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296Y1 -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296Y1
KR200313296Y1 KR20-2003-0003484U KR20030003484U KR200313296Y1 KR 200313296 Y1 KR200313296 Y1 KR 200313296Y1 KR 20030003484 U KR20030003484 U KR 20030003484U KR 200313296 Y1 KR200313296 Y1 KR 200313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rder
entrance
underpass
ord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익호
Original Assignee
금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금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20-2003-0003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one or more lift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5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는 지하도의 출입구 바닥(7)에 형성된 홈(19)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채널(9a, 9b), 이 채널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수문(11), 이 차수문에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13a), 차수문에 구비되는 에어 튜브(15a) 및 튜브 보호대(15b)로 구성되어, 유압 실린더(13a)에 의하여 차수문(11)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에어 튜브(15a) 및 튜브 보호대(15b)를 홈(19)의 밀착판(29) 및 채널(9a, 9b)에 밀착시켜 상승된 차수문(11)을 실링함으로서, 집중 호우 및 폭우로 인한 우수가 지하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비상계단(17)을 더 구비하여, 지하도 출입구의 차수를 실현하면서 동시에 사람의 통행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Stopping apparatus water flowed into an entrance of an underground}
본 고안은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중 호우 또는 폭우로 인하여 순식간에 불어나는 우수가 지하도 출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도는 지상과 지하의 활동 공간을 연결하는 출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지하도는 사람의 통행에만 사용되는 순수 지하도뿐만 아니라 지하철 역사나 지하상가와 같이 사람의 통행이 가능한 모든 지하 시설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 지하도 출입구는 사람의 출입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집중 호우 또는 폭우로 인한 우수가 도로 양측으로 유도되어 도로에 매설된 우수 관거로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은 경우, 우수의 유입 통로로 작용하게 된다. 이 지하도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는 지하도 내의 각종 시설물들을 못쓰게 하여 막대한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54924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는 출입구의 바닥에 힌지로 설치된 차수문과 이 차수문을 선회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는 유압 실린더의 신장 및 선회 작동으로 차수문을 출입구 바닥에서 수직 상태로 선회시켜 출입구 벽 선단에 밀착시킴으로서, 지하도 안으로 유입될 우수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는 직선 및 선회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로 차수문을 선회 작동시키기 때문에 차수문을 원활히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의 요구 용량을 증대시키고, 우수의 량에 따라 차수문의 높이 조절을 불가능하게 하며, 차수문 작동 시 사람의 통행을 불가능케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최소의 동력으로 차수문을 작동시킬 수 있고, 우수의 량에 따라 차수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차수문 작동 시에도 사람의 비상 통행을 가능케 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는 측벽과 지붕을 가지고 지하도로 연결되는 출입구에 구비되며,
이 출입구 바닥에 형성된 홈에 수직 상태로 매립되어 측벽의 대향 내측에 연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수단,
이 가이드수단의 매립 측에서 측벽 측으로 승강하면서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하도록 판 상태로 형성되어 가이드수단에 설치되는 차수문,
이 차수문에 상하 작동력을 제공하여 차수문을 승강시키도록 차수문의 일측에 연결되는 승강수단,
이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승된 상태의 차수문과 가이드수단 사이 및 차수문과 홈 사이를 연속적으로 실링하도록 차수문에 구비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차수문의 양측 단을 감싸는 구조로 승강 작용을 안내하도록 단면 ⊂자 형상의 채널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차수문은 출입구 바닥에 구비되는 고정 스토퍼에 맞닿아 승강수단에 의한 상승이 한정되도록 그 하단 일측에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수문은 출입구 바닥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할 때 출입구 바닥을 덮어 주도록 그 상단에 힌지로 장착된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유압에 의한 신축 작동으로 차수문을 승강시키도록 차수문의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수단은 차수문의 전면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에어 튜브와, 이 에어 튜브의 외측을 보호하도록 차수문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튜브 보호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는 측벽 중 어느 일측에 차수문의 최대 상승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어 출입구를 통하여 지하도로 연결되는 비상계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차수문과 가이드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의 차수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의 차수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 측벽 5 : 지붕
7 : 출입구 바닥 9 : 가이드수단
9a, 9b : 채널 11 : 차수문
