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46B1 -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46B1
KR102391446B1 KR1020210188465A KR20210188465A KR102391446B1 KR 102391446 B1 KR102391446 B1 KR 102391446B1 KR 1020210188465 A KR1020210188465 A KR 1020210188465A KR 20210188465 A KR20210188465 A KR 20210188465A KR 102391446 B1 KR102391446 B1 KR 10239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level
control
gat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밸브
Priority to KR102021018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관로 상에 설치된 필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 상에서 유동되는 유체 상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게이트와, 상기 필터 게이트의 전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후단 제어밸브와, 상기 수위 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위 감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전후단 제어 밸브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필터 게이트의 필터의 관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n filter based on water level}
본 발명은 관로 상에 설치된 필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흐르는 물이 정수장에서 정수처리를 거쳐 식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정수한 후 배관을 통해 가정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나, 정수처리가 완료된 상수도에는 급 배수관 공사 시 발생되는 금속이나 토사 등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도 있고, 배관의 부식 등에 의해 각종 중금속 등의 이물질이 섞일 수 있으며, 해충 등도 혼합되어 유동될 수 있다.
즉, 물이 흐르는 배관 내에 존재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배관 내의 물 흐름 방향 및 유속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배관에서 떨어져 나와 가정이나 저수조에 도달하여 적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수장, 정수장이나 수조에서의 각종 날벌레의 유입으로 염소소독에도 사멸되지 않는 살아 움직이는 유충이나 사멸된 사체가 가정집에 공급된 실제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관 상에 필터체를 설치하여 이물질을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필터체가 손상되는 경우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물이 가정 내로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6919호(2020.08.14.등록.)
본 발명은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의 수위를 기반으로 필터 관리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필터 관리가 필요할 경우 필터의 전후단에 설치된 제어밸브를 제어한 후 필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의 배출구와 인접한 관로 상에 설치된 배출측 제어밸브를 폐쇄시킨 후 전후단 제어밸브를 제어함으로써, 필터 관리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은 수조와 연결된 관로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조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 상에서 유동되는 유체 상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게이트와, 상기 필터 게이트의 전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후단 제어밸브와, 상기 수위 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위 감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전후단 제어밸브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필터 게이트의 필터의 관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수조의 배출구와 인접한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게이트의 전단에 설치된 전단 제어밸브의 전단에 설치되는 배출측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필터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출측 제어밸브를 폐쇄시키고, 상기 전단 제어밸브를 폐쇄시키며, 상기 후단 제어밸브를 폐쇄시킨 후 상기 필터 관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 게이트에는 상기 필터로 세척용 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필터와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승하강되는 분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필터 게이트에서 필터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분사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용 모터와, 상기 세척용 유체를 상기 분사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필터에 대한 세척이 필요한 경우 상기 필터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의 승하강을 통해 상기 세척용 유체가 상기 필터에 분사되도록 상기 모터, 승하강용 모터 및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상기 수조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수위 감지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의 수위를 기반으로 필터 관리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필터 관리가 필요할 경우 필터의 전후단에 설치된 제어밸브를 제어한 후 필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필터 게이트 내 필터의 이상 발생으로 인하여 이물질 등이 가정 내 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의 배출구와 인접한 관로 상에 설치된 배출측 제어밸브를 폐쇄시킨 후 전후단 제어밸브를 제어함으로써, 필터 관리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수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필터 게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관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 및 그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관리 시스템이 필터를 세척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필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수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필터 게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관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 및 그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관리 시스템은 수위 기반으로 필터 세척 시기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필터 