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137B1 - 로딩슈트 - Google Patents

로딩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137B1
KR101663137B1 KR1020150087765A KR20150087765A KR101663137B1 KR 101663137 B1 KR101663137 B1 KR 101663137B1 KR 1020150087765 A KR1020150087765 A KR 1020150087765A KR 20150087765 A KR20150087765 A KR 20150087765A KR 101663137 B1 KR101663137 B1 KR 10166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type
unit
chute
type chut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규
Original Assignee
호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호산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5008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로딩슈트가 개시되며, 상기 로딩슈트는, 각각의 횡 방향으로의 단면의 직경은 하측을 향할수록 감소하는 형상이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겹침이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닛연결로프 및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의 둘레를 감싸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의 자바라하우징을 갖는 프리펄슈트부;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이 상기 자바라하우징의 수축 및 연장과 연동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 각각과 상기 자바라하우징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 상기 프리펄슈트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윈치구조체; 상기 윈치구조체로부터 연장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 구조체를 상호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 상기프리펄슈트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360˚ 회전하는 트리머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윈치구조체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장된 길이가 감소하면 상기 프리펄슈트부의 연장된 길이는 감소하고, 상기 윈치구조체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장된 길이가 증가하면 상기 프리펄슈트부의 연장된 길이는 증가한다.

Description

로딩슈트{LOADING CHUTE}
본 발명은 로딩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료, 곡물, 석탄, 라임스톤 등을 육상의 저장소나 해상의 선박에 적재하고자 할 경우, 슈트가 장착된 쉽로더(shiploader)가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4543호에 쉽로더용 슈트가 개시된바 있다.
개시된 슈트는 하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관부재 복수 개가 텔레스코프식으로 조립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관부재가 연이어 구비된 것인바, 슈트의 상부 입구 측으로부터 적재물을 낙하시키면, 적재물과 슈트의 내주면의 접촉이 잦아 적재물이 파손되는 것은 물론, 적재물의 입도(크기) 관리가 어려웠다. 또한, 적재물과 슈트의 내주면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소음 발생이 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4543호
본 발명은 적재물과 슈트의 내주면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적재물의 낙하시 발생하는 적재물의 입도 변화 및 소음을 최소화하는 로딩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의 상하 이동이 일괄적인 로딩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닛연결로프의 일 부분이 절단되더라도, 절단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로딩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바라하우징과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을 용이하게 연동시키는 로딩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한 윈치구조체를 갖는 로딩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로딩슈트는, 각각의 횡 방향으로의 단면의 직경은 하측을 향할수록 감소하는 형상이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겹침이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닛연결로프 및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의 둘레를 감싸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의 자바라하우징을 갖는 프리펄슈트부;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이 상기 자바라하우징의 수축 및 연장과 연동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 각각과 상기 자바라하우징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 상기 프리펄슈트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윈치구조체; 상기 윈치구조체로부터 연장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 구조체를 상호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 상기프리펄슈트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360˚ 회전하는 트리머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윈치구조체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장된 길이가 감소하면 상기 프리펄슈트부의 연장된 길이는 감소하고, 상기 윈치구조체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장된 길이가 증가하면 상기 프리펄슈트부의 연장된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로딩슈트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닛연결로프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의 상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가 이격 형성되며, 상기 유닛연결로프거치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상측홀 및 하측홀을 가지고, 상기 상측홀 및 상기 하측홀 각각에는 로프거치핀이 관통 배치되되, 상기 유닛연결로프는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측홀에 배치된 로프거치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측으로 방향 전환되고,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상측홀에 배치된 로프거치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측으로 방향 전환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로딩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닛연결로프의 상기 하측홀에 배치된 로프거치핀에 의해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부분과 상기 상측홀에 배치된 로프거치핀에 의해 하측으로 방향 전환된 부분은 클램프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로딩슈트에 있어서, 상기 콘타입슈트유닛은, 그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편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조체는, 상기 자바라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곽프레임; 상기 자바라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대향하는 내곽프레임; 상기 내곽프레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편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로딩 슈트에 있어서, 상기 윈치구조체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 각각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에 감기는 복수 개의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로딩 슈트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콘타입슈트유닛을 그 횡 방향으로의 단면의 직경이 하측을 향할수록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현하고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을 유닛연결로프로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적재물의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 내부 통과시, 적재물과 콘타입슈트유닛 내면 사이의 접촉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재물의 입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적재물의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콘타입슈트유닛의 둘레를 따라 자바라 형상의 자바라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콘타입슈트유닛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재물의 통과시 발생되는 분진이 자바라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재물의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유닛연결로프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 각각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에 의해 2회 방향 전환되며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을 상호 연결한다. 