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340A -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340A
KR20010067340A KR1020000062981A KR20000062981A KR20010067340A KR 20010067340 A KR20010067340 A KR 20010067340A KR 1020000062981 A KR1020000062981 A KR 1020000062981A KR 20000062981 A KR20000062981 A KR 20000062981A KR 20010067340 A KR20010067340 A KR 2001006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storage position
lifting
lock
lo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310B1 (ko
Inventor
모리모토카즈요시
나가오카코우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2001006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래더(ladder)(11)의 하강위치 및 격납(格納)위치에 있어서 래더(11)를 안정시키고, 오퍼레이터(operator)의 승강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래더(11)가 주위에 돌출함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한다.
래더(11)를 하강위치로 로크(lock)하는 하강위치 로크기구(31, 33)를 설치한다. 이 로크기구(31,33)에 의한 로크를 차 위에서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래더(l1)를 격납위치로 로크하는 격납위치 로크기구(3l, 32)를 설치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LADDER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대형 유압 셔블(shovel·굴착기)등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lad
der)장치에 관하는 것이다.
우선, 종래의 유압 셔블에 관해서, 본원의 실시형태인 도 1∼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유압 셔블은,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상부차체(2)와, 상부차체(2)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取付)된 붐(boom), 암(arm), 버킷(bucket) 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기(3)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차체(2)에운전실(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 셔블이 대형으로 된 경우, 오퍼레이터(operator)의 운전실(4)에의 승강을 위한 승강용 래더장치(A)가 사용된다. 이 승강용 래더장치(A)는, 상부차체(2)의 측부에서, 그 차체 프레임(frame)(5)에 취부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용 래더장치의 종래 예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개소60-4649호를 들 수 있다. 이 승강용 래더장치에 관해서, 본원의 실시형태이기도 하는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래더장치(A)는, 차체 프레임(5)에 취부된 가이드(guide)부(10
)와, 이 가이드부(10)에 슬라이드(slide) 자유자재로 지지된 래더(11)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10)는, 도 l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부재(l2, l2)를 갖고 있다. 각 가이드부재(12,12)에는, 래더 접동부(摺動部)(13)와, 그 배후의 위치에 밸런스(balance)웨이트(weight) 접동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래더 접동부(l3)에는 래더(l1)가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배치되고, 또한 밸런스 웨이트 접동부(l4)에는 밸런스 웨이트(l5)가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래더(11)와 밸런스 웨이트(l5)는, 로프(rope)(l6)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고, 이 로프(16)의 중간이,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정부(頂部)에 축지(軸支)된 시-브(sheave)(17)에 걸려져 있다.
그리고, 지상에 있는 오퍼레이터는, 도 4(b)와 같이, 래더(1l)를 하강위치로 끌어내리고, 이것을 사용하여 상부차체(2)의 캐트워크(catwalk)(6)에 오르고, 이어서 계단(7)으로부터 운전실(4)에 승차한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하차하는 때에도 마찬가지로 이용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승강용 래더장치에 있어서, 래더(l1)는 밸런스 웨이트(l5)에 의해서, 항상 격납(格納)위치에 위치하도록 부세(付勢 ·스프링 작용)되고 있지만, 격납위치나 하강위치에 있어서, 그 이동이 규제된 로크(lock)상태에 있지는 않는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승차시에, 래더(11)를 하강위치로 끌어내린 상태에 있어서도, 래더(11)의 위치는 안정되지 않고,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승강 동작이 스무스하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격납위치에 있어야 하는 래더(11)가, 운전시에 부주의로 돌출하여, 다른 부분과 부딪혀서 파손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승강용 래더장치는, 차폭을 넘어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운전시에, 다른 부분과 부딪혀서 파손을 초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래더를 끌어내린 하강위치에 래더를 안정시키고, 오퍼레이터의 승강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주위에의 돌출을 방지하여, 운전 동작시의 주위부분과의 부딪힘 및 그것으로 기인하는 파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승강용 래더장치를 구비한 건설기계의 1실시형태로서의 유압 셔블(sh
ovel)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유압 셔블의 배면도.
