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340B1 - 승강식 차수문 - Google Patents

승강식 차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340B1
KR102656340B1 KR1020220067907A KR20220067907A KR102656340B1 KR 102656340 B1 KR102656340 B1 KR 102656340B1 KR 1020220067907 A KR1020220067907 A KR 1020220067907A KR 20220067907 A KR20220067907 A KR 20220067907A KR 102656340 B1 KR102656340 B1 KR 10265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uide
door
sluic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7809A (ko
Inventor
황창국
황기복
Original Assignee
황창국
황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국, 황기복 filed Critical 황창국
Priority to KR102022006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340B1/ko
Publication of KR2023016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식 차수문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출입구의 상부위치에서 바닥으로 하강되는 차수문은 가이드레일의 하부측 경사레일부를 따라 경사각도로 바닥에 안착됨과 동시에 차수문에 구비된 가압수단의 캠레버로서 차수문측 가이드롤러를 가압하여 줌으로써, 출입구측의 차수벽면으로 차수문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하방향으로 가압시켜 줌으로써, 차수문에 마련된 차수패킹은 차수벽면과 출입구의 바닥부로 강하게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우수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건축물 내무로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는 있으며, 경사레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승강되는 차수문의 차수패킹은 차수벽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승강되기 때문에 차수패킹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승강식 차수문{Up-Down type water gate}
본 발명은 승강식 차수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낮은 지역에 위치한 건축물의 출입구 내부로 우수 유입을 차단하도록 된 승강식 차수문의 개방구조를 개선하여 상부에서 하강하는 차수문이 출입구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최종 출입구의 바닥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차수문에 마련된 차수패킹부분의 우수한 차단효과를 제공하여 우수 압력에 대해 안정되게 지지시켜 우수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승강식 차수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상이변으로 인해 빈번하게 국지성, 돌발성, 게릴라성 폭우 및 집중 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경우에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 우수가 하천을 범람하거나 배수구로 부터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우수가 지하주차장, 지하철 입구 등의 각종 건축물의 지하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지하에 설치된 시설물이나 지하주차장의 차량과 같은 재산상의 손실이나 인명 상해 등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축물의 출입구로의 우수 유입을 차단하여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출입구에 차수문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차수문의 예로서, 평상시에는 차수문이 상부에 위치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급작스런 호우 발생으로 차수문을 하강시켜 출입구를 소정 높이를 차수문으로서 봉쇄함으로서 우수의 범람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차수문은 그 규모에 따라 평상시에는 별도로 보관되고, 비상시에만 차수문을 출입구측에 마련한 지지대의 레일부에 위치시켜 급작스런 우수의 범람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하거나, 승강식으로 상부에 거치시켜 두다가 비상시 출입구 양측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차수문을 하강시키는 타입으로 우수가 건축물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차수문과 관련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200호(명칭: 차수판 폐쇄장치, 이하 이를 '특허문헌1'이라 칭함) 및 등록특허 제10-1563935호(명칭: 셔터식 차수문, 이하 이를 '특허문헌 2'라 함 )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은 출입구 등의 바닥과 양측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폐쇄장치를 개선하여 비상시 차수판의 바닥 및 양측을 간단한 핸들조작으로 보다 효과적인 수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차수판 폐쇄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즉, 조작부를 이용한 차수판부 바닥면과 양측 내면부에 설치된 각각의 패킹이 가이드 및 지면에 가압밀착하여 폐쇄함으로, 차수판의 수밀성을 유지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일일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작부를 구성하는 나사식 손잡이를 체결하여 차수판부을 지지대측으로 밀착시켜야 하고, 차수판부는 테이퍼돌기의 엇갈린 밀착으로 차수판부를 누르면서 패킹의 수밀작용을 더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이러한 작업을 좌우측에서 동일하게 작업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힘으로 가압되지 않은 차단판부의 누수가 발생할 유ㅜ려가 있었다.
