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555B1 -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555B1
KR100305555B1 KR1019990006318A KR19990006318A KR100305555B1 KR 100305555 B1 KR100305555 B1 KR 100305555B1 KR 1019990006318 A KR1019990006318 A KR 1019990006318A KR 19990006318 A KR19990006318 A KR 19990006318A KR 100305555 B1 KR100305555 B1 KR 10030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panel
panel door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574A (ko
Inventor
고바야시기요시
고또다까시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2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건물에 설치된 문설주(1)에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 사용되는 제어반(8) 및 이 제어반(8)의 전면측을 개폐하는 패널 문(6)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에 있어서, 패널 문(6)은 한 쪽 측면 가장자리가 힌지(10)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패널 문(6)의 상기 힌지(10)의 반대측 측면 가장자리의 상하 부분에 패널 문(6)을 시정하는 시정 기구(施錠機構)(15, 16)를 설치하고, 그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시정 기구를 패널 문(6)이 개방으로부터 폐문할 때의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패널 문(6)을 시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SWICHING DEVICE OF CONTROL BOARD I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케 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승강함이 승강하는 건물의 승강로 상단부에 기계실이 설치되고, 이 기계실 내에 승강함을 승강 동작시키는 권상기가 설치되며, 그 기계실 내에 보수 점검시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승강로의 상단부에 기계실이 배치되는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기계실에 따라서는 건물의 높이가 커져서, 일조권이나 건물의 건축 용적 등의 점에서 불리하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승강로의 상단부에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고 승강로 내의 공간의 일부를 이용해서 권상기나 제어반을 설치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가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각 층(floor)에는 승강함에 대한 출입구를 구성하는 문설주(jamb)가 설치되는 것에 대해,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예를 들어 최상층의 홀의 문설주의 내측에 보수 점검시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설치된다. 또 문설주의 내측 전면에는 제어반의 전면측을 개폐하는 회동식의 패널 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패널 문에는 시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보수 점검시에는 보수 작업원이 시정 기구를 개정(開錠)하여 패널 문을 열어서 조작반을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문설주는 일반적으로 2m를 초과하는 높이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이 문설주의 내측에 설치되는 패널 문도 상하의 스팬 치수가 큰 세로가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지 이 패널 문의 한 부분을 시정 기구로 시정하여 걸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또 시정 기구는 패널 문의 개방을 저지하는 기능과 동시에 패널 문을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맡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패널 문의 한 부분에 시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패널 문이 시정 상태인 채로 억지로 개방 조작이 되거나 난폭하게 취급되는 경우에는, 패널 문의 상하부간에 왜곡이나 변형이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문이 시정 상태인 채로 억지로 개방 조작이 되거나 난폭하게 취급되는 일이 있어도, 패널 문이 왜곡되거나 변형되는 일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패널 문의 자동 폐문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시정 기구의 정면도.
도 6은 시정 기구의 측면도.
도 7은 시정 기구의 평면도.
도 8은 시정 기구의 일부의 단면도.
도 9는 패널 문의 상부측에 대한 시정 기구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패널 문의 상부측에 대한 시정 기구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패널 문의 상부측에 대한 시정 기구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패널 문의 하부측에 대한 시정 기구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패널 문의 하부측에 대한 시정 기구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패널 문의 하부측에 대한 시정 기구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반 개폐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 사용되는 제어반과, 그 제어반의 전면측을 개폐하는 패널 문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 문은 한 쪽 측면 가장자리가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패널 문의 상기 힌지의 반대측 측면 가장자리의 상하 부분을 각각 걸어서(係止) 상기 패널 문을 시정하는 적어도 2개의 시정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시정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시정 기구가 상기 패널 문을 그 폐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여 개방된 패널 문을 자동적으로 폐문시키는 자동 폐문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패널 문이 시정 상태인 채로 억지로 개방 조작되거나 난폭하게 취급되는 일이 있어도, 패널 문이 왜곡하거나 변형하는 일이 없으며, 또 패널 문의 시정이나 개정의 조작을 용이하고 능률이 좋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 보수 점검의 작업시에 패널 문이 제삼자에 의해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 사용되는 제어반과 그 제어반의 전면측을 개폐하는 패널 문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 문은 한 쪽 측면 가장자리가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패널 문의 상기 힌지의 반대측 측면 가장자리를 걸어서 패널 문을 시정하는 시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패널 문의 내부에 여유가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패널 문 내측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는 제어반을 승강장 부근이나 승강함에 설치하고, 권상기를 승강로 최상부나 최하부에 수용함으로써, 기계실 없는 것을 실현한 것이다. 도 1에서는, 권상기(124)는 가이드 레일(103)의 최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권상기 부착대(124A)에 재치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01)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02) 내에 설치된다. 복수의 가이드 레일(103, 123)과, 승강함(104)과, 주 로프(117)와, 카운터 웨이트(118)와, 구동 기구(119)와, 비상 정지 기구(120)를 갖추고 있다.
