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933B1 - 다목적 인양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933B1
KR101701933B1 KR1020140194752A KR20140194752A KR101701933B1 KR 101701933 B1 KR101701933 B1 KR 101701933B1 KR 1020140194752 A KR1020140194752 A KR 1020140194752A KR 20140194752 A KR20140194752 A KR 20140194752A KR 101701933 B1 KR101701933 B1 KR 101701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jib
mast
anch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238A (ko
Inventor
고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9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185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erecting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고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앵커블록; 앵커블록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스트; 마스트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윙프레임; 일단이 스윙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브; 지브에 설치되어서 지브를 따라 왕복이송되는 트롤리; 트롤리에 설치되고 트롤리와 함께 이송되는 호이스트; 일단이 스윙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카운터지브; 카운터지브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지브에는 래크가 설치되어 있고, 트롤리에 설치된 구동모터에는 래크에 치합도록 피니언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의 구동시 트롤리가 지브를 따라 이송되도록 피니언이 회전되면서 래크를 따라 이송된다.
따라서, 트롤리가 래크 및 피니언에 의해 지브를 따라 이송되므로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고, 제동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지브에 변형이 발생되어도 트롤리의 이송에는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다목적 인양기{Multipurpose hoist}
본 발명은 다목적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트롤리가 지브를 따라 이동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고, 마스트 설치용 앵커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되며, 트롤리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지브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될 뿐 아니라, 출고시 지브 및 카운터지브를 접철시킬 수 있는 다목적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목적 인양기는 어촌의 부두 및 해안가에 설치되어서 태풍 등의 재해 발생시나 일상 시에 어업인들이 어선이나 수산물을 용이하게 인양 및 하역하여 노동력을 절감하고 어선의 안전한 정박 및 어업인들의 생산 소득 향상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다목적 인양기는 지반에 마스트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터파기를 하고, 터파기된 내부 공간에 다수의 앵커볼트들을 배치한 후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하여서 다수의 앵커볼트가 배치되면 그 위에 마스트의 하부를 안착시키고 마스트 하단의 플랜지구멍을 앵커볼트에 끼운 후 너트를 체결시킨다.
그런데 마스트를 앵커볼트들에 조립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마스트를 앵커볼트들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마스트의 플랜지구멍들과 앵커볼트들이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한다.
다수의 앵커볼트들이 마스트의 플랜지구멍들에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앵커볼트들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앵커볼트를 고정시키는 작업 시간이 지연되었다.
또한 종래의 다목적 인양기는 트롤리가 마찰방식에 의해 지브를 따라 횡행 이송되는 방식이다. 즉, 트롤리의 구동롤러가 지브에 접촉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시 구동롤러가 회전되면서 지브를 따라 이송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마찰 방식의 트롤리가 원활하게 구동되기 위해서는 지브의 변형이 매우 작아야 한다. 지브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구동롤러와 지브의 접촉면에 변화가 발생되어서 구동롤러의 회전력이 지브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브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지브의 크기를 크게 설계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트롤리는 구동롤러와 지브 사이의 마찰력으로 구동하므로 제동시에 미끄럼이 발생된다. 따라서, 횡행되는 트롤리를 제동시키면 조금씩 미끄럼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서 제동되지 못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다목적 인양기는 인양기의 대부분이 볼트 접합 방식과 용접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목적 인양기의 전체 크기가 매우 크며, 이러한 큰 크기의 다목적 인양기를 한정된 크기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시키고 운반한 후 다시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설치인원이 많은 시간동안 해체 및 조립해야 하므로 운반 및 설치가 매우 번잡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15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롤리가 지브를 따라 이송될 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다목적 인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트 설치용 앵커들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되도록 한 다목적 인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롤리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지브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되도록 한 다목적 인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고시 지브 및 카운터지브를 접철시킬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인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는,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고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앵커블록; 앵커블록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스트; 마스트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윙프레임; 일단이 스윙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브; 지브에 설치되어서 지브를 따라 왕복이송되는 트롤리; 트롤리에 설치되고 트롤리와 함께 이송되는 호이스트; 일단이 스윙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카운터지브; 카운터지브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지브에는 래크가 설치되어 있고, 트롤리에 설치된 구동모터에는 래크에 치합도록 피니언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의 구동시 트롤리가 지브를 따라 이송되도록 피니언이 회전되면서 래크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의 다른 특징은, 앵커블록은,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수직의 