또한 해체시에도 많은 힘을 들여 차수판부를 분리시키고, 차수판부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로부터 차수판부의 개별 설치에 따른 운반 이동중에는 패킹부위의 손상되면, 패킹부분의 전반적인 교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관시에도 패킹이 변형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차수판부의 보관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차수판부의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허문헌 2는 비상 사태시 차량이 출입하는 터널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터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권취부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어 승강되는 개폐수단; 및 상기 터널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개폐수단의 하강시 상기 개폐수단의 측면부와 밀폐되어 상기 터널을 폐쇄시키는 제1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차수 구역의 터널 상부에 최소의 설치공간만을 확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가이드 프레임(레일)을 따라 상부에 마련된 권취부 및 구동부에 의해 개폐수단(차수문)을 하강시켜 출입구를 봉쇄하는 구조로, 가이드프레임으로부터 특히 개폐수단의 기밀유지수단의 밀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급작스런 우수범람은 차단할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압력을 갖는 우수의 수위가 상승부분에서는 가이드프레임의 양측부분 등에서 쉽게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200호(2014년 05월 26일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935호(2015년 10월 22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낮은 지역에 위치한 건축물의 출입구 내부로 우수 유입을 차단하도록 된 승강식 차수문의 개방구조를 개선하여 상부에서 하강하는 차수문이 출입구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최종 출입구의 바닥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차수문에 마련된 차수패킹부분의 우수한 차단효과를 제공하여 우수 압력에 대해 안정되게 지지시켜 우수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승강식 차수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차수문은, 출입구측의 양측에 마련된 차수벽면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고, 하부측은 차수벽면을 향하여 경사지며, 길이변에 롤러 안내부가 각각 함몰 형성되고, 롤러 안내부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관통홈을 갖는 경사레일부가 출입구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경사레일부 전면에는 차수문을 경사레일부의 경사각도에 맞게 안내하는 제1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은 그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된 안내편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편은 경사레일부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가 되게 경사레일부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하 이동가능하며, 양측 상하부에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저면 길이방향과 후면 양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되는 차수패킹이 마련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차수벽면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 승강되고 가이드레일의 상부측과 경사레일부에 마련된 감지대의 위치를 감지하여 차수문의 상승과 하강위치를 인지하는 감지센서가 양측에 구비된 차수문과; 상기 차수문의 전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로부터 하강된 차수문의 가이드롤러중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롤러를 가압하여 차수문을 차수벽면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양측으로 회전축이 관통된 감속기와,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차수문측 상부측 가이드롤러를 경사레일부상의 롤러 안내부측으로 밀어 차수문을 차수벽면으로 밀착과 함께 차수문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 캠레버로 이루어진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의 일측에는 동작감지부가 마련되되, 동작감지부는 상기 캠레버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와; 상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수문과 연결된 와이어를 권선시키거나 풀어 차수문을 가이드레일로부터 승강시키도록 출입구의 상부에 앵커브라켓에 의해 설치되어 와이어를 권선하는 윈치 및 윈치로부터 분할되어 차수문의 양측 상단에 걸어지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풀리로 이루어진 승강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측 전면에는 제2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되,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그 전면에는 차수문측 가압수단측을 걸어 차수문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이편이 상하로 나뉘어 구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차수문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출입구의 상부위치에서 바닥으로 하강되는 차수문은 가이드레일의 하부측 경사레일부를 따라 경사각도로 바닥에 안착됨과 동시에 차수문에 구비된 가압수단의 캠레버로서 차수문측 가이드롤러를 가압하여 줌으로써, 출입구측의 차수벽면으로 차수문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하방향으로 가압시켜 줌으로써, 차수문에 마련된 차수패킹은 차수벽면과 출입구의 바닥부로 강하게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우수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건축물 내무로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는 있게 된다.
아울러, 경사레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승강되는 차수문의 차수패킹은 차수벽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승강되기 때문에 차수패킹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수문이 출입구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수문이 출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에 차수문이 안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문을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문의 승강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레일부 및 경사레일부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상부 전면에 마련된 제2가이드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에서 차수문이 위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분 평면도,
도 9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문측 가이드롤러가 경사레일부에 아안ㄴ
도 10은 도 5에서 가이드레일상에 구비된 제2가이드프레임상에 차수문이 안내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도 5에서 캠레버의 작동으로 차수문측 가이드롤러의 가압상태를 도시한 측면확대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차수문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출입구(1)측의 양측에 마련된 차수벽면(2)의 전방에 가이드레일(10)이 수직으로 출입구의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고, 수직되는 가이드레일(10)의 하부측은 차수벽면(2)을 향한 경사레일부(12)가 마련된다.
상기 경사레일부(12)의 길이변에는 롤러 안내부(12a)가 함몰 형성되고, 롤러 안내부(12a)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후술하는 캠레버(36)의 진출입을 위한 관통홈(12b)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 안내부(12a)는 경사레일부(12)의 길이변에서 라운드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그 반대측은 돌출된 것으로, 차수문(20)의 상부 양측에 위치한 가이드롤러(R)를 안내시키기 위한 공간부이다.
