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107B1 -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 Google Patents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107B1
KR101689107B1 KR1020160054559A KR20160054559A KR101689107B1 KR 101689107 B1 KR101689107 B1 KR 101689107B1 KR 1020160054559 A KR1020160054559 A KR 1020160054559A KR 20160054559 A KR20160054559 A KR 20160054559A KR 101689107 B1 KR101689107 B1 KR 10168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mast
pulley
counterweigh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흥식
Original Assignee
유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흥식 filed Critical 유흥식
Priority to KR102016005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회전부에 설치되고 지브에 연결되어서 지브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프레임과, 회전부에 설치되고 지브에 연결되어서 지브가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상하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프레임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구비되어서 하나의 힌지부를 이루되, 지지프레임의 힌지부는 마스트 상단의 엔드부 상측에 위치되고, 지브 및 지지프레임의 힌지부는 힌지축으로 결합되어서 지브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지브의 일단에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어서 지브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지브가 수평 상태인 경우, 마스트를 중심으로 지브와 카운터웨이트가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마스트에 무게 중심이 이루어지고, 지브가 상측방향으로 세워져서 지브의 무게 중심이 마스트 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지브의 회동각도만큼 카운터웨이트도 회동되면서 마스트 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지브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지브의 무게 중심이 마스트 쪽으로 이동되면 카운터웨이트의 무게중심도 마스트 쪽으로 이동되므로 지브의 상하 회동 각도에 관계없이 지브 및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언제나 마스트 상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Luffing jib type Topless tower crane}
본 발명은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또는 탑리스형 러핑 지브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브의 기복각도가 증가할수록 지브 및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마스트 중심에 가까워져, 타워크레인의 전도 안정성이 증가하고, 탑리스 형태로 기존 러핑 지브형 타워크레인에 비해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긴 길이의 지브를 설치, 조립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타워크레인은, 항만 하역용이나 고층 건물의 건축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플랜트 공사에서는 벌크(bulk) 작업과 스풀 홀딩(spool holding)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꼭대기 부분의 모양에 따라 크게 수평 지브형(Horizontal jib type) 및 해머헤드형(hammer head type), 기복 지브(붐)형(Luffing jib(boom) type)으로 나눈다. 수평 지브(팔 모양으로 돌출된 것) 형은 타워 상단에 회전 프레임을 설치하고 지브를 붙여 회전운동이나 트롤리(trolley)의 직선운동으로써 화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한다. 해머헤드형은 수평 지브형의 타워헤드와 지브 및 카운터 지브를 지지하는 타이-바를 없애고, 타워 상단의 선회 프레임에 지브 및 후방의 카운터 지브만을 장치한 것으로, 하중의 이동 및 운전 방식은 수평 지브형과 동일하다. 기복 지브(붐)형은 타워의 상단에 선회 프레임을 설치하고, 여기에 카운터 지브를 붙인 다음, 카운터 지브의 상면에 타워헤드와 지브를 붙혀, 선회 운동 및 지브의 기복운동, 지브(붐)의 끝단의 후크 블록의 상하 운동으로 원하는 위치의 화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한다.
타워크레인은 보통 그 용량을 달아올림 하중으로 나타내고 소형은 3t 미만, 중형은 5t 미만, 대형은 5t 이상으로 나눈다. 최대 작업 범위는 최소 25m 내지 30m 이상이 대부분이며, 그 자립고(Free Standing)는 타워의 강도로 정해지는데 30m~40m 범위가 많다. 데릭 크레인에 비하여 지주와 지지 케이블이 필요 없으며, 인접시설 등에 장해가 없는 상태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작업 범위가 넓고 작업 능력도 다른 크레인에 비하여 2배에 이른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기초앵커(basic anchor) 위에 기초마스트(basic mast)가 설치되고 이 기초마스트 상에 다수의 마스트(mast)들이 조립된다. 조립된 마스트들의 상부에는 마스트의 높이를 높일 때 사용되는 텔레스코핑 케이지(telescoping cage)가 설치된다.