네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앵커들과,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앵커들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대들과, 앵커들의 상단부에 고정된 앵커플랜지들로 이루어져서 직육면체의 지지틀을 이루고; 앵커들의 상단부를 제외한 앵커블록 전체가 기초콘크리트에 매입되며; 마스트의 하단의 하부받침이 앵커플랜지에 안착된 후 하부받침의 하부받침플랜지와 앵커플랜지가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서 마스트가 앵커블록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의 또 다른 특징은, 트롤리는, 한쌍의 트롤리판과, 한쌍의 트롤리판의 대응 내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의 하단 상부면에 안착되어서 트롤리를 지브에 지지시키며 트롤리의 이송을 안내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롤러와, 한쌍의 트롤리판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서 트롤리가 지브의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평가이드롤러와, 한쌍의 트롤리판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의 하단에 지지되며 트롤리가 지브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전도방지롤러와, 지브에 설치되고 래크가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과, 트롤리판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브라켓의 일면에 지지되어서 트롤리가 지브를 따라 이송될시 래크와 피니언의 치합을 유지시키는 발란스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의 또 다른 특징은, 스윙프레임의 일측 및 이에 연결되는 지브의 일단에는 지브를 수평으로 펼치거가 마스트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1접철부가 구비되어 있고, 스윙프레임의 타측 및 이에 연결되는 카운터지브의 일단에는 카운터지브를 수평으로 펼치거나 마스트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2접철부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지브에 래크가 설치되어 있고, 트롤리에 설치된 구동모터에는 래크에 치합도록 피니언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의 구동시 피니언이 회전되면서 래크를 따라 이송되므로 트롤리가 지브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트롤리가 래크 및 피니언에 의해 지브를 따라 이송되므로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고, 제동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지브에 변형이 발생되어도 트롤리의 이송에는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앵커블록은,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수직의 네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앵커들과,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앵커들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대들과, 앵커들의 상단부에 고정된 앵커플랜지들로 이루어져서 직육면체의 지지틀을 이룬다. 그리고, 앵커들의 상단부를 제외한 앵커블록 전체가 기초콘크리트에 매입된다. 따라서, 마스트의 하단의 하부받침이 앵커플랜지에 안착된 후 하부받침의 하부받침플랜지와 앵커플랜지가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서 마스트가 앵커블록에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앵커블록은 박스 타입으로 정형화되어서 구비되므로 터파기된 공간 내에 안착시킨 후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마스트 설치용 하부 구조물 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기초콘크리트의 타설 및 앵커 설치 방법이 매우 간편하고, 설치 시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트롤리는, 지브의 하단 상부면에 안착되어서 트롤리를 지브에 지지시키며 트롤리의 이송을 안내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롤러와, 지브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서 트롤리가 지브의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평가이드롤러와, 지브의 하단에 지지되며 트롤리가 지브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전도방지롤러와, 가이드브라켓의 일면에 지지되어서 트롤리가 지브를 따라 이송될시 발란스를 유지시키는 발란스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직가이드롤러에 의해 트롤리가 지브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지브를 따라 이송되고, 수평가이드롤러에 의해 트롤리가 지브의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전도방지롤러에 의해 트롤리가 지브의 상측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트롤리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지브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되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스윙프레임 일측 및 이에 연결되는 지브의 일단에는 지브를 수평으로 펼치거가 마스트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1접철부가 구비되어 있고, 스윙프레임의 타측 및 이에 연결되는 카운터지브의 일단에는 카운터지브를 수평으로 펼치거나 마스트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2접철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다목적 인양기의 주요 부위가 제1접철부 및 제2접철부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므로 출고시 지브 및 카운터지브를 접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목적 인양기의 볼륨을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적재하여 출고시킬 수 있으므로, 최소의 조립 인원으로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 시간이 단축되므로 설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앵커블록을 보인 부분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트롤리 및 지브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 및 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7은 지브 및 카운터지브가 접철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앵커블록을 보인 부분 확대도이며, 도 3 및 도 4는 트롤리 및 지브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 및 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지브 및 카운터지브가 접철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는, 앵커블록(10), 마스트(20), 스윙프레임(30), 스윙유니트(40), 지브(50), 트롤리(60), 호이스트(80), 카운터지브(90), 카운터웨이트(100), 제1접철부(110), 제2접철부(12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앵커블록(10)은, 기초콘크리트(1)에 매설되고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앵커블록(10)은,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수직의 네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앵커(11)들과,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앵커(11)들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대(12)들과, 앵커(11)들의 상단부에 고정된 앵커플랜지(13)들로 이루어져서 직육면체의 지지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앵커블록(10)은, 앵커(11)들의 상단부를 제외한 앵커블록(10) 전체가 기초콘크리트(1)에 매입된다. 따라서, 마스트(20)의 하단의 하부받침(21)이 앵커플랜지(13)에 안착된 후 하부받침(21)의 하부받침플랜지(22)와 앵커플랜지(13)가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서 마스트(20)가 앵커블록(10)에 고정된다.