13 : 승강수단 13a : 유압 실린더
15 : 실링수단 15a : 에어 튜브
15b : 튜브 보호대 17 : 비상계단
19 : 홈 21 : 스토퍼
23 : 고정 스토퍼 25 : 힌지
27 : 덮개 29 : 밀착판
33 : 모터 A : 차수장치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의 종단면도로서, 지하도로 연결되는 출입구에는 측벽(1, 3)과 지붕(5)이 구비되어 있다. 이 측벽(1, 3)과 지붕(5)은 지하도 안으로 사람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출입구에 우수가 직접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차수장치(A)는 이 지하도 출입구에 구비되어 있다. 이 차수장치(A)는 평상 시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출입구 바닥(7)에 매설된 상태를 유지하고, 집중 호우 및 폭우 시 우수가 지하도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출입구 바닥(7)으로부터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차수장치(A)는 가이드수단(9), 차수문(11), 승강수단(13) 그리고 실링수단(15)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와 같이 비상계단(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수단(9)은 출입구 바닥(7)에 횡 방향으로 좁고 길게 굴착된 홈(19) 내에 설치되는 차수문(11)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홈(19)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수단(9)의 하측은 홈(19)에 설치되어 출입구 바닥(7)에 수직 상태로 매립되어 있고, 그 상측은 측벽(1, 3)의 대향 내측에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수단(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당한 두께를 가지는 차수문(11)의 양측 단을 감싸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단면 ⊂자 형상의 채널(9a, 9b)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수단(9)은 상기와 같은 채널(9a, 9b)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차수문(11)의 양측에 종 방향으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 홈에 결합되어 감싸지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레일(미도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가이드수단(9)의 형상은 차수문(11)의 양측 단을 상호 감싸거나 차수문(11)의 양측 단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도록 차수문(11)의 양측 단 형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차수문(11)은 가이드수단(9)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어 지하도 출입구로 유입되려는 우수를 차단하도록 판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차수문(11)은 승강수단(13)의 승강력과 가이드수단(9)의 안내에 의하여 원활히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차수문(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 일측에 스토퍼(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토퍼(21)는 출입구 바닥(7)의 홈(19)에 구비된 고정 스토퍼(23)에 맞닿아 승강수단(13)의 승강력에 의한 차수문(11)의 상승 범위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차수문(11)은 그 상단에 힌지(25)로 장착되는 덮개(2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27)는 평상 시 차수문(11)의 하강 상태에서 출입구 바닥(7)에 형성된 홈(19)을 덮어 줌으로서, 홈(19)에서 차수문(11)의 매립 상태 및 사용자의 통행을 안전하게 유지시킨다.
승강수단(13)은 차수문(11)에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 2에는 유압 실린더(13a)로 구성된 승강수단(13)이 예시되어 있다. 이 유압 실린더(13a)는 별도의 유압발생수단(미도시)에서 발생된 유압이 공급되거나 공급되었던 유압이 유압 실린더(13a)에서 배출됨에 따라 신축 작동하여 차수문(11)을 승강시키도록 차수문(11)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유압 실린더(13a)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유압 실린더(13a)는 차수문(11)의 폭 크기에 따라 하나로 설치될 수 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차수문(11)의 하측에 2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유압 실린더(13a)가 2개일 경우 하나일 때보다 승강 시, 차수문(11)의 수평 상태를 보다 완벽하게 하여 차수문(11)의 원활한 승강을 실현하게 된다. 또한 유압 실린더(13a)는 차수문(11)이 내장되는 홈(19)의 깊이를 최대한 얕게 하기 위하여 다단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유압 실린더(13a)는 수직 상태로 설치되어 차수문(11)을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때문에 차수문(11)의 승강에 요구되는 유압 실린더(13a)의 용량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 유압 실린더(13a) 또는 승강수단(13)은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 스토퍼(23)와 홈(19)의 일측에 상, 하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각각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 상 리미트 스위치는 차수문(11)에 구비된 스토퍼(21)가 고정 스토퍼(23)에 맞닿을 때, 제어신호를 제어수단에 인가시킨다. 이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수단은 승강수단(13) 또는 유압 실린더(13a)를 자동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즉, 상 리미트 스위치는 차수문(11)의 상승 완료 신호를, 하 리미트 스위치는 차수문(11)의 하강 완료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별도로 구비되는 스위치(미도시)의 온 신호에 의하여 유압 실린더(13a) 또는 승강수단(13)에 상승 및 하강 시작 신호를 인가시키게 된다.
한편, 실링수단(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13)에 의하여 상승된 상태의 차수문(11)과 가이드수단(9) 사이를 실링하여, 차수문(11)에 의한 실질적 차수를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실링수단(15)은 차수문(11)의승강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링수단(15)은 다양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2에는 에어 튜브(15a)와 튜브 보호대(15b)로 구성된 실링수단(15)이 예시되어 있다.