도 3은 상기 유압 셔블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ladder)장치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래더가 격납(格納)위치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 도 4(b)는 래더가 하강위치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격납위치 로크(lock)기구를 나타내는 요부(要部) 확대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강위치 로크기구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계지(係止) 로드(rod)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guide)부에서 래더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부에서 밸런스(balance)웨이트(weigh
t)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상부위치에 설치한 부세(付勢 ·스프링 작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부와 래더에 설치한 검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부호의 설명〉
5: 차체 프레임(frame) 6: 캐트워크(catwalk)
10: 가이드부 ll: 래더
31: 계지 로드 32: 격납시 계합(係合)부
33: 하강시 계합부 41: 스프링(부세수단)
44: 리밋(limit)스위치(검출수단) 51: 격납위치 로크기구
52: 하강위치 로크기구
여기서 청구항 1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는, 차체 프레임(5)에 설치된 가이드부(10)와, 이 가이드부(1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격납된 격납위치와 사용시의 하강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하는 래더(11)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래더(l1)를 하강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기구(52)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1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에는, 래더(11)는, 끌어내린 하강위치에서, 그 이동이 로크기구(52)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 때문에, 그 하강위치에 있어서 래더(11)가 안정되고, 그 결과, 오퍼레이터의 승강 동작이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는, 상기 로크기구(52)로 로크를 차 위에서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2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에는,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캐트워크에 올라간 후에, 캐트워크 위에서 로크기구(52)에 의한 로크를 해제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래더(11)를 격납위치로 격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밸런스 웨이트(15)를 이용하여, 래더(11)를 격납위치로 자연 복귀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크해제에 의해, 래더(l1)는 그대로 격납위치에 복귀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便利性)이 향상된다.
청구항 3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는, 상기 래더(11)를 격납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기구(51)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에는, 래더(1l)를 격납위치에서도 로크할 수 있는 것이므로, 운전 중에, 래더(11)가 부주의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주의로 돌출한 래더(11)가 주위부분과 부딪혀서, 파손하여 버리는 불량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는, 상기 래더(11)를 격납위치에 슬라이드시키는 밸런스 웨이트(15)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래더(11)가 격납위치에서 로크되어 있을 때에 상기 래더(l1)를 하강위치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4l)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4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에 있어서는, 격납위치에 있어서 로크를 해제하면, 래더(11)에는, 부세수단(41)에 의해서 하강위치방향으로 강제적인 이동이 생긴다. 이 때문에, 로크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가 있으며, 래더(11)의 그 후의 끌어내리기 동작을 용이하게, 또한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 및 6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는, 상기 래더(1l)의 격납위치에 있어서 로크해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44)을 설치하고, 로크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건설기계의 동작을 규제하는 동작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청구항 5 및 6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에 있어서는, 래더(l1)가 격납위치에 있어서 로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예컨대,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하부주행체(1)의 주행동작규제, 상부차체(2)의 선회동작 규제와 같은 건설기계의 동작규제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승강용 래더장치의 파손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는, 차체 프레임(5)에 설치된 가이드부(10)와, 이 가이드부(l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격납된격납위치와 사용시의 하강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하는 래더(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래더(l1)는 격납위치에 있을 때에 차폭을 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에 있어서는, 래더(11)는 격납위치에 있을 때에 차폭을 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하고 있는 래더(11)가 주위부분과 부딪혀서, 파손하여 버리는 불상사(不祥事)를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l은, 건설기계의 1실시형태로서의 유압 셔블의 정면도, 도 2는, 그 유압 셔블의 배면도, 도 3은 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은, 하부주행체(l)와, 하부주행체(l)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상부차체(2)와, 상부차체(2)에 화동가능하게 취부된 붐, 암, 버킷 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기(3)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차체(2)에 운전실(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차체(2)의 측부에서, 그 차체 프레임(5)에는, 승강용 래더장치(A)가 취부되어 있다. 이 승강용 래더장치(A)는, 지상에 있는 오퍼레이터가, 래더(l1)를 하강위치로 끌어내리고, 이것을 사용하여 상부차체(2)의 캐트워크(6)에 오르고, 이어서 계단(7)으로부터 운전실(4)에 승차할 때에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과 반대로 하차하는 때에도 마찬가지로 이용한다.