마스트의 최상단에는 타워크레인의 선회운동을 담당하는 선회프레임 및 선회장치가 설치되고, 그 위에 수평 지브형 또는 기복 지브형에는 타워 헤드(Tower head)와 지브 및 카운터지브가 설치되고, 해머헤드형에는 지브 및 카운터 지브 만이 설치된다, 타워 헤드는 지브와 카운트지브를 연결하는 타이 바 또는 기복 로프를 상호 지탱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운트지브는, 타워크레인의 전, 후방의 균형 유지를 위해 지브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카운트지브에는 균형추와 윈치를 사용한 권상장치가 설치된다.
지브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외팔보 형태의 구조물로서, 지브의 길이, 즉 선회반경에 따라 권상용량이 결정된다. 풍하중 및 중량의 감소를 위해 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지브에는 수평지브형 또는 해머헤드형에는 트롤리가 설치되고, 기복 지브형에는 지브의 끝단에 바로 훅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수평 지브 및 해머헤드형에 설치되는 트롤리는 지브를 따라 이송되면서 권상작업을 위한 선회 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이다. 이러한 트롤리에는 훅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는, 트롤리에서 내려진 와이어로프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며, 권상장치의 구동 시 와이어로프가 감기면서 이 훅어셈블리가 상하로 이송된다. 이러한 훅 어셈블리는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는 훅 블럭과, 이 훅 블럭의 하단에 결합되는 훅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타워크레인은 마스트의 상단 일측에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카운터지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운터지브에는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권상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타워크레인은 몇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종래의 타워크레인은 마스트의 일측에는 지브가 길게 연장되어 있고, 이 지브로 인해 마스트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트 타측의 카운터지브에는 카운터웨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브 및 카운터지브 설치구조는 지브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었을 경우, 마스트를 중심으로 지브와 카운터웨이트가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마스트에 무게 중심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지브가 상측방향으로 세워져서 지브의 무게 중심이 마스트 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타워크레인의 무게 중심이 카운터웨이트 쪽으로 쏠리게 된다. 즉, 지브가 상측으로 세워질 경우, 지브의 무게 중심은 마스트 쪽으로 이동되지만, 카운터웨이트는 마스트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브가 상측으로 들리면 마스트에 작용하였던 타워크레인의 무게 중심이 카운터웨이트 쪽으로 쏠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브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무게 중심이 이동되면서 마스트가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마스트의 전후 방향 유동은 마스트의 피로를 점차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외풍 등의 외력이 갑자기 작용할 경우 마스트가 피로 파괴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하였다.
둘째, 종래의 타워크레인은 마스트 상단 일측에 다수의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카운터지브가 설치되고, 이 카운터지브에 카운터웨이트와 권상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스트의 상부에는 켓헤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켓헤드는 지브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바를 상호 지탱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타워크레인은 마스트의 상단 일측에 다수의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카운터지브를 설치하고, 마스트의 상단에 카운터웨이트 및 지브를 지탱하기 위한 켓헤드, 연결바를 설치해야 하므로 조립이 매우 어렵고, 부품수가 증가되므로 제조단가도 크게 증가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3397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브의 상하 회동 각도에 관계없이 지브 및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언제나 마스트 상에 위치되도록 한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최소화되도록 한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긴 길이의 지브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은, 마스트와, 마스트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지브와, 마스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브에 연결되어서 지브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전부와, 회전부에 설치되고 지브에 연결되어서 지브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프레임과, 회전부에 설치되고 지브에 연결되어서 지브가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상하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구비되어서 하나의 상부캠면을 이루고, 지지프레임의 상부캠면은 마스트 상단의 엔드부 상측에 위치되며; 지브 및 지지프레임의 상부캠면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서 지브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지브의 일단에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어서 지브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의 다른 특징은, 상하구동부는, 러핑실린더로 이루어지고, 러핑실린더의 하단부가 회전부에 힌지결합되며 러핑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지브에 힌지결합되어서, 러핑실린더의 작동시 지브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의 