상기 차수문(20)은 가이드레일(1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 상하부에는 가이드롤러(R)가 각각 구름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또한, 차수문(20)은 저면 길이방향과 후면 양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되는 차수패킹(P)이 마련된다. 저면으로 길게 마련된 차수패킹(P)부분은 차수문(20)이 최종 출입구(1)의 하부로 하강한 상태에서 출입구의 바닥에 밀착되어 수밀을 기하고, 후면으로 각각 수직되는 차수패킹(P)부분은 상기 차수벽면(2)에 밀착되어 수밀을 기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수패킹(P)은 쿠션을 갖는 우레탄계열의 고무소재로 내부공간을 갖으며, 이는 차수문에 양측면과 후면에 덧대어지는 고정브라켓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수문(20)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차수벽면(2)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 승강되고 가이드레일(10)의 상부측과 경사레일부(12)에 마련된 감지대(11,13)의 위치를 감지하여 차수문의 상승과 하강위치를 인지하는 감지센서(S)가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차수문(20)의 전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0)로부터 하강된 차수문의 가이드롤러(R)중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롤러(R)를 가압하여 차수문(20)을 차수벽면(2)으로 밀착시키는 가압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수단(30)은 도 4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32) 및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양측으로 회전축(34a)이 관통된 감속기(34)와, 상기 회전축(34a)의 양단에 결합되어 차수문(20)측 상부측 가이드롤러(R)를 경사레일부(12)상의 롤러 안내부(12a)측으로 밀어 차수문(20)을 차수벽면(2)으로 밀착과 함께 차수문(20)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 캠레버(3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수단(30)의 일측에는 동작감지부(38)가 마련되되, 동작감지부(38)는 상기 캠레버(36)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로 이루어진다.
상기 캠레버(36)는 두께를 갖는 타원형으로 상기 차수문(20)측의 양측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롤러(R)를 가압하는 역할과 함께 차수문(20)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제2가이드프레임(16)에 걸려 차수문의 정멸과 함께 차수문(20)의 낙하를 방지하는 보조 역할을 하며, 감속기(34)를 기준으로 회전축(34a)의 반대측에 마련된 캠레버(36)는 상기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의 감지동작용으로 나뉘어 진다.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측 출입구(1)의 상부에는 승강구동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부(40)는 상기 차수문(20)과 연결된 와이어(W)를 권선시키거나 풀어 차수문을 가이드레일(10)로부터 승강시키도록 한 것으로, 출입구(1)의 상부에 앵커브라켓(B)에 의해 설치되어 와이어(W)를 권선하는 윈치(42) 및 윈치(42)로부터 분할되어 차수문(20)의 양측 상단에 걸어지는 와이어(W)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풀리(4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0)의 경사레일부(20) 전면에는 차수문을 경사레일부(12)의 경사각도에 맞게 안내하는 제1가이드프레임(14)이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4)은 그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된 안내편(14a)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편(14a)은 경사레일부(12)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가 되게 경사레일부(12)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측 전면에는 제2가이드프레임(16)이 구비되되,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16)의 그 전면에는 차수문(20)측 가압수단(30)측을 걸어 차수문(20)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이편(16a)이 상하로 나뉘어 구획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차수문은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 비상시 승강구동부의 구동과 더불어 차수문에 구비된 가압수단의 동작제어로서 출입구측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승강식 차수문의 승강시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수문(20)은 출입구(1)의 상부에 위치되어 폭우와 같이 우수가 범람하는 사태가 발생하면, 비상조치로서 차수문을 하강시켜 출입구의 하부를 봉쇄함으로써 건축물 내부로 우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상 명령에 의해 승강구동부(40)를 구성하고 있는 윈치(42)의 구동을 이용하여 권선된 와이어(W)를 풀면, 가이드레일(10)의 상부측에 마련된 가이드풀리(44)를 통해 와이어(W) 끝단에 현수된 상기 차수문(20)은 출입구(1) 양측에 수직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하강한다.
상기 와이어(W)에 매달린 차수문(20)의 하강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하부측 경사레일부(12)로 진입하여 출입구(1)의 바닥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때의 차수문은 측면에서 볼 때 바닥에서 수직이 아닌 경사각을 이룬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차수문(20)의 측면은 출입구(1)측의 차수벽면(2)과 평행을 이루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하강하며, 차수문(20)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롤러(R)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구름 하강한다. 이때의 차수문(20)측 후면과 저면에 마련된 차수패킹(P)은 차수벽면(2)과 이격된 상태에서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차수문(20)이 가이드레일(10)의 하부측에서 경사레일부(12)로 진입하면, 경사레일부(12)의 경사 각도에 따라 차수문(10)은 도 5 및 도 11에서와 같이 위치되며, 이때의 차수문(20)측 차수패킹(P)의 하부측은 출입구(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차수문(20)의 가이드롤러(R)가 경사레일부(12)로 진입시에는 가압수단(30)의 캠레버(36)는 상기 경사레일부(12)의 전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프레임(14)의 안내편(14a) 내측부로 안내된 위치에서 진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강된 차수문(20)은 경사레일부(12) 전면에 마련된 감지대(13)에 대해 차수문(20)측에 구비된 감지센서(S)의 감지신호에 따라 설정된 제어부의 통제 제어로서 상기 가압수단(30)을 작동시킨다.
