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439B1 - 홍수 진입 차단 설비 - Google Patents

홍수 진입 차단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439B1
KR102434439B1 KR1020210084813A KR20210084813A KR102434439B1 KR 102434439 B1 KR102434439 B1 KR 102434439B1 KR 1020210084813 A KR1020210084813 A KR 1020210084813A KR 20210084813 A KR20210084813 A KR 20210084813A KR 102434439 B1 KR102434439 B1 KR 10243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s
water
order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앤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앤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케이앤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8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1Wire gates, e.g. traction gates; Fasten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수 진입 차단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홍수 진입 차단 설비는 교량 진입구 또는 진출구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기둥;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차수판;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기둥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을 상방으로 끌어 당겨 긴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홍수 진입 차단 설비{Apparatus for preventing entrance of flood}
본 발명은 홍수 진입 차단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진입, 진출구 지점에 설치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하는 교량 진입 및 진출구용 홍수 진입 차단 설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변식 차수벽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지중에 매립 후 필요시 회전 또는 수직 승강시켜 물의 유입을 차단토록 구성하거나 아니면 측면 건물 공간에 수납 후 필요시 수평 이동시켜 물의 유입을 차단토록 구성하거나 아니면 건물의 상부 공간에 수납 후 하강시키도록 구성하는 차단벽 형태가 있다.
그러나 하지만 상기와 같은 경우와 달리 도로 또는 교량의 진입구 또는 진출구일 경우는 마땅한 차수벽이 존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는 도로에 차수벽을 설치할 이유가 없지만 저수지, 호수 또는 하천과 같이 물과 인접한 댐 또는 중요시설일 경우 교량의 진입구 및 진출구의 양측면 만 막혀 있는 구조라면 교량을 차단하여 댐이나 건물로 유입되는 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차수벽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9162호(등록일: 2016년 05월 02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진입, 진출구 지점에 설치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차수판을 회전구동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이 펼쳐지는 경우 고정되도록 하여 차수를 이룰 수 있는 홍수 진입 차단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지지 기둥과 차수판을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되, 각각의 차수판을 상부로 긴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차수판과 교량의 진입구 및 진출구의 바닥과의 마찰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홍수 진입 차단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차수판의 하단에 탄성의 보조 차수판을 구비하도록 하여 교량의 진입구 및 진출구의 바닥과의 방수를 이룰 수 있는 홍수 진입 차단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홍수 진입 차단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홍수 진입 차단 설비는 교량 진입구 또는 진출구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기둥;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차수판;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기둥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을 상방으로 끌어 당겨 긴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하단에는,
일정의 탄성을 갖는 보조 차수판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보조 차수판의 하단은,
상기 교량 진입구 또는 진출구 각각의 바닥면의 구배를 따르는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력 조절부는,
로프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한 쌍의 와인더와,
상기 한 쌍의 와인더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와인더는,
상기 한 쌍의 기둥 각각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 각각의 타단측 상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은 스테인레스 또는 철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다수 위치에서 연결시키도록 다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와인더 각각의 상기 로프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 각각의 상단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차수판 각각의 상단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한 쌍의 이동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 블록은,
각각의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 블록 각각에는, 상기 로프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리니어 모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기둥에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센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와인더를 사용하여 상기 각각의 로프를 기설정되는 기준 장력을 이루도록 권취하고,
상기 각각의 센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각각의 로프를 권출한다.