이에 따라, 유닛연결로프의 하나의 콘타입슈트유닛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에 거치된 지점과 바로 하측에 위치하는 다른 콘타입슈트유닛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에 거치된 지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이 일괄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유닛연결로프의 2회 방향 전환된 부분이 클램프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닛연결로프의 일 부분이 절단되더라도, 절단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연결구조체에 의해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 각각과 자바라하우징이 연결되며 연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바라하우징의 수축 및 연장시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은 연동되어 용이하게 상호 겹침될 수 있고,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 각각이 복수 개의 드럼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바, 자바라하우징이 수평을 유지하며 수축 및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감속기는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명한 구조의 윈치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리펄슈트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콘타입슈트유닛 및 자바라하우징이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슈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타입슈트유닛을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콘타입슈트유닛과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조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유닛연결로프와 유닛연결로프거치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9는 자바라하우징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조체를 상측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수축 상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슈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슈트를 상측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구조체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윈치구조체를 상측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구조체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윈치구조체를 측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트리머, 트리머회전구동체(7)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기어부와 제2 기어부의 결합 및 구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인 내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전방, 전단, 후방, 후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전방, 전반저긍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 또는 단부가 전단,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 또는 단부가 후단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딩슈트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로딩슈트(이하 '본 로딩슈트'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본 로딩슈트는 쉽로더에 적용될 수 있으며, 비료, 곡물, 라임스톤 등과 같은 적재물의 이송 및 적재에 본 로딩슈트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로딩슈트는, 프리펄슈트부(1)를 포함한다.
인입구(221)를 통해 인입된 적재물은 프리펄슈트부(1)를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리펄슈트부(1)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타입슈트유닛(11)은 상하 방향으로 통공되었으며, 그 횡 방향으로의 단면의 직경이 하측을 향할수록 감소하는 형상이다. 또한, 콘타입슈트유닛(11)의 재질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로딩슈트는 부식이 방지될 수 있으며, 러시아와 같은 저온의 지역에서 사용되더라도 저온에 따른 손상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콘타입슈트유닛(11)이 스테인레스(sus)로 이루어진다면, 콘타입슈트유닛(11)의 무게가 그 사이즈에 비해 비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로딩슈트는 콘타입슈트유닛(11)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구성함으로써, 콘타입슈트유닛(11)을 경량화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타입슈트유닛(11)의 내주면에는 라이너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콘타입슈트유닛(11)의 내부로는 적재물이 통과하는데, 콘타입슈트유닛(11)의 내주면에 라이너층(115)이 형성됨으로써, 콘타입슈트유닛(11)의 내주면이 적재물에 의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라이너층(115)의 재질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은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상호 겹침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후술하는 자바라하우징(12)이 수축하면,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겹쳐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때,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은 인입구(221)를 통해 인입된 적재물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닛연결로프(11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로딩슈트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 각각은 그 횡 방향으로의 단면의 직경이 하측을 향할수록 감소하는 형상이고, 이러한 형상의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이 유닛연결로프(111)에 의해 상호연결되는바, 적재물이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을 통과할 때, 적재물과 콘타입슈트유닛(11)의 내주면의 접촉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재물의 입도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적재물과 콘타입슈트유닛(11)의 내주면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콘타입슈트유닛(11)의 상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유닛연결로프(111)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 각각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에 거치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상측홀(1131) 및 하측홀(1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홀(1131) 및 하측홀(1132) 각각에는 로프거치핀(1133)이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8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닛연결로프(111)는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측홀(1132)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측으로 방향 전환되고,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후, 상측홀(1131)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측으로 방향 전환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측으로 연장된 유닛연결로프(111)는 하측에 위치한 다른 콘타입슈트유닛(11)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의 하측홀(1132) 및 상측홀(1131) 각각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거쳐 더 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콘타입슈트유닛(11)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로 향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닛연결로프(1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닛연결로프(111)의 하나의 콘타입슈트유닛(11)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에 거치된 지점과 바로 하측에 위치하는 다른 콘타입슈트유닛(11)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에 거치된 지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이 일괄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닛연결로프(11)의 하측홀(1132)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에 의해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부분과 상측홀(1131)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에 의해 하측으로 방향 전환된 부분은 클램프(1135)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만약, 유닛연결로프(111)가 단순히 상하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을 연결한다면, 유닛연결로프(111)의 특정 부분이 절단되는 경우, 유닛연결로프(111)의 절단된 부분의 이하에 위치하는 콘타입슈트유닛(11) 전체의 연결은 끊어진다.
