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048B1 -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048B1
KR100769048B1 KR1020060082990A KR20060082990A KR100769048B1 KR 100769048 B1 KR100769048 B1 KR 100769048B1 KR 1020060082990 A KR1020060082990 A KR 1020060082990A KR 20060082990 A KR20060082990 A KR 20060082990A KR 100769048 B1 KR100769048 B1 KR 10076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ge
elevator
landing
inser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진
유정범
유재만
박근수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6008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수동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별도의 키를 구비하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케이지의 입구에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된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와, 상기 케이지의 탑승을 위한 대기 장소 역할을 하는 승강장의 입구에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전면에 이웃하여 위치한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를 강제로 개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를 경유하여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편;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편이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봉; 및 상기 삽입봉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고 회전하게 함으로써 삽입편의 회전에 의해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일정 거리의 틈을 발생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엘리베이터, 강제, 비상탈출, 비상, 열림, 오픈, 개방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A compulsion opening device of elevator door}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수동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10: 삽입편 20: 삽입봉
30: 지지부 40: 손잡이부
52: 케이지의 좌측도어 54: 케이지의 우측도어
62: 승강장의 좌측도어 64: 승강장의 우측도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수동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별도의 키를 구비하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케이지가 층간 이동을 하며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각 층에 상기 케이지의 탑승을 위한 대기 장소인 플로어와, 상기 플로어와 승강로의 경계면에는 승객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승강장용의 도어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승강장용 도어는 케이지가 해당 층의 정 위치로 이동하면 케이지에 설치된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그에 따라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또한 개방되어 승객이 탑승 또는 하차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 다시 개방된 케이지용 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도 연동되어 폐쇄되며 승강로와 플로어를 각각 독립된 공간으로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안전운행을 지향하고 있으나, 이상 전원에 의한 정전이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설비의 노후 및 전자적 오류 등으로 인해 정상 운행이 아닌 비상시의 상황이 종종 발생하여 탑승객이 있는 상태의 케이지가 비정상 적인 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이를 구출하기 위해 적정한 층의 플로어에 설치된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탑승객을 구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비상시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키는 종래의 수동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도어(100)의 전방 상부 일측에 수평으로 관통된 키홈(102)을 형성하고, 도어(100)의 후방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작동구(104)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도어(100)의 상부에 설치된 플레이트(110) 상에는 유동걸쇠(130)의 일측이 회전축(112)에 의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동걸쇠(130)의 타측이 걸려지거나 회전에 의해 이탈되어 도어(100)가 폐쇄 또는 개방 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00)의 상부에 별도로 형성된 패널(120) 상에 고정받침쇠(140)를 견고하게 일체로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동개폐장치의 작용은 비상시 케이지가 비정상적인 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의 조작키(K)를 상기 키홈(102)에 삽입하여 그 일단이 상기 작동구(10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조작키(K)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작동구(104)를 상부로 밀어올리면 상기 작동구(104)의 상단과 접한 유동걸쇠(130)가 일측을 고정하고 있는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패널(120) 상에 설치된 고정받침쇠(140)로부터 유동걸쇠(130)의 타측이 이탈되어 상기 도어(10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승강장용 도어(10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조작점 즉, 상기 조작키(K)를 키홈(102)에 삽입한 상태에서 작동구의 하단부와 조작키(K)의 단부가 접하도록 해야하나 이 조작점을 찾기가 매우 까다로워 숙련된 작업자라 할지라도 상기 도어(100)를 개방시키는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인명구조를 수행할 수 없었다. 상기 패널(120)과 작동구(104)가 근접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케이지의 운행시 진동과 떨림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하였다.(삭제)