마스트(20)는 , 앵커블록(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마스트(20)의 하단에는 마스트(20)를 지지하도록 하부받침(21)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받침(21)에는 앵커블록(10)의 앵커플랜지(13)에 접촉되도록 하부받침플랜지(2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받침플랜지(22)를 앵커플랜지(13)에 안착시킨 후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서 마스트(20)를 앵커(11)들에 고정시킨다.
스윙프레임(30)은 마스트(20)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윙프레임(30)의 상부에는 버티컬프레임(3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버티컬프레임(31)에 후술할 아웃터지브타이바(115) 및 카운터지브타이바(124)의 일단이 연결된다.
스윙유니트(40)는 마스트(20) 및 스윙프레임(30)에 설치되어서 스윙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윙유니트(40)는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모터(41)가 구비되고, 이 회전모터(41)에는 링기어(미도시), 선기어(미도시)로 이루어진 회전수단이 연결되어서 스윙프레임(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스윙프레임(30)에 링기어가 결합되어 있고, 이 링기어에 선기어가 치합되어 있으며, 선기어에는 회전모터(41)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41)가 구동되면 선기어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선기어에 치합된 링기어가 회전되면서 스윙프레임(30)을 회전시킨다.
지브(50)는, 일단이 스윙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된다.
트롤리(60)는, 지브(50)에 설치되어서 지브(50)를 따라 왕복이송된다.
이러한 트롤리(60)는 트롤리판(61), 수직가이드롤러(62), 수평가이드롤러(63), 전도방지롤러(64), 가이드브라켓(65), 발란스롤러(66)로 이루어진다.
트롤리판(61)은 한쌍이 구비된다. 수직가이드롤러(62)는, 한쌍의 트롤리판(61)의 대응 내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50)의 하단 상부면에 안착되어서 트롤리(60)를 지브(50)에 지지시키며 트롤리(60)의 이송을 안내한다. 수평가이드롤러(63)는, 한쌍의 트롤리판(61)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50)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서 트롤리(60)가 지브의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전도방지롤러(64)는, 한쌍의 트롤리판(61)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50)의 하단에 지지되며 트롤리(60)가 지브(5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가이드브라켓(65)은, 지브(50)에 설치되고 래크(67)가 결합축(68)으로 결합된다. 발란스롤러(66)는, 트롤리판(61)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브라켓(65)의 일면에 지지되어서 트롤리(60)가 지브(50)를 따라 이송될시 발란스를 유지시킨다.
한편, 지브(5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래크(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크(67)는 결합축(68)에 의해 지브(50)에 설치된다.
트롤리(60)에는 구동모터(69)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69)의 모터축(70)에는 래크(67)에 치합도록 피니언(7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69)가 구동되면 피니언(71)이 회전되면서 래크(67)를 따라 이송되고, 이에 따라 트롤리(60)가 지브(50)를 따라 이송된다.
호이스트(80)는 트롤리(60)에 설치되고 트롤리(60)와 함께 이송된다.
카운터지브(90)는, 일단이 스윙프레임(30)의 타측에 설치된다.
카운터웨이트(100)는, 카운터지브(90)에 설치된다.
제1접철부(110)는, 스윙프레임(30)의 일측 및 이에 연결되는 지브(50)의 일단에는 지브(50)를 수평으로 펼치거가 마스트(20)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접철부(110)는, 스윙프레임(30)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111)과, 지브(5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회동편(112)과, 제1고정편(111) 및 제1회동편(112)의 일측에 결합되어서 제1회동편(112)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1힌지축(113)과, 제1고정편(111) 및 제1회동편(112)의 타측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브(50)를 펼칠때에는 제1고정편(111) 및 제1회동편(112)에 결합되고 지브(50)를 마스트(20) 측에 접을 때에는 제1고정편(111) 및 제1회동편(112)으로부터 분리되는 착탈핀(114)과, 일단이 버티컬프레임(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브(50)의 단부에 연결되어서 지브(5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아웃터지브타이바(115)로 이루어진다.