가이드 레일(103)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02) 내에, 이 승강로(102)를 따라 서로 거의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 레일(103)은 한 쌍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함(104)은 승강함 틀(105)과 승객을 수용하는 승강실(106) 등을 갖추고 있다. 승강함 틀(105)은 서로 평행한 가이드 레일(103, 103)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크기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실(106)은 승강함 마루와 승강장에 마주하는 개폐 도어(112)를 갖는 앞 벽과, 앞 벽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이어지는 한 쌍의 측판과, 앞 벽에 대해 평행이고 또한 한 쌍의 측판을 서로 연결하는 뒷판과, 천정판(116)을 갖추고 있다. 승강함(104)은 그 하면측에 종동 시브(driven sheave)(122, 122)를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종동 시브(122, 122)는 서로간에 주 로프(117)가 걸려 있다.
주 로프(117)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3, 103) 중 한 쪽의 가이드 레일(103)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쪽 단부가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123, 123) 중 한 쪽의 상단부 등에 부착되어 있다. 주 로프(117)는 종동 시브(122, 122)에 걸려 있으며, 승강함(104)을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02) 내에서 가이드 레일(103, 103)을 따라 승강이 가능하게 현가하고 있다.
카운터 웨이트(118)는 한 쌍의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123, 123)을 따라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123, 123)은 한 쪽의 가이드 레일(103)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18)는 주 로프(117)에 현가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18)는 승강함(104)의 승강실(106) 내의 소정의 수의 승객이 타면, 주 로프(117)를 통하여 상기 승강함(104)과 평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구(119)는 주 로프(117)가 걸려있는 도시하지 않은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와, 이 트랙션 시브를 회전시키는 권상기(124)를 갖추고 있다. 구동 기구(119)는 권상기(124)가 트랙션 시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주 로프(117) 등을 통하여 승강함(104)을 가이드 레일(103, 103)을 따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비상 정지 기구(120)는 조속 장치(governor equipment)(125)와 승강함(104)에 부착된 조속기 로프(126)를 갖추고 있다. 비상 정지 기구(120)는 어떤 고장에 의해 승강함(104) 등이 정격 속도 이상으로 급강하하는 경우 등에, 조속기 로프(126)를 구속해서 자동적으로 승강함(104)을 급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출입구 구성용의 프레임이 되는 문설주(jamb)(1)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문설주(1)는 천정 들보(2)와, 이 천정 들보(2)의 양단부로부터 그 하방으로 뻗는 한 쌍의 측부 들보(3, 4)에 의해 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한 쪽의 측부 들보(3)의 하단부에 가로 들보(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의 측부 들보(3)의 내측에 패널 문(6)이 설치되고, 이 패널 문(6)의 배부측 공간이 제어반 설치부(7)로 되어 있으며, 이 제어반 설치부(7)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8)이 설치되어 있다.
패널 문(6)은 문설주(1)의 천정 들보(2)와 가로 들보(5) 사이에 배치하고, 이 패널 문(6)의 한 쪽 가장자리가 힌지(10)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힌지(10)를 지점으로 하는 패널 문(6)의 회동 동작으로 상기 제어반(8)의 전면측이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패널 문(6)과 문설주(1)의 다른 쪽 측부 들보(4) 사이의 공간이 엘리베이터의 승강함에 대한 출입구(11)로 되어 있으며, 이 출입구(11)의 배부측에 출입구 문(12, 13)이 설치되어 있다.