에어 튜브(15a)는 차수문(11)의 전면에서 하측 및 양측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에어 튜브(15a)는 차수문(11)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압축 에어에 의하여 팽창되어 차수문(11)과 가이드수단(9) 사이에 실링 구조를 형성한다. 이 에어 튜브(15a)에 의한 실링 구조는 외부의 우수가 지하도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에어 튜브(15a)에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어는 에어 튜브(15a)에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를 구비하고 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온/오프 제어하므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실현 가능하므로 이 제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에 생략되어 있다. 이 에어 튜브(15a)의 팽창 시 차수문(11)의 양측에 위치하는 에어 튜브(15a) 부분은 가이드수단(9)에 밀착되고, 차수문(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에어 튜브(15a) 부분은 홈(19)에 별도로 구비되는 밀착판(29)에 밀착된다. 이 밀착판(29)은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수문(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에어 튜브(15a) 부분과 횡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면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이 밀착판(2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문(11)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에서만 실링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홈(13)의 높이 방향 전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 밀착판(29)이 홈(13)의 높이 방향 전 범위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차수문(11)의 높이가 변화되더라도 밀착판(29)과 에어 튜브(15a)는 항상 실링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우수의 높이에 따라 차수문(11)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튜브 보호대(15b)는 차수문(11)의 양단에 각각 고정 형성되어 차수문(11)의 승강 시, 에어 튜브(15a)를 보호하여 가이드수단(9)과 마찰 간섭되지 않게 하고, 에어 튜브(15a) 팽창 시 에어 튜브(15a)와 가이드수단(9)과의 밀착력에 의한 실링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비상계단(17)은 상기와 같이 차수문(11)에 의하여 지하도 출입구에 차수가 실현되더라도 사람들의 비상 통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 비상계단(17)은 지하도 출입구 측벽(1, 3)의 일측에 구비되며, 차수 효과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최고 높이와 차수문(11)의 최고 상승 높이가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상계단(17)에는 난간(31)이 설치되어 비상 통행자를 보호하고 있다. 이 비상계단(7)이 설치되는 경우, 일측 가이드수단(9)은 일 측벽(3)에 대향하는 비상계단(7)의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는 지하도의 출입구 바닥에 형성된 홈에 수직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수단, 이 가이드수단에 설치되는 차수문, 이 차수문에 연결되는 승강수단, 차수문에 구비되는 실링수단으로 구성되어, 승강수단으로 차수문을 승강시키고 실링수단으로 상승된 차수문을 실링함으로서, 집중 호우 및 폭우로 인한 우수가 지하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비상계단을 더 구비할 경우, 지하도 출입구의 차수를 실현하면서 동시에 사람의 통행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측벽과 지붕을 가지고 지하도로 연결되는 출입구에 구비되어 우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바닥에 형성된 홈에 수직 상태로 매립되어 측벽의 대향 내측에 연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수단의 매립 측에서 측벽 측으로 승강하면서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를 차수하도록 판 상태로 형성되어 가이드수단에 설치되는 차수문,
    상기 차수문에 상하 작동력을 제공하여 차수문을 승강시키도록 차수문의 일측에 연결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승된 상태의 차수문과 가이드수단 사이 및 차수문과 홈 사이를 실링하도록 차수문에 구비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차수문의 양측 단을 감싸는 구조로 승강 작용을 안내하도록 단면 ⊂자 형상의 채널로 이루어지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은 출입구 바닥에 구비되는 고정 스토퍼에 맞닿아 승강수단에 의한 상승이 한정되도록 그 하단 일측에 스토퍼를 구비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은 출입구 바닥에 매립된 상태에서 출입구 바닥을 덮어 주도록 그 상단에 힌지로 장착된 덮개를 구비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유압에 의한 신축 작동으로 차수문을 승강시키도록 차수문의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은 차수문의 전면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에어 튜브와, 이 에어 튜브의 외측을 보호하도록 차수문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튜브 보호대로 구성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벽 중 어느 일측에 차수문의 최대 상승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어 출입구를 통하여 지하도로 연결되는 비상계단을 더 포함하는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20-2003-0003484U 2003-02-06 2003-02-06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200313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484U KR200313296Y1 (ko) 2003-02-06 2003-02-06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484U KR200313296Y1 (ko) 2003-02-06 2003-02-06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460A Division KR100516832B1 (ko) 2003-02-06 2003-02-06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296Y1 true KR200313296Y1 (ko) 2003-05-16

Family

ID=4940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484U KR200313296Y1 (ko) 2003-02-06 2003-02-06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2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68B1 (ko) * 2012-04-06 2012-10-02 청옥산업 주식회사 승강식 침수방지게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68B1 (ko) * 2012-04-06 2012-10-02 청옥산업 주식회사 승강식 침수방지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832B1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100505057B1 (ko) 지대가 낮은 건축물 지하 주차장 우수유입 방지구조물
KR101268509B1 (ko)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200313296Y1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JP2013076271A (ja) 避難用建物
KR200313321Y1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JP2001032621A (ja) 防水扉
KR200254924Y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
KR200313332Y1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20040074229A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KR101351837B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KR20040073680A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KR102278525B1 (ko) 수영장 구조체
KR101014377B1 (ko) 교량 엘리베이터 지지용 피트 구조물
KR200480456Y1 (ko)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KR200457171Y1 (ko) 승강로 상승형 하천용 엘리베이터
KR102036732B1 (ko) 차수 장치
KR102656340B1 (ko) 승강식 차수문
KR102640244B1 (ko) 주차장 침수 차단장치
CN215857527U (zh) 一种地下车库用地埋式橡胶坝
KR102186687B1 (ko) 수문 시스템
JP2001152432A (ja) ゴム蝶番を用いた転倒型防水扉
CN115125909B (zh) 地铁入口防水侵入装置
JP2020143501A (ja) 通路用止水構造及びこれを用いる止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