세척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취수한 물을 저장하는 수조, 수조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10), 수조에 저장된 유체인 수돗물을 배출되는 배관 상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밸브(20), 제 1 제어밸브(20)와 이격된 위치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 2 및 제 3 제어밸브(21, 22), 제 2 및 제 3 제어밸브(21, 22) 사이에 설치된 필터 게이트(1) 및 수위 감지 센서(10)로부터 수위 정보를 제공받아 제 1 내지 제 3 제어밸브(20, 21, 22)와 필터 게이트(1)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는 여과지, 활성탄지 등을 통해 정수된 물이 보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필터 게이트(1)는 필터 게이트(1)의 일측에 분사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 게이트(1)는 본 출원인의 선특허 제10-2226300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거름망 조립체와 이를 지지하는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게이트(1)는 거름망 또는 필터(12, 이하 '필터'라 통칭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필터(12)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세척함으로써, 필터(12)의 본래 기능인 여과 기능을 유지시킴과 함께 유체 즉, 관로(2)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 또는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여과 기능을 위하여 필터 게이트(1)는 필터 게이트(1)의 일측에 형성된 분사부(10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분사부(100)는 필터 게이트(1)의 일측에 구성되어, 필터 게이트(1)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12)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필터(12)를 세척시킬 수 있는 세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1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필터(12)측으로 세척용 유체, 예컨대 압축공기, 세척 물질 등을 분출시켜 필터(12)가 세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분사 노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100)는 승하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승강되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고정된 필터(12)에 세척용 유체를 공급하여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분사 노즐(110)은 압축공기 또는 세척 물질이 강한 압력상태로 분출되도록 상광하협 형태의 분출공(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분사부(100)는 관로(2)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흐름과 반대되는 방향에 구성됨으로써, 필터(12)에 대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관리 시스템은 세척용 유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0)는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따라 분사부(100)에 세척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급부(200)는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따라 분사부(100)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컴프레서, 고압 세척기, 가압 펌프, 소정의 세척용 물질, 예컨대 세척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게이트(1)는 분사부(100)를 통해 필터(12)의 세척 작용이 수행될 때 세척 작용에 의해 필터(12)에서 떨어진 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수거바스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거바스켓(300)은 필터 게이트(1)의 일측에 구성되어, 세척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함에 따라 필터 게이트(1)의 주변이 오염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거바스켓(300)은 분사부(100)와 대향되는 방향에 구성될 수 있으며, 필터 게이트(1)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일정 시간 수거바스켓(300)에 수거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거바스켓(300)의 탈,부착은 체결수단 예컨대, 볼트를 이용한 방식과 걸림핀을 이용한 조립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터 게이트(1)에 수거바스켓(300)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할 수 있다.
또는, 수거바스켓(300)의 하단에 드레인판을 구성하여, 드레인판의 탈,부착으로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수거바스켓(300)의 하단 일측에 배수밸브(미도시됨)를 구성하여 이물질의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게이트(1) 내 필터(12)는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12)는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250)에 의거하여 승하강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를 위하여, 제어 장치(30)는 수위 감지 센서(10)로부터 수신되는 수위 감지 정보에 의거하여 모터(250)의 구동을 통해 필터(12)의 승강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며, 승강이 필요한 경우 모터(250)에 승강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필터(12)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는 필터(12)의 승강이 완료, 즉 필터(12)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됨에 따라 공급부(200)를 동작시켜 세척용 유체가 분사부(100)를 통해 승강된 필터(12)에 분사되도록 공급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급부(200)의 동작에 따라 분사부(100)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용 유체에 의해 승강된 필터(12)가 세척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는 승강되어 고정된 필터(12)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분사부(100)를 승하강 시키면서 세척용 유제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사부(100)는 제어 장치(30)에 의해 구동되는 승하강용 모터(105)와 연결되어 동작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0)는 수위 기반으로 모터(250)의 동작을 통해 필터(12)를 승강시킨 후 승강이 완료됨에 따라 승하강용 모터(105)를 동작시켜 분사부(1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서(10)는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조의 내측벽의 소정 위치, 예컨대 수조에서 수돗물이 배출되는 부분 배출구(3)보다 상측 부분의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수위 감지 정보를 제어 장치(30)에 제공할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서(10)와 제어 