패널 문(6)의 배면과 천정 들보(2) 사이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문(6)을 자동적으로 폐문시키는 자동 폐문 수단이 되는 인장 스프링(14)이 부착되며, 이 인장 스프링(14)에 의해 패널 문(6)이 폐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받고 있다. 또 패널 문(6)의 상기 힌지(10)의 반대측 측면 가장자리 즉 자유측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그 상하부에 떨어져서 각각 시정 기구(15, 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시정 기구(15, 16)는 패널 문(6)의 두께 치수보다도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시정 기구(15, 16)는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디귿자 형상의 프레임(17)과, 이 프레임(17)의 내측에 설치된 로드(18) 및 이 로드(18)에 연결된 록 핀(19)과, 프레임(17)에 부착된 키 구멍(20)을 갖는 키 보디(21)와, 이 키 보디(21)의 키 구멍(20) 내에 삽입되는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18) 및 록 핀(19)을 그 축 방향으로 진퇴 동작시키는 연동 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정 기구(15, 16)는 그들 키 구멍(20)에 키를 넣어 돌림으로써, 개정 상태와 시정 상태를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또 키 구멍(20)으로부터 키를 뺄 때에 시정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는 키 구멍(20)으로부터 키를 뺄 때의 빼는 홈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또는 개정 상태, 즉 록 핀(19)이 후퇴 위치에서 키 구멍(20)으로부터 키를 뺌으로써, 이와 같은 키 구멍(20)으로부터 키를 빼는 상태에서 개정 상태가 되는 시정 기구(15, 16)를 실현할 수 있다.
록 핀(19)은 프레임(17)의 한 측부로부터 그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돌출 선단측의 단면이 한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19a)으로서 절단되어 있다. 또 록 핀(19)의 다른 쪽 단부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경 축부(19b)로 되어 있으며, 이 소경 축부(19b)에 관통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경 축부(19b)는 로드(18)에 형성된 삽입 구멍(嵌合孔)(18a)에 유휴 삽입(游揷, idle insert)되어 있음과 동시에, 로드(18)의 외부로부터 상기 소경 축부(19b)의 관통 구멍(24)을 삽입 통과하도록 끼우고 뗄 수 있게 연결 핀(25)이 삽입되고, 이 연결 핀(25)에 의해 로드(18)와 록 핀(19)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핀(25)의 일단측의 단부는 프레임(17)의 전면에 형성된 긴 구멍 형상의 가이드 구멍(26) 내에 유휴 삽입(游合)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 핀(25)을 빼내고, 록 핀(19)을 그 축 회전 방향으로 180°회동하여 다시 관통 구멍(24)에 연결 핀(25)을 삽입함으로써, 록 핀(19) 선단의 경사면(19a)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패널 문(6)은 힌지(10)의 반대측 측면 가장자리에 그 배부측으로 굴곡하는 측판(6a)을 가지고 있으며, 이 측판(6a)의 내측에 상기 시정 기구(15, 16)가 설치되어 있다. 패널 문(6)의 상부측에 설치된 한 쪽 시정 기구(15)의 부착 구조를 도 9∼도 11에, 다른 쪽 시정 기구(16)의 부착 구조를 도 12∼도 14에 각각 나타내고 있다.
한 쪽 시정 기구(15)는 프레임(17)이 측판(6a)의 내면에 접합하고, 키 보디(21)의 단면이 측판(6a)을 관통하여 그 키 보디(21)의 키 구멍(20)이 측판(6a)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또 록 핀(19)의 돌출 방향이 상방을 향하고, 또한 그 선단의 경사면(19a)이 문설주(1)의 깊숙한 방향측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문설주(1)의 천정 들보(2)의 하면에, 그 문설주(1)와는 별도의 부재인 전용의 L 형상을 한 맞물림 부재(30)가 부착되고, 맞물림 부재(30)에 록 핀(19)이 걸리고 풀릴 수 있게 맞물려 있다.
