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077Y1 -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 Google Patents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077Y1
KR200146077Y1 KR2019970011103U KR19970011103U KR200146077Y1 KR 200146077 Y1 KR200146077 Y1 KR 200146077Y1 KR 2019970011103 U KR2019970011103 U KR 2019970011103U KR 19970011103 U KR19970011103 U KR 19970011103U KR 200146077 Y1 KR200146077 Y1 KR 200146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ial
platform
boom
aerial platform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644U (ko
Inventor
김대봉
Original Assignee
김대봉
주식회사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봉, 주식회사호룡 filed Critical 김대봉
Priority to KR2019970011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07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고소 사다리차등은 사다리를 뽑아서 늘일 수 있는 높이가 대개 트럭 크레인의 한계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고소 사다리차의 제한높이보다 높은 작업위치에서는 고소 사다리차의 이용이 불가능했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2도 내지 제5도와 같이, 작업자가 트럭 크레인의 선단붐대(5)에 설치된 고소 작업대(18)에 탑승하여 상기 고소 작업대(18)에 장치된 행거바(16)의 연결구(22)에 트럭 크레인의 걸고리(20)를 걸어서 케이블을 당기도록 원격조절하여 선단붐대에 연결구가 단단히 결합되게 수동조작 후에, 상기 탑승자가 원격조정으로 다단계 붐대(3)의 인출과 붐대탑(4)의 선회를 조절하여 고소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소 작업대는 그 자체의 유압작동부 구동으로 이동시나 작업도중 수평상태를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고소 사다리차가 도달하기 어려운 높이에서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본 고안은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존의 트럭 크레인에 설치가능하게 한 고소 작업대에 작업자를 탑승시키고 높은 장소에 위치하는 작업장소에까지 항시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올려서 정비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짓는 건설현장이나 부두 항만에는 하중이 많이 나가는 중량물을 상하 또는 수평 방향으로 운반하는 장치인 크레인(또는 기중기라고도함)이 많이 사용됨을 볼 수 있다.
예시도면 제1도에는 트럭에 크레인이 설치된 트럭 크레인(1)을 도시하였는바, 상기 트럭 크레인(1)은 유압실린더(2)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장치를 조정하여 다단계 붐(boom)대(3)를 필요한 길이만큼 뽑아서 붐대탑(4)과 선단붐대(5) 첨단에 권취된 케이블(미도시)을 늘여뜨려 상기 케이블 끝에 달린 걸고리(미도시)에 중량물을 걸고, 케이블 길이 조절장치를 조작하여 적정한 높이로 중량물을 들어올린후, 붐대탑을 선회시키거나 붐대의 각도와 높이를 조절하여 중량물의 하적위치에 내려놓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트럭 크레인(1)의 기능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소 작업위치에 중량물을 운반하는 기능만 하게 되어 있어서, 전신주나 또는 고소위치에 설치된 구조물의 보수나 정비 또는 교체를 위해서는 사람을 태우도록 작업대가 설치된 별도의 고소사다리차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를 안전하게 올려서 작업을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고소 사다리차등은 사다리를 뽑아서 늘일 수 있는 높이가 대개 트럭 크레인의 한계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고소 사다리차의 제한높이보다 높은 작업위치에서는 고소 사다리차의 이용이 불가능했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트럭 크레인에 고소 작업대를 설치가능하게 하여, 고소 작업대에 올라탄 작업자가 리모트콘트롤박스의 레버와 스위치로 붐대의 인출과 붐대탑의 회전을 조절하여 고소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한 고소 작업대는 이동중이나 작업중에 수평감지센서와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작동부의 구동으로 항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의 작업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의 측면에 가이드판으로 다단계 용접되어 작업자 보호를 위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면에 죄우로 일정범위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바로 이루어져 작업자를 태울 수 있게 된 바스켓형상의 고소 작업대를 형성하되. 