제2접철부(120)는, 스윙프레임(30)의 타측 및 이에 연결되는 카운터지브(90)의 일단에는 카운터지브(90)를 수평으로 펼치거나 마스트(20)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접철부(120)는, 스윙프레임(30)에 고정되는 제2고정편(121)과, 카운터지브(9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2회동편(122)과, 제2고정편(121) 및 제2회동편(122)의 일측에 결합되어서 제2회동편(122)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2힌지축(123)과, 일단이 버티컬프레임(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카운터지브(90)의 단부에 연결되어서 카운터지브(9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카운터지브타이바(12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는 지브(50) 및 카운터지브(90)를 접기 위해서 아웃터지브타이바(115) 및 카운터지브타이바(124)의 단부를 버티컬프레임(31)으로부터 풀고, 착탈핀(114)을 제1접철부(11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지브(50) 및 카운터지브(90)를 제1힌지축(113) 및 제2힌지축(12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마스트(20) 측으로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지브(50) 및 카운터지브(90)를 마스트(20)에 밀착되도록 접으므로 볼륨을 최소화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적재하여 출고시킨다.
다목적 인양기가 설치장소로 운반되면 마스트(20)를 설치하기 위해 모듈화된 앵커블록(10)을 바닥에 기초콘크리트(1)로 고정한다. 바닥에 터파기를 한 후 앵커블록(10)을 안착시키고 기초콘크리트(1)를 타설하면 간단히 고정된다.
타설된 기초콘크리트(1)가 응고되면 앵커블록(10) 위에 마스트(20)를 안착시킨다. 마스트(20)의 하부받침(21)을 앵커블록(10) 위에 대향시키고 하부받침(21)의 하부받침플랜지(22)를 앵커블록(10)의 앵커플랜지(13)에 안착시키며, 하부받침플랜지(22) 및 앵커플랜지(13)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시킨다.
마스트(20)가 앵커(11)에 설치되면 지브(50) 및 카운터지브(90)를 펼치고 아웃터지브타이바(115) 및 카운터지브타이바(124)의 일단을 버티컬프레임(3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고정편(111) 및 제1회동편(112)에 착탈핀(114)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목적 인양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지브(50)에 래크(67)가 설치되어 있고, 트롤리(60)에 설치된 구동모터(69)에는 래크(67)에 치합도록 피니언(71)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69)의 구동시 피니언(71)이 회전되면서 래크(67)를 따라 이송되므로 트롤리(60)가 지브(50)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트롤리(60)가 래크(67) 및 피니언(71)에 의해 지브(50)를 따라 이송되므로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고, 제동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지브(50)에 변형이 발생되어도 트롤리(60)의 이송에는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둘째, 본 발명의 앵커블록(10)은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수직의 네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앵커(11)들과,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앵커(11)들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대(12)들과, 앵커(11)들의 상단부에 고정된 앵커플랜지(13)들로 이루어져서 직육면체의 지지틀을 이룬다.
그리고, 앵커(11)들의 상단부를 제외한 앵커블록(10) 전체가 기초콘크리트(1)에 매입된다.
따라서, 마스트(20)의 하단의 하부받침(21)이 앵커플랜지(13)에 안착된 후 하부받침(21)의 하부받침플랜지(22)와 앵커플랜지(13)가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서 마스트(20)가 앵커블록에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앵커블록(10)은 박스 타입으로 정형화되어서 구비되므로 터파기된 공간 내에 안착시킨 후 기초콘크리트(1)를 타설하면 마스트(20) 설치용 하부 구조물 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기초콘크리트(1)의 타설 및 앵커(11) 설치 방법이 매우 간편하고, 설치 시간이 단축된다.