또한, 상기 조작키(K)는 엘리베이터의 제조사와 작동구(104)의 설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어 작동자가 조작키의 형상을 알지 못할 경우 도어를 여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소방서와 같은 비상구조원이 사용하는 유압잭키와 같은 강제 엘리베이터 개폐장치는 도어를 강제로 개방시킴으로써 도어의 찌그러짐과 같은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첫째, 별도의 키가 불필요하고, 도어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케이지의 입구에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된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와, 상기 케이지의 탑승을 위한 대기 장소 역할을 하는 승강장의 입구에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전면에 이웃하여 위치한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를 강제로 개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를 경유하여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편;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편이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봉; 및 상기 삽입봉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고 회전하게 함으로써 삽입편의 회전에 의해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일정 거리의 틈을 발생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여 층간 이동을 하며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되 소정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가 설치된 케이지와,
상기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각 층에 상기 케이지의 탑승을 위한 대기 장소인 승강장과,
상기 승강장과 승강로의 경계면에 승객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장 도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플로어 도어는 케이지가 해당 층의 정 위치로 이동하면 케이지에 설치된 케이지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그에 따라 승강장에 설치된 플로어 도어 또한 개방되어 승객이 탑승 또는 하차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 다시 개방된 케이지 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도어도 연동되어 폐쇄되며 승강로와 승강장을 각각 독립된 공간으로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지 도어 및 승강장 도어는 각각 두 개의 도어를 옆으로 각각 밀어서 여닫는 슬라이딩(미닫이) 도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1)는 기본적으로 삽입편(10), 삽입봉(20), 지지부(30) 및 손잡이부(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편(10)은 승강장의 좌측도어(62) 및 우측도어(64)의 사이를 경유하여 케이지의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날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의 사이에 최초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뾰족한 선단을 가지는 삽입부(12)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일정 길이만큼 두꺼워지다가 후방에는 두께를 유지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삽입유지부(14)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삽입편(10)의 뽀족한 삽입부(12)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로 이루어진 케이지 의 좌측도어(52)와 우측도어(54)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지에는 항상 양 도어가 자동으로 열고 닫기에 용이한 힘을 작용하는 장치인 도어 클로저(door closer)가 설치되어 있어서, 케이지의 양 도어의 사이가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면 자동으로 케이지의 양 도어가 각각 양쪽으로 밀리면서 개방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즉, 케이지의 좌측도어(52)와 우측도어(54)의 사이에 삽입된 삽입편(10)이 회전하여 케이지의 좌측도어(52)와 우측도어(54) 사이가 일정길이만큼 벌어져 틈이 발생하여 승강장 도어가 수동으로 열림에 따라 케이지 도어가 따라 열려(삽입) 케이지의 입구는 개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편(10)이 케이지의 좌측도어(52)와 우측도어(54)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편(10)의 회전에도 승강장의 좌측도어(62)와 우측도어(64)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삽입편(10)의 회전을 지지가능하게 하도록 삽입편(10)의 후단에는 삽입봉(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봉(20)의 길이는 승강장의 좌측도어(62)와 우측도어(64)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10)이 승강장의 좌측도어(62)와 우측도어(64)를 지나 케이지의 좌측도어(52)와 우측도어(54)에 삽입되면 삽입봉(20)은 승강장 도어의 좌측도어(62) 및 우측도어(64)의 사이에서 삽입편(1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봉(20)은 승강장의 좌측도어(62) 및 우측도어(64)의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삽입편(10) 및 이와 연결된 삽입봉(20)을 지지하고 삽입봉(20)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삽입봉(20)의 후단에는 지지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0)는 일정간격을 유지함으로서 승강장 도어의 회손(긁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통형상이 아니더라도 다각형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1)가 승강장의 양도어 및 케이지의 양도어에 들어갈 적정길이를 가이드 하는 역할까지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봉(20)의 길이는 승강장 도어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0)는 선단의 지지턱에 의해 삽입봉(20) 및 삽입편(10)의 삽입 길이를 가이드 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30)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40)는 삽입편(10) 및 삽입봉(20)을 회전시킬 수 있다면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상기 지지부(30)의 후단에 봉이 수직으로 부착되되,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각각 일측으로 구부러진 손잡이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1)의 재질은 대부분 강성을 갖는 금속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요소들 간은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1)의 삽입편(10)을 승강장의 좌측도어(62) 및 우측도어(64)의 사이를 경유하여 케이지의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의 사이까지 삽입한다.