다른 쪽의 시정 기구(16)는 프레임(17)이 측판(6a)의 내면에 접합하고, 키 보디(21)의 단면이 측판(6a)을 관통하여 그 키 구멍(20)이 측판(6a)의 외면에 노출되고, 또 록 핀(19)의 돌출 방향이 하방을 향하고, 또 그 선단의 경사면(19a)이 문설주(1)의 깊숙한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패널 문(6)의 하방에 설치된 가로 들보(5)의 상면에 그 가로 들보(5)와는 별개의 부재인 전용의 L자형 맞물림 부재(30)가 부착되고, 이 맞물림 부재(30)에 록 핀(19)이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패널 문(6)의 상부에 배치하는 한 쪽 시정 기구(15)와 패널 문(6)의 하부에 배치하는 다른 쪽 시정 기구(17)에서는 그 부착 자세가 상하 반전하고, 따라서 록 핀(19)의 경사면(19a)의 방향이 전후로 반전하는 관계가 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록 핀(19)은 연결 핀(25)을 빼낼 때 180°회동하여 그 경사면(19a)의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이 조작에 의해 한 쪽 시정 기구(15)의 록 핀(19)의 경사면(19a)과, 다른 쪽 시정 기구(16)의 록 핀(19)의 경사면(19a)을 동일한 방향, 즉 문설주(1)의 깊숙한 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한 쪽과 다른 쪽의 시정 기구(15, 16)를 공통화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각 시정 기구(15, 16)의 시정 상태 하에서는, 록 핀(19)이 맞물림 부재(30)의 내측에 걸려 있으며, 이 시정 상태에서 키 구멍(20) 내에 키를 꽂고, 이 키를 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정 조작을 행하면, 록 핀(19)이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후퇴 이동해서 맞물림 부재(30)로부터 해제되어 개정 상태가 되고 이것이 유지되며, 또 이 개정 상태에서 상기 키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정 조작을 행하면 록 핀(19)이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진출 이동해서 맞물림 부재(30)에 걸려서, 다시 시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예를 들어 패널 문(6)의 상부측에 설치된 한 쪽 시정 기구(15)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18)의 외주에 코일 스프링(31)이 설치되고, 이 코일 스프링(31)에 의해 록 핀(19)이 상시 그 진출 방향에 탄성적으로 힘을 받게 되어 있다. 그리고 키에 의한 시정 조작으로 록 핀(19)이 소정의 스트로크만 진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록 핀(19)에 경사면(19b)을 통하여 압입력이 작용했을 때는, 키의 동작과는 관계없이 독립하여 록 핀(19)이 상기 코일 스프링(31)에 저항해서 후퇴 이동하고, 그 압입력의 해제에 수반하여 록 핀(19)이 상기 코일 스프링(31)의 힘으로 다시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진출 이동하는 자동 시정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통상시에는, 패널 문(6)은 각 시정 기구(15, 16)에 의해 시정된다. 이 시정 상태에서는 패널 문(6)의 힌지(10)의 반대측 측면 가장자리가 양 시정 기구(15, 16)에 의해 그 서로 떨어진 상하의 2지점에서 안정되게 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패널 문(6)을 억지로 개방하고자 하거나, 난폭하게 취급되는 일이 있어도, 패널 문(6)이 왜곡하거나 변형하는 일이 없다.
또한 좁은 승강로 내에 제어반을 배치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기기나 부품을 위해 패널 문(6)의 내측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각 시정 기구(15, 16)의 키 구멍(20)은 패널 문(6)의 측면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며, 따라서 패널 문(6)의 정면측으로부터는 그 키 구멍이 시계에 들어오지 않으며,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패널 문(6)의 정면을 보았을 때에 그 정면이 시각적으로 산뜻해져서,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는, 우선 작업원이 각 시정 기구(15, 16)의 키 구멍(20)에 각각 키를 꽂아서, 이들 키를 회동하여 개정 조작을 행한다. 이 개정 조작에 의해 각 시정 기구(15, 16)의 록 핀(19)이 맞물림 부재(30)와의 걸린 위치로부터 후퇴 이동하여 그 걸림이 해제되어 각각 개정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 하에서 패널 문(6)을 인장 스프링(14)에 저항하여 엘리베이터 홀의 바로 앞측으로 당김으로써 패널 문(6)을 열 수가 있다. 그리고 열린 패널 문(6)은 예를 들어 작업원의 손이나 몸으로 눌러서 그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문설주(1) 내측의 제어반(8)을 조작한다.
제어반(8)의 조작 후에는, 패널 문(6)의 개방 상태 하에서 자동 시정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한 쪽 시정 기구(15)를 키를 통하여 시정 상태로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의해 한 쪽 시정 기구(15)의 록 핀(19)이 시정 위치로 진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조작은 패널 문(6)을 개방한 직후의 시점에서 행하면 좋다.