그러나, 본 로딩슈트에 의하면, 유닛연결로프(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2회 이상 방향 전환하며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 각각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에 거치되어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을 연결하고, 유닛연결로프(111)의 방향 전환된 부분은 클램프(1135)에 의해 파지되기 때문에, 유닛연결로프(111)의 특정 부분이 절단되더라도, 절단된 부분외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콘타입슈트유닛(11)의 연결이 끊어지지않는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와 콘타입슈트유닛(11) 사이에는 보강브라켓(1136)이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와 콘타입슈트유닛(11)의 결합성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강브라켓(1136) 및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를 갖는 콘타입슈트유닛(11)은, 보강브라켓(1136)이 장착된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가 장착된 콘타입슈트유닛(11) 형상의 형틀에 액체 상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을 이루는 재질이 부어져 굳힘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타입슈트유닛(11)은, 그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편(116)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연결편(116)은 연결구조체(13)에 연결되어 자바라하우징(12)과 프리펄슈트부(1)가 연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편(116)과 콘타입슈트유닛(11) 사이에는 보강브라켓(1161)이 개재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로딩슈트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의 둘레를 감싸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의 자바라하우징(12)을 포함한다. 자바라하우징(12)은 콘타입슈트유닛(11)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자바라하우징(12)이 없다면, 콘타입슈트유닛(11) 내로 먼지, 빗물 등이 유입되어 콘타입슈트유닛(11)을 통과하는 적재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로딩슈트는 자바라하우징(12)을 포함함으로써, 적재물이 외부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바라하우징(12)은, 그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자바라하우징(12)의 수평 방향(횡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상을 유지하는 와이어(124)를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와이어(124)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자바라하우징(12)은, 자바라 형상인바, 상하 방향으로 그 접힘과 펴짐이 가능하다. 자바라하우징(12)의 상하 방향으로의 접힘이라함은, 자바라하우징(12)의 상단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자바라하우징(12)의 하단이 상측으로 위치 이동됨으로써, 자바라하우징(12) 접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자바라하우징(12)의 펴짐이라함은, 자바라하우징(12)의 상단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자바라하우징(12)의 하단이 하측으로 위치 이동됨으로써, 자바라하우징(12)이 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바라하우징(12)이 상하 방향으로 접힘되면 자바라하우징(12)은 전체적으로 수축될 수 있고, 자바라하우징(12)이 상하 방향으로 펴지면 자바라하우징(12)은 전체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로딩슈트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이 자바라하우징(12)의 수축 및 연장과 연동되도록,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 각각과 자바라하우징(12)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체(13) 복수 개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13)는 자바라하우징(12)에 장착되되,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 각각의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연결구조체(13)는, 자바라하우징(12)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곽프레임(131a, 131b, 131c), 자바라하우징(12)을 사이에 두고 외곽프레임(131a, 131b, 131c)과 대향하는 내곽프레임(132a, 132b, 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131a, 131b, 131c)과 내곽프레임(132a, 132b, 132c) 사이에는 자바라하우징(12)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131a, 131b, 131c)은 제1 블록외곽프레임(131a), 제2 블록외곽프레임(131b) 및 제3 블록외곽프레임(13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곽프레임(132a, 132b, 132c)은 제1 내곽프레임(132a), 제2 내곽프레임(132b) 및 제3 내곽프레임(13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곽프레임(131a, 131b, 131c) 및 내곽프레임(132a, 132b, 132c) 각각은 3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바라하우징(12)에 대한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조체(13)는 상기 내곽프레임(132a, 132b, 132c)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부(1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삽입부(1162) 각각에는 전술한 콘타입슈트유닛(11)의 복수 개의 연결편(116) 각각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콘타입슈트유닛(11), 자바라하우징(12) 및 연결구조체(13)의 연동은 이하와 같을 수 있다.