또한, 상기 보조 차수판은,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하단에,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하단에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끼움홈에는, 상기 다수의 열을 이루는 보조 차수판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차수판 각각의 하단에는,
승강 가능한 하단 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하단 부재는, 승강 실린더의 승강축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하단 부재에는, 상기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량의 진입, 진출구 지점에 설치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차수판을 회전구동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이 펼쳐지는 경우 고정되도록 하여 차수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지지 기둥과 차수판을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되, 각각의 차수판을 상부로 긴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차수판과 교량의 진입구 및 진출구의 바닥과의 마찰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차수판의 하단에 탄성의 보조 차수판을 구비하도록 하여 교량의 진입구 및 진출구의 바닥과의 방수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효과들과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들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진입 차단 설비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한 쌍의 차수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한 쌍의 차수판이 닫히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차수판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차수판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캐스터들이 이동 가능한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차수판의 승강 위치 조절이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다른 예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차수판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차수판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들을 기초하여 본 발명의 홍수 진입 차단 설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진입 차단 설비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에서는 한 쌍의 차수판이 서로 닫힌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홍수 진입 차단 설비는 크게 한 쌍의 기둥(100)과, 한 쌍의 차수판(200)과, 연결부(300)와, 장력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수 진입 차단 설비는 교량의 진입구 또는 진출구에 각각 또는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기둥(100)은 교량 진입구 또는 진출구 양측에 직립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기둥(100)은 일정의 높이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은 서로 동일한 규격을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 각각은 한 쌍의 기둥(100)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의 일단과 한 쌍의 기둥(100) 사이에는 힌지(H)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H)를 통해 상기 한 쌍의 기둥(100) 각각은 전후방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수판(200)의 높이는 기둥(100)의 높이 보다 일정 높이 낮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300)는 한 쌍의 차수판(200)의 단부를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300)는 연결 고리(310)와, 연결홈 부재(32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0)는 다수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고리(310)는 일측의 차수판(100) 타단 전면부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 고리(310)는 회전단(311)에 끝단이 연결되어 상하를 따라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고리(310)와 대응되는 다른 차수판(200) 일정 위치에는 연결홈 부재(320)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연결 고리(310)는 회전되어 그 끝단이 연결홈 부재(320)에 끼워져 걸려 고정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차수판(200)은 서로 닫힌 상태에서 그 타단은 상술된 연결부들(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차수판(200)의 하단에는 일정의 탄성을 갖는 보조 차수판(25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보조 차수판(250)의 하단은 상기 교량 진입구 또는 진출구 각각의 바닥면의 구배를 따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차수판(250)의 하단은 뾰족한 형상 또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차수판(250)의 하단은 실질적으로 교량 진입구 또는 진출구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재로서, 이는 차수판들(200)이 닫히는 경우 바닥면과 차수판들(200)의 하단 사이를 기밀시켜 추가적인 방수를 이룰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부(400)를 설명한다.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기둥(100)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을 상방으로 끌어 당겨 긴장을 제공한다.
상기 장력 조절부(400)는, 로프(411)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한 쌍의 와인더(410)와, 상기 한 쌍의 와인더(41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42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와인더(410)는 상기 한 쌍의 기둥(100) 각각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로프(411)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 각각의 타단측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 상단 2군데에는 캐스터(21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캐스터(210)에는 각 와인더(410)에 연결되는 로프(411)의 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장력 조절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한 쌍의 차수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한 쌍의 차수판이 닫히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한 쌍의 차수판(20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제어기(420)는 한 쌍의 와인더(410)를 사용하여 로프들(411)을 권출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차수판(200)은 상방으로 장력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의 상태에서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차수판(200)을 닫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차수판(200)은 힌지(H)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닫히는 방향을 따라 회전 동작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어기(420)는 한 쌍의 와인더(410)를 사용하여 로프(411)를 당길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차수판(200) 각각은 그 상단의 캐스터들(210)에 연결된 로프들(411)이 당겨지면서 일정의 장력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차수판(200)은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장력에 의해 상방으로 일정 유격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회전되어, 회전시 각 차단판(200)이 자체 중량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힌지(H) 파손을 방지 및 차단판(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힌지(H)에는 각 차단판(200)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어기(420)는 차단판들(200)이 회전이 시작되면 이를 감지하여 각 와인더(410)를 구동시켜 각각의 차단판(20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들(200)은 스테인레스 또는 철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수판(200)은 홍수가 발생되는 경우 홍수에 노출될 수 있으며, 홍수의 흐름에 따른 수압에 그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차수판(200)은 일정의 강도를 갖기 위해 철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철의 외면에는 방수층(미도시)이 더 도포될 수도 있다. 이 차수판(200)이 홍수에 노출되는 경우, 녹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또한 홍수에 밀려 떠내려오는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과 차수판(200)이 충돌되면, 일정 이상의 두께로 차수판(200)의 외면에 도포된 방수층은 충격을 완화하여 차수판(200) 자체에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도 있다.