또 다른 특징은, 상부캠면은 마스트 상단의 엔드부 상측에 위치되고, 지브의 일단에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어서, 지브의 상하로 회동되어도 지브의 무게중심이 상부캠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의 또 다른 특징은, 지브의 단부에는 후크풀리가 구비된 후크블록이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후크블록을 마주보는 회전부 일측에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호이스트윈치 및 후크블록 사이의 지브에는 루트풀리, 제1서클풀리, 프레임풀리, 제2서클풀리, 엔드풀리, 고정단이 구비되어 있고, 와이어드럼에서 인출된 와이어로프가 루트풀리, 제1서클풀리, 프레임풀리, 제2서클풀리, 엔드풀리 및 후크블록의 후크풀리를 경유한 후 고정단에 고정되어서, 와이어로프가 호이스트윈치에서 인출된 후 지브 및 후크블록까지 경유할 때에 최단거리를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부에 설치되고 지브에 연결되어서 지브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프레임과, 회전부에 설치되고 지브에 연결되어서 지브가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상하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프레임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구비되어서 하나의 힌지부를 이루되, 지지프레임의 힌지부는 마스트 상단의 엔드부 상측에 위치되고, 지브 및 지지프레임의 힌지부는 힌지축으로 결합되어서 지브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지브의 일단에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어서 지브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지브가 수평 상태인 경우, 마스트를 중심으로 지브와 카운터웨이트가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마스트에 무게 중심이 이루어지고, 지브가 상측방향으로 세워져서 지브의 무게 중심이 마스트 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지브의 회동각도만큼 카운터웨이트도 회동되면서 마스트 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지브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지브의 무게 중심이 마스트 쪽으로 이동되면 카운터웨이트의 무게중심도 마스트 쪽으로 이동되므로 지브의 상하 회동 각도에 관계없이 지브 및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언제나 마스트 상에 위치되므로 타워크레인이 흔들리거나 전복되는 위험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브가 마스트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마스트와 지브 사이에는 지브를 상하 회동시키기 위한 러핑실린더가 설치되며, 지브에는 지브와 함께 상하로 회동되도록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된다. 따라서, 마스트의 최상단에 카운터웨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베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지브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컷헤드 및 연결바도 구비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최소화되므로 조립 공수 및 제조 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후크블록을 마주보는 회전부 일측에 호이스트윈치가 설치되고, 호이스트윈치 및 후크블록 사이의 지브에 루트풀리, 제1서클풀리, 프레임풀리, 제2서클풀리, 엔드풀리, 고정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와이어드럼에서 인출된 와이어로프가 루트풀리, 제1서클풀리, 프레임풀리, 제2서클풀리, 엔드풀리 및 후크블록의 후크풀리를 경유한 후 고정단에 고정되어서, 와이어로프가 호이스트윈치에서 인출된 후 지브 및 후크블록까지 경유할 때에 최단거리를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와이어로프가 최단거리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므로 조립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와이어로프의 손실의 우려가 그만큼 감소되며, 재료비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3은 와이어로프가 경유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4는 지브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6은 역전방지나사받이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와이어로프가 경유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4는 지브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탑리스 타워크레인은, 마스트(10), 지브(20), 회전부(30), 지지프레임(40), 상하구동부(5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마스트(10)의 상부에는 지브(20)가 설치된다. 이 지브(20)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수평상태로 설치된 지브(20)의 하부 후방에는 지브고정브라켓(21)이 결합되어 있다. 이 지브고정브라켓(21)의 일단에는 후술할 지지프레임(40)의 힌지부(41)가 힌지축(42)으로 결합되고, 지브고정브라켓(21)의 타단에는 후술할 러핑실린더(51)의 실린더로드(52) 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회전부(30)는, 마스트(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브(20)에 연결되어서 지브(20)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부(30)는 마스트(10)에 설치되는 고정베이스(31)와, 고정베이스(31) 상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베이스(32)와, 고정베이스(31) 상에 설치되어서 회전베이스(32)가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링기어(33)와, 회전베이스(32)에 설치되고 링기어(33)에 연결되어서 회전베이스(32)가 링기어(33)를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모터(34)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40)은, 회전부(30)에 설치되고 지브(20)에 연결되어서 지브(2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40)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구비되어서 하나의 힌지부(41)를 이루고, 지지프레임(40)의 힌지부(41)는 마스트(10) 상단의 엔드부(11) 상측에 위치된다.