도 1 및 도 11을 함께 비교하면, 자바라하우징(12)이 상하 방향으로 접힘되어 수축되는 경우, 자바라하우징(12)에 구비된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13)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서로 가까워진다. 연결구조체(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구조체(13) 사이의 간격이 축소됨에 따라,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13) 각각과 연결편(116)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서로 가까워져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겹침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프리펄슈트부(1)의 연장 길이는 축소될 수 있다.
자바라하우징(12)의 수축 및 연장은 윈치구조체(2)로부터 연장되어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13)를 상호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연결구조체(13)는 외곽프레임(131a, 131b, 131c)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연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5)는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13) 각각의 와이어로프연결부(135)를 거치면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13)를 일체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치구조체(2)에 의해 와이어로프(5)의 연장된 길이가 감소하면 자바라하우징(12)의 하단이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프리펄슈트부(1)의 연장 길이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윈치구조체(2)에 의해 와이어로프(5)의 길이가 증가하면 자바라하우징(12)의 하단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프리펄슈트부(1)의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로딩슈트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5)를 자바라하우징(12)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5)의 연장 길이 조절은 윈치구조체(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윈치구조체(2)는 프리펄슈트부(1)의 상측에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리펄슈트부(1)의 상측에는 거치대(26)가 구비될 수 있고, 거치대(26) 상에 윈치구조체(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5) 각각은 윈치구조체(2)로부터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13)를 상호 연결하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12을 참조하면, 윈치구조체(2)는 모터(23), 모터(2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22), 감속기(22)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기(2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1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5) 각각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에 감기는 복수 개의 드럼(21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3)는 동력을 제공하고, 감속기(22)는 모터(23)와 연동하여 필요에 따라 모터(23)의 회전 속도를 줄인다. 회전축(211)이 회전되면 회전축(211)에 구비된 복수 개의 드럼(212)은 회전되어 각각에 감긴 와이어로프(5)의 연장 길이를 줄이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로프(5)의 연장 길이를 증가시킨다.
참고로, 복수 개의 드럼(212)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로프(5)는 롤러(24a, 24b, 24c)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윈치구조체(2)는, 모터(23)의 속도에 대하여 일정 비율로 회전하는 리미트스위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스위치(25)는 와이어로프(5)의 연장 길이가 최소값 이하로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로프(5)의 연장 길이가 최대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윈치구조체(2)의 일 구현예로서,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축(21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감속기(22)는 회전축(211)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현예로서,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속기(22)와 회전축(211)은 서로 평행이 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1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감속기(22)는 회전축(211)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로딩슈트는, 도 1을 참조하면, 프리펄슈트부(1)의 하단에 구비되는 캐리어(3) 및 캐리어(3)의 하단에 구비되는 트리머구조체(4)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을 통과한 적재물은 캐리어(3) 및 트리머구조체(4)를 통과하여 본 로딩슈트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트리머구조체(4)는 캐리어(3)에 대하여 360˚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본 로딩슈트는 트리머구조체(4)를 캐리어(3)의 하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360˚회전시키는 트리머회전구동부(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리머회전구동부(7)는, 트리머구조체(4)의 상부에 구비되어 캐리어(3)의 하단과 연결되며 캐리어(3)에 대하여 360˚ 회전 가능한 제1 기어부(41), 제1기어부(41)와 맞물리며 360˚ 회전 가능한 제2 기어부(71) 및 제2 기어부(7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모터(72)에 의해 제2 기어부(71)가 회전되면, 제1 기어부(41)가 캐리어(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됨으로써, 트리머구조체(4)는 캐리어(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리머회전구동부(7)는 모터(72)의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73)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73)에 의해 필요한 경우, 모터(72)의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모터(72)는, 전선케이블(9)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트리머구조체(4)는, 적재물이 균일하게 적하되고, 그 내부에서의 배출 장애로 인한 체임 현상이 방지되도록, 레벨센서(4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벨센서(42)는, 트리머구조체(4)의 상단부(호퍼 부분)에 구비되어 트리머구조체(4)의 내부의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트리머구조체(4)를 통과한 적재물이 지속적으로 트리머구조체(4)의 하측에 적재되면, 트리머구조체(4)가 적재물과 접촉될 수 있으며, 트리머구조체(4)가 적재물에 파묻힐 수 있다.
그러나, 본 로딩슈트는, 별도의 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서 트리머구조체(4)와 적재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센서가 트리머구조체(4)와 트리머구조체(4)의 하측에 적재되는 적재물 사이의 거리를 감지해서, 그 거리가 가까우면, 경보음 등을 울려, 그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윈치구조체(2)가 구비되는 거치대(26)의 표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거치대(26)의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변색층 위에는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된다.