그 후에 개방되어 있는 패널 문(6)으로부터 손이나 몸을 때면, 패널 문(6)이 인장 스프링(14)에 의한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문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이 때, 한 쪽 시정 기구(15)의 록 핀(19)이 시정 위치로 진출 이동하고 있으므로, 패널 문(6)의 폐문 방향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록 핀(19) 선단의 경사면(19a)이 맞물림 부재(30)의 가장자리에 닿아서 일시적으로 록 핀(19)이 코일 스프링(31)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록 핀(19)이 맞물림 부재(30)의 가장자리를 뛰어 넘었을 때에 다시 록 핀(19)이 코일 스프링(31)의 힘에 의해 진출 이동하여 이 록 핀(19)이 맞물림 부재(31)의 내측에 걸리고, 이 걸림에 의해 패널 문(6)이 자동적으로 시정된다. 이 때, 다른 쪽 시정 기구(16)는 미리 키를 조작해서 개정 상태로 해 놓고, 이에 따라 록 핀(19)이 후퇴 위치로 유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패널 문(6)이 자동적으로 폐문하여도 개정 상태인 채로 유지된다.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는, 그 작업원에게 몇 번이고 제어반(8)을 조작할 필요가 생기지만, 그 작업중 내내 상시 패널 문(6)이 개방되어 있으면, 보수 작업원 이외의 제삼자가 고의로 또는 잘못해서 제어반(8)을 조작하여 불의의 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따라서 패널 문(6)은 보수 작업원이 제어반(8)을 조작할 때 이외는 항상 폐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안전 관리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반(8)의 조작 후에는 패널 문(6)이 자동 폐문 수단인 인장 스프링(14)의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문하고, 또한 한 쪽 시정 기구(15)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정된다. 따라서 보수 작업원이 제어반(8)을 조작할 때 이외는, 항상 패널 문(6)을 폐문 상태로 유지하여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문(6)이 인장 스프링(140)의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문되므로 그 폐문의 망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자동 폐문한 패널 문(6)이 한 쪽 시정 기구(15)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정되므로, 패널 문(6)이 제삼자에 의해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등의 일도 없어서, 보다 안전성이 증가한다.
보수 점검의 작업 도중에, 작업원이 다시 패널 문(6)을 열어서 제어반(8)을 조작할 때는, 시정되어 있는 한 쪽 시정 기구(15)를 키로 개정 조작하여 패널 문(6)을 연다. 이 때, 다른 쪽 시정 기구(16)는 개정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이 다른 쪽 시정 기구(16)에 대한 개방 조작은 불필요하며, 한 쪽 시정 기구(15)에 대해서만 개정 조작을 행하면 되고,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한다.
보수 점검의 모든 작업이 완료하고 최종적으로 패널 문(6)을 시정할 때에는, 한 쪽 시정 기구(15)는 패널 문(6)의 자동 폐문에 수반하는 자동 시정 키 동작으로 시정 상태가 되므로, 다른 쪽 시정 기구(16)를 사용해서 시정 조작하기만 하면 패널 문(6)을 각 시정 기구(15, 16)로 확실하게 시정할 수 있다.
