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874B1 -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874B1
KR101669874B1 KR1020160093922A KR20160093922A KR101669874B1 KR 101669874 B1 KR101669874 B1 KR 101669874B1 KR 1020160093922 A KR1020160093922 A KR 1020160093922A KR 20160093922 A KR20160093922 A KR 20160093922A KR 101669874 B1 KR101669874 B1 KR 10166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mixing
mixing tank
weight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재
Original Assignee
김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재 filed Critical 김학재
Priority to KR102016009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7Weight
    • B01F15/00194
    • B01F13/0032
    • B01F15/00253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6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 B01F29/64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with stirring devices moving in relation to the receptacle, e.g.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3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movable by mechanical means, e.g. hoisting systems, grippers or 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9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as a whole, i.e. involving a comple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the mixing process during the whole mixing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341
    • B01F9/0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10Anti-corrosive paints containing metal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7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프레임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혼합부와, 회동프레임에 설치되고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혼합부와, 혼합탱크가 안착되고 혼합탱크를 고속혼합부 및 저속혼합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혼합탱크역회전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저속혼합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혼합시키면서 상측으로 부양시키고, 고속혼합부가 저속혼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부양되는 재료를 2차로 혼합시키며, 혼합탱크역회전부는 저속혼합부 및 고속혼합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혼합탱크를 회전시키므로 혼합탱크 내의 재료가 저속혼합부 및 고속혼합부에 의해 다시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저속혼합부, 고속혼합부 및 이들과 반대로 회전되는 혼합탱크역회전부에 의해 혼합탱크 내의 재료가 확실하게 혼합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탱크역회전부에는 계측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탱크에 재료를 투입하면 계측부의 로드셀이 투입된 양을 곧바로 계측하므로, 혼합재료의 계측이 매우 간편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다.

Description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Paint mixing pattern devic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혼합장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저속혼합부, 고속혼합부 및 이들과 반대로 회전되는 혼합탱크역회전부에 의해 혼합탱크 내의 재료가 확실하게 혼합되며, 혼합탱크에 재료를 투입하면 투입된 양을 곧바로 계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속임펠러부의 구동시 브레이드나 혼합탱크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고속임펠러부의 구동시 고속브레이드 및 도료 알갱이들이 손상되지 않는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축물의 내외면에 단순한 도장을 행하였던 종래와 는 달리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 중의 하나가 고가의 천연석재나 인조석으로 마감처리를 하는 것인데, 이는 높은 비용을 요하는 단점이 있으며, 시공에도 많은 노력을 요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체 입자를 첨가하여 천연석과 같은 무늬 또는 질감을 표현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이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점도 도료 조성물은 혼합탱크에 바인더, 분산제, 증점제, 분체 등 무늬도료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투입하면 도료 점도가 고점도로 되어 도료 혼합장치로 혼합하여서 제조한다.
이러한 혼합장치는 혼합탱크에 위치되어서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혼합하는 임펠러와, 임펠러에 연결되어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연결되어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는 하나의 임펠러가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한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면서 교반시키는 구조이므로 혼합 시간이 지연되고, 고르게 혼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10284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속혼합부, 고속혼합부 및 이들과 반대로 회전되는 혼합탱크역회전부에 의해 혼합탱크 내의 재료가 여러번 혼합되도록 하므로 확실하게 혼합되도록 한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합탱크에 재료를 투입하면 투입된 양을 곧바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속임펠러부의 구동시 브레이드나 혼합탱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한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임펠러부의 구동시 고속브레이드 및 도료 알갱이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는, 기부;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부와 함께 이송되는 회동프레임; 하부가 기부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동프레임이 설치되며 회동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 회동프레임 및 승강부에 설치되어서 회동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회동프레임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혼합부; 회동프레임에 설치되고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혼합부; 혼합탱크가 안착되고 혼합탱크를 고속혼합부 및 저속혼합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혼합탱크역회전부; 혼합탱크역회전부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역회전부에 안착된 혼합탱크의 중량을 감지하고 혼합탱크에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부; 승강부, 수평회전부, 고속혼합부, 저속혼합부, 혼합탱크역회전부, 계측부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콘트롤판넬로 이루어지고; 기부는, 승강부 및 콘트롤판넬이 안착되는 이송테이블과, 이송테이블의 바닥에 설치되어서 이송테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스터로 이루어지며; 승강부는, 하단이 기부의 이송테이블에 안착되고 실린더로드의 상단이 회동프레임에 연결되는 승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회동프레임은, 실린더로드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수평회전부는, 승강부에 고정되는 수평회전모터와, 수평회전모터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와, 회동프레임에 고정되고 구동기어에 치합되어서 구동기어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회동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전동기어로 이루어지고; 저속혼합부는, 회동프레임에 설치된 저속회전모터와, 상단이 저속회전모터에 연결되는 저속샤프트와, 저속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저속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고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교반하는 저속임펠러부로 이루어지며; 저속임펠러부는, 저속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와, 결합보스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교반 및 부양시키는 브레이드와, 브레이드 둘레에 결합되어서 브레이드를 지지하고 브레이드를 보호하는 브레이드보호링과, 브레이드에 결합되어서 혼합탱크 바닥의 재료를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스크래퍼로 이루어지고; 고속혼합부는, 회동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속회전모터와, 