이때의 상기 가압수단(30)을 구성하고 있는 구동모터(32)의 구동에 따라 감속기(34)와의 출력축이 되는 회전축(34a)에 결합된 캠레버(36)는 첨부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되며, 경사레일부(12)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홈(12b)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차수문(20)의 측면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롤러(R)를 밀어줌과 동시에 캠레버의 진입정도에 의해 하향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캠레버(36)의 회동에 의해 가압되는 가이드롤러(R)는 상기 경사레일부(12)에 마련된 롤러 안내부(12a)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이와 같은 동작은 차수문(20)의 상부측을 경사레일부(12), 즉 차수벽면(2)측으로 차수문(20)을 밀어 가압시킴과 동시에 차수문을 하향 가압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한 차수문(20)의 차수패킹(P)은 차수벽면(2)과 출입구(1)의 바닥면에 더욱 차수패킹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밀력을 상당히 높혀 상당한 압력으로 침투할 수 있는 우수에 저항력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캠레버(36)의 작동은 감속기(34)의 회전축(34a) 반대측에 결합된 또 하나의 캠레버(36)가 동일하게 회동되어 작동하며, 이는 동작감지부(38)인 제1센서(S1)는 상기 캠레버(36)의 회동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캠레버(36)가 차수문(20)측 가이드롤러(R)를 눌러 가압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신호로서 제어부에 전달하여 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차수문(20)은 침투할 수 있는 우수를 차단하고 있는 동안 계속 유지되며, 비상이 해제되는 상태에서는 가이드롤러(R)를 가압하고 있던 가압수단(30)의 캠레버(36) 작동을 반대로 동작시켜 준다.
이와 같은 상태의 캠레버(36)의 회동을 감지하고 있는 제1센서(S1)의 신호 온(On) 상태가 되면, 상기 승강구동부(40)를 이용한 차수문(20)을 와이어(W) 견인으로 경사레일부(12)로부터 가이드레일(10) 상부측으로 견인한다.
이때 차수문(20)의 차수패킹(P)은 출입구(1)의 바닥면과 차수벽면(2)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차수문(20)은 차수벽면(2)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이드레일(100의 상부로 상승되기 때문에 차수패킹(P)이 차수벽면(2)에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차수패킹(P)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차수문(20)은 가이드레일(10)의 상부에 도달하면, 차수문(20)측의 감지센서(S)는 가이드레일(10)의 상부측 감지대(13)를 감지하고, 여기서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윈치(4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차수문(20)에 대해 가압수단(30)의 캠레버(36)는 가이드레일(10)의 상부에 구비된 제2가이드프레임(16)의 걸이편(16a)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윈치(42)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캠레버(36)는 첨부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역방향, 즉,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16)의 걸이편(16a) 사이로 회동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동작감지부(38)의 제2센서(S2)는 캠레버(36)의 회전동작을 감지하는 상태로 차수문(20)의 승강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캠레버(36)는 걸이편(16a) 사이에 걸려 지지된 상태가 되어 승강구동부(40)의 정지에 따른 차수문(20)의 낙하를 보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출입구 2: 차수벽면
10: 가이드레일 12: 경사레일부
12a: 롤러 안내부 12b: 관통홈
14: 제1가이드프레임 14a: 안내편
16: 제2가이드프레임 16a: 걸이편
20: 차수문 30: 가압수단
32: 구동모터 34: 감속기
34a: 회전축 36: 캠레버
40: 승강구동부 42: 윈치
44: 가이드풀리 B: 앵커브라켓
P: 패킹 R: 가이드롤러
S: 감지센서 S1: 제1센서
S2: 제2센서 W: 와이어

Claims (8)

  1. 출입구(1)측의 양측에 마련된 차수벽면(2)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고, 하부측은 차수벽면(2)을 향하여 경사지며, 길이변에 롤러 안내부(12a)가 각각 함몰 형성되고, 롤러 안내부(12a)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관통홈(12b)을 갖는 경사레일부(12)가 출입구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되, 가이드레일(10)의 경사레일부(20) 전면에는 차수문을 경사레일부(12)의 경사각도에 맞게 안내하는 제1가이드프레임(14)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4)은 그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된 안내편(14a)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편(14a)은 경사레일부(12)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가 되게 경사레일부(12)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상하 이동가능하며, 양측 상하부에 가이드롤러(R)가 구비되고, 저면 길이방향과 후면 양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되는 차수패킹(P)이 마련되고,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차수벽면(2)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 승강되고 가이드레일(10)의 상부측과 경사레일부(12)에 마련된 감지대(11,13)의 위치를 감지하여 차수문의 상승과 하강위치를 인지하는 감지센서(S)가 양측에 구비된 차수문(20)과;