상기한 고소 작업대의 행거바 중간에는 크레인의 선단붐대에 케이블로 연결되어진 걸고리를 걸어서 고소 작업대를 들어 올릴수 있게 된 연결구를 장착하고, 상기 고소작업대내에는 상기 행거바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유압실린더와, 지면과 작업발판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를 내장한 제어유닛와, 상기 제어유닛의 구동제어신호로 저장탱크내의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실린더로 압송하도록 된 유압펌프와, 유압펌프구동 및 제어유닛의 전원공급용 자가발전기를 포함하는 유압작동부가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소 작업대의 작업발판 일측에 받침목을 받혀서 고소 작업대가 지면에서 기울어진 상태가 되게 만들면, 자가발전기가 구동됨과 더불어 제어유닛이 수평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유압펌프를 작동하여 유압실린더내에 유압을 공급 또는 제거하여 행거바를 적정위치에 오도록 작업전의 준비상태를 갖추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에 탑승하여 행거바의 연결구에 트럭 크레인의 걸고리를 상기 연결구에 걸어서 케이블을 당기도록 리모트콘트롤박스를 조절하여 선단붐대에 연결구가 단단히 결합되게 수동조작한 후에, 탑승자가 리모트콘트롤박스로 다단계 붐대의 인출과 붐대탑의 선회를 조절하여 고소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소 작업대는 유압작동부의 자체 구동으로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트럭 크레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대 사시도 및 고소 작업대의 유압작동부 장착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대와 붐대의 걸고리와의 결합을 보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대의 장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붐대 4 : 붐대탑
5 : 선단붐대 10 : 작업발판
12 : 가이드판 14 : 가이드부
16 : 행거바 18 : 고소작업대
20 : 걸고리 22 : 연결구
24 : 유압실린더 28 : 제어유닛
30 : 제장탱크 32 : 유압펌프
34 : 자가발전기 36 : 유압작동부
38 : 연결고리 39 : 받침목
40 : 걸림턱 42 : 걸림편
44 : 고정핀 46 : 결합공
48 : 리미트스위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바닥면의 작업발판(10)과, 상기 작업발판(10)의 측면에 가이드판(12)으로 다단계 용접되어 작업자 보호를 위한 가이드부(14)와, 상기 가이드부(14)의 양측면에 좌우로 일정범위 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바(16)로 이루어져 작업자를 태울 수 있게 된 바스켓형상의 고소 작업대(18)가 형성되되, 상기 한 고소작업대(18)의 행거바(16) 중간에는 트럭 크레인(1)의 선단붐대(5)에 케이블로 연결되어진 걸고리(20)를 걸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18)를 들어올릴수 있도록 된 연결구(22)가 장착되고, 상기 고소 작업대(18)내에는 상기 행거바(16)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도록 행거바(16)와 일측 가이드부(14)를 연결한 유압실린더(24)와, 지면과 작업발판(1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를 내장한 제어유닛(28)과, 상기 제어유닛(28)의 구동제어신호로 저장탱크(30)내의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실린더(24)로 압송하도록 된 유압펌프(32)와, 유압펌프(32) 구동 및 제어유닛(28)의 전원공급용 자가발전기(34)를 포함하는 유압작동부(36)가 설치된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이다.
예시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대 사시도 및 고소 작업대의 유압 작동부 장착상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대와 붐대의 걸고리와의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본 고안은 트럭 크레인의 선단붐대(5)에 설치가능하게 한 고소 작업대(18)로써, 그 안에 탑승한 작업자의 원격조정으로 높은 장소의 작업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동시와 작업시에 고소 작업대(18)와 지면이 수평유지되게 자체조정되는 것으로, 고소 작업대(18)내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시행할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트럭 크레인의 선단붐대(3)에 케이블로 연결된 걸고리(20)로 걸어 들어올릴 수 있게 된 고소 작업대(18)를 제작한 것으로, 상기 고소 작업대(18)는 작업자를 탑승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을 이루는 작업발판(10)과, 상기 작업발판(10)의 측면에 가이드판(12)으로 다단계 용접되어 작업자 보호를 위한 가이드부(14)와, 상기 가이드부(14)의 양 측면에 좌우로 일정범위(약 0∼130°)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바(16)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더불어 상기한 고소 작업대(18)의 행거바(16) 중간에는 트럭 크레인(1)의 선단붐대(5)에 케이블로 연결되어진 걸고리(20)를 걸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18)를 들어올릴수 있도록 된 연결구(22)가 장착된 것이며, 또한 상기한 고소 작업대(18)내에는 고소 작업대(18)와 지면이 수평유지되게 자체 조종되는 유압작동부(36)가 설치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유압작동부(36)는 상기 행거바(16)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도록 행거바(16)와 일측 가이드부(14)를 연결하는 유압실린더(24)와, 지면과 작업발판(1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를 내장한 제어유닛(28)과, 상기 제어유닛(28)의 구동제어신호로 저장탱크(30)내의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실린더(24)로 압송하도록 된 유압펌프(32)와, 유압펌프(32) 구동 및 제어유닛(28)의 전원공급용 자가발전기(3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대(18)의 장착설명은 예시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와 같이, 고소 작업대(18)내에 장치된 유압작동부(36)의 작동은 상기한 고소 작업대(18)의 작업발판(10)아래에 받침목(39)을 대주어 수평이 깨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자가 발전기(34)가 제어유닛(28)의 통전제어로 구동함으로부터 작동개시를 하게 된다.