그런데, 각 시정 기구(15, 16)의 록 핀(19)이 천정 들보(2)의 하면이나 가로 들보(5)의 상면에 직접 동일 면으로 형성된 맞물림부에 걸리게 하면, 패널 문(6)의 개폐 동작시에 록 핀(19)의 선단이 그 천정 들보(2)의 하면이나 가로 들보(5)의 상면에 접촉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천정 들보(2)의 하면 및 가로 들보(5)의 상면에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전용의 맞물림 부재(30)를 설치하고, 이 맞물림 부재(30)에 록 핀(19)을 걸리게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패널 문(6)의 개폐 동작시에 록 핀(19)의 선단이 천정 들보(2)의 하면이나 가로 들보(5)의 상면에 접촉하는 일 등이 없으며, 따라서 그 천정 들보(2)의 하면이나 가로 들보(5)의 상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2개의 시정 기구(15, 16)를 패널 문(6)이 개방으로부터 폐문할 때의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그 패널 문(6)을 시정하는 자동 시정 기구와, 수동에 의해 패널 문(6)을 시정하는 수동 시정 구조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거나, 혹은 각 시정 기구(15, 16)로서 솔레노이드 등을 사용하는 전자 수단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구조의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시정 기구(15, 16)는 패널 문(6)에 설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패널 문(6)을 지지하는 문설주(1)측에 설치하여 패널 문(6)을 시정하는 경우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패널 문(6) 내에 시정 기구를 배치하지 않으므로, 그 만큼 패널 문(6)의 내부에 여유의 공간이 생기고, 이 때문에 그 공간 부분에 제어반(8) 전면의 기기나 부품류가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패널 문(6) 내측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널 문(6) 내측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할 때에는, 시정 기구를 복수 사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1개의 시정 기구를 사용하여, 그 시정 기구를 패널 문을 지지하는 문설주(1)측에 설치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 문이 시정 상태인 채로 억지로 개방 조작되거나 난폭하게 취급되는 일이 있어도, 패널 문이 왜곡하거나 변형하는 일이 없고, 또 패널 문의 시정이나 개정의 조작을 용이하고 능률이 좋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 작업시에 패널 문이 제삼자에 의해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건물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 사용되는 제어반과 그 제어반의 전면측을 개폐하는 패널 문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 문은 일측 가장자리가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패널 문의 상기 힌지의 반대측 가장자리의 상하 부분을 각각 걸어서 상기 패널 문을 시정하는 적어도 2개의 시정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2개의 시정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시정 기구는 상기 패널 문을 그 폐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여 개방된 패널 문을 자동적으로 폐문시키는 자동 폐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시정 기구는 패널 문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각 시정 기구의 키 구멍이 패널 문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3. 제3항에 있어서, 각 시정 기구는 패널 문 두께의 치수보다도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 기구는 솔레노이드로 동작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 기구는, 키의 조작으로 진퇴 동작하는 록 핀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록 핀의 진출 동작시에 상기 록 핀이 걸리고 풀리고 할 수 있게 맞물리는 전용 맞물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 기구는, 키의 조작으로 진퇴 동작하고 또 선단의 단면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절결되며 또한 경사면의 방향이 변환 가능한 록 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 기구는 키를 뺀 상태에서 개정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8. 건물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 사용되는 제어반과 그 제어반의 전면측을 개폐하는 패널 문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 문은 일측 가장자리가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패널 문의 상기 힌지의 반대측 가장자리를 걸어서 상기 패널 문을 시정하는 시정 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KR1019990006318A 1998-09-07 1999-02-25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KR100305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52672 1998-09-07
JP25267298A JP4130020B2 (ja) 1998-09-07 1998-09-07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574A KR20000022574A (ko) 2000-04-25
KR100305555B1 true KR100305555B1 (ko) 2001-09-24

Family

ID=1724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318A KR100305555B1 (ko) 1998-09-07 1999-02-25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84850B1 (ko)
EP (1) EP0985626B1 (ko)
JP (1) JP4130020B2 (ko)
KR (1) KR100305555B1 (ko)
CN (1) CN1096406C (ko)
DE (1) DE69914269T2 (ko)
MY (1) MY1218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316297B1 (pt) * 2002-11-18 2012-09-04 unidade para monitoração de elevador e procedimento para a manutenção de uma unidade de monitoração de elevador.