고속회전모터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고속샤프트와, 고속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임펠러부와, 고속회전모터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고속샤프트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전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전동풀리에 연결되어서 구동풀리의 회전동력을 전동풀리에 전달하는 전동벨트로 이루어지며; 고속임펠러부는, 고속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임펠러부에 의해 부양된 고속임펠러부 외측의 재료를 고속임펠러부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브레이드와, 회전판과 고속브레이드에 연결되어서 고속브레이드를 보강하는 보강편으로 이루어지고; 혼합탱크역회전부는,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상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면에 노출되며 혼합탱크가 안착되는 턴테이블과, 케이싱에 내장되고 턴테이블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구동모터와, 턴테이블구동모터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턴테이블구동모터에 연결된 턴테이블구동풀리와, 감속기에 연결된 턴테이블전동풀리와, 턴테이블구동풀리 및 턴테이블전동풀리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구동풀리의 회전동력을 턴테이블전동풀리에 전달하는 턴테이블전동벨트와, 턴테이㎛블의 하부에 고정되는 링기어와, 감속기에 연결되고 링기어에 치합되어서 감속기의 회전동력을 링기어에 전달하는 턴테이블전동기어로 이루어지며; 계측부는 로드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의 다른 특징은, 저속혼합부의 저속임펠러부와 고속혼합부의 고속임펠러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혼합탱크역회전부의 턴테이블은 저속임펠러부 및 고속임펠러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고속샤프트 및 저속샤프트의 둘레에는 마모방지도포층이 도포되며, 상기 마모방지도포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고속샤프트 및 저속샤프트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되고; 회동프레임은, FCD주철로 이루어지며, 상기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며; 고속회전모터의 케이스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되되, 상기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고속회전모터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변색부 위에는 상기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되며; 콘트롤판넬의 외부면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되며; 로드셀로 이루어진 계측부의 표면에는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되며, 상기 오염방지도포층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도포액을 제조하고, 상기 도포액은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의 범위이며; 전동벨트 및 턴테이블전동벨트에는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하고, 전동벨트 및 턴테이블전동벨트에 RD 0.4~1.2 중량부를 포함하며; 스크래퍼와 브레이드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며, 고정나사의 머리부에는 나사 풀림 방지용 역회전제동와셔가 결합되고, 역회전제동와셔는 상부역회전제동와셔와 하부역회전제동와셔로 구성되며, 상부역회전제동와셔는 상부면에 고정나사의 머리부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톱니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고정나사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하부캠면이 형성되고, 하부역회전제동와셔는 하부면에 하부톱니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부역회전제동와셔의 하부캠면과 맞물리도록 고정나사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상부캠면이 형성되며; 케이싱의 내측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되되,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로는 니들펀치 부직포가 사용되며,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2 이고,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30데시텍스이며; 브레이드 및 고속브레이드의 표면은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은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구리 2.5중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되고; 콘트롤판넬에는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되,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되고, 혼합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머틀 오일(Myrtle oil) 50중량%, 릿치아 쿠베아 오일(Litsea cubeba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기부와,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부와 함께 이송되는 회동프레임과, 하부가 기부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동프레임이 설치되며 회동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회동프레임 및 승강부에 설치되어서 회동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와, 회동프레임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혼합부와, 회동프레임에 설치되고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혼합부와, 혼합탱크가 안착되고 혼합탱크를 고속혼합부 및 저속혼합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혼합탱크역회전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장치를 필요한 곳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저속혼합부 및 고속혼합부를 수평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혼합탱크 내부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혼합장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속혼합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혼합시키면서 상측으로 부양시키고, 고속혼합부가 저속혼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부양되는 재료를 2차로 혼합시키며, 혼합탱크역회전부는 저속혼합부 및 고속혼합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혼합탱크를 회전시키므로 혼합탱크 내의 재료가 저속혼합부 및 고속혼합부에 의해 다시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저속혼합부, 고속혼합부 및 이들과 반대로 회전되는 혼합탱크역회전부에 의해 혼합탱크 내의 재료가 확실하게 혼합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탱크역회전부에는 계측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혼합탱크역회전부에 안착된 혼합탱크의 중량을 감지하고 혼합탱크에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계측한다. 따라서, 혼합탱크에 재료를 투입하면 계측부의 로드셀이 투입된 양을 곧바로 계측하므로, 혼합재료의 계측이 매우 간편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속임펠러부는, 저속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와, 결합보스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혼합탱크 내의 재료를 교반 및 부양시키는 브레이드와, 브레이드 둘레에 결합되어서 브레이드를 지지하고 브레이드를 보호하는 브레이드보호링과, 브레이드에 결합되어서 혼합탱크 바닥의 재료를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스크래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속임펠러부가 회전되면 경사지게 배열된 브레이드들에 의해 혼합탱크 내부의 재료들이 상측으로 부양되면서 혼합되고, 혼합탱크의 바닥에 깔린 재료들은 스크래퍼에 의해 긁어 올려지면서 혼합되며, 브레이드보호링에 의해 저속임펠러부가 혼합탱크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혼합탱크의 내주면에 부딪힌다 하더라도 그 충격이 최소화되어 브레이드나 혼합탱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속임펠러부는, 고속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임펠러부에 의해 부양된 고속임펠러부 외측의 재료를 고속임펠러부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브레이드와, 회전판과 고속브레이드에 연결되어서 고속브레이드를 보강하는 보강편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속임펠러부는 고속브레이드의 둘레가 곡선으로 형성되므로 고속회전시 재료의 알갤이들이 고속브레이드에 부딪혀도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재료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고속임펠러에 의해 혼합되어도 무늬도료 알갱이들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무늬도료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속브레이드는 보강편으로 지지되므로 장기간 고속회전되어도 고속브레이드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4는 스크래퍼 풀림방지구조를 보인 개략적 발췌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4는 스크래퍼 풀림방지구조를 보인 개략적 발췌 단면도이다.
