 냉각수 순환관(210); 펌프(220); 및 온도측정센서(23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냉각수 순환관(210); 펌프(220); 및 온도측정센서(23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 8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며, 이하에서는 냉각수 분사장치(240); 및 분배관(25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냉각수 분사장치(240)는 개폐도어(110)의 표면을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수 분사장치(240)는 개폐도어(110)의 제2 면(112)을 향해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수 분사장치(240)는 냉각수 공급관(241) 및 분사노즐(242)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관(241)은 개폐도어(11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수 공급관(241)은 원통형의 긴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 공급관(241)은 분배관(250)을 통해 냉각수 순환관(210)과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펌프(220)를 통해 펌핑되어 냉각수 순환관(21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분배되어 냉각수 공급관(24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분사노즐(242)은 냉각수 공급관(241)으로 공급된 냉각수를 냉각수 공급관(241)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노즐(242)은 냉각수 공급관(241)을 따라 다수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노즐(242)의 분사방향은 개폐도어(110)의 제2 면(112)을 향해 있을 수 있다.
분배관(250)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냉각수를 냉각수 공급관(241)으로 공급하기 위한 관일 수 있다. 분배관(250)은 냉각수 순환관(210) 및 냉각수 공급관(24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차수장치는, 펌프(220)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 순환관(21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분배관(250)을 통해 상기 냉각수 공급관(241)으로 분배되어, 상기 냉각수 공급관(241) 내로 공급된 냉각수가 상기 분사노즐(242)을 통해 상기 개폐도어(110)의 상기 제2 면(112)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외 온도가 높게 상승하는 여름철에 뜨거워지는 개폐도어(110)의 표면을 식힐 수 있을 뿐 아니라, 개폐도어(110)의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피스톤(122)의 둘레에는 코팅층이 형성된다. 피스톤(122)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피스톤(122)은 소재가공공정, 열처리공정, 최종가공공정, 코팅공정 및 연마공정 순서로 나누어지며, 코팅 공정은, 가공된 실린더로드의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작업, 클리닝(cleaning)작업을 수행한 후 그 둘레에 코팅층을 형성시킨다.
이 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피스톤(122)의 둘레에 용사되어 이루어진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코팅층이 피스톤(122)의 둘레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피스톤(122)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피스톤(122)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에 이산화티타늄(TiO2) 2∼4%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피스톤(122)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피스톤(122)의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피스톤(122)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피스톤(122)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피스톤(122)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400㎛으로 용사한 후 다이아몬드휠(Diamond Wheel) 및 필름(Film)을 이용하여 50∼600㎛으로 랩핑한다.
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피스톤(122)에 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피스톤(122)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피스톤(122)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피스톤(122)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도포된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에 빈번히 노출되는 피스톤(122)의 둘레에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피스톤(122)이 산화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차수장치의 수명이 연장되어서 유지 보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도어(110)의 외면에는 살균, 소독 기능 등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며, 이에 따라 살균, 살충 등의 작용을 하여 개폐도어(110)의 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택사 50중량%, 휀넬(Fenne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택사(Alisma canaliculatum)는 택사과(Alismataceae)에 속하고, 세균 독성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작용 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휀넬(Fennel)은 아니시드, 카라웨이, 코리안더 등과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화학적 구성요소로는 anethol, estragol, camphene 등을 들 수 있으며 항균, 살균효과 등이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개폐도어(110)의 외면에 코팅됨에 따라 살균, 살충 등의 작용을 하여 개폐도어(110)의 외면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110 : 개폐도어 120 : 실린더장치
121 : 실린더 122 : 피스톤
130 : 콘트롤장치 131 : 제1 제어부
132 : 제2 제어부 141 : 제1 센서부
142 : 제2 센서부 150 : 경보기
161 : 제3 센서부 162 : 제4 센서부
171 :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 172 :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
210 : 냉각수 순환관 220 : 펌프
230 : 온도측정센서 240 : 냉각수 분사장치
241 : 냉각수 공급관 242 : 분사노즐
121 : 실린더 122 : 피스톤
130 : 콘트롤장치 131 : 제1 제어부
132 : 제2 제어부 141 : 제1 센서부