상기 승강용 래더장치(A)의 개략구조에 관해서,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래더장치(A)는, 차체 프레임(5)에 취부된 가이드부(10)와, 이 가이드부(l0)에슬라이드 자유자재로 지지된 래더(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4(a)는, 래더(l1)가 가이드부(l0)내에 격납된 격납위치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래더(11)가 끌어내려져 하강위치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가이드부(1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부재(12,12)를 갖고 있으며, 각 가이드부재(12,12)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5)으로부터 약 l5°의 각도로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재(12,l2)에는 래더접동부(13)와, 그 배부(背部) 위치에 밸런스 웨이트 접동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래더접동부(l3)에는 래더(11)가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배치되고, 또한 밸런스 웨이트 접동부(14)에는 밸런스 웨이트(l5)가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래더접동부(l3)는 래더(11)를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보지(保持)하기 위해서, 그 옆쪽(側方)으로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도 8 참조). 상기 래더(1l)와 밸런스 웨이트(15)는, 로프(l6)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이 로프(l6)의 중간이,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정부(頂部)에 축지된 시-브(l7)에 걸려져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15)의 중량은, 래더(11)보다도 크게되어 있고, 이 때문에 외부에서의 힘이 전혀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더(l1)는, 밸런스 웨이트(15)에 의해서, 위쪽으로 끌어올려지고, 도 4(a)에 나타나 있는 격납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래더(11)를 사용할 때에, 래더(l1)를 끌어내리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래더(11)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래더(11)는, 좌우 한 쌍의 측부재(l8, 18)(도 4에는 한 쪽만이 도시되어 있다)와, 이 측부재(l8,l8)사이에소정의 간격을 두어 가설(架設)된 발판(足掛)부재(l9)를 갖는 사다리형상의 것으로, 상기 각 측부재(18,18)가 상기 가이드부(10)의 각 래더 접동부(l3,l3)내에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측부재(l8, l8)에는, 도 4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 롤러(roller)(20)가 취부되어 있고, 각 가이드 롤러(20)가 상기 래더 접동부(l3)내를 전동(轉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8에 있어서, 2l은 가이드(guide) 레일(rail)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더(11)의 하단부에는, 체인(chain)(22)에 의해서 링(ring)형상의 끌어내리기용 손잡이(把手)(23)가 취부되어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l5)의 구조에 관해서,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밸런스 웨이트(15)에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24)가 취부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 롤러(24)가, 상기 밸런스 웨이트 접동부(14)의 상하 양면(兩面)을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가이드 롤러(24)는, 밸런스 웨이트 접동부(14)의 상하 양면에 설치된 레일(25)에 의해서 안내(案內)된다.
상기 승강용 래더장치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상기 래더(11)가 사용시의 하강위치에 위치할 때 및 비(非)사용시의 격납위치에 위치할 때에 래더(11)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크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이 로크기구는, 차체 프레임(5)의 가이드부(10)의 하부 위치에 출퇴(出退)자유자재로 지지된 계지(係止) 로드(rod)(
31)와, 래더(11)의 배면(背面)하부의 위치에 취부된 격납시 계합부(係合部)(32)와, 래더(l1)의 배면상부의 위치에 취부된 하강시 계합부(33)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계지 로드(31)와 격납시 계합부(32)에 의하여 격납위치 로크기구(5l)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계지 로드(31)와 하강시 계합부(33)에 의하여 하강위치 로크기구(
52)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계지 로드(3l)의 상세한 지지구조를 도 7에 나타내고 있다. 도 7과 같이, 계지 로드(3l)는, 차체 프레임(5)에 취부된 안내 슬리브(sleeve)(34)에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계지 로드(3l)는, 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35)에 의해서, 래더(11)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계지 로드(31)의 배부(背部)위치에서, 차체 프레임(5)에는, 회동암(36)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회동암(36)이 상기 계지 로드(3l)의 후단부에 핀(pin)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회동암(36)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계지 로드(3l
)를 스프링(35)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래더(11)로부터 이반(離反)하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회동암(36)에는, 체인(37)을 거쳐서 조작용 손잡이(38)가 취부되어 있고, 이 조작용 손잡이(38)를 끌어내리는 것으로 상기 회동암(36)을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39는 조작 노브(Knob)이지만, 이 조작 노브(39)에 접속한 와이어(wire)(40)를 회동암(36)에 접속하고, 이 조작 노브(39)를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 회동암(36)을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조작노브(39)는, 캐트워크(6)에 오른 오퍼레이터가 조작가능한 위치에 배치하여 있다.