장치(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감지 센서(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제어 장치(30)와 연결되어 수위 감지 정보를 제어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위 감지 센서(10)와 제어 장치(30)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원활하게 통신하기 위해 수조의 내측벽, 즉 수위 감지 센서(10)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설치용 홀(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감지 센서(10)는 설치용 홀(4)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설치용 홀(4)과 부착되는 부착면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의 내측면에 하나의 수위 감지 센서(10)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적어도 둘 이상의 수위 감지 센서(10)가 수조의 내측벽에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된 복수의 설치용 홀(4)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위 감지 센서(10)는 소정의 유체가 접촉됨에 따라 수위 감지 정보, 즉 설치 위치 정보를 제어 장치(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 감지 센서(10)가 제어 장치(30)와 다이렉트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수위 감지 센서(10)와 제어 장치(30)가 게이트웨이(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저 장치(30)와 게이트웨이(40)간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게이트웨어(40)와 수위 감지 센서(10)간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블루투스 Le(Low energy). 적외선 통신, RF 통신, 지그비 통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는 수위 감지 센서(10)로부터 송출되는 수위 감지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31), 신호 수신부(31)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수위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수위 변화 정보 생성부(32), 수위 변화 정보에 의거하여 필터(12)의 세척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세척 필요 여부 판단부(33), 필터(12)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공급부(200), 승하강용 모터(105), 모터(250) 등의 구동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부(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의 구동부(34)는 필터(12)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제 1 내지 제 3 제어밸브(20, 21, 22)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구동부(34)는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출구(3)와 인접한 관로(2) 상에 설치된 제 1 제어밸브(20)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제 2 제어밸브(21)의 전단에 설치된 유량계(50)로부터 제공받은 유량 정보를 토대로 제 2 제어밸브(21)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 제 2 제어밸브(21)가 폐쇄됨에 따라 제 3 제어밸브(2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의 구동부(34)는 유량계(5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제어밸브(22)가 폐쇄가 완료됨에 따라 제어 장치(30)의 구동부(34)는 모터(250)를 구동시켜 필터 게이트(1)의 필터(1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이 완료됨에 따라 구동부(34)는 승하강용 모터(105) 및 공급부(200)의 구동을 통해 분사부(100)를 승강시킴과 더불어 세척용 유체를 분사부(100)에 공급하여 승강된 필터(12)를 세척시키며, 기 설정된 높이까지 승강됨에 따라 분사부(100)를 하강시키면서 승강된 필터(12)에 대한 세척시킬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구동부(34)는 공급부(200)를 제어하여 세척용 유체의 공급을 중지시킴과 더불어 승하강 모터(105)의 구동을 통해 분사부(10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모터(250)를 구동시켜 필터 게이트(1)의 필터(12)를 하강시켜 필터(1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12)에 대한 세척 동작이 완료됨에 따라 구동부(34)는 제 1 내지 제 3 제어밸브(20, 21, 22)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34)는 제 2 및 제 3 제어밸브(21, 22)를 제어하여 개방시킨 후 제 1 제어밸브(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필터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관리 시스템이 필터를 세척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감지 센서(10)로부터 수위 감지 정보를 수신한다(S300).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는 수위 감지 센서(10)와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수위 감지 정보를 수신하거나 게이트웨이(40)를 통해 수위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 장치(30)는 수위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 세척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302).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는 수위 감지 정보에 의거하여 수조의 수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체크하여 필터 세척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S302의 판단 결과, 필터 세척이 필요한 경우 제어 장치(30)는 제 1 내지 제 3 제어밸브(20, 21, 22)에 대한 폐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폐쇄 제어(S304)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는 구동부(34)를 통해 제 1 제어밸브(20)를 폐쇄시킨 후 제 2 및 제 3 제어밸브(21, 22)를 순차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는 유량계(50)의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제어밸브(21)의 폐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 장치(30)는 모터(250)의 제어를 통해 필터 게이트(1)의 필터(12)를 승강시킨다(S306).
필터(12)의 승강이 완료, 즉 필터(12)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됨에 따라 제어 장치(30)는 승하강용 모터(105)의 구동을 통해 분사부(100)를 승하강시킴과 더불어 공급부(200)의 제어를 통해 세척용 유체를 승하강되는 분사부(100)를 통해 분사시켜 승강된 필터(12)에 대한 세척 작업을 수행한다(S308).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제어 장치(30)는 공급부(200)의 제어를 통해 세척용 유체의 공급을 중지시킴과 더불어 승하강용 모터(105)의 제어를 통해 분사부(1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S310).
이후, 제어 장치(30)는 모터(250)의 제어를 통해 필터 게이트(1)의 필터(12)를 하강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S312).