여기서, 온도변색층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온도변색층은 거치대(26)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거치대(26)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변색층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온도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로딩슈트가 배치된 지역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로딩슈트에 의해 이송 또는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 변화를 사전에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온도변색층 위에 코팅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변색층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코팅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미트스위치(25)의 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코팅층의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거나 코팅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코팅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코팅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본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0.1 몰 및 탄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11)의 외주면 상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1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마모방지코팅층은 전술한 콘타입슈트유닛(1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마모방지코팅층과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이하와 같다.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회전축(211)의 외주면 상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회전축(211)의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회전축(211)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회전축(211)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회전축(211)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회전축(211)의 외주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회전축(211)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회전축(211)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프리펄슈트부 11: 콘타입슈트유닛
111: 유닛연결로프 113: 유닛연결로프거치대
1131: 상측홀 1132: 하측홀
1135: 클램프 1136: 보강브라켓
115: 라이너층 116: 연결편
1161: 보강브라켓 1162: 삽입부
12: 자바라하우징 124: 와이어
13: 연결구조체 131a: 제1 외곽프레임
131b: 제2 외곽프레임 131c: 제3 외곽프레임
132a: 제1 내곽프레임 132b: 제2 내곽프레임
132c: 제3 내곽프레임 135: 와이어로프연결부
2: 윈치구조체 22: 감속기
23: 모터 211: 회전축
212: 드럼 24a: 롤러
24b: 롤러 24c: 롤러
25: 리미트스위치 221: 인입구
3: 캐리어 4: 트리머구조체
41: 제1 기어부 5: 와이어로프
7: 트리머회전구동부 71: 제2 기어부
72: 모터 73: 감속기
9: 전선케이블

Claims (7)

  1. 쉽로더용 로딩슈트에 있어서,
    각각의 횡 방향으로의 단면의 직경은 하측을 향할수록 감소하는 형상이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겹침이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콘타입슈트유닛(11),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11)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닛연결로프(111) 및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11)의 둘레를 감싸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의 자바라하우징(12)을 갖는 프리펄슈트부(1);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11)이 상기 자바라하우징(12)의 수축 및 연장과 연동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11) 각각과 상기 자바라하우징(12)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구조체(13);
    상기 프리펄슈트부(1)의 상측에 배치되는 윈치구조체(2);
    상기 윈치구조체(2)로부터 연장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 구조체(13)를 상호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5);
    상기프리펄슈트부(1)의 하단에 구비되는 캐리어(3);
    상기 캐리어(3)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3)에 대하여 360˚ 회전하는 트리머구조체(4)를 포함하되,
    상기 윈치구조체(2)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5)의 연장 길이가 감소하면 상기 프리펄슈트부(1)의 연장 길이는 감소하고, 상기 윈치구조체(2)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5)의 연장 길이가 증가하면 상기 프리펄슈트부(1)의 연장 길이는 증가하며;
    상기 콘타입슈트유닛(11)은,
    그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편(116)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조체(13)는,
    상기 자바라하우징(12)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외곽프레임(131a, 131b, 131c);
    상기 자바라하우징(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곽프레임(131a, 131b, 131c)과 대향하는 내곽프레임(132a, 132b, 132c);
    상기 내곽프레임(132a, 132b, 132c)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편(116)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부(1162)를 포함하는 것인 로딩슈트.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콘타입슈트유닛(1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닛연결로프(111)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콘타입슈트유닛(11)의 상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가 이격 형성되며,
    상기 유닛연결로프거치대(113)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상측홀(1131) 및 하측홀(1132)을 가지고,
    상기 상측홀(1131) 및 상기 하측홀(1132) 각각에는 로프거치핀(1133)이 관통 배치되되,
    상기 유닛연결로프(111)는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측홀(1132)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측으로 방향 전환되고,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상측홀(1131)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측으로 방향 전환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로딩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연결로프(111)의 상기 하측홀(1132)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에 의해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부분과 상기 상측홀(1131)에 배치된 로프거치핀(1133)에 의해 하측으로 방향 전환된 부분은 클램프(1135)에 의해 파지되는 것인 로딩슈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구조체(2)는,
    모터(23);
    상기 모터(2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22);
    상기 감속기(22)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기(2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11);
    상기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5) 각각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에 감기는 복수 개의 드럼(212)을 포함하는 것인 로딩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감속기(22)는 상기 회전축(211)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인 로딩슈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머구조체(4)는,
    360°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재료를 고르게 적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그 내부에서의 배출 장애로 인한 체임 현상이 방지되도록, 레벨센서(42)를 포함하는 것인 로딩슈트.
