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142B1 -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 Google Patents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142B1
KR100949142B1 KR1020080027918A KR20080027918A KR100949142B1 KR 100949142 B1 KR100949142 B1 KR 100949142B1 KR 1020080027918 A KR1020080027918 A KR 1020080027918A KR 20080027918 A KR20080027918 A KR 20080027918A KR 100949142 B1 KR100949142 B1 KR 100949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hotta
shot
guide rai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458A (ko
Inventor
곽병철
Original Assignee
곽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철 filed Critical 곽병철
Priority to KR102008002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4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07Shutter boxes; Details or component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8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천막샷타가 승강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를 구성함에 있어서, 출입구 개방을 위하여 천막샷타가 권취되어 상승할때 천막샷타가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할 경우, 강제적인 제어수단에 의해 천막샷타가 더이상 상승되지 않게 하여 과다상승으로 인한 천막샷타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막샷타의 하단부에 별도의 삽입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공간부에 일정크기의 걸림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천막샷타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부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출입구 개방을 위한 천막샷타의 상승시 전기적 제어의 오류등 외부요인에 의해 천막샷타가 정위치가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할 경우, 천막샷타 하단 삽입공간부에 끼워진 걸림부재가 스토퍼에 걸려 상승이 제어되게 하므로서 천막샷타의 과다상승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TENT SHUTTER FOR ENTRANCE WITH EXCESSIVE ASCENT PREVENTION MEANS}
본 발명은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입구 개방을 위하여 천막샷타를 권취할때 전기적 제어의 오류로 인하여 천막샷타가 정해진 지점에 멈추지 않고 과다상승(과다권취)하여 천막샷타가 가이드레일을 이탈하여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고장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공장이나 물류창고등과 같은 건물의 출입구에는 시트지로 된 천막샷타가 승강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개폐되도록 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의 개폐작동은 상부에 위치한 권취롤러에 천막샷타가 감기고, 풀리는 동작에 의해 천막샷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출입구가 개폐되는 것이며, 이때 천막샷타가 적절한 위치에 멈추게 하는 승강정지는 감지센서와 같은 전기적 제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간혹 천막샷타의 승강을 제어하는 전기적 제어장치의 오류로 인하여 상승하는 천막샷타가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하여 상승하게 되면 천막샷타의 양 측 단부가 가이드레일을 이탈하여 작동불능상태가 되므로 천막샷타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가 불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관리직원이 현장을 방문하여 고장수리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고, 또한 고장수리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천막샷타가 승강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를 구성함에 있어서, 출입구 개방을 위하여 천막샷타가 권취되어 상승할때 천막샷타가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할 경우, 강제적인 제어수단에 의해 천막샷타가 더이상 상승되지 않게 하여 과다상승으로 인한 천막샷타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막샷타의 하단부에 별도의 삽입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공간부에 일정크기의 걸림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천막샷타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부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출입구 개방을 위한 천막샷타의 상승시 전기적 제어의 오류등 외부요인에 의해 천막샷타가 정위치가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할 경우, 천막샷타 하단 삽입공간부에 끼워진 걸림부재가 스토퍼에 걸려 상승이 제어되게 하므로서 천막샷타의 과다상승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샷타본체 하단에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샷타본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부에 는 지지수단과 작동하는 걸림수단을 구비하여 샷타본체의 상승작동 중 전기적 제어 의 오류등 외부요인에 의해 샷타본체가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할때 샷타본체 하단에 구성된 지지수단과 가이드레일 상부에 구비된 걸림수단에 의해 샷타본체의 상승이 제어되게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샷타본체의 과다상승에 따른 장치의 파손과 개폐작동불능, 고장수리에 따른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고장수리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건물용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10)의 개략측면 구성도로서, 수직프레임(20) 일측에 가이드레일(3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0) 상단에 권취롤러박스(40)를 설치하고, 상기 권취롤러박스(40) 사이에는 테라스프레임(41)을 설치하여 권취롤러박스(40)가 지지되게 하고, 수직프레임(20) 사이에는 보조프레임(60)을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양측수직프레임(20)이 견고히 지지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레일(30)에는 샷타본체(70) 양측에 구성된 가이드편(72)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상기 샷타본체(70) 상단부는 가이드롤러(31)와 가이드(32)를 지나 전기적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권취롤러(33)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하므로서, 천막샷타(10)가 승강하여 출입구가 개폐되도록 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수직프레임(20) 상단, 즉 가이드레일(30) 상단에 걸림수단을 구성하고, 샷타본체(70) 하단에는 걸림수단과 작용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 여 출입구 개방을 위한 샷타본체(70)의 상승시 전기적 제어의 오류로 인하여 샷타본체(70)가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하여 상승하게 될 경우 샷타본체(70) 하단에 구성된 지지수단이 가이드레일(30) 상단에 구성된 걸림수단에 걸려 샷타본체(70)의 상승이 제어되게 한다는 것이다.