142 : 제2 센서부 150 : 경보기
161 : 제3 센서부 162 : 제4 센서부
171 :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 172 :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
210 : 냉각수 순환관 220 : 펌프
230 : 온도측정센서 240 : 냉각수 분사장치
241 : 냉각수 공급관 242 : 분사노즐
Claims (6)
-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에 설치되는 차수장치로서,
상기 통로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벽면(1a) 및 제2 벽면(1b)에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일측이 상기 제1 도어틀(1b)을 기준으로 좌, 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도어틀(2a)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 도어틀(2b)에 여닫히면서 상기 통로의 내측을 상기 통로의 외측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개폐도어(110);
상기 제1 도어틀(2a)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피스톤(122)이 상기 개폐도어(110)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122)이 실린더(121) 내외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개폐도어(110)를 회전시키는 실린더장치(120);
상기 제1 벽면(1a) 또는 상기 제2 벽면(1b)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131)를 포함하고 있는 콘트롤장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110)가 개방될 때 상기 개폐도어(110)의 제1 면(111)이 맞닿는 상기 제1 벽면(1a)에 설치되는 제1 센서부(141);
상기 개폐도어(110)가 닫힐 때 상기 개폐도어(110)의 제2 면(112)의 단부측이 맞닿는 상기 제2 도어틀(2b)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센서부(142); 및
상기 제1 벽면(1a) 또는 제2 벽면(1b)에 설치되는 경보기(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131)는 상기 개폐도어(110)의 개방을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1 센서부(141)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개폐도어(110)의 밀폐를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2 센서부(14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기(150)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제3 센서부(161); 제4 센서부(162);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 및 제2 제어부(1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161)는 상기 개폐도어(110)의 상기 제1 면(111)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11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제4 센서부(162)는 상기 개폐도어(110)의 상기 제2 면(112)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11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는 상기 제1 면(111)이 맞닿는 상기 제1 벽면(1a)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110)의 상기 제1 면(11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는 상기 제1 벽면(111)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110)의 상기 제2 면(112)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제어부(131)는 상기 개폐도어(110)가 밀폐되도록 상기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4 센서부(16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및 상기 개폐도어(110)가 개방되도록 상기 실린더장치(120)를 구동시킨 이후 상기 제3 센서부(161)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장치(12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제어부(132)는 상기 제1 제어부(131), 상기 제3 센서부(161), 상기 제4 센서부(162), 상기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및 상기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센서부(161) 및 상기 제4 센서부(16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된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3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및 상기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도어회전 차단장치(171) 및 상기 제2 도어회전 차단장치(172)는,
상기 제1 벽면(1a)에 설치되는 권취릴(171a, 172a);
상기 권취릴(171a, 172a)에 권취되어 있고 상기 개폐도어(110) 에 연결되는 와이어(171b, 172b);
상기 권취릴(171a, 172a)과 회전축(171d, 172d)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171c, 172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171c, 172c)는 상기 제2 제어부(132)에 의한 구동시 상기 와이어(171b, 172b)의 풀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권취릴(171a, 172a)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통로에 설치되는 차수장치로서,
상기 통로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벽면(1a) 및 제2 벽면(1b)에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도어틀(2a) 및 제2 도어틀(2b);
일측이 상기 제1 도어틀(1b)을 기준으로 좌, 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도어틀(2a)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 도어틀(2b)에 여닫히면서 상기 통로의 내측을 상기 통로의 외측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개폐도어(110);
상기 제1 도어틀(2a)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피스톤(122)이 상기 개폐도어(110)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122)이 실린더(121) 내외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개폐도어(110)를 회전시키는 실린더장치(120);
상기 제1 벽면(1a) 또는 상기 제2 벽면(1b)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131)를 포함하고 있는 콘트롤장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21)의 외면에 상기 실린더(121)의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있고, 입구단(211) 및 출구단(212)을 포함하는 냉각수 순환관;