셋째, 본 발명의 트롤리(60)는 지브(50)의 하단 상부면에 안착되어서 트롤리(60)를 지브(50)에 지지시키며 트롤리(60)의 이송을 안내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롤러(62)와, 지브(50)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서 트롤리(60)가 지브(50)의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평가이드롤러(63)와, 지브(50)의 하단에 지지되며 트롤리(60)가 지브(5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전도방지롤러(64)와, 가이드브라켓(65)의 일면에 지지되어서 트롤리(60)가 지브(50)를 따라 이송될시 발란스를 유지시키는 발란스롤러(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직가이드롤러(62)에 의해 트롤리(60)가 지브(5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지브(50)를 따라 이송되고, 수평가이드롤러(63)에 의해 트롤리(60)가 지브(50)의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전도방지롤러(64)에 의해 트롤리(60)가 지브(50)의 상측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트롤리(60)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지브(50)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되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넷째, 본 발명은 스윙프레임(30) 일측 및 이에 연결되는 지브(50)의 일단에는 지브(50)를 수평으로 펼치거가 마스트(20)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1접철부(110)가 구비되어 있고, 스윙프레임(30)의 타측 및 이에 연결되는 카운터지브(90)의 일단에는 카운터지브(90)를 수평으로 펼치거나 마스트(20)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2접철부(120)가 구비된다.
따라서, 다목적 인양기의 주요 부위가 제1접철부(110) 및 제2접철부(12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므로 출고시 지브(50) 및 카운터지브(90)를 접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목적 인양기의 볼륨을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적재하여 출고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최소의 조립 인원으로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 시간이 단축되므로 설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피니언(71)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피니언(71)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피니언(71)의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피니언(71)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피니언(71)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피니언(71)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피니언(71)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피니언(71)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피니언(71)의 외주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피니언(71)의 외주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피니언(71)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피니언(71)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피니언(71)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니언(71)의 외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피니언(71)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지브(50)는 노듈러주철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노듈러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노듈러주철은, 일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노듈러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지브(50)는 노듈러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노듈러주철을 160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65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노듈러주철을 1600∼16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된 노듈러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중량%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중량%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중량% 정도가 적합하다.
용융된 노듈러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500℃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50℃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500∼1550℃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브(50)가 노듈러주철로 이루어지므로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마스트(20)의 둘레에는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트(20)의 둘레에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므로 마스트(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1 : 기초콘크리트 10 : 앵커블록
11 : 앵커 12 : 연결대
13 : 앵커플랜지 20 : 마스트
21 : 하부받침 22 : 하부받침플랜지
30 : 스윙프레임 31 : 버티컬프레임
40 : 스윙유니트 41 : 회전모터
50 : 지브 60 : 트롤리
61 : 트롤리판 62 : 수직가이드롤러
63 : 수평가이드롤러 64 : 전도방지롤러
65 : 가이드브라켓 66 : 발란스롤러
67 : 래크 68 : 결합축
69 : 구동모터 70 : 모터축
71 : 피니언 80 : 호이스트
90 : 카운터지브 100 : 카운터웨이트
110 : 제1접철부 111 : 제1고정편
112 : 제1회동편 113 : 제1힌지축
114 : 착탈핀 115 : 아웃터지브타이바
120 : 제2접철부 121 : 제2고정편
122 : 제2회동편 123 : 제2힌지축
124 : 카운터지브타이바

Claims (4)

  1. 기초콘크리트(1)에 매설되고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앵커블록(10);
    앵커블록(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스트(20);
    마스트(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윙프레임(30);
    일단이 스윙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브(50);
    지브(50)에 설치되어서 지브(50)를 따라 왕복이송되는 트롤리(60);
    트롤리(60)에 설치되고 트롤리(60)와 함께 이송되는 호이스트(80);
    일단이 스윙프레임(30)의 타측에 설치되는 카운터지브(90);
    카운터지브(90)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10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지브(5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래크(67)가 설치되어 있고, 트롤리(60)에 설치된 구동모터(69)에는 래크(67)에 치합도록 피니언(71)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69)의 구동시 트롤리(60)가 지브(50)를 따라 이송되도록 피니언(71)이 회전되면서 래크(67)를 따라 이송되고;
    트롤리(60)는,
    한쌍의 트롤리판(61)과,
    한쌍의 트롤리판(61)의 대응 내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50)의 하단 상부면에 안착되어서 트롤리(60)를 지브(50)에 지지시키며 트롤리(60)의 이송을 안내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롤러(62)와,
    한쌍의 트롤리판(61)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50)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서 트롤리(60)가 지브의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평가이드롤러(63)와,
    한쌍의 트롤리판(61)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브(50)의 하단에 지지되며 트롤리(60)가 지브(5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전도방지롤러(64)와,
    지브(50)에 설치되고 래크(67)가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65)과,
    트롤리판(61)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브라켓(65)의 일면에 지지되어서 트롤리(60)가 지브(50)를 따라 이송될시 발란스를 유지시키는 발란스롤러(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인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앵커블록(10)은,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수직의 네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앵커(11)들과,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도록 앵커(11)들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대(12)들과, 앵커(11)들의 상단부에 고정된 앵커플랜지(13)들로 이루어져서 직육면체의 지지틀을 이루고;
    앵커(11)들의 상단부를 제외한 앵커블록(10) 전체가 기초콘크리트(1)에 매입되며;
    마스트(20)의 하단의 하부받침(21)이 앵커플랜지(13)에 안착된 후 하부받침(21)의 하부받침플랜지(22)와 앵커플랜지(13)가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서 마스트(20)가 앵커블록(10)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인양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스윙프레임(30)의 일측 및 이에 연결되는 지브(50)의 일단에는 지브(50)를 수평으로 펼치거가 마스트(20)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1접철부(110)가 구비되어 있고,
    스윙프레임(30)의 타측 및 이에 연결되는 카운터지브(90)의 일단에는 카운터지브(90)를 수평으로 펼치거나 마스트(20)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2접철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인양기.