이하의 각부 명칭에 사용된 "고속"이라는 표현은 저속으로 회전되는 저속혼합부(6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속이라는 의미이며, 각부 명칭에 사용된 "저속"이라는 표현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고속혼합부(5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속이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는, 기부(10), 승강부(20), 회동프레임(30), 수평회전부(40), 고속혼합부(50), 저속혼합부(60), 혼합탱크역회전부(70), 계측부(80), 콘트롤판넬(90)로 이루어진다.
기부(10)는, 승강부(20) 및 콘트롤판넬(90)이 안착되는 이송테이블(11)과, 이송테이블(11)의 바닥에 설치되어서 이송테이블(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스터(12)로 이루어진다.
회동프레임(30)은,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부(10)와 함께 이송된다.
승강부(20)는, 하부가 기부(10)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동프레임(30)이 설치되며 회동프레임(30)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승강부(20)는, 하단이 기부(10)의 이송테이블(11)에 안착되고 실린더로드(22)의 상단이 회동프레임(30)에 연결되는 승강실린더(21)로 이루어진다.
수평회전부(40)는, 회동프레임(30) 및 승강부(20)에 설치되어서 회동프레임(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수평회전부(40)는, 승강부(20)에 고정되는 수평회전모터(41)와, 수평회전모터(41)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42)와, 회동프레임(30)에 고정되고 구동기어(42)에 치합되어서 구동기어(42)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회동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어(43)로 이루어진다.
고속혼합부(50)는,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한다. 이러한 고속혼합부(50)는,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되는 고속회전모터(51)와, 고속회전모터(51)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고속샤프트(55)와, 고속샤프트(55)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임펠러부(56)와, 고속회전모터(51)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52)와, 고속샤프트(55)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전동풀리(53)와, 구동풀리(52) 및 전동풀리(53)에 연결되어서 구동풀리(52)의 회전동력을 전동풀리(53)에 전달하는 전동벨트(54)로 이루어진다.
고속임펠러부(56)는, 고속샤프트(55)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판(57)과, 회전판(57)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전판(57)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임펠러부(63)에 의해 부양된 고속임펠러부(56) 외측의 재료를 고속임펠러부(56)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브레이드(58)와, 회전판(57)과 고속브레이드(58)에 연결되어서 고속브레이드(58)를 보강하는 보강편(59)으로 이루어진다.
저속혼합부(60)는,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되고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한다. 이러한 저속혼합부(60)는,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된 저속회전모터(61)와, 상단이 저속회전모터(61)에 연결되는 저속샤프트(62)와, 저속샤프트(62)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저속샤프트(62)와 함께 회전되고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교반하는 저속임펠러부(63)로 이루어진다.
저속임펠러부(63)는, 저속샤프트(6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64)와, 결합보스(64)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교반 및 부양시키는 브레이드(65)와, 브레이드(65) 둘레에 결합되어서 브레이드(65)를 지지하고 브레이드(65)를 보호하는 브레이드보호링(67)과, 브레이드(65)에 결합되어서 혼합탱크(1) 바닥의 재료를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스크래퍼(66)로 이루어진다.
혼합탱크역회전부(70)는, 혼합탱크(1)가 안착되고 혼합탱크(1)를 고속혼합부(50) 및 저속혼합부(6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혼합탱크역회전부(70)는,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싱(76)과, 케이싱(76)의 상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면에 노출되며 혼합탱크(1)가 안착되는 턴테이블(79)과, 케이싱(76)에 내장되고 턴테이블(79)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79)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구동모터(71)와, 턴테이블구동모터(71)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구동모터(7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75)와, 턴테이블구동모터(71)에 연결된 턴테이블구동풀리(72)와, 감속기(75)에 연결된 턴테이블전동풀리(73)와, 턴테이블구동풀리(72) 및 턴테이블전동풀리(73)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구동풀리(72)의 회전동력을 턴테이블전동풀리(73)에 전달하는 턴테이블전동벨트(74)와, 턴테이블(79)의 하부에 고정되는 링기어(77)와, 감속기(75)에 연결되고 링기어(77)에 치합되어서 감속기(75)의 회전동력을 링기어(77)에 전달하는 턴테이블전동기어(78)로 이루어진다.