더하여 차수판(200)이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는 경우 홍수에 노출되어 녹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스테인레스 자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수판(200)에는 금속으로 형성된 격자상의 지지 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스테인레스로 차수판(200)을 이루기 위해 미리 규정된 강도를 이룰 수 있는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차수판(200)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되는 경우,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홍시 발생시 홍수 유동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로 차수판(200)을 제작하는 경우, 홍수로 인해 차수판(200)에 인장 강도 이상의 힘을 가해지면 백화현상이 발생되어 투명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투명도가 저하된 위치에 일정 이상의 과도한 충격이 가해졌음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차수판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차수판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차수판(250)은 그 상단이 차수판(200)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201)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끼움홈(201)에 끼워짐으로서 보조 차수판(250)은 유지 보수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차수판(250')은 다수를 이루고, 차수판(200)의 하단에서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치됨에 따라 다중의 방수벽을 이룰 수도 있다. 다수의 보조 차수판(250')의 설치 방식은 도 5에 도시된 예와 동일한 끼움홈(201')에 그 상단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캐스터들이 이동 가능한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와인더(410) 각각의 상기 로프(411)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 각각의 상단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차수판(200) 각각의 상단에는 레일(230)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30)에는 한 쌍의 이동 블록(240)이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이동 블록(240) 각각의 상단에는 캐스터들(21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 블록(240)은 각각의 리니어 모터(26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한 쌍의 이동 블록(240) 각각의 캐스터(210)에는 상기 로프(411)의 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리니어 모터(260)는, 상기 제어기(4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기둥에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센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와인더를 사용하여 상기 각각의 로프를 기설정되는 기준 장력을 이루도록 권취하고, 상기 각각의 센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각각의 로프를 권출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차수판의 승강 위치 조절이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차수판(200) 각각의 하단에는 승강 가능한 하단 부재(28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하단 부재(280)는, 승강 실린더(290)의 승강축(291)에 연결될 수 있다.상기 승강 실린더(290)는, 제어기(4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하단 부재(290)에는, 상기 보조 차수판(250)이 설치된다.
상기 하단 부재(290)는 차수판의 전후면에 형성된 홈(200a)에 위치되며, 승강 실린더(290)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홈(200a) 내에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 차단판(250)의 하단에는 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제어기(420)는 지면과의 압력이 기준 압력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290)를 사용하여 하단 부재(280)를 하강시킴에 따라 보조 차단판(250)의 하단이 지면과 기준 압력을 이루도록 접촉시킬 수도 있다. 이에 차단판(200) 모두 닫힌 경우 효율적인 방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다른 예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차수판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차수판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H)는 기둥(100)과 차수판(200)의 일단을 연결하여, 차수판(200)의 회전을 안내한다. 상기 힌지들(H)은 다수로 배치된다.
상기 힌지(H)는 제 1지지판(710)과, 제 2지지판(720)을 가진다.
상기 제 1지지판(710)은 기둥에 고정되고, 제 2지지판(720)은 차수판(20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판(710)의 일측부에는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 1회전 안내 부재들(71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지지판(720)의 일측부에는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 2회전 안내 부재들(7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회전 안내 부재들(711)과 제 2회전 안내 부재들(721)은 서로 교차되는 상태에서 결합되고, 이들은 하나의 회전핀(730)이 관통되어 제 1,2지지판(710, 720)이 회전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제 1회전 안내 부재들(711)의 상단 하단은 하향 경사지는 제 1경사면(711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2회전 안내 부재들(721)의 상단 하단은 상향 경사지는 제 2경사면(721a)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제 1,2경사면(711a, 721a)은 서로 경사 접촉이 가능할 수 있다.
이의 구조에 따라 한 쌍의 차수판(200)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제 1,2지지판(710, 720)은 접힌 상태를 이룬다. 이때, 한 쌍의 차수판(200) 하단은 바닥을 기준으로 제 1위치에 위치된다. 즉 제 1위치에서 한 쌍의 차수판(200) 하단은 수로의 바닥과 이격된다.
역으로 한 쌍의 차수판(200)이 닫히는 과정에서, 제 1,2지지판(710, 720)은 서로 펼쳐진 상태를 이룬다.
이때 제 2지지판(720)의 제 2회전 지지 부재들(721)은 차수판(200)이 열리도록 회전되면서 점진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제 2경사면들(721a)은 제 1경사면(711a)을 타고 하향 회전 경로를 이루어 회전된다.
따라, 한 쌍의 차수판(200) 하단은 바닥을 기준으로 제 2위치에 위치된다. 즉 제 2위치에서 한 쌍의 차수판(200) 하단은 수로의 바닥과 밀착된다.
이의 동작에 따라, 한 쌍의 차수판(200)이 열린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 한 쌍의 차수판(200)은 점진적으로 하방을 따라 이동되고, 한 쌍의 차수판(200)이 완전히 닫히는 상태에서 각 차수판(200)의 하단은 수로의 바닥에 밀착되어질 수 있다.