KR1020150087765A 2015-06-19 2015-06-19 로딩슈트 KR10166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765A KR101663137B1 (ko) 2015-06-19 2015-06-19 로딩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765A KR101663137B1 (ko) 2015-06-19 2015-06-19 로딩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137B1 true KR101663137B1 (ko) 2016-10-14

Family

ID=5715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765A KR101663137B1 (ko) 2015-06-19 2015-06-19 로딩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1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74B1 (ko) * 2017-11-01 2018-04-23 (주)남광엔지니어링 로딩슈트
CN108033191A (zh) * 2017-12-29 2018-05-15 青岛沃隆花生机械有限公司 物料缓降输送装置以及采用该装置的物料输送方法
CN113859446A (zh) * 2021-10-09 2021-12-3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的可伸缩式溜管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845U (ja) * 1993-05-19 1994-12-02 正和 寺前 電信柱用足場ボルト
KR960022196A (ko) * 1994-12-28 1996-07-18 한승준 반송로더용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결합구조
KR20030034543A (ko)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KR20090088998A (ko) * 2008-02-18 2009-08-21 현대로템 주식회사 경사콘 신축슈트
KR20110130946A (ko) * 2010-05-28 2011-12-06 최영백 회전가능한 유도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845U (ja) * 1993-05-19 1994-12-02 正和 寺前 電信柱用足場ボルト
KR960022196A (ko) * 1994-12-28 1996-07-18 한승준 반송로더용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결합구조
KR20030034543A (ko)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KR20090088998A (ko) * 2008-02-18 2009-08-21 현대로템 주식회사 경사콘 신축슈트
KR20110130946A (ko) * 2010-05-28 2011-12-06 최영백 회전가능한 유도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74B1 (ko) * 2017-11-01 2018-04-23 (주)남광엔지니어링 로딩슈트
CN108033191A (zh) * 2017-12-29 2018-05-15 青岛沃隆花生机械有限公司 物料缓降输送装置以及采用该装置的物料输送方法
CN113859446A (zh) * 2021-10-09 2021-12-3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的可伸缩式溜管结构
CN113859446B (zh) * 2021-10-09 2023-12-26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的可伸缩式溜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137B1 (ko) 로딩슈트
KR101669874B1 (ko) 건축 내외장용 고점도 도료 혼합장치
EP2836752B1 (en) Pipe section having polyarylene sulfide composition barrier layer
US9187247B2 (en) Valv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materials
US8146733B2 (en) Idler roll seal
US20110247714A1 (en) Flexible, pressure-resistant and oil-resistant hose
EP2032352B2 (en) Flexible hose of thermoplastic material free of liquid plasticizer agents
US20130037353A1 (en) Traction member having traction control
EP2836552B1 (en) Polyarylene sulfide component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KR101564306B1 (ko) 초저온 액체 저장 iso 탱크 컨테이너
WO2011008011A3 (ko) 맨홀용 뚜껑 및 그 제조방법
WO2007100787A3 (en) Nanoparticles having sub-nanometer features
US20030127147A1 (en) Reinforced permeation-proof plastic pipe
HUP0302805A2 (hu) Kétrétegű felépítésű védőbevonatok
KR102412479B1 (ko) 조인트 타입 외부배관이 구비된 도금 약품 이송용 이중배관
AU2013227433B2 (en) Multiple layer wire strand
KR101699689B1 (ko) 휴대용 전동식 라쳇 커터
KR101499627B1 (ko) Bop 갠트리 오프쇼어 크레인용 권상 및 권하 동조 시스템
KR101622921B1 (ko) 공작기계의 팔레트 이송용 후크 장치
CN104513939A (zh) 一种热镀锌锌锅辊及其轴头
KR101457003B1 (ko) 멀티 스프레이가 가능한 도장 장치
KR101701933B1 (ko) 다목적 인양기
KR101040483B1 (ko) 내식성 수지가 코팅된 저수용 강관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용수 활용시스템
KR101689107B1 (ko)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KR101666026B1 (ko) 항공등화기구 시공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