지브(20) 및 지지프레임(40)의 힌지부(41)는 힌지축(42)으로 결합되어서 지브(20)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상하구동부(50)는, 회전부(30)에 설치되고 지브(20)에 연결되어서 지브(20)가 지지프레임(4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하구동부(50)는, 러핑실린더(51)로 이루어진다. 러핑실린더(51)의 하단부가 회전부(30)에 힌지결합되며 러핑실린더(51)의 실린더로드(52)가 지브(20)에 힌지결합되어서, 러핑실린더(51)의 작동시 지브(20)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지브(20)의 일단에는 카운터웨이트(60)가 장착되어서 지브(2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힌지부(41)는 마스트(10) 상단의 엔드부(11) 상측에 위치되고, 지브(20)의 일단에는 지브(20)와 함께 상하로 회동되도록 카운터웨이트(60)가 장착된다. 따라서, 지브(20)가 상측으로 회동되어도 지브(20) 및 카운터웨이트(6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41)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도 3은 와이어로프(W)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여서 와이어로프(W)의 배치를 설명한다.
먼저, 지브(20)의 단부에는 후크풀리(73)가 구비된 후크블록(72)이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크블록(72)을 마주보는 회전부(30) 일측에는 와이어드럼(71)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70)가 설치되어 있다. 호이스트윈치(70) 및 후크블록(72) 사이의 지브(20)에는 루트풀리(75), 제1서클풀리(76), 프레임풀리(79), 제2서클풀리(77), 엔드풀리(78), 고정단(7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드럼(71)에서 인출된 와이어로프(W)가 루트풀리(75), 제1서클풀리(76), 프레임풀리(79), 제2서클풀리(77), 엔드풀리(78) 및 후크블록(72)의 후크풀리(73)를 경유한 후 고정단(74)에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W)가 호이스트윈치(70)에서 인출된 후 지브(20) 및 후크블록(72)까지 경유할 때에 최단거리를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30)에 설치되고 지브(20)에 연결되어서 지브(2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프레임(40)과, 회전부(30)에 설치되고 지브(20)에 연결되어서 지브(20)가 지지프레임(4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상하구동부(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프레임(40)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구비되어서 하나의 힌지부(41)를 이루되, 지지프레임(40)의 힌지부(41)는 마스트(10) 상단의 엔드부(11) 상측에 위치되고, 지브(20) 및 지지프레임(40)의 힌지부(41)는 힌지축(42)으로 결합되어서 지브(20)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지브(20)의 일단에는 카운터웨이트(60)가 장착되어서 지브(2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지브(20)가 수평 상태인 경우, 마스트(10)를 중심으로 지브(20)와 카운터웨이트(60)가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마스트(10)에 무게 중심이 이루어지고, 지브(20)가 상측방향으로 세워져서 지브(20)의 무게 중심이 마스트(10) 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지브(20)의 회동각도만큼 카운터웨이트(60)도 회동되면서 마스트(10) 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지브(20)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지브(20)의 무게 중심이 마스트(10) 쪽으로 이동되면 카운터웨이트(60)의 무게중심도 마스트(10) 쪽으로 이동되므로 지브(20)의 상하 회동 각도에 관계없이 지브(20) 및 카운터웨이트(60)의 무게 중심이 언제나 마스트(10)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브(20)가 마스트(10)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마스트(10)와 지브(20) 사이에는 지브(20)를 상하 회동시키기 위한 러핑실린더(51)가 설치되며, 지브(20)에는 지브(20)와 함께 상하로 회동되도록 카운터웨이트(60)가 장착된다.
따라서, 마스트(10)의 최상단에 카운터웨이트(6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베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지브(20)와 카운터웨이트(60)를 연결하기 위한 컷헤드 및 연결바도 구비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최소화되므로 조립 공수 및 제조 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블록(72)을 마주보는 회전부(30) 일측에 호이스트윈치(70)가 설치되고, 호이스트윈치(70) 및 후크블록(72) 사이의 지브(20)에 루트풀리(75), 제1서클풀리(76), 프레임풀리(79), 제2서클풀리(77), 엔드풀리(78), 고정단(74)이 구비되어 있으며, 와이어드럼(71)에서 인출된 와이어로프(W)가 루트풀리(75), 제1서클풀리(76), 프레임풀리(79), 제2서클풀리(77), 엔드풀리(78) 및 후크블록(72)의 후크풀리(73)를 경유한 후 고정단(74)에 고정되어서, 와이어로프(W)가 호이스트윈치(70)에서 인출된 후 지브(20) 및 후크블록(72)까지 경유할 때에 최단거리를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W)가 최단거리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므로 조립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와이어로프(W)의 손실의 우려가 그만큼 감소되며, 재료비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은 조립성 및 운반성이 향상된다.