계측부(80)는, 혼합탱크역회전부(70)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역회전부(70)에 안착된 혼합탱크(1)의 중량을 감지하고 혼합탱크(1)에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계측한다. 이러한 계측부(80)는 로드셀로 이루어진다.
콘트롤판넬(90)은, 승강부(20), 수평회전부(40), 고속혼합부(50), 저속혼합부(60), 혼합탱크역회전부(70), 계측부(8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혼합장치는, 저속혼합부(60)의 저속임펠러부(63)와 고속혼합부(50)의 고속임펠러부(5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혼합탱크역회전부(70)의 턴테이블(79)은 저속임펠러부(63) 및 고속임펠러부(5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혼합탱크역회전부(70)의 턴테이블(79)에 혼합탱크(1)를 올려 놓고, 기부(10)를 이동시켜서 고속혼합부(50)의 고속임펠러부(56)와 저속혼합부(60)의 저속임펠러부(63)가 혼합탱크(1)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승강부(20)의 승강실린더(21)를 작동시켜서 회동프레임(30) 및 이에 설치된 고속혼합부(50) 및 저속혼합부(6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수평회전부(40)의 수평회전모터(41)를 작동시켜서 회동프레임(30) 및 고속혼합부(50), 저속혼합부(60)를 회전시키며, 이와 같이 하여 고속임펠러부(56) 및 저속임펠러부(63)가 혼합탱크(1)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고속임펠러부(56), 저속임펠러부(63)가 혼합탱크(1) 상에 위치되면 승강부(20)의 승강실린더(21)를 작동시켜서 고속임펠러부(56) 및 저속임펠러부(63)가 하강되어 혼합탱크(1)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혼합탱크(1) 내에 재료가 투입되면 로드셀로 이루어진 계측부(80)가 투입된 원료의 중량을 측정하여서 콘트롤판넬(90)로 전송한다.
혼합탱크(1) 내에 정량의 원료들이 투입되면 고속혼합부(50)의 고속회전모터(51) 및 저속혼합부(60)의 저속회전모터(61)가 구동된다. 고속회전모터(51)가 구동되면, 구동풀리(52), 전동벨트(54), 전동풀리(53), 고속샤프트(55), 고속임펠러부(56)가 회전된다. 저속회전모터(61)가 구동되면, 저속샤프트(62), 저속임펠러부(63)가 회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기부(10)와,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부(10)와 함께 이송되는 회동프레임(30)과, 하부가 기부(10)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동프레임(30)이 설치되며 회동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20)와, 회동프레임(30) 및 승강부(20)에 설치되어서 회동프레임(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40)와,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혼합부(50)와,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되고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혼합부(60)와, 혼합탱크(1)가 안착되고 혼합탱크(1)를 고속혼합부(50) 및 저속혼합부(6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혼합탱크역회전부(7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장치를 필요한 곳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저속혼합부(60) 및 고속혼합부(50)를 수평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혼합탱크(1) 내부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혼합장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저속혼합부(6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혼합시키면서 상측으로 부양시키고, 고속혼합부(50)가 저속혼합부(6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부양되는 재료를 2차로 혼합시키며, 혼합탱크역회전부(70)는 저속혼합부(60) 및 고속혼합부(5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혼합탱크(1)를 회전시키므로 혼합탱크(1) 내의 재료가 저속혼합부(60) 및 고속혼합부(50)에 의해 다시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저속혼합부(60), 고속혼합부(50) 및 이들과 반대로 회전되는 혼합탱크역회전부(70)에 의해 혼합탱크(1) 내의 재료가 확실하게 혼합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혼합탱크역회전부(70)에는 계측부(80)가 설치되어 있으며, 혼합탱크역회전부(70)에 안착된 혼합탱크(1)의 중량을 감지하고 혼합탱크(1)에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계측한다.
따라서, 혼합탱크(1)에 재료를 투입하면 계측부(80)의 로드셀이 투입된 양을 곧바로 계측하므로, 혼합재료의 계측이 매우 간편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다.