도 7은, 래더(11)가 격납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때의 격납위치 로크기구(5l)를, 도 5에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더(11)가 격납위치로 상승하여 가는 과정에서, 래더(11)의 이면(裏面)에 설치된격납시 계합부(32)가, 계지 로드(3l)를 밀면서 상승하고, 계지 로드(3l)의 위치를 넘어서 상승하였을 때에, 계지 로드(31)가 돌출하고, 격납시 계합부(32)의 하단면이 계지 로드(3l)에, 그 위쪽으로부터 계합하여 래더(11)의 하강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격납시 계합부(32)는, 상기와 같이 계지 로드(3l)를 밀면서, 계지 로드(31)의 위치를 넘어서 상승하여 갈 때에, 계지 로드(3l)의 밀기를 원활히 행할 수 있도록, 계지 로드(3l)의 밀기면(面)을 테이퍼(taper)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4(b)는 래더(11)가 하강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때의 하강위치 로크기구(52)를, 도 6에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더(11)가 하강위치로 하강하여 가는 과정에서, 래더(11)의 이면에 설치한 하강시 계합부(33)가, 계지 로드(3l)를 밀면서 하강하고, 계지 로드(3l)의 위치를 넘어서 하강하였을 때에, 계지 로드(31)가 돌출하며, 하강시 계합부(33)의 상단면이 계지 로드(3l)에, 그 아래쪽에서 계합하여 래더(11)의 상승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 하강시 계합부(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계지 로드(31)를 밀면서, 계지 로드(31)의 위치를 넘어서 하강하여 갈 때에, 계지 로드(31)의 밀기를 원활히 행할 수 있도록, 계지 로드(31)의 밀기면을, 상기 격납시 계합부(32)의 경우보다도 더욱 완만한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 격납위치 로크기구(51)의 동작이 밸런스 웨이트(15)의 무게 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대하여, 상기 하강위치 로크기구(52)의 동작은 밸런스 웨이트(15)의 무게 힘에 대항한 오퍼레이터의 힘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강위치 로크기구(52)의 동작에 필요한 힘을 작게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용 래더장치(A)에서 다른 특징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것은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더(11)가, 도 4(a)에 나타나 있는 격납위치에 위치할 때에, 래더(11)를 아래쪽으로 부세하고 있는 부세수단, 예컨대 스프링(41)을 이용하고 있는 점이다. 즉, 가이드부(10)의 상부 위치에 브래킷(bracket)(42)을 취부함과 동시에, 이 브래킷(42)에 출몰(出沒)자유자재하게 압압(押壓)로드(43)를 지지하며, 이 압압로드(43)를 스프링(4l)으로 돌출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래더(11)가 격납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도 5와 같이, 격납시 계합부(32)가 계지 로드(3l)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압압로드(43)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래더(11)에 대하여는 스프링(4l)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것은 격납위치 로크기구(51)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었을 때에, 스프링(41)의 힘으로 래더(11)를 강제적으로 일정거리만큼 하강시켜, 상기 격납시 계합부(32)와 계지 로드(31)와의 계합상태를 확실히 해제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격납위치 로크기구(51)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리밋(limit) 스위치(switch)(44)를 설치하고 있는 점도 이 실시형태의 다른 특징이다. 즉, 가이드부(10)측에 리밋스위치(44)를 설치하는 한편, 이 리밋스위치(44)를 동작시키는 리밋부재(45)를 래더(11)에 취부하고, 격납위치 로크기구(5l)에 의한 로크상태에서는 리밋스위치(
44)를 OFF, 로크해제상태에서는 리밋스위치(44)를 ON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리밋스위치(44)의 ON 동작을,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출력하여, 리밋스위치
(44)가 ON 동작을 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하부주행체(l)의 주행동작, 상부차체(2)의 선회동작 등을 금지함과 동시에, 로크해제 상태인 것을, 운전실(4)내의 패널에 발광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격납위치 로크기구(51)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동작규제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건설기계의 동작을 규제하고, 이것에 의해 승강용 래더장치(A)의 파손 등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에, 상기 승강용 래더장치(A)의 작동상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오퍼레이터가 승차하는 때에는, 승강용 래더장치(A)는 도 4(a)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격납상태에 있다. 이 때, 오퍼레이터는 조작용 손잡이(38)를 끌어내린다. 그렇게하면, 회동암(36)이 회동하여, 계지 로드(31)는 스프링(35)의 힘에 대항하여 몰입(沒入)방향으로 이동하여, 격납위치 로크기구(5l)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다. 이 때, 상기 도 l0에 나타나 있는 스프링(41)의 부세력에 의해서, 래더(11)는 아래쪽으로 압압되고, 일정 거리만큼 강제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격납위치 로크기구(5l)의 로크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이번은, 끌어내리기용 손잡이(23)를 파지(把持)하고, 래더(11)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린다. 