즉, 종래의 타워크레인은 마스트를 중심으로 지브와 카운터지브가 각각 구비되므로 마스트(10)의 상부에 두개의 부품이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 구조이나, 본 발명은 카운터지브없이 마스트(10) 상부에 지브(20)만 설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나의 지브(20)를 일관성있게 설계할 수 있으며, 지브(20)를 마스트(10) 상단까지 이송시키고 조립하는 작업이 그만큼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은 지브(20)가 회전되면 카운터웨이트(60)도 함께 회전되므로 지브(20) 및 카운터웨이트(60)의 무게중심이 항상 마스트(10)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지브(20)가 상측으로 많이 들려도 안전상 아무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지브(20)는 마스트의 상부에 90°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지브(20)는 러핑실린더(51)에 의해 90°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브(20)의 상하 회동범위가 대폭 증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은 조립성이 크게 개선된다.
보통, 타워크레인 조립 현장은 비좁은 경우가 많다. 특히 복잡한 도심에서 건축 공사를 할 때에, 넓은 공간의 타워크레인 조립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지브(20)가 84°정도 세워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지브(20)를 조립할 때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단위 지브(20)를 설치한 후에 러핑실린더(51)를 작동시켜서 상측으로 세운 후 상측 방향으로 연장해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지브(20)를 조립할 때에 상측방향으로 연장해 나가면서 조립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긴 길이의 지브(20)를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힌지축(42)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힌지축(42)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힌지축(42)의 외주면에 세라믹 도포를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도포는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힌지축(42)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힌지축(42)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힌지축(42)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힌지축(42)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마모방지코팅층은, 힌지축(42)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힌지축(42)의 외주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도포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힌지축(42)의 외주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도포되는 동안 힌지축(42)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힌지축(42)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힌지축(42)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마모방지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도포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도포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힌지축(42)의 외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되므로 힌지축(42)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지브고정브라켓(21)은 FCD주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FCD주철은, 일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FCD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지브고정브라켓(21)은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FCD주철을 160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65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된 FCD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중량%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중량%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중량% 정도가 적합하다.
용융된 FCD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500℃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50℃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500∼1550℃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브고정브라켓(21)이 FCD주철로 이루어지므로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0)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러핑실린더(51)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압호스(도시하지 않음)에는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RD는 내오존성 및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며, 유압호스의 부식 및 산화를 방지시킨다.
본 발명은 유압호스에 RD 0.4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RD의 첨가량이 상술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산화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상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직의 밀도 및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압호스에 RD가 더 첨가되므로 내산화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윙모터(34)는 회전베이스(32)의 상부면에 볼트(35)로 체결된다. 이 볼트(35)의 볼트머리(36)에는 역전방지나사받이(80)가 구비될 수 있다. 역전방지나사받이(80)는 볼트머리(36) 하부에 결합되어서 볼트(35)의 풀림을 방지시키며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와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84)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는 상부면에 볼트(35)의 볼트머리(36)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톱니(8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볼트(35)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하부캠면(83)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84)는 하부면에 하부톱니(85)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의 하부캠면(83)과 맞물리도록 볼트(35)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상부캠면(86)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84)의 하부톱니(85)가 회전베이스(32)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연이어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84) 위에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를 적층시키되,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84)의 상부캠면(86)과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의 하부캠면(83)이 서로 치합되게 적층시킨 후, 이어서 볼트(35)를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와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84)와 장착면에 관통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볼트(35)의 볼트머리(36) 저면에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의 상부톱니(82)가 밀착됨으로써, 볼트(35)가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결국 스윙모터(34)가 회전베이스(32)의 상부면에 견고히 장착된다.