넷째, 본 발명의 저속임펠러부(63)는, 저속샤프트(6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64)와, 결합보스(64)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교반 및 부양시키는 브레이드(65)와, 브레이드(65) 둘레에 결합되어서 브레이드(65)를 지지하고 브레이드(65)를 보호하는 브레이드보호링(67)과, 브레이드(65)에 결합되어서 혼합탱크(1) 바닥의 재료를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스크래퍼(6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속임펠러부(63)가 회전되면 경사지게 배열된 브레이드(65)들에 의해 혼합탱크(1) 내부의 재료들이 상측으로 부양되면서 혼합되고, 혼합탱크(1)의 바닥에 깔린 재료들은 스크래퍼(66)에 의해 긁어 올려지면서 혼합되며, 브레이드보호링(67)에 의해 저속임펠러부(63)가 혼합탱크(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혼합탱크(1)의 내주면에 부딪힌다 하더라도 그 충격이 최소화되어 브레이드(65)나 혼합탱크(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다섯째, 본 발명의 고속임펠러부(56)는, 고속샤프트(55)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판(57)과, 회전판(57)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전판(57)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임펠러부(63)에 의해 부양된 고속임펠러부(56) 외측의 재료를 고속임펠러부(56)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브레이드(58)와, 회전판(57)과 고속브레이드(58)에 연결되어서 고속브레이드(58)를 보강하는 보강편(59)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속임펠러부(56)는 고속브레이드(58)의 둘레가 곡선으로 형성되므로 고속회전시 재료의 알갤이들이 고속브레이드(58)에 부딪혀도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재료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고속임펠러부(56)에 의해 혼합되어도 무늬도료 알갱이들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무늬도료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속브레이드(58)는 보강편(59)으로 지지되므로 장기간 고속회전되어도 고속브레이드(58)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둘레에는 마모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마모방지도포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에 세라믹 도포를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도포는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도포층이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도포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도포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마모방지도포층은,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이러한 마모방지도포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도포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도포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도포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도포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에 마모방지도포층이 도포되는 동안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 변형이 방지되도록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도포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도포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도포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도포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마모방지도포층이 형성되므로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회동프레임(30)은 FCD주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FCD주철은, 일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FCD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회동프레임(30)은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FCD주철을 160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65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된 FCD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중량%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중량%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중량% 정도가 적합하다.
용융된 FCD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500℃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50℃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500~1550℃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동프레임(30)이 FCD주철로 이루어지므로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고속회전모터(51)의 케이스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고속회전모터(51)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된다.
여기서, 변색부는,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변색부는 고속회전모터(51)의 케이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고속회전모터(51)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색부는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변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속회전모터(51)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속회전모터(51)를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고속회전모터(51)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변색부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색부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트롤판넬(90)의 외부면에는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로드셀로 이루어진 계측부(80)의 표면에는 해당 계측부(80)의 오지시 및 수명단축의 원인이 되는 표면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방지도포층은 미생물 및 부유물 등의 부착을 억제하여 오지시를 방지하고 계측부(80)의 사용기간을 반영구적으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포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도포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의 함량이 2%에 미치지 못하면 도포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5%를 초과하면 오염방지도포층이 너무 두꺼워져 효율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용해된 도포액은 도포시간 및 도포두께를 고려하여 용액의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점도가 너무 낮으면 도포시간을 오래해야 하며, 점도가 너무 높으면 도포가 두껍게 일어나고 건조가 안되며 또한 불균일한 도포로 인하여 센서의 오지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도포용액으로 계측부(80)의 표면을 1㎛이하의 두께로 도포한다. 이때, 오염방지도포층의 두께가 1㎛를 초과하면 오히려 계측부(80)의 감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오염방지도포층의 두께를 1㎛ 이하로 한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두께로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계측부(80) 표면에 2-3회 정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동벨트(54) 및 턴테이블전동벨트(74)에는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RD는 내오존성 및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며, 전동벨트(54) 및 턴테이블전동벨트(74)의 부식 및 산화를 방지시킨다.
본 발명은 전동벨트(54) 및 턴테이블전동벨트(74)에 RD 0.4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RD의 첨가량이 상술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산화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상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직의 밀도 및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무재의 전동벨트(54) 및 턴테이블전동벨트(74)에 RD가 더 첨가되므로 내산화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66)와 브레이드(65)에는 고정나사(68)가 체결되며, 이 고정나사(68)의 머리부에는 나사 풀림 방지용 역회전제동와셔(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역회전제동와셔(100)는 나사머리 하부에 결합되어서 고정나사(68)의 풀림을 방지시키며,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와 하부역회전제동와셔(104)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는 상부면에 고정나사(68)의 머리부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톱니(10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고정나사(68)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하부캠면(103)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하부역회전제동와셔(104)는 하부면에 하부톱니(105)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의 하부캠면(103)과 맞물리도록 고정나사(68)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상부캠면(106)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역회전제동와셔(104)의 하부톱니(105)가 스크래퍼(66)에 밀착되도록 하고, 연이어 하부역회전제동와셔(104) 위에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를 적층시키되, 하부역회전제동와셔(104)의 상부캠면(106)과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의 하부캠면(103)이 서로 치합되게 적층시킨 후, 이어서 고정나사(68)를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와 하부역회전제동와셔(104)와 장착면에 관통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고정나사(68)의 머리부 저면에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의 상부톱니(102)가 밀착됨으로써, 고정나사(68)가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결국 스크래퍼(66)가 브레이드(65)에 견고히 장착된다.