래더(11)를 일정거리만큼 끌어내리면, 도 6과 같이, 하강위치 로크기구(52)의 로크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래더(11)가 하강위치에서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래더(11)를 이용하여 캐트워크(6)에 오른다.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캐트워크(6)위에서, 조작노브(39)를 끌어올린다. 그러면, 회동암(36)이 회동하여, 계지 로드(3l)는 스프링(35)의 힘에 대항하여 몰입방향으로 이동하여, 하강위치 로크기구(52)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15)의 무게 힘에 의해서, 래더(11)가 자동적으로 상승하고, 일정거리만큼 상승한 후, 이번은, 격납위치 로크기구(51)의 로크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래더(11)가 격납위치에서 로크된다. 또 이 때, 도 l0에 나타내고 있는 스프링(41)은 상승하고 있는 래더(l1)의 관성력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로 된다. 그 후, 오퍼레이터는 계단(7)으로부터 운전실(4)에 올라타는 것이다.
오퍼레이터가 하차하는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캐트워크(6)위에서 조작 노브(39)를 끌어올리는 조작을 하여 격납위치 로크기구(5l)의 로크를 해제하고, 래더(11)의 끌어내리기 작업에 의해서 하강위치 로크기구(52)를 자동적으로 로크하며, 이어서 래더(11)를 이용하여 하차하고, 그 후 조작용 손잡이(38)를 끌어내려 하강위치 로크기구(52)의 로크를 해제하며, 밸런스 웨이트(l5)의 무게 힘에 의해서 래더(11)를 자동적으로 격납위치에 복귀시키고, 격납위치 로크기구(51)에서 재차 로크를 행하는 동작순서를 거치는 것이다.
상기 승강용 래더장치(A)에서는, 래더(11)를 하강위치로 로크하는 하강위치 로크기구(52)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래더(11)는 끌어내린 하강위치에서, 그 이동이 하강위치 로크기구(52)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 때문에, 그 하강위치에서 래더(11)가 안정되고, 이 결과, 오퍼레이터의 승강 동작이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캐트워크(6)에 오른 후에, 캐트워크(6)위에서 로크기구(
52)에 의한 로크를 해제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래더(11)를 격납위치로 격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즉, 밸런스 웨이트(l5)를 이용하여, 래더(11)를 격납위치로 자연복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로크해제에 의해,래더(11)는 그대로 격납위치에 자연스럽게 복귀하는 것이고, 그 결과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래더(11)를 격납위치에서 로크하는 격납위치 로크기구(51)를 설치하고, 래더(11)를 격납위치에서도 로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므로, 운전 중에, 래더(11)가 부주의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주의로 돌출한 래더(11)가 주위부분과 부딪혀서, 파손하여 버리는 불상사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더(11)가 격납위치에서 로크 되어 있을 때에, 래더(11)를 하강위치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4l)으로서 스프링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격납위치에서 로크를 해제하면, 래더(11)에는, 부세수단(41)에 의해서 하강위치방향으로 강제적인 이동이 생기고, 이 때문에 로크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래더(11)의 그 후 끌어내리기 동작을 용이하게, 또한 원활히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부세수단(4l)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용 손잡이(38)를 끌어내린 상태에서, 끌어내리기용 손잡이(23)를 파지하여 끌어내리기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부세수단(41)을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조작용 손잡이(38)에서 손을 뗀 상태에서, 끌어내리기용 손잡이(23)를 파지하여 끌어내리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승강용 래더장치(A)에서는, 상기 래더(1l)의 격납위치에서 로크해제 상태를 검출하는 리밋스위치(44)를 설치하고, 로크가 해제되어 있을 때 건설기계의 동작을 규제하는 동작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래더(11)가 격납위치에서 로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하부주행체(l)의 주행동작규제, 상부차체(2)의 선회동작규제 등의 동작규제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승강용 래더장치(A)의 파손 등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 상기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A)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특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특징은, 격납위치에 있을 때에 래더(11)가 차폭을 넘지 않도록 설치하여져 있는 점이다. 