상기 입구단(211) 및 냉각수 공급원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공급원으로부터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입구단(211)으로 보내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순환관(210) 내를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220); 및
상기 개폐도어(110)의 상기 제1 면(111) 또는 상기 제2 면(112)에 설치된 온도측정센서(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131)는 상기 온도측정센서(230) 및 상기 펌프(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230)에서 측정된 현재온도값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온도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현재온도값이 상기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펌프(220)를 구동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관(241) 및 상기 냉각수 공급관(241)에 다수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242)을 포함하는 냉각수 분사장치(240); 및
상기 냉각수 순환관(210)과 상기 냉각수 공급관(241)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분배관(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220)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 순환관(21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분배관(250)을 통해 상기 냉각수 공급관(241)으로 분배되어, 상기 냉각수 공급관(241) 내로 공급된 냉각수가 상기 분사노즐(242)을 통해 상기 개폐도어(110)의 상기 제2 면(112)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3710A KR101291161B1 (ko) | 2013-05-13 | 2013-05-13 |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3710A KR101291161B1 (ko) | 2013-05-13 | 2013-05-13 |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1161B1 true KR101291161B1 (ko) | 2013-07-31 |
Family
ID=4899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3710A KR101291161B1 (ko) | 2013-05-13 | 2013-05-13 |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116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024B1 (ko) * | 2014-01-13 | 2014-09-24 | 주용산업주식회사 | 지하 주차장 입구의 경사 진입로에 설치된 좌우 회전식 침수 차단장치 |
KR101664327B1 (ko) | 2016-05-04 | 2016-10-11 | (주)도래샘 | 바닥 상승식 차수장치 |
KR101698463B1 (ko) | 2016-03-28 | 2017-01-23 | (주)도래샘 | 업다운 스윙식 자동 차수장치 |
KR102434439B1 (ko) * | 2021-06-29 | 2022-08-22 | (주)케이앤에스테크 | 홍수 진입 차단 설비 |
KR102573087B1 (ko) * | 2023-07-05 | 2023-09-01 | 주식회사 조인 | 평각 폴더형 접이식 방재수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1168B1 (ko) * | 2012-04-10 | 2012-10-15 | (주)디엠씨코리아 | 지하통로용 차수막 |
-
2013
- 2013-05-13 KR KR1020130053710A patent/KR1012911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1168B1 (ko) * | 2012-04-10 | 2012-10-15 | (주)디엠씨코리아 | 지하통로용 차수막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024B1 (ko) * | 2014-01-13 | 2014-09-24 | 주용산업주식회사 | 지하 주차장 입구의 경사 진입로에 설치된 좌우 회전식 침수 차단장치 |
KR101698463B1 (ko) | 2016-03-28 | 2017-01-23 | (주)도래샘 | 업다운 스윙식 자동 차수장치 |
KR101664327B1 (ko) | 2016-05-04 | 2016-10-11 | (주)도래샘 | 바닥 상승식 차수장치 |
KR102434439B1 (ko) * | 2021-06-29 | 2022-08-22 | (주)케이앤에스테크 | 홍수 진입 차단 설비 |
KR102573087B1 (ko) * | 2023-07-05 | 2023-09-01 | 주식회사 조인 | 평각 폴더형 접이식 방재수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6089B1 (ko) | 상하로 회전되는 업다운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
KR101291161B1 (ko) |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
KR101291160B1 (ko) |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 |
KR101291159B1 (ko) | 리프팅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 |
KR101847268B1 (ko) | 무인 자동차 방역 살균세척기 | |
WO2015083089A2 (en) | Water faucet with integrated contact and contamination protector and photocatalytic disinfection | |
KR101669874B1 (ko) |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 |
US20180008496A1 (en) | Split drum for lift strap in ceiling lift | |
KR102391446B1 (ko) |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 |
CN111389816B (zh) | 一种全自动高效风淋室 | |
KR20150012751A (ko) |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돔 카메라 장치 | |
US20210324659A1 (en) | Manual and automatic disinfecting door system and method | |
KR101657458B1 (ko) | 공장 고도창문 자동개폐장치 | |
CN113091253A (zh) | 电梯空调器的杀菌控制方法及电梯空调器 | |
KR200368597Y1 (ko) | 물탱크 | |
EP3541256B1 (en) | An apparatus for being mounted above a shower area | |
KR102109296B1 (ko) |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스프레이 방범창 | |
KR102338485B1 (ko) | 신발 오염먼지 제거용 진공흡입식 발판매트를 갖춘 살균소독 게이트 | |
JP5003971B2 (ja) | 昆虫類侵入防止装置 | |
KR101566191B1 (ko) | 자가세정 기능을 갖는 붙박이창 | |
CN220205213U (zh) | 一种端门联动摄像头 | |
CN220381624U (zh) | 一种带有消毒结构的门禁 | |
JP2009144395A (ja) | 車庫及び建物 | |
KR101661525B1 (ko) | 저상버스용 도어의 개폐 시스템 | |
CN221008333U (zh) | 一种指纹门禁用的防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