또한, 케이싱(76)의 내측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로는 니들펀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등이 있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3 ~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3mm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5mm를 초과하면 케이싱(76)의 내부공간이 저감되어 케이싱(76)의 스페이스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단점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m2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1000g/m2 을 넘으면 케이싱(76)의 경량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데시텍스 미만에서는 저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렵고, 쿠션성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30데시텍스를 넘으면 고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15데시텍스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흡음층이 케이싱(76)의 내측에 구비되므로 혼합탱크역회전부(70)의 구동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의 표면은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로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은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구리 2.5중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소결, 엉킴, 융착 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결, 엉킴, 융착 방지의 효과가 떨어지며,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알루미나 분말은 6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H4Cl은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NH4Cl은 30중량% 첨가된다. NH4Cl이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지 못한다. 반면에, NH4Cl이 30중량%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NH4Cl은 3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은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전기 방식용으로 사용되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아연은 2.5중량%가 혼합된다.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제대로 방지시키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아연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는 상기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구리는 2.5중량% 혼합된다.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알루미늄과 조합될시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제대로 높이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구리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의 순수한 금속은 구조강도가 낮으므로 상기 아연 등과 함께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된다.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아연 등과 함께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마그네슘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은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 원소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있는바, 뛰어난 내식성과 비중이 낮아 강철 대비 무게는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은 줄이되 광택을 높이고 뛰어난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갖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의 표면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시키고 폐쇄로 내부에는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킨다, 아르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되고,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 표면에 침투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된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되어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 표면의 부식방지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율로 온도 변화를 시킨다.
본 발명의 부식방지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부식방지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flooding)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식방지도포층은 부식 및/또는 스케일에 대한 원칙적인 보호 기능에 추가하여 도포가 매우 얇은 층두께로 도포될 수 있어 전기전도성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물질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열간 성형 과정 이후에도 높은 전기전도성이 바람직하다면 얇은 전기전도성 프라이머가 도포층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성형 과정 또는 열간 성형 과정 이후, 도포 물질은 기재의 표면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긁힘 내성을 증가시키며, 부식 보호를 개선하고, 미적 외관을 충족시키며, 변색을 방지하고, 전기전도성을 변화시키며 종래 다운스트림 공정(예, 침린 및 전기이동 딥 도포)용 프라이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에 알루미나 분말, NH4Cl, 아연, 구리, 마그네슘,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되므로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의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콘트롤판넬(90)에는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콘트롤판넬(90)의 표면을 살균처리하므로 콘트롤판넬(90)을 조작하는 작업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머틀 오일(Myrtle oil) 50중량%, 릿치아 쿠베아 오일(Litsea cubeba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머틀 오일(Myrtle oil)의 주 화학성분은 cineol, myrtenol 등이며, 새순이나 작은 가지 등에서 스팀증류법으로 추출되는데 노란색을 띠며 상쾌하고 싱그러운 향을 가지고 있고, 살균작용, 방부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릿치아 쿠베아 오일(Litsea cubeba oil)은 열매에서 스팀 증류법을 이용하여 오일을 추출하는데 달콤하면서도 레몬그라스와 비슷하면서도 강한 향을 갖고 있으며, 주 화학성분으로는 85% 이상을 차지하는 citral을 비롯하여 linalol, neral 등을 함유하고 있고, 강한 방부효과를 내며 살균작용으로 박테리아균 등을 죽이는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콘트롤판넬(90)의 외부면에 코팅되므로 콘트롤판넬(90)의 외부면을 살균처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1 : 혼합탱크
10 : 기부 11 : 이송테이블
12 : 캐스터 20 : 승강부
21 : 승강실린더 22 : 실린더로드
30 : 회동프레임 40 : 수평회전부
41 : 수평회전모터 42 : 구동기어
43 : 전동기어 50 : 고속혼합부
51 : 고속회전모터 52 : 구동풀리
53 : 전동풀리 54 : 전동벨트
55 : 고속샤프트 56 : 고속임펠러부
57 : 호전판 58 : 고속브레이드
59 : 보강편 60 : 저속혼합부
61 : 저속회전모터 62 : 저속샤프트
63 : 저속임펠러부 64 : 결합보스
65 : 브레이드 66 : 스크래퍼
67 : 브레이드보호링 70 : 혼합탱크역회전부
71 : 턴테이블구동모터 72 : 턴테이블구동풀리
73 : 턴테이블전동풀리 74 : 턴테이블전동벨트
75 : 감속기 76 : 케이싱
77 : 링기어 78 : 턴테이블전동기어
79 : 턴테이블 80 : 계측부
90 : 콘트롤판넬 100 : 역회전제동와셔
101 : 상부역회전제동와셔 102 : 상부톱니
103 : 하부캠면 104 : 하부역회전제동와셔
105 : 하부톱니 106 : 상부캠면

Claims (3)

  1. 기부(10);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부(10)와 함께 이송되는 회동프레임(30);
    하부가 기부(10)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동프레임(30)이 설치되며 회동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20);
    회동프레임(30) 및 승강부(20)에 설치되어서 회동프레임(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40);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혼합부(50);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되고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혼합부(60);
    혼합탱크(1)가 안착되고 혼합탱크(1)를 고속혼합부(50) 및 저속혼합부(6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혼합탱크역회전부(70);
    혼합탱크역회전부(70)에 설치되어서 혼합탱크역회전부(70)에 안착된 혼합탱크(1)의 중량을 감지하고 혼합탱크(1)에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부(80);
    승강부(20), 수평회전부(40), 고속혼합부(50), 저속혼합부(60), 혼합탱크역회전부(70), 계측부(8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콘트롤판넬(90)로 이루어지고;