즉, 도 2 및 도 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래더(11)가 격납상태에 있는 경우, 래더(11) 및 승강용 래더장치(A)의 전체가, 옆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과 같이, 이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에서, 옆쪽으로 가장 돌출하고 있는 것은 계단(7)으로서, 차폭은 이 계단(7)에 의해서 결정되는 데 대하여, 래더(11) 및 승강용 래더장치(A)의 전체는, 이것을 넘어서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래더(11)가 격납위치에 있을 때에 차폭을 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하고 있는 래더(11)가 주위부분과 부딪혀서, 파손하여 버리는 불상사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래더(11)를 격납위치로 복귀시키는데 밸런스 웨이트(l5)를 이용하고 있지만, 래더(11)를 격납위치, 혹은 하강위치로 이동하는데, 전동 모터, 유압 모터, 유압 실린더 등 다른 구동원을 이용하더라도 좋고, 또한 구동원을 갖지 않은 것에 대하여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격납위치에서, 래더(11)의 전체가 가이드부(l0)내에 격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격납상태란 이러한 상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말하는 격납위치란, 래더(11)가 비사용의 상태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건설기계로서 유압 셔블을 예시하고 있지만, 자주식 크레인(crane) 등 다른 건설기계에 대하여도 상기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Claims (7)

  1. 차체 프레임(5)에 설치된 가이드부(10)와, 이 가이드부(l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격납된 격납위치와 사용시의 하강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하는 래더(11)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래더(11)를 하강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기구(52)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52)에 의한 로크를 차 위에서 해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11)를 격납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기구(51)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11)를 격납위치에 슬라이드시키는 밸런스 웨이트(l5)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래더(11)가 격납위치에서 로크되어 있을 때에 상기 래더(11)를 하강위치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4l)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11)의 격납위치에 있어서 로크해제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44)을 설치하며, 로크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건설기계의 동작을 규제하는 동작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11)의 격납위치에 있어서 로크해제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44)을 설치하며, 로크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건설기계의 동작을 규제하는 동작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7. 차체 프레임(5)에 설치된 가이드부(l0)와, 이 가이드부(l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격납된 격납위치와 사용시의 하강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하는 래더(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더(11)는 격납위치에 있을 때에 차폭을 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KR1020000062981A 1999-12-20 2000-10-25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KR100704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128499A JP4196368B2 (ja) 1999-12-20 1999-12-20 建設機械の昇降用ラダー装置
JP11-361284 1999-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340A true KR20010067340A (ko) 2001-07-12
KR100704310B1 KR100704310B1 (ko) 2007-04-09

Family

ID=1847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981A KR100704310B1 (ko) 1999-12-20 2000-10-25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10030081A1 (ko)
JP (1) JP4196368B2 (ko)
KR (1) KR100704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6118B1 (en) 2003-04-30 2005-03-15 William D. Battenberg Motorized access apparatus for elevated areas
US6886661B1 (en) 2003-09-26 2005-05-03 William D. Battenberg Motorized access ladder for elevated areas
JP4173421B2 (ja) * 2003-09-08 2008-10-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昇降装置
JP4597914B2 (ja) * 2006-06-06 2010-12-1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FR2904340B1 (fr) * 2006-07-28 2008-09-19 Reparation Soudure Travaux Pub Dispositif d'acces a la cabine d'un engin de travaux publics
JP4725476B2 (ja) * 2006-10-10 2011-07-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919497B2 (en) * 2008-11-07 2014-12-30 Caterpillar Inc. Powered operator access system
US8074768B2 (en) * 2008-11-07 2011-12-13 Caterpillar Inc. Powered operator access system
US9382758B2 (en) 2008-12-12 2016-07-05 Wichita Tank Manufacturing, Ltd. Stair system for oilfield tank
US8662250B2 (en) 2008-12-12 2014-03-04 Wichita Tank Manufacturing, Ltd. Stair system for oilfield tank