상기에서 샷타본체(70) 하단에 구성되는 지지수단은 샷타본체(70)의 두께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조이면 사용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샷타본체(70) 하단에 삽입공간부(71)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공간부(71) 내에 경질의 걸림부재(80)를 끼워 걸림수단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삽입공간부(71)에 끼워지게 경질의 걸림부재(80)는 삽입공간부(71) 전면에 걸쳐 구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상기 경질의 걸림부재(80)가 도 9에서와 같이 양측부에만 위치되게 하고, 중앙부에는 압축스폰지와 같이 쿠션이 양호한 재질로 된 지지부재(81)를 끼워 사용할 수도 있다.
가이드레일(30) 상단에 위치하는 걸림수단은 샷타본체(70) 하단에 구성된 걸림부재(80)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가이드레일(30) 상단 양측에 걸림부재(80)의 직경(L)보다 좁은 간격(L')으로 스토퍼(50)를 설치하여 전기적 제어의 오류로 천막샷타(70)가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할때 강제적으로 상승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50)의 설치위치는 여러구조로 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직프레임(20) 상단에 구성된 보조프레임(60) 일측에 설치하여 권취롤러박스(40)를 구성하는 테라스프레임(41)과의 간격(L')이 샷타본체(70)에 구성된 걸림부재(80)의 직경(L)보다 좁게 구성하였다.
상기 걸림수단은 여러구조로 실시할 수 있으며, 다만 샷타본체(70) 하단에 구성된 지지수단, 즉 걸림부재(80)가 걸림수단에 걸려 지지되게 하므로서 샷타본체(70)가 더이상의 상승을 제어하는 수단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10)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전기적 작동에 의해 권취롤러(33)가 정회전, 즉 도 1에서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샷타본체(7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상승하면서 출입구가 개방되고, 위와는 반대로 역회전하면 샷타본체(70)가 하강하면서 출입구가 폐쇄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천막샷타(10)는 출입구 개방을 위하여 샷타본체(70)가 상승을 하면서 정위치에 멈추어야 하나, 전기적 제어의 오류에 의해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하게 될 경우 가이드레일(30) 상단에 구성된 걸림수단에 의해 샷타본체(70) 하단에 구성된 지지수단이 걸려 더이상의 상승이 제어되게 하므로서 샷타본체(70)의 과다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기적 제어의 오류에 의해 샷타본체(70)가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하게 되면 삽입공간부(71)에 끼워진 걸림부재(80)가 가이드레일(30) 상단에 걸림부재(80)의 직경(L)보다 좁게 설치된 스토퍼(50)와 테라스프레임(41) 사이의 간격(L')에 걸려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므로 샷타본체(70)의 상승이 강제적으로 멈추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샷타본체(70)의 과다상승이 방지되면, 즉시 전기적 제어의 오류원인을 확인한 다음 수리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샷타본체(70)의 과다상승으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샷타본체(70)의 하단삽입공간부(71)에 끼워진 걸림부재(80)는 경질의 합성수지관체나 알미늄, 혹은 스테인레스 관체로 구성되어 있어 스토퍼(50)와 걸림이 이루어질때 충분한 버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80)는 반드시 경질의 재질로만 사용가능한 것이 아니라 압축스폰지와 같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소재이면 사용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걸림부재(80) 사이에 위치한 지지부재(81)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가볍고 쿠션이 양호한 압축스폰지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샷타본체(70)의 하강시 샷타본체(70) 하부에 작업자가 있거나 기타적재물이 있을 경우 충격을 완화시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샷타본체 하단에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가이드 프레임 상단에 걸림수단을 구비하여 샷타본체의 상승시 정위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 상승할 경우 일정지점에서 상승작동을 강제로 제어되게 하므로서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한 출입구 개폐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2 : 도 1의 상태에서 샷타 본체를 제거한 상태도
도 3 :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도 4 : 도 3의 확대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6 : 도 5의 확대도
도 7 : 도 5의 상태에서 샷타본체를 제거한 상태도
도 8 : 도 7의 확대도
도 9 : 본 발명의 요부사시도
도 10 : 도 9의 상태에서 샷타본체를 제거한 상태도
도 11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샷타본체의 요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20)--수직프레임
(30)--가이드레일 (31)--가이드롤러
(32)--가이드 (33)--권취롤러
(40)--권취롤러박스 (41)--테라스프레임
(50)--스토퍼 (60)--보조프레임
(70)--샷타본체 (71)--삽입공간부
(72)--가이드편 (80)--걸림부재
(81)--지지부재

Claims (4)