이런한 상태 즉, 지면에 놓여진 고소 작업대(18)의 수평유지가 깨어진 상태가 되면 제어유닛(28)은 행거바(16)를 적정위치에 놓이도록 회동하게 되고, 이어서 작업자는 원격조정 또는 붐대탑의 붐대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트럭 크레인의 선단붐대(5)를 고소 작업대(18) 가까이 내려오게 한 다음, 선단붐대(5)에 위치하는 걸고리(20)을 행거바(16)의 중간에 장착된 연결구(22)의 연결고리(38)에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원격조정으로 연결고리(38)를 당겨 선단붐대(5)내에 고소 작업대(18)의 연결구(22)가 단단히 결합되게 케이블을 당겨준다. 이때 연결구(22)에 형성된 걸림턱(40)에 선단붐대(5)가 걸리게 되면 선단붐대(5)내의 리미트스위치(48)가 켜짐모드로 되어 케이블 조절장치내로 신호를 인가하므로 케이블 당김이 멈추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걸림편(42)을 선단붐대(5)와 연결구(22)의 결합공(46)내에 집어넣고, 고정핀(44)으로 걸림편(42)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하여 고소 작업대(18)를 트럭 크레인의 선단붐대(5)에 결합함으로 작업을 위한 사전준비가 끝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시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18)내에 탑승한 다음 리모트콘트롤박스(미도시)로 다단계 붐대(3)의 인출과 붐대탑(4)의 선회 및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한 고소 작업대(18)를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주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시 고소 작업대(18)내에 설치된 유압작동부(36)는 고소 작업대(18)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고소 작업대(18)의 이동시 상기한 유압작동부(36)의 구동을 상술하면, 붐대(3)의 인출과 회전으로 고소 작업대(18)가 높은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지면과의 수평이 깨지게 된다. 이때 수평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유닛(28)이 다수의 릴레이스위치를 거쳐서 동작되는 유압펌프(32)를 구동시켜 행거바(16) 동작을 위한 유압실린더(24)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제거해주어 고소 작업대(18)의 수평유지를 제어케 한다.