이에 따라 케이지의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의 사이에는 삽입편(10)이 삽입되고, 승강장의 좌측도어(62) 및 우측도어(64)의 사이에는 삽입봉(20)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고, 지지부(30)의 선단의 지지턱에 의해 더 이상 삽입이 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손잡이(42)를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편(10)이 회전하면서 케이지의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의 사이가 일정 길이만큼 벌어지고 삽입편(10)이 90˚ 회전하게 되면 삽입편(10)의 폭 만큼 케이지의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지의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는 승강장의 좌측도어(62) 및 우측도어(64)와 연동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이에 따라 케이지에 설치된 도어클로저가 작동하여 케이지의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가 각각 양 옆으로 밀리게 되고, 도어록 장치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케이지의 좌측도어(52) 및 우측도어(54)와 연동된 승강장의 좌측도어(62) 및 우측도어(64) 도어의 걸림홈(65)부분을 손으로 잡고 좌측도어(62) 및 우측도어(64)를 각각 양 옆으로 밀게 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및 승강장의 좌측도어(52, 62) 및 우측도어(54, 64)가 완전히 개방되어, 케이지에 탑승한 사람이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에 케이지의 탑승을 위한 대기 장소인 승강장 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를 경유하여,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케이지의 도어의 좌측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삽입편을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클로저로 하여금 케이지 도어의 완전 개방을 유도함으로써, 비상 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를 강제 개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케이지의 입구에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된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와, 상기 케이지의 탑승을 위한 대기 장소 역할을 하는 승강장의 입구에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전면에 이웃하여 위치한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를 강제로 개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를 경유하여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날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편;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편이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봉; 및
    상기 삽입봉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고 회전하게 함으로써 삽입편의 회전에 의해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일정 거리의 틈을 발생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는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 사이에 삽입 된 삽입편의 회전으로 인해 일정거리의 틈이 발생하면 케이지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를 완전 개방시키는 도어 클로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은 케이지 및 승강장의 좌측도어 및 우측도어의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선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 및 손잡이부의 사이에는 삽입봉이 승강장 도어의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 하며, 승강장의 좌측 및 우측 도어의 표면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의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KR1020060082990A 2006-08-30 2006-08-30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KR10076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990A KR100769048B1 (ko) 2006-08-30 2006-08-30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990A KR100769048B1 (ko) 2006-08-30 2006-08-30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048B1 true KR100769048B1 (ko) 2007-10-22

Family

ID=3881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990A KR100769048B1 (ko) 2006-08-30 2006-08-30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0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123A (en) * 1985-06-10 1986-07-01 Cobe Jr Walter T Combination Firefighter's tool
JPH0633673U (ja) * 1992-10-09 1994-05-06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隙間押拡用治具
JPH07330261A (ja) * 1994-06-13 1995-12-1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乗場扉の開度制限治具
JPH1034559A (ja) * 1996-07-19 1998-02-10 Kanto Auto Works Ltd スリット拡げ工具
KR19980024198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절첩식 핸들이 부설된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123A (en) * 1985-06-10 1986-07-01 Cobe Jr Walter T Combination Firefighter's tool
JPH0633673U (ja) * 1992-10-09 1994-05-06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隙間押拡用治具
JPH07330261A (ja) * 1994-06-13 1995-12-1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乗場扉の開度制限治具
JPH1034559A (ja) * 1996-07-19 1998-02-10 Kanto Auto Works Ltd スリット拡げ工具
KR19980024198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절첩식 핸들이 부설된 드라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0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체인 재설정용 회로
JP5743023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KR1003055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JP6388418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116807A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ドア装置
CN110719882B (zh) 电梯的底坑梯子装置
JP656771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KR100769048B1 (ko) 엘리베이터의 강제열림장치
KR101772119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개방장치
JP2018177485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はしご装置
KR200418729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수동개폐장치
JP2010215381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27003B1 (ko)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CN111148710B (zh) 电梯用底坑梯子装置和电梯用层站门装置
JP201104647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83684B1 (ko) 엘리베이터 개방 장치
KR20110046898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JP7371715B2 (ja) エレベーターの強制戸開装置
CN211871104U (zh) 电梯的轿厢顶棚救出装置
CN112390118B (zh) 电梯的门装置
JP7215529B1 (ja) エレベータ
JP200624863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WO2023053320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JP6239038B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