  1. 수직프레임(20) 일측에 가이드레일(3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샷타본체(70)가 승강하면서 출입구가 개폐되도록 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샷타본체(70) 하단에 샷타본체(70)의 두께보다 큰 직경(L)을 갖는 지지수단을 구성하고, 가이드레일(30) 상단에 샷타본체(70) 하단에 구성된 지지수단의 직경(L)보다 좁은 간격(L')으로 구성된 걸림수단이 구성되게 하므로서 샷타본체(70)의 과다상승시 샷타본체(70) 하단에 구성된 지지수단이 가이드레일(30) 상단에 구성된 걸림수단에 걸려 상승이 제어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2. 제1항에 있어서, 샷타본체(70) 하단에 구성된 지지수단은 샷타본체(70) 하단에 삽입공간부(71)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공간부(71)에 걸림부재(80)를 끼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3. 제2항에 있어서, 샷타본체(70)의 삽입공간부(71)에 끼워지는 걸림부재(80)는 양측 단부에 위치되게 하고, 그 사이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지지부재(81)가 위치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4.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30) 상단에 구성되는 걸림수단은, 수직프레임(20) 상단에 연결설치된 보조프레임(60) 일측에 스토퍼(50)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스토퍼(50)와 테라스프레임(41) 사이의 간격(L')이 지지부재(80)의 직경(L)보다 좁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KR1020080027918A 2008-03-26 2008-03-26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KR100949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918A KR100949142B1 (ko) 2008-03-26 2008-03-26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918A KR100949142B1 (ko) 2008-03-26 2008-03-26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58A KR20090102458A (ko) 2009-09-30
KR100949142B1 true KR100949142B1 (ko) 2010-03-25

Family

ID=4135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918A KR100949142B1 (ko) 2008-03-26 2008-03-26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737B1 (ko) * 2011-01-20 2013-02-13 주식회사 에스에프테크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KR102356467B1 (ko) * 2021-02-01 2022-02-08 이윤성 롤방충망과 단열방풍망을 구비한 루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273A (ja) * 1996-02-29 1997-09-16 Yasushi Mera 収納型板バネ付日除け装置
JPH1133133A (ja) 1997-07-22 1999-02-09 Bunka Shutter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US5996670A (en) 1996-10-23 1999-12-07 Yamato Tape Co., Ltd. Balanced shutter and balancing device thereof
JP2003027844A (ja) 2001-07-18 2003-01-29 Asahi Sekkei Kogyo:Kk ブラインドの付けられる窓及び該窓に取り付けられる窓用ブライン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273A (ja) * 1996-02-29 1997-09-16 Yasushi Mera 収納型板バネ付日除け装置
US5996670A (en) 1996-10-23 1999-12-07 Yamato Tape Co., Ltd. Balanced shutter and balancing device thereof
JPH1133133A (ja) 1997-07-22 1999-02-09 Bunka Shutter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JP2003027844A (ja) 2001-07-18 2003-01-29 Asahi Sekkei Kogyo:Kk ブラインドの付けられる窓及び該窓に取り付けられる窓用ブライ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58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7711B2 (ja) 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の頂部高さを減少させたエレベーターかご
JP2004322823A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JP2012082590A (ja) 浸水防止装置
KR100949142B1 (ko)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200477570Y1 (ko)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JP6381401B2 (ja) 可動柵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JP6038485B2 (ja) 潜り戸付グリルシャッター装置
KR20100091821A (ko) 전동 개폐형 차고문
KR101885496B1 (ko) 승강식 도어용 프로파일 및 이로 만들어진 선체용 격납고 도어
EP3467248B1 (en) A glass panel system
KR20100006592U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144075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20090122740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230097484A (ko) 빌딩유지보수장비용 오픈형 도어장치
KR101234771B1 (ko) 시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산업용 자동문
KR102656340B1 (ko) 승강식 차수문
KR102488039B1 (ko) 공사현장용 안전문
KR102486567B1 (ko) 엘리베이터 카
KR102586017B1 (ko) 승강식 차수문 폐쇄장치
KR200448066Y1 (ko) 인양식 작업 발판 프레임용 자동 스토퍼
KR101277644B1 (ko) 현장조립용 셔터의 가이드레일
KR101337574B1 (ko) 빌트인 식기 건조기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