US8113314B2 (en) * 2008-12-12 2012-02-14 Wichita Tank Manufacturing, Ltd. Stair system for oilfield tank
US8893853B2 (en) 2008-12-12 2014-11-25 Wichita Tank Manufacturing, Ltd. Stair system for oilfield tank
AU2009339917A1 (en) * 2009-02-16 2011-09-01 Tefol Pty Ltd A ladder deployment system
AU2010202068B2 (en) * 2009-05-26 2016-07-28 Danteng Pty Ltd Access Ladder for Vehicles
US9245434B2 (en) * 2011-02-09 2016-01-26 Paul D. Baillargeon Warning and message delivery and logging system utilizable in the monitoring of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s and method of same
KR101251991B1 (ko) * 2011-07-04 2013-04-12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CN102434087A (zh) * 2011-08-31 2012-05-02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平衡重及具有该平衡重的伸缩梯
CN102979450B (zh) * 2012-12-06 2015-08-26 长沙中联消防机械有限公司 导轨装置、云梯机构和高空作业机械
US10138102B2 (en) * 2013-07-23 2018-11-27 Viki V. Walbridge Warning and message delivery and logging system utilizable in a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same
JP6095592B2 (ja) * 2014-02-17 2017-03-15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監視画像表示装置
DE102014003155A1 (de) * 2014-03-03 2015-09-03 Liebherr-Mining Equipment Colmar Sas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Muldenkipper oder Truck
CN104110212B (zh) * 2014-07-10 2016-01-20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上机梯及具有该上机梯的机械设备
US9677249B2 (en) * 2015-02-19 2017-06-13 Komatsu Ltd. Work vehicle with stowable user support member
JPWO2016174754A1 (ja) * 2015-04-28 2018-02-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及び作業機械の周辺監視方法
US10005395B2 (en) * 2015-11-19 2018-06-26 Caterpillar Inc. Control system for ladder and machine using the same
US10036201B1 (en) 2017-11-15 2018-07-31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Access ladder assembly for a movable machine
US11529907B2 (en) 2019-10-08 2022-12-20 Deere & Company Access system for a work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49U (ja) * 1983-06-21 1985-01-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両の昇降装置
JPS628138U (ko) * 1985-07-01 1987-01-19
JPH0433356Y2 (ko) * 1986-02-14 1992-08-10
JPH0717858U (ja) * 1993-09-02 1995-03-3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昇降用ラ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310B1 (ko) 2007-04-09
JP2001173019A (ja) 2001-06-26
JP4196368B2 (ja) 2008-12-17
US20010030081A1 (en) 200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310B1 (ko)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US4427093A (en) Locking device
US6382358B1 (en) Safety lock device for automobile lifts
ES2393607T3 (es) Ascensor con un foso de poca profundidad y/o con poco espacio libre superior
KR100945190B1 (ko) 장비의 앞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툴박스를 갖는 중장비
KR1003055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US20080149429A1 (en) Drive system for elevator car roof
US20070056809A1 (en) Elevator Car with Maintenance Platform and Method for Maintenance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US20090026426A1 (en) Truck crane
EP0129678B1 (en) Automatic device for lifts or goods-lifts without safety lift-shafts
JPH09227045A (ja) エレベーターピット点検用の梯子装置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JP4197515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US4911313A (en) Linkage lifting apparatus
JPH072055A (ja) 産業車両のセーフティバー
JP2001234558A (ja) 建設機械の昇降用ラダー装置
JP3246579U (ja) 梯子付移動式リフト
JPH0710064U (ja) 建設機械の昇降装置
JP2852883B2 (ja) 杭打機の高所作業用昇降装置
JPH0717858U (ja) 建設機械の昇降用ラダ−装置
JP2001182099A (ja) ハイキャブ型作業機
KR200146077Y1 (ko)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CN212740594U (zh) 超薄型剪式举升机
CN219174160U (zh) 一种电梯安装用平台
JPH05193416A (ja) 建設機械の昇降式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