그리고, 유압작동부(36)의 동작시에는 붐대(3)의 인출과 선회동작이 멈추게 되는 바, 이것은 수평유지작동과 붐대(3)의 이동으로 고소 작업대(18)에 탑승하고 있던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고려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고소 작업대(18)의 작업위치까지 들어올려 붐대(3)를 고정시켜주면 탑승한 작업자가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또한 작업도중에 강한 바람이 불어 고소 작업대(18)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이때도 유압작동부(36)가 구동되어 수평을 유지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트럭 크레인의 선단붐대(5)에 설치된 고소 작업대(18)에 탑승하여 상기 고소 작업대(18)에 장치된 행거바(16)의 연결구(22)에 트럭 크레인의 걸고리(20)를 걸어서 케이블을 당기도록 원격조절하여 선단붐대에 연결구가 단단히 결합되게 수동조작 후에, 상기 탑승자가 원격조정으로 다단계 붐대(3)의 인출과 붐대탑(4)의 선회를 조절하여 고소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소 작업대는 그 자체의 유압작동부 구동으로 이동시나 작업도중 수평사태를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고소 사다리차가 도달하기 어려운 높이에서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바닥면의 작업발판(10)과, 상기 작업발판(10)의 측면에 가이드판(12)으로 다단계 용접되어 작업자 보호를 위한 가이드부(14)와, 상기 가이드부(14)의 양 측면에 좌우로 일정범위 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행거바(16)로 이루어져 작업자를 태울 수 있게 된 바스켓형상의 고소 작업대(18)가 형성되되, 상기한 고소 작업대(18)의 행거바(16) 중간에는 트럭 크레인(1)의 선단붐대(5)에 케이블로 연결되어진 걸고리(20)를 걸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18)를 들어올릴수 있도록 된 연결구(22)가 장착되고, 상기 고소 작업대(18) 내에는 상기 행거바(16)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도록 행거바(16)와 일측 가이드부(14)를 연결한 유압실린더(24)와, 지면과 작업 발판(1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를 내장한 제어유닛(28)과, 상기 제어유닛(28)의 구동제어신호로 저장탱크(30)내의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실린더(24)로 압송하도록 된 유압펌프(32)와, 유압펌프(32) 구동 및 제어유닛(28)의 전원공급용 자가발전기(34)를 포함하는 유압작동부(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22)는 선단붐대(5)의 걸고리(20)가 체결되는 연결고리(38)가 형성되고, 선단붐대(5)와 상기 연결구(22)와의 결합이 단단하게 되도록 걸림편(42)이 삽입되어 고정핀(44)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 결합공(46)이 형성되며, 걸고리(20)의 당김시 연결구(22)의 삽입거리에 제한을 둘 수 있도록 한 걸림턱(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선단붐대(5)는 연결구(22)의 결합을 위해 걸림편(42)이 삽입되도록 한 결합공(46)이 형성되고, 연결구(40)의 걸림턱(40)이 선단붐대(5)에 접하게 되면 케이블 조절장치의 작동을 멈추도록 동작하는 릴레이스위치(48)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KR2019970011103U 1997-05-19 1997-05-19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KR200146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103U KR200146077Y1 (ko) 1997-05-19 1997-05-19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103U KR200146077Y1 (ko) 1997-05-19 1997-05-19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644U KR19980066644U (ko) 1998-12-05
KR200146077Y1 true KR200146077Y1 (ko) 1999-06-15

Family

ID=1950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103U KR200146077Y1 (ko) 1997-05-19 1997-05-19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0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624B1 (ko) * 2007-04-19 2008-09-29 오철규 크레인 후크장착용 무선 과부하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624B1 (ko) * 2007-04-19 2008-09-29 오철규 크레인 후크장착용 무선 과부하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644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61847B2 (en) Installation method for a lift
AU2014289444B2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 platform
EP2058265B1 (en) Traveling crane and assembling/disassembling method thereof
US8302735B2 (en) Self-erecting suspension platform system
US20070000724A1 (en) Self-erecting suspension platform system
IL266808A (en) Lift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such an elevator system
KR20010067340A (ko)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CN111021749A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及其施工方法
KR200146077Y1 (ko) 트럭 크레인용 고소 작업대
US20230322522A1 (en) Construct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and method
CN113264458A (zh) 塔式起重机系统及其附着杆的拆除方法
CN211691536U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
CN211971577U (zh) 塔式起重机系统
US20070094962A1 (en) Floor table of a concrete mould and device for displacing a floor table
KR1019767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JP2993785B2 (ja) 自走型クレーンのフック係止構造
CN214570148U (zh) 类矩形大口径顶管隧道管节吊装翻运装置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KR200207412Y1 (ko) 공사용 곤도라 지지대
JP2551442Y2 (ja) 鋼管吊込装置
KR200213318Y1 (ko)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JP2004231394A (ja) 建設機械の吊り部材の格納装置
JP2852883B2 (ja) 杭打機の高所作業用昇降装置
JP2007291727A (ja) 掘削土の揚土装置
JPH09278324A (ja) 仮設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