KR1020140194752A 2014-12-31 2014-12-31 다목적 인양기 KR101701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752A KR101701933B1 (ko) 2014-12-31 2014-12-31 다목적 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752A KR101701933B1 (ko) 2014-12-31 2014-12-31 다목적 인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238A KR20160081238A (ko) 2016-07-08
KR101701933B1 true KR101701933B1 (ko) 2017-02-13

Family

ID=5650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752A KR101701933B1 (ko) 2014-12-31 2014-12-31 다목적 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6065A (zh) * 2017-09-13 2018-02-13 谭高丰 一种塔式起重机自平衡控制方法及装置
CN111824969A (zh) * 2020-03-03 2020-10-27 合肥恺文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核电站专用悬臂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695A (ja) * 1999-04-16 2000-10-31 Kumagai Gumi Co Ltd 免震ビル構築用タワークレーン及びその据付け方法
JP2004060722A (ja) * 2002-07-26 2004-02-26 Nsk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8030895A (ja) * 2006-07-28 2008-02-14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天井クレーン
KR200439935Y1 (ko) * 2007-01-30 2008-05-14 위너건설(주)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153U (ko) 2008-09-13 2008-11-05 재 현 김 다목적 인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695A (ja) * 1999-04-16 2000-10-31 Kumagai Gumi Co Ltd 免震ビル構築用タワークレーン及びその据付け方法
JP2004060722A (ja) * 2002-07-26 2004-02-26 Nsk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8030895A (ja) * 2006-07-28 2008-02-14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天井クレーン
KR200439935Y1 (ko) * 2007-01-30 2008-05-14 위너건설(주)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238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933B1 (ko) 다목적 인양기
CN103451574B (zh) 叉车固定门架用铸钢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874683B (zh) 一种电动旋转起重吊钩
CN102815546A (zh) 车辆货物托架和车辆货物托架组
CN201353643Y (zh) 一种钢水罐热修用翻罐机
KR101669403B1 (ko) 보온성이 향상된 전기로용 루프커버
KR101802842B1 (ko) 타워 크레인용 가변형 월타이
CN202321978U (zh) 一种冶金环境用组合吊具
CN101575067B (zh) 一种兑铁水行车带保温盖的专用吊具
KR101558316B1 (ko)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CN201713214U (zh) 一种钢水罐、铁水罐耳轴挡板
KR101689107B1 (ko)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CN205346619U (zh) 一种盛装液体圆桶用吊具
JP2009285689A (ja) 鍋蓋搬送装置
KR101663137B1 (ko) 로딩슈트
KR101560349B1 (ko) 건설장비 및 산업차량의 드라이브 액슬 구동장치
KR101446599B1 (ko) 마린 모바일 리프트용 레일구조
CN206049744U (zh) 一种自动装卸车
CN202379593U (zh) 大型冲击式水轮机转轮吊装结构
CN210441635U (zh) 一种双门翻转台车炉
KR101622921B1 (ko) 공작기계의 팔레트 이송용 후크 장치
CN101618843B (zh) 具有加料机构的叉车
CN208087107U (zh) 一种用于港口起重机械的钢丝绳卷绕装置
CN206243916U (zh) 轻质工程链条
CN214114646U (zh) 一种运输吊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