    기부(10)는, 승강부(20) 및 콘트롤판넬(90)이 안착되는 이송테이블(11)과, 이송테이블(11)의 바닥에 설치되어서 이송테이블(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스터(12)로 이루어지며;
    승강부(20)는, 하단이 기부(10)의 이송테이블(11)에 안착되고 실린더로드(22)의 상단이 회동프레임(30)에 연결되는 승강실린더(21)로 이루어지고;,
    회동프레임(30)은, 실린더로드(22)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수평회전부(40)는, 승강부(20)에 고정되는 수평회전모터(41)와, 수평회전모터(41)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42)와, 회동프레임(30)에 고정되고 구동기어(42)에 치합되어서 구동기어(42)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회동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어(43)로 이루어지고;
    저속혼합부(60)는,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된 저속회전모터(61)와, 상단이 저속회전모터(61)에 연결되는 저속샤프트(62)와, 저속샤프트(62)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저속샤프트(62)와 함께 회전되고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교반하는 저속임펠러부(63)로 이루어지며;
    저속임펠러부(63)는, 저속샤프트(6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64)와, 결합보스(64)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교반 및 부양시키는 브레이드(65)와, 브레이드(65) 둘레에 결합되어서 브레이드(65)를 지지하고 브레이드(65)를 보호하는 브레이드보호링(67)과, 브레이드(65)에 결합되어서 혼합탱크(1) 바닥의 재료를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스크래퍼(66)로 이루어지고;
    고속혼합부(50)는,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되는 고속회전모터(51)와, 고속회전모터(51)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고속샤프트(55)와, 고속샤프트(55)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혼합탱크(1)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임펠러부(56)와, 고속회전모터(51)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52)와, 고속샤프트(55)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전동풀리(53)와, 구동풀리(52) 및 전동풀리(53)에 연결되어서 구동풀리(52)의 회전동력을 전동풀리(53)에 전달하는 전동벨트(54)로 이루어지며;
    고속임펠러부(56)는, 고속샤프트(55)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판(57)과, 회전판(57)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전판(57)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임펠러부(63)에 의해 부양된 고속임펠러부(56) 외측의 재료를 고속임펠러부(56)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브레이드(58)와, 회전판(57)과 고속브레이드(58)에 연결되어서 고속브레이드(58)를 보강하는 보강편(59)으로 이루어지고;
    혼합탱크역회전부(70)는,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싱(76)과, 케이싱(76)의 상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면에 노출되며 혼합탱크(1)가 안착되는 턴테이블(79)과, 케이싱(76)에 내장되고 턴테이블(79)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79)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구동모터(71)와, 턴테이블구동모터(71)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구동모터(7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75)와, 턴테이블구동모터(71)에 연결된 턴테이블구동풀리(72)와, 감속기(75)에 연결된 턴테이블전동풀리(73)와, 턴테이블구동풀리(72) 및 턴테이블전동풀리(73)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구동풀리(72)의 회전동력을 턴테이블전동풀리(73)에 전달하는 턴테이블전동벨트(74)와, 턴테이블(79)의 하부에 고정되는 링기어(77)와, 감속기(75)에 연결되고 링기어(77)에 치합되어서 감속기(75)의 회전동력을 링기어(77)에 전달하는 턴테이블전동기어(78)로 이루어지며;
    계측부(80)는 로드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속혼합부(60)의 저속임펠러부(63)와 고속혼합부(50)의 고속임펠러부(5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혼합탱크역회전부(70)의 턴테이블(79)은 저속임펠러부(63) 및 고속임펠러부(5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의 둘레에는 마모방지도포층이 도포되며, 상기 마모방지도포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고속샤프트(55) 및 저속샤프트(62)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되고;
    회동프레임(30)은, FCD주철로 이루어지며, 상기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며;
    고속회전모터(51)의 케이스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되되, 상기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고속회전모터(51)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변색부 위에는 상기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되며;
    콘트롤판넬(90)의 외부면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되며;
    로드셀로 이루어진 계측부(80)의 표면에는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되며, 상기 오염방지도포층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도포액을 제조하고, 상기 도포액은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의 범위이며;
    전동벨트(54) 및 턴테이블전동벨트(74)에는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하고, 전동벨트(54) 및 턴테이블전동벨트(74)에 RD 0.4~1.2 중량부를 포함하며;
    스크래퍼(66)와 브레이드(65)에는 고정나사(68)가 체결되며, 고정나사(68)의 머리부에는 나사 풀림 방지용 역회전제동와셔(100)가 결합되고, 역회전제동와셔(100)는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와 하부역회전제동와셔(104)로 구성되며,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는 상부면에 고정나사(68)의 머리부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톱니(10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고정나사(68)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하부캠면(103)이 형성되고, 하부역회전제동와셔(104)는 하부면에 하부톱니(105)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부역회전제동와셔(101)의 하부캠면(103)과 맞물리도록 고정나사(68)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상부캠면(106)이 형성되며;
    케이싱(76)의 내측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되되,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로는 니들펀치 부직포가 사용되며,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2 이고,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30데시텍스이며;
    브레이드(65) 및 고속브레이드(58)의 표면은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은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구리 2.5중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되고;
    콘트롤판넬(90)에는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되,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되고, 혼합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머틀 오일(Myrtle oil) 50중량%, 릿치아 쿠베아 오일(Litsea cubeba oil) 5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KR1020160093922A 2016-07-25 2016-07-25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KR10166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22A KR101669874B1 (ko) 2016-07-25 2016-07-25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22A KR101669874B1 (ko) 2016-07-25 2016-07-25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874B1 true KR101669874B1 (ko) 2016-10-28

Family

ID=5724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922A KR101669874B1 (ko) 2016-07-25 2016-07-25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8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016A (zh) * 2019-05-17 2019-08-23 广东省新材料研究所 搅拌桶及其制造方法
KR102063310B1 (ko) * 2019-01-14 2020-01-08 김수아 해조생장촉진제 및 그 혼합장치
CN110860243A (zh) * 2019-11-16 2020-03-06 胡志伟 一种粉末冶金粘合剂混合设备
KR102346422B1 (ko) * 2021-01-22 2022-01-03 옥천영농조합법인 더블로터 방식의 퇴비교반장치.