    상기 차수문(20)의 전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0)로부터 하강된 차수문의 가이드롤러(R)중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롤러(R)를 가압하여 차수문(20)을 차수벽면(2)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구동모터(32) 및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양측으로 회전축(34a)이 관통된 감속기(34)와, 상기 회전축(34a)의 양단에 결합되어 차수문(20)측 상부측 가이드롤러(R)를 경사레일부(12)상의 롤러 안내부(12a)측으로 밀어 차수문(20)을 차수벽면(2)으로 밀착과 함께 차수문(20)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 캠레버(36)로 이루어진 가압수단(30)과;
    상기 가압수단(30)의 일측에는 동작감지부(38)가 마련되되, 동작감지부(38)는 상기 캠레버(36)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와;
    상기 출입구(1)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수문(20)과 연결된 와이어(W)를 권선시키거나 풀어 차수문을 가이드레일(10)로부터 승강시키도록 출입구(1)의 상부에 앵커브라켓(B)에 의해 설치되어 와이어(W)를 권선하는 윈치(42) 및 윈치(42)로부터 분할되어 차수문(20)의 양측 상단에 걸어지는 와이어(W)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풀리(44)로 이루어진 승강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차수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측 전면에는 제2가이드프레임(16)이 구비되되,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16)의 그 전면에는 차수문(20)측 가압수단(30)측을 걸어 차수문(20)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이편(16a)이 상하로 나뉘어 구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차수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67907A 2022-06-03 2022-06-03 승강식 차수문 KR102656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07A KR102656340B1 (ko) 2022-06-03 2022-06-03 승강식 차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07A KR102656340B1 (ko) 2022-06-03 2022-06-03 승강식 차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09A KR20230167809A (ko) 2023-12-12
KR102656340B1 true KR102656340B1 (ko) 2024-04-11

Family

ID=8915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907A KR102656340B1 (ko) 2022-06-03 2022-06-03 승강식 차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3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0340A1 (en) * 2012-01-31 2013-12-26 Lixil Suzuki Shutter Corporation Water blocking board apparatus
JP2015175219A (ja) * 2014-03-18 2015-10-05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装置
JP2019190149A (ja) * 2018-04-26 2019-10-31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防水扉
JP2021025336A (ja) * 2019-08-06 2021-02-2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止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00B1 (ko) 2012-08-27 2014-05-30 (주)동광 차수판 폐쇄장치
KR101563935B1 (ko) 2015-02-26 2015-11-06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셔터식 차수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0340A1 (en) * 2012-01-31 2013-12-26 Lixil Suzuki Shutter Corporation Water blocking board apparatus
JP2015175219A (ja) * 2014-03-18 2015-10-05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装置
JP2019190149A (ja) * 2018-04-26 2019-10-31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防水扉
JP2021025336A (ja) * 2019-08-06 2021-02-2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止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09A (ko)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100443546B1 (ko) 저마찰 에지를 갖는 말아올림형 도어
JP2004268634A (ja) 昇降式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
KR101220424B1 (ko) 인양식 수문
KR102656340B1 (ko) 승강식 차수문
EP2474458A1 (en) Automatic platform gates
US20160369557A1 (en) Door curtains with position sensor switches
JP3955235B2 (ja) 昇降式防水扉装置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KR100516832B1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102336761B1 (ko) 처짐방지락킹부를 갖는 드럼권양기조립체
CA2144554A1 (en) Vertical travel door
KR102640244B1 (ko) 주차장 침수 차단장치
JP6561416B2 (ja) プラットホーム可動扉装置
KR102586017B1 (ko) 승강식 차수문 폐쇄장치
KR200313321Y1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100949142B1 (ko)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CN111051641A (zh) 门系统
JP3596946B2 (ja) 立体駐車設備用安全柵
KR102676980B1 (ko) 스피드 도어의 윈드바
KR102434439B1 (ko) 홍수 진입 차단 설비
KR200313296Y1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101705257B1 (ko) 차수문의 개폐구조
JPH043335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