US20050005522A1 (en) * 2003-07-07 2005-01-13 Benko John C. Mezzanine safety gate
ZA200406979B (en) 2003-09-29 2005-09-28 Inventio Ag Door frame of a shaft door with a control arrangement for a lift shaft and method for access to a control unit
CN102256886B (zh) 2008-12-19 2016-01-20 奥的斯电梯公司 具有电子装置壳体的电梯门框
US9517921B2 (en) * 2011-05-20 2016-12-13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 roomless hydraulic elevator system
EP2530044A1 (de) *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EP2530043A1 (de) *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KR101725697B1 (ko) * 2012-10-03 2017-04-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FI124423B (fi) * 2012-11-05 2014-08-29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oka käsittää turvajärjestelyn hissin sähköturvallisuuden valvomiseksi
US9573791B2 (en) 2013-02-13 2017-02-21 Kone Corporation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CN103291133B (zh) * 2013-06-21 2015-03-25 无锡海德曼医疗设备有限公司 安全门锁装置
KR101334452B1 (ko) * 2013-07-29 2013-11-29 윤일식 엘리베이터 도어의 모니터 시스템
CN103407848B (zh) * 2013-08-13 2015-10-14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的自保护方法及系统
EP3154893B1 (en) * 2014-06-11 2018-12-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O2016092337A1 (en) * 2014-12-12 2016-06-16 Otis Elevator Company Hoistway landing door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elevator shaft
US20180086604A1 (en) * 2015-04-09 2018-03-29 Nicolas Fonteneau Elevator car wall for access to hoistway
CN107187995B (zh) * 2016-03-14 2019-04-30 株式会社日立大厦系统 电梯及其轿厢
EP3231758B1 (en) 2016-04-15 2020-01-15 Otis Elevator Company Handrail used to open and close elevator car panels
EP3336039A1 (en) * 2016-12-15 2018-06-20 Otis Elevator Company Acces prevention systems for locks of elevator systems
US10526172B2 (en) * 2017-09-29 2020-01-07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EP3564174B1 (en) * 2018-05-03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Openable elevator car wall panels
US10994966B2 (en) 2018-06-25 2021-05-04 Otis Elevator Company Fixture plate and housing
WO2021063612A1 (de) * 2019-09-30 2021-04-08 Inventio Ag Türrahmen einer aufzuganlage
EP4349762A1 (en) * 2022-10-05 2024-04-10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Elevator system with a landing door side jamb forming a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869A (en) * 1977-09-26 1979-02-13 The Eastern Company Self-locking key-controlled door lock
US4261189A (en) * 1979-01-22 1981-04-14 Square D Company Panelboard vent assembly
US4335595A (en) * 1979-12-28 1982-06-22 The Eastern Company Paddle lock with handle disconnect
JPH0295692A (ja) * 1988-09-30 1990-04-06 Toshiba Corp 低層階建物用エレベータ
JPH0764507B2 (ja) * 1988-11-08 1995-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三方枠装置
JPH0737309B2 (ja) * 1989-11-22 1995-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の操作盤
JPH0672669A (ja) * 1992-08-27 1994-03-1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カゴ操作盤のスライドカバー構造
JPH06144725A (ja) * 1992-11-11 1994-05-24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かご操作盤
JPH06166478A (ja) * 1992-11-30 1994-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操作盤
JPH06271220A (ja) * 1993-03-25 1994-09-2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開閉式操作盤パネル
FI95456C (fi) * 1994-05-04 1996-02-12 Kone Oy Järjestely hissikuilun seinän aukossa ja kojetaulu
DE4428445A1 (de) * 1994-08-11 1996-02-15 Joachim Stopfer Verschluß für Schranktüren und Schubladen
US5829554A (en) * 1995-04-03 1998-11-03 Innovation Industries Inc. Hinged modular elevator control housing
US5592780A (en) * 1995-06-07 1997-01-14 Checkovich; Peter Door position controlling apparatus
IT1282980B1 (it) * 1996-05-09 1998-04-03 Gmv S P A Struttura di contenimento del macchinario di ascensor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5626A3 (en) 2002-01-16
EP0985626A2 (en) 2000-03-15
MY121836A (en) 2006-02-28
KR20000022574A (ko) 2000-04-25
EP0985626B1 (en) 2004-01-21
US6484850B1 (en) 2002-11-26
DE69914269T2 (de) 2004-11-18
JP4130020B2 (ja) 2008-08-06
CN1247153A (zh) 2000-03-15
JP2000086097A (ja) 2000-03-28
CN1096406C (zh) 2002-12-18
DE69914269D1 (de)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5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KR10041574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KR20010067340A (ko)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WO2018011461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JPH0597357A (ja)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CN110719882B (zh) 电梯的底坑梯子装置
JP2002293488A (ja) 昇降装置
JP656771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JP3170559B2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EP2075211A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pparatuses and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said safety device
JP2569652Y2 (ja) 工事用昇降装置に関連する扉装置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JP3807851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
CN219384420U (zh) 一种施工升降机吊笼门锁装置
CN221165517U (zh) 电梯底坑梯子
KR20090102458A (ko)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CN112390118B (zh) 电梯的门装置
KR100358279B1 (ko) 플랫폼용 가동펜스
KR100769048B1 (ko)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EP0762986B1 (en) A manual emergency opening device for automatic doors, in particular for lift and elevator doors
KR97000723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해치도어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