그리고, 러핑실린더(51)의 실린더로드(52) 둘레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포층의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실린더로드(52)의 둘레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로드(52)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붕산 0.1 몰 및 탄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러핑실린더(51)의 실린더로드(52) 둘레에 도포되므로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마스트 11 : 엔드부
20 : 지브 21 : 지브고정브라켓
30 : 회전부 31 : 고정베이스
32 : 회전베이스 33 : 링기어
34 : 스윙모터 35 : 볼트
36 : 볼트머리 40 : 지지프레임
41 : 힌지부 42 : 힌지축
50 : 상하구동부 51 : 러핑실린더
52 : 실린더로드 60 : 카운터웨이트
70 : 호이스트윈치 71 : 와이어드럼
72 : 후크블록 73 : 후크풀리
74 : 고정단 75 : 루트풀리
76 : 제1서클풀리 77 : 제2서클풀리
78 : 엔드풀리 79 : 프레임풀리
80 : 역전방지나사받이 81 :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
82 : 상부톱니 83 : 하부캠면
84 :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 85 : 하부톱니
86 : 상부캠면

Claims (4)

  1. 마스트(10)와, 마스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지브(20)와, 마스트(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브(20)에 연결되어서 지브(20)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전부(30)와, 회전부(30)에 설치되고 지브(20)에 연결되어서 지브(2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프레임(40)과, 회전부(30)에 설치되고 지브(20)에 연결되어서 지브(20)가 지지프레임(4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상하구동부(50)로 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40)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도록 구비되어서 하나의 힌지부(41)를 이루고, 지지프레임(40)의 힌지부(41)는 마스트(10) 상단의 엔드부(11) 상측에 위치되며;
    지브(20) 및 지지프레임(40)의 힌지부(41)는 힌지축(42)으로 결합되어서 지브(20)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지브(20)의 일단에는 카운터웨이트(60)가 장착되어서 지브(2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힌지축(42)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도포되되, 상기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힌지축(42)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되고, 상기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되며, 상기 실링재의 도포 두께는 0.3∼0.5㎛이고;
    수평상태로 설치된 지브(20)의 하부 후방에 결합되는 지브고정브라켓(21)은 FCD주철로 이루어지되, 상기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40)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하단부가 회전부(30)에 힌지결합되는 러핑실린더(51)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압호스에는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가 첨가되되, 상기 유압호스에 대해 RD 0.4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며;
    마스트(10)에 설치되는 고정베이스(31)와, 고정베이스(31) 상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베이스(32)와, 고정베이스(31) 상에 설치되어서 회전베이스(32)가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링기어(33)와, 회전베이스(32)에 설치되고 링기어(33)에 연결되어서 회전베이스(32)가 링기어(33)를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모터(34)가 구비되되, 스윙모터(34)는 회전베이스(32)의 상부면에 볼트(35)로 체결되고, 볼트(35)의 볼트머리(36)에는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와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84)로 구성된 역전방지나사받이(80)가 구비되며,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는 상부면에 볼트(35)의 볼트머리(36)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톱니(8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볼트(35)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하부캠면(83)이 형성되며, 하부역전방지나사받이(84)는 하부면에 하부톱니(85)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부역전방지나사받이(81)의 하부캠면(83)과 맞물리도록 볼트(35)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상부캠면(86)이 형성되며;
    지브(20)에 힌지결합되어서 러핑실린더(51)의 작동시 지브(20)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러핑실린더(51)의 실린더로드(52) 둘레에는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의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구동부(50)는,