CN114160007A (zh) * 2021-12-08 2022-03-11 德清县虎马中环佳科技有限公司 一种耐低温复合粘结剂制备装置
CN115193345A (zh) * 2022-07-07 2022-10-18 安徽佳先功能助剂股份有限公司 一种尼龙酸二甲酯综合生产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546A (ja) * 1991-08-27 1993-03-02 Tomoegawa Paper Co Ltd 分散方法及び装置
KR200264907Y1 (ko) * 2001-11-03 2002-02-2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열연강판 마킹용 희석제와 도료용 혼합장치
KR20040006368A (ko) * 2002-07-12 2004-01-24 대한민국 (군산대학교 총장) 도료 분산 및 혼합장치
KR20100062182A (ko) * 2008-12-01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료 믹싱장치
KR101110284B1 (ko) 2011-05-27 2012-02-15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건축내장용 무늬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546A (ja) * 1991-08-27 1993-03-02 Tomoegawa Paper Co Ltd 分散方法及び装置
KR200264907Y1 (ko) * 2001-11-03 2002-02-2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열연강판 마킹용 희석제와 도료용 혼합장치
KR20040006368A (ko) * 2002-07-12 2004-01-24 대한민국 (군산대학교 총장) 도료 분산 및 혼합장치
KR20100062182A (ko) * 2008-12-01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료 믹싱장치
KR101110284B1 (ko) 2011-05-27 2012-02-15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건축내장용 무늬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310B1 (ko) * 2019-01-14 2020-01-08 김수아 해조생장촉진제 및 그 혼합장치
CN110158016A (zh) * 2019-05-17 2019-08-23 广东省新材料研究所 搅拌桶及其制造方法
CN110860243A (zh) * 2019-11-16 2020-03-06 胡志伟 一种粉末冶金粘合剂混合设备
KR102346422B1 (ko) * 2021-01-22 2022-01-03 옥천영농조합법인 더블로터 방식의 퇴비교반장치.
CN114160007A (zh) * 2021-12-08 2022-03-11 德清县虎马中环佳科技有限公司 一种耐低温复合粘结剂制备装置
CN115193345A (zh) * 2022-07-07 2022-10-18 安徽佳先功能助剂股份有限公司 一种尼龙酸二甲酯综合生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74B1 (ko)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KR101688964B1 (ko) 태양광모듈 효율 증대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JP5866303B2 (ja) 高耐薬品性及び改善された非粘着性を有する、薄いガラス質保護層又はセラミック質保護層を含む金属表面
Thomas et al. Developments in smart organic coatings for anticorrosion applications: a review
KR101658777B1 (ko) 보조도상 콘크리트 포장용 레벨 장치
JP2008080210A (ja) 機能性建材とその製造方法
EP2368949A1 (e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antifouling coating film, and method of preventing fouling of base
KR101661889B1 (ko) 안전성이 보장된 이동 및 회전식 스크랩 처리장치
CN101805530A (zh) 一种耐高温抗油品氧化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579400B (zh) 氧化的和/或含磷的铜的复合物涂层
CN106336780A (zh) 一种防腐绝热涂料及其制备方法
EP2730678B1 (fr) Article en fonte d'acier comprenant un revêtement vitreux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article
KR101802842B1 (ko) 타워 크레인용 가변형 월타이
KR101801857B1 (ko) 열차단성과 자발 세정력이 우수한 건축용 패널
CN105665263A (zh) 一种风电基础锚栓防腐施工方法
KR101663137B1 (ko) 로딩슈트
KR101699689B1 (ko) 휴대용 전동식 라쳇 커터
KR101689107B1 (ko)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KR101657458B1 (ko) 공장 고도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180127461A (ko) 광 확산성 반사성 코팅
KR101956057B1 (ko) 수성다채무늬코트 도료 조성물 제조방법과 그 도료 조성물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료를 이용한 도장방법
CN104745078A (zh) 一种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Sharafudeen Smart superhydrophobic anticorrosive coatings
Gunnarsson Self cleaning paint: Introduction of photocatalytic particles into a paint system
WO2000068328A1 (fr) Revetement et adhes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