필터(12)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어 장치(30)는 제 1 내지 3 제어밸브(20, 21, 22)에 대한 개방 제어(S314)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는 제 3 제어밸브(22)를 개방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제 2 제어밸브(21)를 개방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제 3 제어밸브(22)를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2 및 제 3 제어밸브(21, 22)는 디스크를 통해 개폐되는 버터플라이 밸브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30)는 제 2 및 제 3 제어밸브(21, 22)와의 연결, 예컨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디스크의 개폐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 2 및 제 3 제어밸브(21, 2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는 제 2 제어밸브(21)가 디스크의 회전에 의거하여 어느 정도 폐쇄됨에 따라 제 3 제어밸브(22)의 폐쇄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 3 제어밸브(22)가 디스크의 회전에 의거하여 어느 정도 개방됨에 따라 제 2 제어밸브(21)의 개방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위 감지 센서
20, 21, 22 : 제 1, 2, 3 제어밸브
30 : 제어 장치
40 : 게이트웨이
50 : 유량계

Claims (7)

  1. 수조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관로 상에 설치된 필터를 관리하기 위한 필터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 상에서 유동되는 유체 상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게이트와,
    상기 필터 게이트의 전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후단 제어밸브와,
    상기 수조의 배출구와 인접한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게이트의 전단에 설치된 전단 제어밸브의 전단에 설치되는 배출측 제어밸브와,
    상기 수위 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위 감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전후단 제어밸브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필터 게이트의 필터의 관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필터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출측 제어밸브를 폐쇄시키고, 상기 전단 제어밸브를 폐쇄시키며, 상기 후단 제어밸브를 폐쇄시킨 후 상기 필터 관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게이트에는,
    상기 필터로 세척용 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필터와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승하강되는 분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필터 게이트에서 필터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분사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용 모터와,
    상기 세척용 유체를 상기 분사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필터에 대한 세척이 필요한 경우 상기 필터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의 승하강을 통해 상기 세척용 유체가 상기 필터에 분사되도록 상기 모터, 승하강용 모터 및 공급부를 제어하는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상기 수조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수위 감지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88465A 2021-12-27 2021-12-27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KR10239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65A KR102391446B1 (ko) 2021-12-27 2021-12-27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65A KR102391446B1 (ko) 2021-12-27 2021-12-27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446B1 true KR102391446B1 (ko) 2022-04-28

Family

ID=8144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465A KR102391446B1 (ko) 2021-12-27 2021-12-27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735B1 (ko) * 2022-11-29 2023-05-02 주식회사 현대밸브 스마트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
KR102583904B1 (ko) * 2022-12-13 2023-10-05 주식회사 현대밸브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931A (ko) * 2011-03-17 201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필터 세척방법
KR102146919B1 (ko) 2020-03-09 2020-08-21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04127B1 (ko) * 2021-05-03 2021-09-23 주식회사 현대밸브 배관 상의 필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931A (ko) * 2011-03-17 201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필터 세척방법
KR102146919B1 (ko) 2020-03-09 2020-08-21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04127B1 (ko) * 2021-05-03 2021-09-23 주식회사 현대밸브 배관 상의 필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735B1 (ko) * 2022-11-29 2023-05-02 주식회사 현대밸브 스마트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
KR102583904B1 (ko) * 2022-12-13 2023-10-05 주식회사 현대밸브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446B1 (ko)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CA2364926C (en) Dishwasher pressurized fine filter drain apparatus and method
US7082952B1 (en) Well cleaning system
KR20130040572A (ko)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
CN103954033A (zh) 储水式电热水器
CN107485348A (zh) 一种餐具清洗装置
KR102356048B1 (ko) 플러싱 필터게이트
KR102401453B1 (ko)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KR101744502B1 (ko)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KR102527734B1 (ko) 무단수 게이트형 자동세척 듀얼필터 정밀여과기
CN105581656A (zh) 一种直饮水机出水口的清洁装置
KR102041612B1 (ko) 필터세척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KR102387992B1 (ko) 공동주택단지 내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JP4974003B2 (ja) 潅水施肥装置の濾過装置洗浄方法
CN205473262U (zh) 连续式生物膜滤装置
CN213868237U (zh) 一种管路旁道反冲洗一体化的预制泵站
KR102250273B1 (ko) 모듈형 마이크로버블 디퓨져를 구비한 폐수정화 처리설비
RU30773U1 (ru) Канализационная насосная станция
KR102638766B1 (ko) 정수장에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장치 자동 세척 시스템 및 방법
CN217786245U (zh) 一种污水排放检测系统
KR101014265B1 (ko) 악취제거 약품 분사장치를 구비한 음식쓰레기 수거차량
KR102542832B1 (ko) 음식물 처리에 용이한 하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84411B1 (ko) 지능형 분사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CN216611166U (zh) 一种建筑工地用多功能车辆清洗装置
KR102285971B1 (ko) 탈취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