    러핑실린더(51)로 이루어지고, 러핑실린더(51)의 하단부가 회전부(30)에 힌지결합되며 러핑실린더(51)의 실린더로드(52)가 지브(20)에 힌지결합되어서, 러핑실린더(51)의 작동시 지브(20)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힌지부(41)는 마스트(10) 상단의 엔드부(11) 상측에 위치되고, 지브(20)의 일단에는 지브(20)와 함께 상하로 회동되도록 카운터웨이트(60)가 장착되어서, 지브(20)가 상측으로 회동되어도 지브(20) 및 카운터웨이트(6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41)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브(20)의 단부에는 후크풀리(73)가 구비된 후크블록(72)이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후크블록(72)을 마주보는 회전부(30) 일측에는 와이어드럼(71)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70)가 설치되어 있으며,
    호이스트윈치(70) 및 후크블록(72) 사이의 지브(20)에는 루트풀리(75), 제1서클풀리(76), 프레임풀리(79), 제2서클풀리(77), 엔드풀리(78), 고정단(74)이 구비되어 있고,
    와이어드럼(71)에서 인출된 와이어로프(W)가 루트풀리(75), 제1서클풀리(76), 프레임풀리(79), 제2서클풀리(77), 엔드풀리(78) 및 후크블록(72)의 후크풀리(73)를 경유한 후 고정단(74)에 고정되어서,
    와이어로프(W)가 호이스트윈치(70)에서 인출된 후 지브(20) 및 후크블록(72)까지 경유할 때에 최단거리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KR1020160054559A 2016-05-03 2016-05-03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KR10168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59A KR101689107B1 (ko) 2016-05-03 2016-05-03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59A KR101689107B1 (ko) 2016-05-03 2016-05-03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107B1 true KR101689107B1 (ko) 2016-12-22

Family

ID=5772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559A KR101689107B1 (ko) 2016-05-03 2016-05-03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2578A (zh) * 2018-12-07 2019-04-09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塔机上装结构和塔式起重机
KR102080617B1 (ko) * 2018-11-29 2020-02-24 홍득표 러핑형 타워크레인의 지브 엔드 하부롤러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584U (ko) * 1989-08-29 1991-04-19
KR100833970B1 (ko) 2007-04-27 2008-05-30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타워크레인용 선회장치
KR20120042115A (ko) * 2010-10-22 2012-05-03 박정원 타워 크레인
CN203582343U (zh) * 2013-12-04 2014-05-07 泰富重工制造有限公司 一种防止俯仰机构失效保护装置
CN105502176A (zh) * 2016-01-29 2016-04-20 山东大汉建设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变幅式动臂塔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584U (ko) * 1989-08-29 1991-04-19
KR100833970B1 (ko) 2007-04-27 2008-05-30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타워크레인용 선회장치
KR20120042115A (ko) * 2010-10-22 2012-05-03 박정원 타워 크레인
CN203582343U (zh) * 2013-12-04 2014-05-07 泰富重工制造有限公司 一种防止俯仰机构失效保护装置
CN105502176A (zh) * 2016-01-29 2016-04-20 山东大汉建设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变幅式动臂塔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617B1 (ko) * 2018-11-29 2020-02-24 홍득표 러핑형 타워크레인의 지브 엔드 하부롤러 조립체
CN109592578A (zh) * 2018-12-07 2019-04-09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塔机上装结构和塔式起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107B1 (ko)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EP3153396B1 (en) A main boom and a knuckle boom
EP1055636B1 (en) Hoist
CN101343021B (zh) 大型全回转海上平台起重机
CN103964316B (zh) 多功能多用途门座式起重机
KR10194633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타워크레인
KR101802842B1 (ko) 타워 크레인용 가변형 월타이
GB2025349A (en) Derrick Crane
CN201800875U (zh) 船用锚链收放组合设备
CN201261694Y (zh) 大型全回转海上平台起重机
WO2014043995A1 (zh) 一种拆分式起重机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KR102124888B1 (ko) 크레인의 평형추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CN105384085A (zh) 塔柱式三弦杆臂架船用起重机
CA275380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ving a hoisting cable
KR101701933B1 (ko) 다목적 인양기
CN101839324A (zh) 臂架型起重机滑轮装置
CN212954075U (zh) 一种用于镀锌生产车间的欧式葫芦
US11932522B2 (en) Rope guiding device of rope hoist
KR101499627B1 (ko) Bop 갠트리 오프쇼어 크레인용 권상 및 권하 동조 시스템
CN211078244U (zh) 一种耐腐蚀农业吊装机
CN220531989U (zh) 一种涂装件吊挂支架
CN214359820U (zh) 一种小转弯半径和多小车的电动葫芦
JP7356894B2 (ja) 鉄塔の改造工事用台棒装置
CN104326375A (zh) 一种四连杆门座式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