이상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교량의 진입, 진출구 지점에 설치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차수판을 회전구동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이 펼쳐지는 경우 고정되도록 하여 차수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지지 기둥과 차수판을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되, 각각의 차수판을 상부로 긴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차수판과 교량의 진입구 및 진출구의 바닥과의 마찰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차수판의 하단에 탄성의 보조 차수판을 구비하도록 하여 교량의 진입구 및 진출구의 바닥과의 방수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기둥
200 : 차수판
300 : 연결부
400 ; 장력 조절부

Claims (5)

  1. 교량 진입구 또는 진출구 양측에 직립되는 한 쌍의 기둥;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차수판;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기둥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을 상방으로 끌어 당겨 긴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하단에는,
    일정의 탄성을 갖는 보조 차수판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보조 차수판의 하단은,
    상기 교량 진입구 또는 진출구 각각의 바닥면의 구배를 따르는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력 조절부는,
    로프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한 쌍의 와인더와,
    상기 한 쌍의 와인더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와인더는,
    상기 한 쌍의 기둥 각각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 각각의 타단측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은,
    스테인레스와 철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다수 위치에서 연결시키도록 다수로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와인더 각각의 상기 로프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 각각의 상단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차수판 각각의 상단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한 쌍의 이동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 블록은,
    각각의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 블록 각각에는, 상기 로프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리니어 모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한 쌍의 기둥에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각의 센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와인더를 사용하여 상기 각각의 로프를 기설정되는 기준 장력을 이루도록 권취하고,
    상기 각각의 센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각각의 로프를 권출하고,
    상기 보조 차수판은,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하단에,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차수판의 하단에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끼움홈에는, 상기 다수의 열을 이루는 보조 차수판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진입 차단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끼움홈에는, 상기 다수의 열을 이루는 보조 차수판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차수판 각각의 하단에는,
    승강 가능한 하단 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하단 부재는, 승강 실린더의 승강축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하단 부재에는, 상기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진입 차단 설비.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84813A 2021-06-29 2021-06-29 홍수 진입 차단 설비 KR10243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13A KR102434439B1 (ko) 2021-06-29 2021-06-29 홍수 진입 차단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13A KR102434439B1 (ko) 2021-06-29 2021-06-29 홍수 진입 차단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439B1 true KR102434439B1 (ko) 2022-08-22

Family

ID=8310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813A KR102434439B1 (ko) 2021-06-29 2021-06-29 홍수 진입 차단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4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32A (ja) * 1995-06-30 1997-01-14 Iwazumi Arumisatsushi Kk 折り畳み防水壁
JP2012031658A (ja) * 2010-07-30 2012-02-16 Nikkei Hokkaido Co Ltd 止水装置
KR101291161B1 (ko) * 2013-05-13 2013-07-31 (주)디엠씨코리아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KR101619162B1 (ko) 2015-11-13 2016-05-18 (주)리버앤텍 홍수방호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32A (ja) * 1995-06-30 1997-01-14 Iwazumi Arumisatsushi Kk 折り畳み防水壁
JP2012031658A (ja) * 2010-07-30 2012-02-16 Nikkei Hokkaido Co Ltd 止水装置
KR101291161B1 (ko) * 2013-05-13 2013-07-31 (주)디엠씨코리아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KR101619162B1 (ko) 2015-11-13 2016-05-18 (주)리버앤텍 홍수방호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971366T3 (en) Flood protection barrier lift system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JP2004268634A (ja) 昇降式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
KR101010045B1 (ko) 유압 승강식 수문장치
KR102434439B1 (ko) 홍수 진입 차단 설비
KR20050080148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의구성방법
KR200426008Y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JP5516913B2 (ja) 円弧式ローラゲート
JP2003336454A (ja) 昇降式防水扉装置
KR100995969B1 (ko) 수문 시스템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KR100834028B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102336761B1 (ko) 처짐방지락킹부를 갖는 드럼권양기조립체
KR101234137B1 (ko) 와이어 장력 유지 제어 장치
JPH09209327A (ja) シャッター式防水フェンス装置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KR20120097849A (ko) 높낮이 조절되는 방음 막재를 이용한 방음벽
KR102511690B1 (ko) 월파 방지용 차수도어
KR102599629B1 (ko)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KR101023294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
JP2000248767A (ja) 立体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KR20230097484A (ko) 빌딩유지보수장비용 오픈형 도어장치
KR102656340B1 (ko) 승강식 차수문
KR20160103855A (ko) 와이어 로프 인양용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